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7609A -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609A
KR20040107609A KR1020030036356A KR20030036356A KR20040107609A KR 20040107609 A KR20040107609 A KR 20040107609A KR 1020030036356 A KR1020030036356 A KR 1020030036356A KR 20030036356 A KR20030036356 A KR 20030036356A KR 20040107609 A KR20040107609 A KR 20040107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topper
shaft
hous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일
손기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6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7609A/ko
Publication of KR20040107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6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4Female reproductive, genital organs
    • A61M2210/1475Vagin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가이드 링과, 상기 가이드 링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구동 샤프트를 이용하여, 서브바디를 개폐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서브바디가 개방되며, 서브바디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편안한 위치에서 서브바디를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말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 링의 직선운동은 구동 샤프트의 완만한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킬수 있어 서브바디가 급격하게 개방되어 발생하는 충격을 방지하게 되었다.

Description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 {HINGE DEVICE FOR INFORM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폰, 피디에이(PDA), 팜 피씨(palm PC) 등을 포함하는 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인바디와 서브바디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는 초기 페이저(pager) 서비스로부터 점차 발전을 거듭하여 음성통화 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통신 및 멀티미디어 정보까지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폰, 개인용 컴퓨터, 멀티미디어 기기 등의 기능이 통합된 정보 단말기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 단말기들은 소형 경량화되어 휴대성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의 경우 초기에 바형(bar type) 단말기가 주로 이용되었는데, 바형 단말기는 하나의 하우징에 송화부 및 수화부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및 키패드를 설치한 구성으로,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 소형화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소형화의 한계는 폴더형(folder type) 단말기를 통해 극복되고 있다. 폴더형 단말기는 소정의 힌지 장치를 이용하여 메인바디와 서브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서브바디가 메인바디 상에서 회전함으로써 개폐된다. 따라서, 폴더형 단말기는 통화시에 서브바디를 펼쳐 송, 수화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확보하고, 통화 대기시에 서브바디를 메인바디에 접철시켜 휴대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힌지 장치를 이용한 단말기의 구성은 전자수첩, 노트북 피씨(notebook PC) 등 다양한 정보 단말기의 소형화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힌지 장치는 본 출원인에게 특허 허여된 대한민국 특허 제296048호(2001. 5. 7) 등에 개시되고 있다. 개시된 힌지 장치는 메인바디와 서브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메인바디에 대하여 서브바디를 소정 각도 이상 개방시키면 서브바디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고, 소정 각도 이하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서브바디가 메인바디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힌지 장치는 단순히 서브바디의 개폐동작을 구현시키기 위한 구성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서브바디의 개방각도 조절이 어렵고, 사용자가 직접 서브바디를 개폐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바디에 대하여 서브바디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서브바디의 개방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일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개폐되는 서브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와 서브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에 있어서,
양 단에 각각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측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힌지 하우징;
상기 힌지 하우징의 일단으로 힌지 돌기를 돌출시키고, 상기 힌지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는 힌지 샤프트;
상기 힌지 하우징내에서 상기 힌지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외주면에 소정의 곡선 궤적을 따라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된 구동 샤프트;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샤프트 홀이 구비되고, 그 내주면에 제1 상기 가이드 홈과 상응하는 제1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 하우징 내에서 직선운동함으로써 상기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가이드 링;
상기 가이드 링이 상기 힌지 샤프트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 및
상기 힌지 하우징의 타단 내벽에 대면하고, 상기 구동 샤프트의 단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스토퍼를 구비하는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힌지 장치가 구비된 정보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정보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정보 단말기의 다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정보 단말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1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힌지 장치(100)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100)는 힌지 하우징(101), 힌지 샤프트(102), 구동샤프트(103), 가이드 링(104) 및 힌지 스토퍼(105)를 구비하고, 압축 스프링(191)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링(104)이 직선운동함으로써 상기 구동 샤프트(103)를 회전시켜 정보 단말기(200; 도 3에 도시됨)의 서브바디(202; 도 3에 도시됨)를 개방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힌지 하우징(101)은 양 단에 각각 관통홀(111a, 111b)이 형성되고, 일측면이 개방된 수용공간(111)을 제공한다. 상기 수용공간(111)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제2 가이드 홈(11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가이드 홈(113)은 상기 수용공간(111)과 상기 힌지 하우징(101)의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힌지 샤프트(102)는 일단에 힌지 돌기(121)가 연장되고, 타단에 결합홈(125)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 샤프트(102)는 상기 힌지 하우징(101)의 일단에 수용되어 상기 힌지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A)에 대하여 회전운동 하고, 상기 힌지 돌기(121)는 상기 힌지 하우징(101)의 관통홀(111a, 111b)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힌지 돌기(121)는 상기 힌지 샤프트(102)의 회전력을 서브바디(202)에 전달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12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샤프트(103)는 일단에 상기 힌지 샤프트(102)의 결합홈(125)과 상응하는 결합편(135)이 구비되어, 상기 힌지 하우징(101) 내에서 상기 힌지 샤프트(102)와 함께 상기 힌지축(A)에 대하여 회전한다. 상기 구동 샤프트(103)의 외주면에 소정 형상의 제1 가이드 홈(13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가이드 홈(131)은상기 구동 샤프트(103)의 길이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상기 구동 샤프트(103)의 제1 가이드 홈(131)은 한 쌍으로 구성된 것이며, 실시 예에 따라서 한 개 또는 세 개 이상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구동 샤프트(103)의 타단은 그 단면이 사각형 형상의 결합 샤프트(133)가 연장된다. 상기 결합 샤프트(133)는 상기 힌지 스토퍼(105)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그 단면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힌지 돌기(121)와 유사하게 그 외주면에 한 개 또는 한 쌍의 평면을 형성하거나, 단면의 형상이 오각형 또는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링(104)은 상기 구동 샤프트(103)가 관통하는 샤프트 홀(141)과, 상기 샤프트 홀(141)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103)의 제1 가이드 홈(131)에 상응하는 제1 가이드 돌기(미도시)와, 외주면에 상기 힌지 하우징(101)의 제2 가이드 홈(113)과 상응하는 제2 가이드 돌기(143)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링(104)은 상기 제2 가이드 홈(113) 및 제2 가이드 돌기(143)에 의해 상기 힌지 하우징(101) 내에서 직선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링(104)이 상기 힌지 하우징(101) 내에서 직선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 가이드 홈(131)과 맞물려 상기 구동 샤프트(103)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가이드 링(104)은 상기 압축 스프링(191)에 의해 상기 힌지 샤프트(10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최초 상기 힌지 장치(100)가 정보 단말기(200)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링(104)은 상기 구동 샤프트(103)의 결합 샤프트(133)에 근접하게 위치되고,상기 압축 스프링(191)에는 탄성력이 축적된 상태이다. 상기 압축 스프링(19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 링(104)이 상기 힌지 샤프트(102)에 근접하는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구동 샤프트(103)와 힌지 샤프트(102)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 샤프트(103)와 힌지 샤프트(102)는 상기 정보 단말기(200)의 서브바디(202)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 샤프트(103)의 타단,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 샤프트(133)의 단부에는 상기 힌지 스토퍼(105)가 소정 구간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힌지 스토퍼(105)의 일단에 상기 결합 샤프트(133)의 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됨은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 힌지 스토퍼(105)는 상기 구동 샤프트(103)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힌지 하우징(101)의 타단 내벽과 상기 힌지 스토퍼(105)의 타단에는 각각 서로 대면하는 제1 및 제2 스토퍼 돌기(115, 153)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스토퍼 돌기(115; 도 2에 도시됨)는 상기 힌지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101)의 지름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다. 상기 제2 스토퍼 돌기(153)는 상기 힌지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힌지 스토퍼(105)의 지름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 각도 구간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스토퍼 돌기(115)는 한 쌍이 180도 간격으로, 즉 상기 힌지축(A)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토퍼 돌기(153)는 기 설정된 각도 구간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A)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스토퍼 돌기(153)가 110도 ~ 160도 범위와 290도 ~ 340도 범위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대칭을 이루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힌지 스토퍼(105)는 0도 ~ 110도 범위에서는 회전에 제약을 받지 않고, 110도 ~ 160도 범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돌기(115, 153)가 서로 맞물려 상기 힌지 스토퍼(105)는 단계적으로 회전이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샤프트(102) 및 구동 샤프트(103)도 110도 ~ 160도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회전이 정지된다. 상기 힌지 스토퍼(105)는 상기 압축 스프링(191)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힌지 하우징(101)의 타단 내벽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돌기(115, 153)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힌지 스토퍼(105)가 회전하면, 상기 제1 스토퍼 돌기(115)는 상기 제1 스토퍼 돌기(153)를 밀어 상기 힌지 스토퍼(105)가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압축 스프링(19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스토퍼 돌기(153)는 상기 제1 스토퍼 돌기(115) 또는 상기 힌지 하우징(101)의 타단 내벽에 밀착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스토퍼 돌기(115)와 제2 스토퍼 돌기(153)가 서로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 스토퍼(105)가 회전하면, 상기 힌지 스토퍼(105)는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힌지 스토퍼(105)가 직선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스토퍼 돌기(153)는 상기 제1 스토퍼 돌기(115) 또는 상기 힌지 하우징(101)의 타단 내벽에 부딪혀 클릭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최초 상기 힌지 장치(100)가 정보 단말기(200)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링(104)은 상기 결합 샤프트(133)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압축 스프링(191)에 탄성력이 축적된다. 상기 압축 스프링(191)에 축적된 탄성력은 상기 가이드 링(104)을 상기 힌지 샤프트(102)에 근접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가이드 링(104)은 상기 제2 가이드 홈(113)과 제2 가이드 돌기(143)에 의해 직선 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링(104)의 샤프트 홀(141) 내주면에 형성된 제1 가이드 돌기는 상기 구동 샤프트(103)의 제1 가이드 홈(13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 샤프트(103)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 샤프트(103)의 구동력과 회전수는 상기 제1 가이드 홈(131)의 궤적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즉, 상기 제1 가이드 홈(131)이 상기 구동 샤프트(103)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이동한 각도범위가 작을수록, 상기 구동 샤프트(103)의 구동력은 커지고, 회전수는 작아진다. 또한, 동일한 각도 범위에 형성된 조건이라면, 상기 제1 가이드 홈(131)이 형성된 상기 구동 샤프트(103)의 길이가 길수록 구동력이 커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가이드 홈(131)의 궤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구동 샤프트(103) 및 힌지 샤프트(102)의 구동력과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힌지 장치(100)를 구비하는 정보 단말기(200)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다. 상기 정보 단말기(200)는 메인바디(201)와 서브바디(202)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바디(201)와 서브바디(202)는 상기 힌지 장치(1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메인바디(201)는 전면(211a) 상단에 수화부(213a)와, 하단에 송화부(213b)가 각각 설치되고, 상단 및 하단의 일측에는 각각 스피커 장치(215a, 215b)가 설치되며, 상단에는 안테나 장치(231)가 설치된다. 상기 수화부(213a)와 송화부(213b)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11b)가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1b)의 타측으로 카메라 모듈(217)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송화부(213b)에인접한 위치에 다수의 키들(213c)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201)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개구(219)가 구비되어, 상기 서브바디(202)를 결합시키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서브바디(202)는 전면(221)에 휴대폰 등 통신 단말기로서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제1 키패드(221a)가 설치되고, 후면(227)에 피디에이(PDA) 등 정보기기로서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제2 키패드(227a)가 설치된다. 상기 서브바디(202)의 일측에는 힌지 암(223)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 암(223)이 상기 메인바디(201)의 개구(21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힌지 암(223)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 홀(225)에 상기 힌지 장치(100)가 수용됨으로써, 힌지축(A)이 제공된다. 상기 서브바디(202)의 힌지 암(223)이 상기 힌지축(A) 상에 위치되어, 상기 서브바디(202)는 상기 힌지축(A)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개폐되는 것이다. 상기 힌지 장치(100)의 일단으로 돌출된 힌지 돌기(121)는 상기 메인바디(201)에 고정 결합된다.
한편, 상기 서브바디(202)가 상기 메인바디(201)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링(104)이 상기 결합 샤프트(133)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압축 스프링(191)에 탄성력이 축적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바디(202)가 상기 메인바디(20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이 상기 힌지 장치(100)에 축적된다. 상기 정보 단말기(200)는 상기 서브바디(202)를 상기 메인바디(201)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래칫(rachet) 장치 등의 잠금 장치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래칫 장치 등은 일종의 잠금 장치로서, 간단한 누름 동작만으로 잠금 상태가 해제됨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보 단말기(200)는 상기 서브바디(202)가 상기 메인바디(201)에 밀착된 상태에서 잠금 장치를 해제하면, 상기 힌지 장치(100)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서브바디(202)가 상기 메인바디(201)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 장치(100)의 힌지 샤프트(102)가 110도까지 회전함으로써, 상기 서브바디(202)는 상기 메인바디(201)와 110도를 이룬 상태에서 멈추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 스토퍼(105)는 상기 제1 스토퍼 돌기(115)와 제2 스토퍼 돌기(153)에 의해 110도 ~ 160도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정지 각도가 조절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서브바디(202)의 개방 각도를 사용하기 편안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바디(202)를 바닥에 위치시키고, 상기 메인바디(201))를 바닥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하기 위하여 소정의 지지대(203; 도 6에 도시됨)가 상기 메인바디(201)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03)는 상기 서브바디(202)와 유사하게 상기 메인바디(2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이다. 상기 서브바디(202)는, 사용자가 직접 개방된 상태의 서브바디(202)를 다시 상기 메인바디(201)에 밀착시켜, 상기 메인바디(201)에 접철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100)는 간단한 누름 동작만으로 서브바디(202)의 잠금장치가 해제되고 압축 스프링(191)의 탄성력에 의한 가이드 링(104)의 직선운동을 구동 샤프트(103)의 회전력으로 전환시켜 서브바디(202)를 자동으로 개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 장치(100)의 구동 샤프트(103)에 형성된 제1 가이드 홈(131)의 궤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서브바디(202)의 개방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서브바디(202)가 급격하게 개방되어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는 사용자가 간단한 버튼 조작을 함으로써 서브바디가 개방된다. 또한, 개방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위치에서 서브바디를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말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브바디가 급격하게 개방되어 발생하는 충격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되었다.

Claims (5)

  1.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일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개폐되는 서브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와 서브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에 있어서,
    양 단에 각각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측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힌지 하우징;
    상기 힌지 하우징의 일단으로 힌지 돌기를 돌출시키고, 상기 힌지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는 힌지 샤프트;
    상기 힌지 하우징내에서 상기 힌지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외주면에 소정의 곡선 궤적을 따라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된 구동 샤프트;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샤프트 홀이 구비되고, 그 내주면에 제1 상기 가이드 홈과 상응하는 제1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 하우징 내에서 직선운동함으로써 상기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가이드 링;
    상기 가이드 링이 상기 힌지 샤프트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 및
    상기 힌지 하우징의 타단 내벽에 대면하고, 상기 구동 샤프트의 단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스토퍼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하우징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링의 외주면에 상기 제2 가이드 홈에 상응하게 돌출된 제2 가이드 돌기가 더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링의 직선운동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샤프트와 상기 구동 샤프트는 일체형으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하우징의 타단 내벽에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스토퍼 돌기와;
    상기 힌지 스토퍼의 일면에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스토퍼 돌기와 대면하는 제2 스토퍼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토퍼 돌기와 상기 제2 스토퍼 돌기가 서로 맞물리는 위치에서 상기 힌지 스토퍼의 회전이 정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 돌기는 한 쌍이 상기 힌지 스토퍼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토퍼 돌기는 110도 내지 160도 범위와, 190도 내지 340도 범위에서 각각 적어도 두 개 이상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힌지 스토퍼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서로 대칭을 이룬 형상이고,
    상기 힌지 스토퍼는 단계적으로 회전이 정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20030036356A 2003-06-05 2003-06-05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40107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356A KR20040107609A (ko) 2003-06-05 2003-06-05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356A KR20040107609A (ko) 2003-06-05 2003-06-05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609A true KR20040107609A (ko) 2004-12-23

Family

ID=3738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356A KR20040107609A (ko) 2003-06-05 2003-06-05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76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924B1 (ko) * 2005-03-04 2006-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자동 회전 폴더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8675B1 (ko) * 2005-06-29 2007-03-23 김부태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
KR100701500B1 (ko) * 2006-06-16 2007-03-29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 단말기용 개폐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924B1 (ko) * 2005-03-04 2006-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자동 회전 폴더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8675B1 (ko) * 2005-06-29 2007-03-23 김부태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
KR100701500B1 (ko) * 2006-06-16 2007-03-29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 단말기용 개폐장치
WO2007145485A1 (en) * 2006-06-16 2007-12-21 Laird Technologies Map Co., Ltd.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US7890151B2 (en) 2006-06-16 2011-02-15 Laird Technologies Korea Yh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378B1 (ko) 원 스텝 자동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정보 단말기
US7200429B2 (en) Mobile terminal and hinge device thereof
US7885693B2 (en) Sliding device for dual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US7200224B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630139B1 (ko) 이축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7624477B2 (en) Rotation hinge
US20060112517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950700654A (ko) 무선통신 장치를 위한 하우징 어셈블리(Housing Assembly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1144836A (ja) 携帯電話機
KR100800769B1 (ko) 멀티미디어 휴대 통신 장치
US7036186B2 (en) Swing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US20040131421A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20070018396A (ko) 추가 키패드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EP1579587B1 (en) Self operating opening mechanism for use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7124472B2 (en) Hinge mechanism with single hand operation
US20060133796A1 (en) Cover restricting mechanism of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040107609A (ko)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
US765702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KR101160262B1 (ko) 슬라이드 구동형 휴대용 단말기
KR20040094972A (ko)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57575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20040106678A (ko) 정보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90045600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372884Y1 (ko) 회전형 폴더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9016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