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504B1 -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504B1
KR100692504B1 KR1020070001128A KR20070001128A KR100692504B1 KR 100692504 B1 KR100692504 B1 KR 100692504B1 KR 1020070001128 A KR1020070001128 A KR 1020070001128A KR 20070001128 A KR20070001128 A KR 20070001128A KR 100692504 B1 KR100692504 B1 KR 100692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le
worm
eccentric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헌용
Original Assignee
(주)세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세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01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2Cable lay-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콘크리트에 형성된 케이블인출구멍을 메우는 동시에 케이블을 기초콘크리트에 고정시키는데 사용하는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인출구멍(22)에 삽입되어 기초콘크리트(20)에 설치된 앵커볼트(24)와 너트(26)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블고정판(30)에 복수의 원통부(32)를 형성하고, 원통부(32)의 내측 하부에 케이블(40)의 외피(42)에 접촉하는 하부고무부싱(50)을 삽입 접착하기 위한 하부편심구멍(34)을 원통부(32)의 구멍중심(C1)으로부터 편심된 구멍중심(C2)을 갖도록 형성하며, 하부편심구멍(34)과 구멍중심(C2)이 일치된 회전편심구멍(62)을 갖고 외주면이 원통부(32)의 구멍중심(C1)과 일치하는 웜휠(60)을 원통부(32)의 내측에 삽입하고, 케이블(40)의 외피(42)에 접촉하여 웜휠(60)의 회전시 편심운동에 의해 케이블(40)의 외피(42)를 압박하는 압박링(70)을 회전편심구멍(62)에 삽입 접착하며, 원통부(32)의 내측 상단에 세레이션턱(36)을 형성하여 인서트링(80)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 접착하고, 인서트링(80)의 내측에 하부편심구멍(34)과 구멍중심(C2)이 일치된 상부편심구멍(84)을 형성하여 케이블(40)의 외피(42)에 접촉하는 상부고무부싱(82)을 상부편심구멍(84)에 삽입 접착하며, 원통부(32)의 외측에 웜지지판(37)(38)을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하고, 웜지지판(37)(38) 사이의 원통부(32) 외측면에 안팎으로 관통된 관통구멍(39)을 형성하며, 관통구멍(39)을 통해 웜휠(60)과 맞물리는 웜기어(64)를 웜지지판(37)(38) 사이에 삽입하고, 단부에 공구결합홈(92)이 형성된 회전축(90)을 웜기어(64)의 중 심에 접착하며, 회전축(90)의 양단을 웜지지판(37)(38)에 지지하여 구성된 것이다.
공동주택,전기,케이블,슬래브,편심,고무,웜,웜휠,압박링,앵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Electric power cable fixing apparatus of distributing board for apartment house}
도 1은 종래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2는 종래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에 의해 케이블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를 보인 요부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도5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도8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 기초콘크리트 22 : 케이블인출구멍
24 : 앵커볼트 26 : 너트
30 : 케이블고정판 32 : 원통부
34 : 하부편심구멍 36 : 세레이션턱
37,38 : 웜지지판 39 : 관통구멍
40 : 케이블 42 : 외피
50 : 하부고무부싱 60 : 웜휠
62 : 회전편심구멍 64 : 웜기어
70 : 압박링 80 : 인서트링
82 : 상부고무부싱 84 : 상부편심구멍
90 : 회전축 92 : 공구결합홈
C1,C2 : 구멍중심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초콘크리트를 통해 배전반으로 케이블을 배선할 때 기초콘크리트에 형성된 케이블인출구멍을 메우는 동시에 케이블을 기초콘크리트에 고정시키는데 사용하는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GIS(gas insulated switchgear; 가스절연 개폐장치) 또는 대형 배전반에 케이블 또는 기타 배관용 파이프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삽입공을 형성할 경우 배전반 등의 상부면 또는 저면 지지부에 실제 케이블이나 배관용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보다 큰 삽입공을 형성하여 케이블이나 파이프의 삽입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많은 경우 케이블설치 또는 배관 후에 가스절연개폐장치 등의 지지부 삽입공과 케이블 또는 파이프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고, 상기 틈새로 쥐 또는 족제비와 같은 야생동물이 드나들고, 둥지를 틀게 되므로 배전반이나 GIS 등이 지저분해지고, 심지어는 갉아먹음으로써 케이블이나 배관이 파손되고, 이로 인하여 전기적 혼촉 사고가 발생되며, 나아가 정전, 화재 또는 폭발 사고 등의 심각한 사태를 야기할 수 있다.
종래 배전반의 전선삽입공 메움장치로는 국내 특허등록 제10-0604260호(등록일자 2006.7.18.)가 있으며, 이는 첨부도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데크(12) 위에 기초콘크리트(13)를 설치하고, 그 기초콘크리트(13) 위에 배전반(10)을 설치하는데, 기초콘크리트(13) 아래쪽에서 배전반(10)으로 케이블(11)을 인출하기 위해 기초콘크리트(13)에 케이블인출구멍(13h)을 천공한 다음 삽입공메움장치(14)를 이용 케이블(11)을 케이블인출구멍(13h)에 고정하는 동시에 케이블인출구멍(13h)을 메우도록 되어 있었다.
즉, 이와 같은 삽입공메움장치(14)는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콘크리트(13) 위에 얹혀서 앵커볼트(18)에 의해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7a)(17b)에 반원으로 분할된 구멍이 형성되고, 선회클램프(16)가 힌지핀(16b)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7a)(17b) 상면에 선회 가능하게 등각도로 설치되며, "C" 자 모양과 같이 일측이 개방되어 케이블(11)을 삽입하기 위한 케이블끼움구멍(15a)을 갖는 케이블고정부재(15)의 외주면에 환형홈(15b)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케이블고정부재(15)를 두 베이스플레이트(17a)(17b)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선회클램프(16)를 안쪽으로 오므려 건 다음 선회클램프(16)에 설치된 핀(16a)에 스틸밴드(19)를 감은 다음 조여서 케이블고정부재(1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었고, 선회클램프(16)를 오므릴 때 케이블고정부재(15)에 형성된 케이블끼움구멍(15a)이 탄성에 의해 약간 오므라들도록 하여 케이블(11)이 케이블고정부재(15)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반원으로 분할된 베이스플레이트(17a)(17b)를 기초콘크리트(13) 위에 설치한 다음 케이블(11)에 케이블고정부재(15)를 끼운 다음 다시 케이블고정부재(15)를 선회클램프(16)에 의해 걸어서 고정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선회클램프(16)의 조임력을 유지하기 위해 스틸밴드(19)를 선회클램프(16)에 설치된 핀(16a)에 감아서 조여야 하는 매우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시공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케이블고정부재(15)에 형성된 케이블끼움구멍(15a)이 스틸밴드(19)와 선회클램프(16)에 의해 케이블고정부재(15)의 외측에서 중심을 향해 작용되는 압력에 의해 약간 오므라들면서 끼워진 케이블(11)을 물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스틸밴드(19) 한 개로 모든 선회클램프(16)를 움직이는 구조이기 때문에 체결작업이 매우 힘들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으며, 케이블끼움구멍(15a)이 개방된 부근 외에는 선회클램프(16)를 이용해서 압력 높이더라도 거의 오므라들지 않기 때문에 케이 블(11)의 전체에 고른 압착력을 보이지 않아 체결력이 떨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 선회클램프(16)가 연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지 않고 각자 독립적으로 선회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케이블고정부재(15)가 베이스플레이트(17a)(17b)의 정중앙에 위치하지 못하고 일측으로 편중되기 때문에 스틸밴드(19)를 조일 때 주의하여 조여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시공이 간편하며, 케이블을 조이는 작업이 신속하고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블인출구멍에 삽입되어 기초콘크리트에 설치된 앵커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블고정판에 복수의 원통부를 형성하고, 원통부의 내측 하부에 케이블의 외피에 접촉하는 하부고무부싱을 삽입 접착하기 위한 하부편심구멍을 원통부의 구멍중심으로부터 편심된 구멍중심을 갖도록 형성하며, 하부편심구멍과 구멍중심이 일치된 회전편심구멍을 갖고 외주면이 원통부의 구멍중심과 일치하는 웜휠을 원통부의 내측에 삽입하고, 케이블의 외피에 접촉하여 웜휠의 회전시 편심운동에 의해 케이블의 외피를 압박하는 압박링을 회전편심구멍에 삽입 접착하며, 원통부의 내측 상단에 세레이션턱을 형성하여 인서트링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 접착하고, 인서트링의 내측에 하부편심구멍과 구멍중심이 일치된 상부편심구멍을 형성하여 케이블의 외피에 접촉하는 상부고무부싱을 상부편심구멍에 삽입 접착하며, 원통부의 외측에 웜지지판을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하고, 웜지지판 사이의 원통부 외측면에 안팎으로 관통된 관통구멍을 형성하며, 관통구멍을 통해 웜휠과 맞물리는 웜기어를 웜지지판 사이에 삽입하고, 단부에 공구결합홈이 형성된 회전축을 웜기어의 중심에 접착하며, 회전축의 양단을 웜지지판에 지지하여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3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인출구멍(22)에 삽입되어 기초콘크리트(20)에 설치된 앵커볼트(24)와 너트(26)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블고정판(30)에 복수의 원통부(32)를 형성하고, 원통부(32)의 내측 하부에 케이블(40)의 외피(42)에 접촉하는 하부고무부싱(50)을 삽입 접착하기 위한 하부편심구멍(34)을 원통부(32)의 구멍중심(C1)으로부터 편심된 구멍중심(C2)을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 하부편심구멍(34)과 구멍중심(C2)이 일치된 회전편심구멍(62)을 갖고 외주면이 원통부(32)의 구멍중심(C1)과 일치하는 웜휠(60)을 원통부(32)의 내측에 삽입하고, 케이블(40)의 외피(42)에 접촉하여 웜휠(60)의 회전시 편심운동에 의해 케이블(40)의 외피(42)를 압박하는 압박링(70)을 회전편심구멍(62)에 삽입 접착하며, 원통부(32)의 내측 상단에 세레이션턱(36)을 형성하여 인서트링(80)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 접착한다.
여기서 압박링(70)은 예컨대, 자기윤활성을 지닌 테프론수지로 형성하여 웜휠(60)이 회전될 때 압박링(70)과 케이블(40)의 외피(42) 간에 미끄럼이 일어나도 록 하며, 인서트링(80)의 상단에는 세레이션턱(36)과 일치하는 세레이션플랜지(86)를 형성하여 인서트링(80)이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인서트링(80)의 내측에 하부편심구멍(34)과 구멍중심(C2)이 일치된 상부편심구멍(84)을 형성하여 케이블(40)의 외피(42)에 접촉하는 상부고무부싱(82)을 상부편심구멍(84)에 삽입 접착하며, 원통부(32)의 외측에 웜지지판(37)(38)을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하고, 웜지지판(37)(38) 사이의 원통부(32) 외측면에 안팎으로 관통된 관통구멍(39)을 형성하며, 관통구멍(39)을 통해 웜휠(60)과 맞물리는 웜기어(64)를 웜지지판(37)(38) 사이에 삽입하고, 단부에 공구결합홈(92)이 형성된 회전축(90)을 웜기어(64)의 중심에 접착하며, 회전축(90)의 양단을 웜지지판(37)(38)에 지지한다.
또한, 케이블고정판(30)의 저면에는 기초콘크리트(20)에 형성된 케이블인출구멍(22)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걸리는 환형걸림턱(31)을 형성하여 케이블고정판(30)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하며, 기초콘크리트(20)에 설치된 앵커볼트(24)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멍(33)을 형성한다.
또, 상부고무부싱(82)과 하부고무부싱(50)의 상단에는 플랜지(82p)(50p)를 형성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할 때 걸리도록 하여 접착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3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콘크리트(20)에 형성된 케이블인출구멍(22)으로 케이블고정판(30)을 삽입하게 되면, 케이블고정판(30)이 케이블인출구멍(22)으로 삽입되면서 케이블고정판(30)의 저면에 형성된 세레이션 턱(36)이 케이블인출구멍(22)의 내측 상단 모서리부분에 걸리게 된다.
이때 케이블고정판(30)에 형성된 체결구멍(33)을 기초콘크리트(20)에 설치된 앵커볼트(24)에 일치시켜서 케이블고정판(30)을 케이블인출구멍(22)에 삽입하게 되면, 앵커볼트(24)가 케이블고정판(30)에 형성된 체결구멍(33)을 통해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후 상측으로 돌출된 앵커볼트(24)에 너트(26)를 결합하게 되면, 케이블고정판(30)이 기초콘크리트(20)에 고정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케이블(40)을 케이블고정판(30)에 형성된 원통부(32)의 중심으로 삽입하게 되면, 케이블(40)이 원통부(32)에 설치된 상부고무부싱(82)과 압박링(70), 하부고무부싱(50)으로 삽입된다.
이때 인서트링(80)에 삽입된 상부고무부싱(82)과 웜휠(60)에 삽입된 압박링(70) 및 하부고무부싱(50)의 중심은 모두 일치된 상태여야 한다.
이와 같이 케이블(40)을 원통부(32)로 삽입하여 상하로 움직이면서 고정할 위치에 이르게 되면, 케이블(40)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선회클램프 등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축(90)의 단부에 형성된 공구결합홈(92)에 일자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결합하여 회전축(90)을 회전시키게 되면, 웜기어(64)에 의해 원통부(32)에 위치되어 있던 웜휠(60)이 회전된다.
즉, 회전축(90)은 웜기어(64)와 접착되어 있고, 회전축(90)의 양단은 웜지지판(37)(3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웜기어(64)의 회전이 자유롭게 되며, 웜휠(60)은 원통부(32)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므로, 웜기어(64) 에 의해 웜휠(60)이 회전된다.
이때 웜휠(60)은 원통부(32)의 구멍중심(C1)을 기점으로 회전하게 되며, 웜휠(60)에 형성된 회전편심구멍(62)에 삽입된 압박링(70)은 웜휠(60)의 구멍중심(C1)으로부터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웜휠(60)이 회전될수록 압박링(70)의 중심이 상부고무부싱(82)과 하부고무부싱(50)의 중심과 어긋나 케이블(40)의 외피(42)를 편심되는 방향으로 압박하게 된다.
또, 압박링(70)은 자기윤활성을 지닌 테프론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웜휠(60)의 회전시 케이블(40)의 외피(42)로부터 미끄러져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즉, 원통부(32)의 상하부에 위치되어 있는 상부고무부싱(82)과 하부고무부싱(50)은 각각 인서트링(80)과 원통부(32)의 상부편심구멍(84)과 하부편심구멍(34)에 접착되어 있고, 인서트링(80)도 원통부(32)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웜휠(60)이 회전될 때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회전하는 압박링(70)과 편심되어 케이블(40)의 외피(42)를 압박하게 된다.
위와 같이 케이블(40)의 압박이 이루어지게 되면, 케이블(40)의 외피(42)에 턱이 생기면서 압착되어 상하로 움직일 수 없게 되며, 웜휠(60)은 웜기어(64)의 역지 작용에 의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케이블(40)을 인출하거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케이블(40)의 물림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케이블(40)을 물기 위해 돌리던 웜기어(64)의 회전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축(90)을 회전시키게 되면, 웜휠(60)의 회전편심구멍(62)에 설치된 압박링(70)의 중심이 상하측에 위치한 상부고무부싱(82)과 하부고무부싱(50)의 중심과 점점 가까워지다가 일치되어 압박이 풀리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초콘크리트에 형성된 케이블인출구멍에 케이블고정판을 설치한 다음 케이블고정판에 형성된 원통부에 케이블을 삽입하고 회전축을 돌려 웜기어와 웜휠의 회전에 의해 압박링을 편심시켜서 케이블의 외피를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 고정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회전축을 반대로 회전시키서 압박링을 상부고무부싱과 하부고무부싱의 중심과 일치시키게 되면, 케이블의 고정이 해제되기 때문에 케이블 보수작업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고, 압박링에 의한 압력이 케이블의 외피에 고르게 작용하기 때문에 케이블의 국부손상을 방지하고, 케이블의 지지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기초콘크리트(20)에 형성된 케이블인출구멍(22)에 설치되는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에 있어서,
    케이블인출구멍(22)에 삽입되어 기초콘크리트(20)에 설치된 앵커볼트(24)와 너트(26)에 의해 고정되는 케이블고정판(30)에 복수의 원통부(32)를 형성하고, 원통부(32)의 내측 하부에 케이블(40)의 외피(42)에 접촉하는 하부고무부싱(50)을 삽입 접착하기 위한 하부편심구멍(34)을 원통부(32)의 구멍중심(C1)으로부터 편심된 구멍중심(C2)을 갖도록 형성하며, 하부편심구멍(34)과 구멍중심(C2)이 일치된 회전편심구멍(62)을 갖고 외주면이 원통부(32)의 구멍중심(C1)과 일치하는 웜휠(60)을 원통부(32)의 내측에 삽입하고, 케이블(40)의 외피(42)에 접촉하여 웜휠(60)의 회전시 편심운동에 의해 케이블(40)의 외피(42)를 압박하는 압박링(70)을 회전편심구멍(62)에 삽입 접착하며, 원통부(32)의 내측 상단에 세레이션턱(36)을 형성하여 인서트링(80)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 접착하고, 인서트링(80)의 내측에 하부편심구멍(34)과 구멍중심(C2)이 일치된 상부편심구멍(84)을 형성하여 케이블(40)의 외피(42)에 접촉하는 상부고무부싱(82)을 상부편심구멍(84)에 삽입 접착하며, 원통부(32)의 외측에 웜지지판(37)(38)을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하고, 웜지지판(37)(38) 사이의 원통부(32) 외측면에 안팎으로 관통된 관통구멍(39)을 형성하며, 관통구멍(39)을 통해 웜휠(60)과 맞물리는 웜기어(64)를 웜지지판(37)(38) 사이에 삽입하고, 단부에 공구결합홈(92)이 형성된 회전축(90)을 웜기어(64)의 중심 에 접착하며, 회전축(90)의 양단을 웜지지판(37)(38)에 지지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
KR1020070001128A 2007-01-04 2007-01-04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 KR100692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128A KR100692504B1 (ko) 2007-01-04 2007-01-04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128A KR100692504B1 (ko) 2007-01-04 2007-01-04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2504B1 true KR100692504B1 (ko) 2007-03-12

Family

ID=3810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128A KR100692504B1 (ko) 2007-01-04 2007-01-04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5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07Y1 (ko) 2011-04-22 2011-07-01 양승권 배전반의 케이블 인입장치
KR101773306B1 (ko) * 2016-12-19 2017-08-31 신승현 배전반의 무선 온도 감지 장치
CN107700698A (zh) * 2017-09-27 2018-02-16 成都中机盈科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墙体连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308A (ko) * 2002-08-16 2004-02-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엔진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308A (ko) * 2002-08-16 2004-02-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엔진 지지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10-2004-0016308 (패키지 수배전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07Y1 (ko) 2011-04-22 2011-07-01 양승권 배전반의 케이블 인입장치
KR101773306B1 (ko) * 2016-12-19 2017-08-31 신승현 배전반의 무선 온도 감지 장치
CN107700698A (zh) * 2017-09-27 2018-02-16 成都中机盈科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墙体连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8847B2 (en) Solar mounting assemblies
US7709735B2 (en) Lift cover and gasket assembly
US7427714B1 (en) Conduit junction box replacement cover
US7804212B2 (en) Cooling tower sealant containment gasket
KR100692504B1 (ko) 공동주택용 배전반의 케이블 고정장치
US20060037773A1 (en) Weatherproof electrical enclosure
US3975074A (en) Standing box for electrial fixtures
CN103022749B (zh) 一种带有绝缘护套的电缆线连接线夹
CN209977583U (zh) 一种柴油发动机的蝶式支撑座
GB2417367A (en) Electrical earthing nut
CN101825245B (zh) 防爆平台灯
KR200454000Y1 (ko) 절연클램프
JP4874635B2 (ja) 短絡接地及び試験工具
CN205211981U (zh) 电力系统中电力设备与输电线路连接用安装线夹
KR101046398B1 (ko) 배전선로용 전선분기 접속구
ATE431634T1 (de) Montageteil für eine flüssigkeitsdichte kabeldurchführung
KR102290377B1 (ko) 변전소의 누전 감시장치
CN213339902U (zh) 一种绝缘子导线紧固套件
CN104241883B (zh) 低压线缆快速连接装置
JP3126067U (ja) ケーブル導管の防水用栓装置
KR20160128255A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JPH0634079A (ja) 建屋取付用管継手
CN213186029U (zh) 一种使用寿命长的太阳能光伏板接线盒
CN219067351U (zh) 一种真空密封接线柱安装结构
RU133658U1 (ru) Коробка монтажна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