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607B1 -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607B1
KR100690607B1 KR1020010033544A KR20010033544A KR100690607B1 KR 100690607 B1 KR100690607 B1 KR 100690607B1 KR 1020010033544 A KR1020010033544 A KR 1020010033544A KR 20010033544 A KR20010033544 A KR 20010033544A KR 100690607 B1 KR100690607 B1 KR 100690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display device
supplied
light emitting
constan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5351A (ko
Inventor
장미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3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607B1/ko
Publication of KR20020095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1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 pass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개별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에 공급되는 전류값이 작은 경우에 발광시간이 짧아서 샘플링에 문제를 발생시킴에 따라 전류값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을 통해 밝기를 조절해야 하며, 이로 인해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가 복잡해짐과 아울러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패널에 제1스위치부를 통해 정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구동부와; 상기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패널에 제2스위치부를 통해 보상전류를 공급하는 전류보상부와; 상기 제1스위치부의 온/오프를 제어함과 아울러 그 제1스위치부를 통해 상기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패널에 공급되는 정전류가 정해진 값보다 작을 경우에 정전류가 공급되는 초기의 일정한 시간동안 상기 제2스위치부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상기 전류보상부의 보상전류가 상기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를 통해, 개별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에 공급되는 정전류가 정해진 값보다 작을 경우에 정전류가 공급되는 초기의 일정한 시간동안 전류보상부로부터 보상전류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발광시간의 편차를 줄일 수 있게 됨에 따라 비교적 간단한 회로구성 및 제어를 통해 밝기 그레이 레벨의 안정된 샘플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CALIBRATION CIRCUIT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도1은 일반적인 단위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구동회로도.
도2는 도1에 있어서, 전계발광 표시소자에 공급되는 정전류와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양단간 전압의 시간에 따른 그래프도.
도3은 도1에 있어서, 발광이 종료되는 시간에서 개별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밝기편차를 보인 그래프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블록구성도.
도5는 도4에 있어서, 개별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에 대한 전류구동부 및 전류보상부의 상세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밝기편차 보상을 보인 그래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패널 12:전류구동부
13:전류보상부 14,24:제어부
21:개별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22,23:제1,제2스위치부
본 발명은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organic) 전계발광(electroluminescent) 표시소자에 공급되는 정전류의 크기를 보상하여 발광시간의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일반적인 단위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구동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1)에 정전류(IO)를 공급하는 전류구동부(2)와; 상기 전류구동부(2)로부터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1)에 공급되는 정전류를 스위칭시키는 스위치부(3)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구동회로는 스위치부(3)가 △d의 시간동안 턴온되어 전류구동부(2)에서 정전류(IO)가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1)에 공급됨으로써,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1)의 양단간 전압(VEL)이 증가하게 되고, 그 전압(VEL)이 임계값을 넘어서면,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1)가 발광하게 된다.
한편, 도2는 상기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1)에 공급되는 정전류(IO)와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1)의 양단간 전압(VEL)의 시간(T)에 따른 그래프도이다. 이때, Ith와 Vth는 각각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1)가 발광하게 되는 임계값을 나타내며, 적절한 계조를 표현하기 위해서 I1 내지 I3 등의 크기가 다른 전류값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3은 상기한 바와같이 크기가 다른 전류값(I1∼I3)에 따라 전계발광 표시소자(1)의 밝기편차를 보인 그래프도이다.
상기 도2 및 도3의 그래프도에서 알 수 있듯이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1)에서 발광되는 빛의 밝기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1)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와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밝기의 그레이 레벨(gray level)을 얻기 위해서는 전류의 크기 또는 시간을 조절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에 비하여 정확한 그레이 레벨을 얻을 수 있으므로, 시간을 조절하기 위해서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 PWM)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이 펄스 폭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그레이 레벨을 얻는 경우에 I1과 같이 충분한 크기를 갖는 전류값은 전계발광 표시소자(1)의 발광시간이 길기 때문에 샘플링에 문제가 없으나, I3과 같이 전류값이 작은 경우에는 발광시간이 짧아서 샘플링에 문제를 발생시킴에 따라 전류값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을 통해 밝기를 조절해야 하며, 이로 인해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가 복잡해짐과 아울러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에 공급되는 정전류의 크기를 보상하여 발광시간의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패널에 제1스위치부를 통해 정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구동부와; 상기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패널에 제2스위치부를 통해 보상전류를 공급하는 전류보상부와; 상기 제1스위치부의 온/오프를 제어함과 아울러 그 제1스위치부를 통해 상기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패널에 공급되는 정전류가 정해진 값보다 작을 경우에 정전류가 공급되는 초기의 일정한 시간동안 상기 제2스위치부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상기 전류보상부의 보상전류가 상기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한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를 첨부한 도면을 일 실시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블록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패널(11)에 정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구동부(12) 및 상기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패널(11)에 보상전류를 공급하는 전류보상부(13)와; 상기 전류구동부(12)로부터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패널(11)에 정전류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함과 아울러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패널(11)에 공급되는 정 전류가 정해진 값보다 작을 경우에 정전류가 공급되는 초기의 일정한 시간동안 상기 전류보상부(13)로부터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패널(11)에 보상전류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제어부(14)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한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에 대한 일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전류구동부(12)는 제어부(14)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패널(11)에 정전류를 공급함으로써, 개별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양단간 전압을 증가시키고, 그 전압이 임계값을 넘어서면, 개별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가 발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4)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에 공급되는 정전류가 정해진 값보다 작을 경우에 정전류가 공급되는 초기의 일정한 시간동안 상기 전류보상부(13)에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전류보상부(13)에서 보상전류가 개별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에 인가되도록 한다.
한편, 도5는 상기한 바와같은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패널(11) 내의 개별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에 대한 전류구동부(12) 및 전류보상부(13)의 상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개별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21)에 제1스위치부(22)를 통해 정전류(IO)를 공급하는 제1전류원(Is)과; 개별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21)에 제2스위치부(23)를 통해 보상전류(IC)를 공급하는 제2전류원(Id)과; 상기 제1,제2스위치부(22,23)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24)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어부(24)로부터 △d의 시간동안 고전위 구간을 갖는 제어신호가 상기 제1스위치부(22)에 인가되어 제1전류원(Is)으로부터 개별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21)에 정전류(IO)가 공급되며, 이와같이 공급되는 정전류(IO)가 정해진 값보다 작을 경우에 제어부(24)에서는 정전류(IO)가 공급되는 초기의 △t 시간동안 고전위 구간을 갖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2스위치부(23)에 인가하여 제2전류원(Id)으로부터 개별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21)에 보상전류(IC)가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6의 밝기편차 보상 그래프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개별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21)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가 정해진 값보다 작을 경우에 이를 보상하는 전류를 해당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21)에 공급하여 발광시간의 편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한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는 개별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에 공급되는 정전류가 정해진 값보다 작을 경우에 정전류가 공급되는 초기의 일정한 시간동안 전류보상부로부터 보상전류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발광시간의 편차를 줄일 수 있게 됨에 따라 비교적 간단한 회로구성 및 제어를 통해 밝기 그레이 레벨의 안정된 샘플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패널에 제1스위치부를 통해 정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구동부와; 상기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패널에 제2스위치부를 통해 보상전류를 공급하는 전류보상부와; 상기 제1스위치부의 온/오프를 제어함과 아울러 그 제1스위치부를 통해 상기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패널에 공급되는 정전류가 정해진 값보다 작을 경우에 정전류가 공급되는 초기의 일정한 시간동안 상기 제2스위치부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상기 전류보상부의 보상전류가 상기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KR1020010033544A 2001-06-14 2001-06-14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KR100690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544A KR100690607B1 (ko) 2001-06-14 2001-06-14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544A KR100690607B1 (ko) 2001-06-14 2001-06-14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351A KR20020095351A (ko) 2002-12-26
KR100690607B1 true KR100690607B1 (ko) 2007-03-09

Family

ID=2770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544A KR100690607B1 (ko) 2001-06-14 2001-06-14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6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142A (ko) * 2002-09-18 200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택형 유기 el의 감마 조정 장치 및 방법
GB0309803D0 (en) * 2003-04-29 2003-06-04 Cambridge Display Tech Ltd Display driver methods and apparatus
TWI234413B (en) * 2003-06-27 2005-06-11 Rohm Co Ltd Organic EL panel drive circuit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drive circuit
KR101502070B1 (ko) 2008-12-02 2015-03-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923A (ko) * 1997-03-12 2000-02-25 야스카와 히데아키 전류 구동형 발광소자를 구비한 화소회로, 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KR20010039666A (ko) * 1999-06-17 2001-05-15 이데이 노부유끼 화상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923A (ko) * 1997-03-12 2000-02-25 야스카와 히데아키 전류 구동형 발광소자를 구비한 화소회로, 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KR20010039666A (ko) * 1999-06-17 2001-05-15 이데이 노부유끼 화상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351A (ko) 200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5713B1 (en) Drive apparatus which detects spatial charge voltage on charge storage light-emitting device and controls voltage and current based on the detection while drive current is blocked
US7656370B2 (en) Method and circuit arrangement for the ageing compensation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nd circuit arrangement
JP4972068B2 (ja) 発光素子の駆動装置
US7683864B2 (en) LED driving apparatus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function
KR20080090879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06023894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a display device
KR20070006331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012584B2 (en) Organic EL panel drive circuit
KR2009001175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030123521A1 (en) Operating a light emitting diode
US7215307B2 (en) Drive unit of self-luminous device with degradation detection function
US7315292B2 (en) Electric current adjustment of light emitting element of display device
JP2001236040A (ja) 表示装置
US7081720B2 (en) Driver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electroluminescent lamp to emit light at brightness set level
KR10239855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690607B1 (ko) 평판 표시소자의 구동회로
KR20070015857A (ko) Led 구동 장치
KR20050051353A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20027957A (ko)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전류 구동용 구동회로
KR100992265B1 (ko) 백라이트 유닛용 발광다이오드 구동 장치
US8084950B2 (en) Drive circuit
KR20120110257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CN210112328U (zh) 一种μLED电流模式像素驱动电路系统
KR100571002B1 (ko) 유기이엘 구동회로
KR100757560B1 (ko) 유기 전계 발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