KR100692895B1 -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895B1
KR100692895B1 KR1020050010693A KR20050010693A KR100692895B1 KR 100692895 B1 KR100692895 B1 KR 100692895B1 KR 1020050010693 A KR1020050010693 A KR 1020050010693A KR 20050010693 A KR20050010693 A KR 20050010693A KR 100692895 B1 KR100692895 B1 KR 100692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defrosting operation
temperature
air conditioner
defro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9449A (ko
Inventor
진심원
허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0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895B1/ko
Publication of KR20060089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1/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mills
    • B02C11/02Breaking up amassed particles, e.g. fl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9/02Cutting or splitting g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냉난방형 공기조화기는, 일정 시간전에 측정된 실외 온도와 현재의 실외배관의 온도를 기초로 제상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제상이 필요한 경우 실외배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상 온도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통해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냉난방형 공기조화기는 실제로 제상운전이 필요한 기상 조건이 발생한 경우에만 제상운전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난방능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냉난방형 공기조화기, 제상운전, 실외기, 실내기, 전자팽창밸브, 사방밸브

Description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방법{Method for defrosting of Air conditioner for simultaneously heating and cooling}
도 1 은 종래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판단시점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종래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의 제상 운전에 따른 난방능력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에서 제상이 필요한 시기를 정확히 감지하여 제상 운전을 수행하고 나아가 난방능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주거공간, 레스토랑 또는 사무실 등의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점차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이 모두 가능한 냉난방형 공기조화 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냉난방형 공기조화기는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실외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사용됨으로 실외온도가 너무 낮게 되면 실외열교환기의 표면온도가 영하로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실외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차가워진 실외열교환기 표면에 착상되어 서리가 생기게 되어 실외열교환기의 열 교환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냉난방형 공기조화기는 난방운전 중 제상운전을 수행하게끔 구현되었다. 즉, 종래 냉난방형 공기조화기는 제상운전 시 압축기로부터 실내열교환기로 흐르던 고압기상냉매를 실외열교환기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실외열교환기가 응축기로 작동되어 제상을 수행하였다.
이하, 먼저 종래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판단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종래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판단시점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종래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판단방법은 실외 온도(Outdoor Temp)와 실외배관 온도(Outdoor Tube Temp)를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학술적으로 실외 온도(Outdoor Temp)와 실외배관 온도(Outdoor Tube Temp)를 동시에 측정하여 실험적으로 실외열교환기에 서리가 생기는 온도를 산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제상운전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상황에서는 실외열교환기에 착상이 진행될 경우 실외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에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고, 실외열교환기에 생성된 서리에 의한 복사 및 자연대류 효과에 의하여 실외온도를 실제온도보다 낮게 인식하게 된다. 즉 , 실제 실외온도와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실외온도 사이에 왜곡이 생기게 된다.
이에 종래 냉난방형 공기조화기는 난방능력이 떨어지는 시간대에 주기적으로 제상이 이루어지도록 구혀되고 있다.
도 2 는 종래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의 제상 운전에 따른 난방능력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의 제상 방식은 제상운전 중에 실내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작동되어 난방능력이 급격히 저하된다. 즉, 종래 냉난방형 공기조화기는 미리 설정된 제상운전 시간에 맞춰 제상운전을 지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실제로 제상이 필요없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제상운전을 수행하여 공기조화기의 난방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에서 제상이 필요한 시기를 정확히 감지하여 제상 운전을 수행하고 나아가 난방능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냉난방형 공기조화기는, 일정 시간전에 측정된 실외 온도와 현재의 실외배관의 온도를 기초로 제상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제상이 필요한 경우 실외배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상 온도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통해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실제로 제상운전이 필요한 기상 조건이 발생한 경우에만 제상운전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난방능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같은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형 공기조화기는 실제 운전 상황에서 실외 온도와 실외배관 온도를 활용하여 제상운전 여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기존에 제상이 필요없는 경우에도 주기적으로 제상운전이 수행되어 공기조화기의 난방능력 저하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난방형 공기조화기는 크게 실내기(10)와, 실외기(20)와,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내기(10)는 실내 공기와 냉매 간의 열 교환을 처리하는 실내열교환기(IDU HEX)(11)와,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IDU HEX)(11)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순환팬(12)을 포함한다.
실외기(20)는 냉매를 압축하여 강제 순환시키는 압축기(21)와, 상기 압축기(21)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와 실외공기 간의 열 교환을 처리하는 실외열교환기(ODU HEX)(23)와, 상기 실외열교환기(ODU HEX)(23)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을 낮추어 유출시키는 전자팽창밸브(23)와, 송풍팬(24)과, 제어부(30)로부터의 운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압축기(21)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실내열교환기(IDU HEX)(11) 또는 실외열교환기(ODU HEX)(23)로 흐르게끔 구동되는 사방밸브(25)와, 실외온도와 실외배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6, 27)와, 유입되는 냉매를 냉매 가스와 냉매액으로 분리하여 분리된 냉매 가스만을 상기 압축기(21)로 흡입시키는 액분리기(28)를 포함한다.
제어부(30)는 전체 시스템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롬과 램과 주변회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가회로를 포함한다. 제어부(30)는 조작부(31)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냉난방 운전과 제상운전, 나아가 제습운전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냉난방형 공기조화기는 난방운전 시 냉매가 압축기(21)→사방밸브(25)→실내열교환기(IDU HEX)(11)→전자팽창밸브(23)→실외열교환기(ODU HEX)(23)→사방밸브(25)→액분리기(28)→압축기(21)로 흐르도록 구현된다. 난방운전 시, 실내열교환기(IDU HEX)(11)는 고압고온의 기상냉매를 고압고온의 액상냉매로 응축시키는 응축기로, 실외열교환기(ODU HEX)(23)는 저압저온의 액상냉매를 저압저온의 기상냉매로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구동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냉난방형 공기조화기는 난방운전 시 냉매가 압축기(21)→사방밸브(25)→실외열교환기(ODU HEX)(23)→전자팽창밸브(23)→실내열교환기(IDU HEX)(11)→제1 사방밸브(25)→액분리기(28)→압축기(21)로 흐르도록 구현된다. 냉방운전 시 실외열교환기(ODU HEX)(23)는 고온고압의 기상냉매를 저온고압의 액상냉매로 응축시키는 응측기로, 실내열교환기(IDU HEX)(11)는 저온저압의 액상냉 매를 저온저압의 기상냉매로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구동된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냉난방형 공기조화기는 난방운전 중 제상운전 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방밸브(25)를 제어하여 냉매가 압축기(21)로부터 실외열교환기(ODU HEX)(23)로 흐르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제상운전 시에는, 실내열교환기(IDU HEX)(11)가 증발기로 작동됨으로 냉난방형 공기조화기는 난방능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냉난방형 공기조화기는 제상이 필요한 시기에만 최소한으로 제상운전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됨으로써, 난방능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제어부(30)에서 수행되는 제상운전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따라 본 발명의 냉난방형 공기조화장치가 난방운전을 수행하게끔 제어한다(S101).
이후, 제어부(30)는 난방운전 중 제상운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제상운전 필요 여부 확인은 실외 온도를 측정하고(S102), 일정 시간 경과 후의 실외배관 온도를 측정하여(S103, S104), 상기 측정된 실외배관 온도와 일정 시간 이전에 측정된 실외 온도를 기초로 제상운전이 필요한지를 판단(S105)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상운전 필요여부 판단은 일정 시간 이전에 측정된 실외 온도에 대응되는 실외배관 온도와 현재의 실외배관 온도를 비교하여 비교값이 제한 범위 이내이면 실외열교환기(ODU HEX)(23)에 제상운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난방운전 시 실외 온도에 대응되는 실외배관 온도와의 관계는 도1과 같이 미리 실험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착상 여부를 결정하는 실외온도를 일정 시간 전에 계측된 실외온도로 사용하는 것은, 종래의 기술에 언급한 바와 같이 재상이 필요한 만큼 충분히 실외 열교환기에 서리가 맺힌 경우 실외 온도의 왜곡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왜곡이 없는 일정 시간 이전에 측정된 정확한 실외온도를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제어부(30)는 제상운전이 필요한 경우 일정시간 지연후 실외배관 온도를 측정한다(S106, S107).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시간 지연후 실외배관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제어부(30)는 상기 측정된 실외 배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상 돌입 배관 온도인지를 판단하고(S108), 그 결과 상기 측정된 실외배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상 돌입 배관 온도이면 제상운전을 수행한다(S109).
이후 제어부(30)는 제상운전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한다(S11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상운전 종료 이벤트는 설정된 제상운전 종료시간의 도래일 수 있고, 실외기에 설치된 온도센서로부터의 제상운전 종료 시작 온도 입력 등 다양한 이벤트일 수 있다.
이후 제어부(30)는 시스템 종료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한다(S111). 제어부(30)는 확인결과 시스템 종료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단계 S101을 반복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시스템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형 공기조화기는 실제로 제상운전이 필요한 기상 조건이 발생한 경우에만 제상운전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난방능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 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삭제
  2. 실내기와 실외기와 전체 시스템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부에서 실행 가능한 제상운전방법에 있어서,
    난방운전 중 제상운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 결과, 제상운전이 필요한 경우 실외배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실외 배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상 돌입 배관 온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상기 측정된 실외배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상 돌입 배관 온도이면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난방운전 중 제상운전 필요 여부 확인 단계가 :
    실외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일정 시간 경과 후의 실외배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실외배관 온도와 일정 시간 이전에 측정된 실외 온도를 기초로 제상운전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상운전 방법.
KR1020050010693A 2005-02-04 2005-02-04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방법 KR100692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693A KR100692895B1 (ko) 2005-02-04 2005-02-04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693A KR100692895B1 (ko) 2005-02-04 2005-02-04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449A KR20060089449A (ko) 2006-08-09
KR100692895B1 true KR100692895B1 (ko) 2007-03-12

Family

ID=37177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693A KR100692895B1 (ko) 2005-02-04 2005-02-04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8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449A (ko)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46770B (zh) 空调的频率控制方法及空调
EP1431677B1 (en) Air conditioner
US11262108B2 (e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WO2007094343A1 (ja) 空気調和装置
JP4445246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696121B1 (ko) 냉난방 공기조화기에서 실행 가능한 제상운전 방법
EP1677058A2 (en) Method of controlling over-load cooling operation of air conditioner
JPH11287538A (ja) 空気調和機
WO2018037496A1 (ja) 空気調和装置
KR101579827B1 (ko) 가전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47053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0696120B1 (ko) 제상운전 시 난방능력 향상이 가능한 냉난방형공기조화기와 그에 사용되는 실외기 및 제상운전 방법
KR100692895B1 (ko) 냉난방형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방법
CN112944618B (zh) 一种空调能力估算方法及空调器
KR100565995B1 (ko) 실내기 설치 위치에 따른 멀티형 에어컨의 운전 방법
KR20070077639A (ko) 멀티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3932506A (zh) 空调
KR20000073050A (ko) 공기조화기의 저압측 막힘 판단방법
JP4131509B2 (ja) 冷凍サイクル制御装置
KR100689897B1 (ko) 냉난방 겸용 에어컨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KR100256317B1 (ko) 히트펌프의 제상 장치 및 방법
KR100304553B1 (ko) 히트펌프공기조화기와그난방운전을위한제어방법
KR100439058B1 (ko) 제습용 에어컨 및 제습 방법
KR20010065318A (ko) 열펌프 에어컨의 실외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35849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