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806B1 - 끼임방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끼임방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806B1
KR100690806B1 KR1020050052072A KR20050052072A KR100690806B1 KR 100690806 B1 KR100690806 B1 KR 100690806B1 KR 1020050052072 A KR1020050052072 A KR 1020050052072A KR 20050052072 A KR20050052072 A KR 20050052072A KR 100690806 B1 KR100690806 B1 KR 100690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ortable terminal
body portion
folder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548A (ko
Inventor
한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806B1/ko
Priority to AT05026764T priority patent/ATE472890T1/de
Priority to EP05026764A priority patent/EP1670218B1/en
Priority to DE602005022037T priority patent/DE602005022037D1/de
Priority to US11/299,090 priority patent/US7640044B2/en
Priority to JP2005356219A priority patent/JP4388521B2/ja
Publication of KR20060131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끼임방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적층되게 배치되는 폴더부; 상기 폴더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360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상기 폴더부 및 본체부 각각에 서로 맞물리며 일체로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기어를 구비하는 힌지장치; 상기 제1 및 제2 기어들 사이에 물체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끼임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임방지부는, 상기 제1기어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상기 제1기어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원판; 상기 제2기어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원판과 대향 되게 상기 제2기어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원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제1 및 제2 기어 사이로 손가락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삭제

Description

끼임방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HAVING JAM PREVENTION PART}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끼임방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끼임방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끼임방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로서, 끼임방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본체부 120 : 폴더부
130 : 힌지장치 132,134 : 기어
140 : 끼임방지부 141,142 : 원판
본 발명은 끼임방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와 폴더부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장치의 각 기어의 사이에 사용자의 신체 또는 각종 물체가 끼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끼임방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힌지장치(30)를 통해 일단을 중심으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고 통신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전면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도시하지 않음)와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배면에는 배터리(1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폴더부(20)의 전면 및 배면에는 소정의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1,22)가 설치되어 있고,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수화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폴더부(20)는 힌지장치(30)를 통해 소정 각도로 회동되며 본체부(10)의 전면을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본체부(10)에 대해 360도 회동되며 본체부(10)의 배면에 절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장치(30)는 폴더부(20)에 구비되는 제1가동힌지부(31)와, 본체부에 구비되는 제2가동힌지부(33) 및 상기 제1가동힌지부(31)와 제2가동힌지부(33)를 연결하는 인지연결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가동힌지부(31)와 제2가동힌지부(33)의 축선 방향을 따른 단부에는 서로 맞물림되며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섹터기어형태의 제1기어(32) 및 제2기어(3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는, 힌지장치(30)를 구성하는 각 가동힌지부(31,33)의 각 기어(32,34)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각 기어(32,34)의 회전시 각 기어(32,34)의 사이로 사용자의 손가락 및 손톱(또는 각종 물체)이 끼여짐에 따른 상해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본체부와 폴더부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장치의 각 기어의 사이에 사용자의 신체 또는 각종 물체가 끼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끼임방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적층되게 배치되는 폴더부; 상기 폴더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360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상기 폴더부 및 본체부 각각에 서로 맞물리며 일체로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기어를 구비하는 힌지장치; 상기 제1 및 제2 기어들 사이에 물체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끼임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임방지부는, 상기 제1기어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상기 제1기어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원판; 상기 제2기어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원판과 대향 되게 상기 제2기어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방지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1원판과 상기 제2원판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끼임방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끼임방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끼임방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로서, 끼임방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끼임방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힌지장치(130)를 통해 일단을 중심으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120) 및 상기 힌지장치에 구비되는 끼임방지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고 통신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전면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도시하지 않음)와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배면에는 배터리(11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폴더부(120)의 전면 및 배면에는 소정의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21,122)가 설치되어 있고,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수화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폴더부(120)는 힌지장치(130)를 통해 소정 각도로 회동되며 본체부(110)의 전면을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본체부(110)에 대해 360도 회동되며 본체부(110)의 배면에 절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장치(130)는 폴더부(120)에 구비되는 제1가동힌지부(131)와, 본체부에 구비되는 제2가동힌지부(133) 및 상기 제1가동힌지부(131)와 제2가동힌지부(133)를 연결하는 인지연결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가동힌지부(131)와 제2가동힌지부(133)의 축선 방향을 따른 단부에는 서로 맞물림되며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섹터기어형태의 제1기어(132) 및 제2기어(13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힌지장치(130)에는 폴더부(120)가 본체부(110)에 대해 상대 회동될 시 힌지장치(130)를 구성하는 각 가동힌지부(131,133)의 각 기어(132,134)의 사이로 사용자의 신체 또는 각종 물체가 끼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끼임 방지부(140)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끼임방지부(140)는 제1기어(132)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제1기어(132)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원판(141)과, 상기 제2기어(134)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제1원판(141)과 대향되게 제2기어(134)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원판(14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원판(141,142)은 각 기어(132,134)에 대해 상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각 기어(132,134)와 함께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원판(141,142)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외관상 서로 갖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힌지장치(130)를 구성하는 각 가동힌지부(131,133)의 각 기어(132,134)는 이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각 기어(132,134)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원판(141) 및 제2원판(14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구조는 폴더부(120)가 본체부(110)에 대해 상대 회동될 시 힌지장치(130)를 구성하는 각 가동힌지부(131,133)의 각 기어(132,134)의 사이로 사용자의 신체 또는 각종 물체가 끼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며,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끼임방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면, 본체부와 폴더부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장치에 끼임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폴더부가 본체부에 대해 상대 회동될 시 힌지장치를 구성하는 각 가동힌지부의 각 기어의 사이로 사용자의 신체 또는 각종 물체가 끼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며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적층되게 배치되는 폴더부;
    상기 폴더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360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상기 폴더부 및 본체부 각각에 서로 맞물리며 일체로 회전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기어를 구비하는 힌지장치;
    상기 제1 및 제2 기어들 사이에 물체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끼임방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끼임방지부는,
    상기 제1기어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상기 제1기어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원판;
    상기 제2기어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원판과 대향 되게 상기 제2기어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방지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판과 상기 제2원판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임방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20050052072A 2004-12-09 2005-06-16 끼임방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90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072A KR100690806B1 (ko) 2005-06-16 2005-06-16 끼임방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AT05026764T ATE472890T1 (de) 2004-12-09 2005-12-07 Scharniergelenk und mobiles endgerät, welches dieses beinhaltet
EP05026764A EP1670218B1 (en) 2004-12-09 2005-12-07 Hinge uni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DE602005022037T DE602005022037D1 (de) 2004-12-09 2005-12-07 Scharniergelenk und mobiles Endgerät, welches dieses beinhaltet
US11/299,090 US7640044B2 (en) 2004-12-09 2005-12-08 Hinge uni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2005356219A JP4388521B2 (ja) 2004-12-09 2005-12-09 ヒンジユニットを備えた携帯端末機及び電子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072A KR100690806B1 (ko) 2005-06-16 2005-06-16 끼임방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548A KR20060131548A (ko) 2006-12-20
KR100690806B1 true KR100690806B1 (ko) 2007-03-09

Family

ID=37811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072A KR100690806B1 (ko) 2004-12-09 2005-06-16 끼임방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806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52072 - 72995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548A (ko)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3753B1 (en) Hinged device
US7200429B2 (en) Mobile terminal and hinge device thereof
US7653968B2 (en) Hinge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using the hinge device
US8923934B2 (en) Dual display folder type terminal
EP1710985B1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US7522944B2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1165144A (ja) 折りたたみ型携帯電話機
EP1791330A1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device including two axes of rotation
EP1950937A2 (en) Portable apparatus
US6694391B2 (en) Combination computer mouse and telephony handset
KR100690806B1 (ko) 끼임방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7725140B2 (en) Portable terminal
US20110086681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slide-and-twist mechanism
JP2006060516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KR200384472Y1 (ko) 곡선 슬라이드형 휴대전화 단말기
US20090137292A1 (en) Recessed hinge
WO2010047012A1 (ja) 折り畳み式携帯電子機器
EP2557761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member rotatable between first and second positions
KR100529960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KR200198287Y1 (ko) 휴대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커버
JP2006060517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KR20040107609A (ko)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229956Y1 (ko) 폴더의 개폐구조
TW201240424A (en)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070049847A (ko) 더블힌지 구조 폴더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