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189B1 - 약쑥 액기스를 모체로한 한방재와 화장용크림이 혼재한 미용지 - Google Patents

약쑥 액기스를 모체로한 한방재와 화장용크림이 혼재한 미용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189B1
KR100690189B1 KR1020050068130A KR20050068130A KR100690189B1 KR 100690189 B1 KR100690189 B1 KR 100690189B1 KR 1020050068130 A KR1020050068130 A KR 1020050068130A KR 20050068130 A KR20050068130 A KR 20050068130A KR 100690189 B1 KR100690189 B1 KR 100690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wormwood
cream
mixed
l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8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3658A (ko
Inventor
김종규
Original Assignee
김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규 filed Critical 김종규
Priority to KR1020050068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189B1/ko
Publication of KR20070013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1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8Papers containing cosmetic powder or other powdery toiletry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per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민방에서 잘 알려진 약효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약쑥과 소정의 한약재로부터 된 고농축 액기스와 화장용 크림/로션을 혼합하여서 이들 조액을 혼재한 미용지에 관한 것이다. 약쑥과 한약재 혼합재로부터 물추출 방식으로 즙을 짜내어 이를 농축기에서 농축시켜 만든 고농축 액기스를 화장용 크림과 적정 비율로 섞어서 된 조액을 초지기의 헤드 부분에서 투입하여 지필을 형성하던지 기히 완성된 미용지의 일 표면에 분무 또는 롤 전사 방식으로 도포시킨 다음 건조시켜 만든 종이로써 일상적으로 사용시 기히 미용지에 혼재된 전통적으로 약쑥을 비롯한 한방재가 가지는 특유의 약효가 살갗을 통해 전달됨으로써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크림을 혼재함으로써 부드럽고 보습효과가 있는 종이의 특성이 부여되고, 약쑥의 효능은 특히 여성의 세정용으로써, 크린싱 티슈로 그 효과는 더하여 질 것이다.
약쑥, 액기스, 화장용 크림, 로션, 한방재

Description

약쑥 액기스를 모체로한 한방재와 화장용크림이 혼재한 미용지{The tissue paper which mixed with make up cream/Lotion and Oriental medical herbs based on wormwood}
쑥은 엉시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류로써 어린잎을 식용으로, 잎, 줄기는 약용으로 쓰이며, 성숙된 쑥으로 만든 대황색의 솜같이 된 것은 뜸쑥을 만들어 사용하게 된다. 쑥에는 씨네올이 함유되어 있어 혈전을 예방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인진 쑥은 위장과 손과 발을 따듯하게 하고 간 기능 개선과 비타민 A1(체질개선, 노화억제), B1,B2,C 그리고 칼슘, 철분 등으로 해독작용이 또렷하고, 항균작용을 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또한 한약재, 예를 들어 소재 개별적으로는 천궁의 경우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고, 기운의 순환을 도와서 통증을 없애는 약재로 알려져 있고, 오미자는 자양강장제로써 체력을 증강시키고 피로회복, 눈을 밝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황정은 자양강장, 허약 체질, 피로 감소, 병후 회복에 효과적이며, 인삼도 빈혈, 저혈압, 냉증, 당뇨병 등에 효과가 있는 성분 등을 내포하고 있고, 이들 약재는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더 나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겠다.
이 외에도 오이 등은 맛사지용으로 살갗에 영향을 주어 효과를 주는 등은 이미 잘 알려진 방법들이다. 미용티슈와 관련하여 PCT/US 1997/09079(한국 등록번호 10-0296360-0000) "항바이러스성 무수마일드 스킨로션으로 처리된 티슈페이퍼" 에서는 로션 조성물에 리노바이러스와 인플루엔자 와 같은 바이러스를 사멸할 목적으로 항바이러스를 시트로산 또는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및 석산산의 혼합체 유기산을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KR 공개번호 10-2004-0091915 (2004,11,03) "한방 휴지 제조방법"에서는 단순히 약재( 애엽, 익모초, 향부자, 감초, 황백, 당구신, 숙지황, 적석지, 단삼, 도인, 오령지, 석류피를 1∼2 시간 끓여 액으로 만든 첨가액을 섞어서 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고농축화한 액기스 상과 같은 원액이 아니고, 더구나 크림이나 로션과 혼화한 조액이 아니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초지과정 또한 어떻게 한 것인지 불분명하게 표현되어 있어 본 발명과는 기술적으로 차별화가 된다. 또한 한국 등록 특허 공보(B1)(1998.12.16) "로션처리 미용티슈"에서는 피부보호기능 및 크린싱 기능이 개선된 미용티슈로써 경화 식물성 기름, 중합도 40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및 소르비탄 모노 스테아레이트를 도포하는 로션으로 처리한 미용티슈에 관한 것인데 이는 크림을 도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되 한방재와의 혼화성이 없으며, 초지과정의 헤드부분에서 초지용 지료에 섞어서 초지되든지 분무로써 미용지에 흡입되는 본 발명 기술과는 차별된다.
한국 특허 공개번호 10-1995-0007824(1995.09.16) "생약재를 이용한 한방미용티슈의 제조 방법과 그 제품"에서는 인삼, 고본, 백지, 율무, 행인, 애엽, 천공, 백봉령, 대추, 감초, 박하, 금은화, 백령, 진피, 만형자, 감국, 정향, 과루근 등 피부미용에 유효한 한약재를 배합한 것에 물을 넣고, 중탕시켜 증류수로 만든 것을 스판레이스 원단에 접목, 시트 상으로 절취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것 또한 본 발명의 고농축화한 액기스 상 원액과 같지 않고, 크림이나 로션과 혼화한 조액이 아니며, 더구나 사용하는 원지가 미용지가 아니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민방에서 잘 알려진 약효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약쑥(특히 강화 사자발쑥)과 소정의 한약재로부터 만들어진 혼합 고농축 액기스와 화장용 크림/로션을 혼합하여서 만들어진 조액이 혼재한 미용지에 관한 것이다. 약쑥 또는 약쑥과 한약재의 혼합물로부터 즙을 짜내어 이를 농축기에서 농축시켜 고농도로 액기스를 만들고, 이를 화장용 크림이나 로션에 적정한 비율로 섞어 조액을 제조하고, 이를 초지기의 헤드 부분에 넣어 지필을 형성하던지 기히 완성된 미용지의 일 표면에 분무 또는 롤 전사 방식으로 도포시킨 다음 건조시켜 종이를 만드는 공정을 거쳐 본 발명의 소재가 만들어 지고, 혼재하는 전통적인 한방재의 약효는 살갗을 통해 전달됨으로써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액기스로 만들어 화장을 크림과 혼합하여 조재한 것을 종이에 침투시킴으로써 크림의 보습성으로 인하여 부드러운 종이의 질감을 가지면서 피부접촉이 많은 부위에서 약쑥의 효능이 미치도록 한다. 특히 여성의 세정용으로써, 크린싱 미용티슈로써 그 효과가 발휘되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항균,소염, 살균, 지혈조경, 보혈기능 등 약리 작용으로 피부의 보습효과와 모세혈관을 튼튼히 하는 유효성분으로 피부의 염증을 진정시키며, 재생을 촉진하는 역할과 피부의 미백효과, 습진, 여드름, 기미 등 피부병 치료, 여성의 냉증, 부인의 하혈 등에 약효가 있는 약쑥을 모체로하고 있다.
약쑥/한약재의 고농축 액기스로 만드는 공정은 열탕 추출기에 건 약쑥이나 대상의 한약재와 물을 일정율로 넣어 1차 공정으로 90∼120℃로 서서히 소정의 시간 동안 끓여서 유효성분을 용출시키고, 찌꺼기를 걸러 낸 용출 용액을 2차로 소정의 시간 동안 끓여서 증발시켜서 고농도 액기스로 농축시켜 만드는 단계의 액상물질과 혼합체로할 크림은 정제수, 고급 알코올, 지방산, 계면활성제, 보습제, 방부제, 유성성분, 금속이온 봉쇄제, 알칼리제, 향료로 된 크림이나, 정제수, 지방산 ,계면활성제, 보습제, 유성성분, 점액질, 알칼리제, 향료로 된 로션, 또 다른 방식의 화장수로 정제수, 알코올, 유연제, 보습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pH조절제, 색소, 향료, 비타민 또는 활성성분 으로부터 되는 화장용 크림 또는 로션화 하는 단계의 산출물로부터 고농도 액기스 액상물질과 화장용 크림 또는 로션을 정량으로 혼합하여 조액으로 만드는 단계 그리고 이 조액을 초지과정에서 혼가하던지 조액을 미용지 지필의 합지과정에서 분무하여 적어도 미용지의 일 면에 침투되어 만들어 지는 미용지로써 혼재한 전통적인 한방재의 약효가 살갗을 통해 전달됨으로써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액기스로 만들어 화장용 크림과 혼합하여 조재한 원액을 종이에 침투시키면 크림의 보습성으로 인하여 부드러운 종이의 질감을 가지면서 피부접촉이 많은 부위에서 약쑥의 효능이 미치도록 한다. 특히 여성의 세정용으로써, 크린싱 티슈로 그 효과가 발휘되는 생활용품이 되도록 하고자 한다.
〈실시 예 1〉
화장수로써 정제수를 만들고 소독과 청량감을 주기 위한 에칠알코올, 실리콘계의 유연제, 보습제로 글리세린 그리고 계면활성제로 Non-Oxynol을 조합하여 제조하고, 약쑥의 고농도 액기스를 넣고 혼합하여 조액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초지기의 헤드 부에서 지료에 투입하면서 초지하여 미용지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2〉
크림은 정제수에 고급알코올(cetostearyl)과 유화작용제로 스테아린 지방산을 넣고,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솔비탄 계(Sorbitan sesquioleate), 보습제로 글리세린, 올리브유 그리고 약간의 향료를 넣어 만들고 여기에 약쑥의 고농도 액기스를 넣고 혼합하여 조액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미리 만들어진 미용지에 합지 과정에서 스프레이 분무방법으로 조사한 것을 권취상태에서 1일 정도 숙성하여 지필에 고루 퍼지게 하였다.
〈실시 예 3〉
로션 방법으로 정제수에 스테아린산, 폴리솔베이트, 세타놀 그리고 올리브유를 함께 섞어 유화시켜 만든 액에 보습제인 글리세린를 넣어 조액을 만들고 여기에 약쑥과 천궁을 섞어 만든 고농도 액기스를 넣고 혼합한 것을 초지기의 헤드에서 정량적으로 지료에 주입하면서 초지하여 미용지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4〉
정제수에 스테아린산, 폴리솔베이트, 세타놀 그리고 올리브유를 함께 섞어 유화시켜 만든 액에 보습제인 글리세린를 넣어 로션 조액을 만들고 여기에 약쑥과 천궁을 섞어 만든 고농도 액기스를 넣고 혼합한 것을 미리 만들어진 미용지에 합지 과정에서 스프레이 분무방법으로 조사한 것을 권취상태에서 1일 정도 숙성하여 지필에 고루 퍼지게 하였다.
〈실시 예 5〉
3년간 숙성한 강화도 사자발쑥과 천궁을 절건량 100 그램 대비 물 70 리터를 쏙스레이 추출기에 넣고 100℃에서 4시간 1차 추출한 다음 걸러낸 액을 2차 농축기에 넣고 80~100℃에서 다시 4시간 농축시켜 당도 45~55 브릿드 범위로 고농축 액기스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천연 펄프로만 형성된 미용지 지필에 전통적인 한방재 조성의 고농축 액기스를 혼재하면 한방 특유의 약효가 살갗을 통해 전달됨으로써 자주 사용하는 소모재에 효용성 있는 기능을 부여하며, 특히 크림, 로션 류를 혼재함으로써 이들 특유의 보드랍고, 보습효과가 내재하는 종이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더하여 약쑥의 효능은 피부와 관련하여 좋은 것으로 알려져 특히 여성의 세정용으로써, 크린싱 티슈로써의 효과는 좋을 것이며, 약쑥을 모체로 천궁이나 인삼, 오배자 등을 혼재함으로써 다양한 제품의 선호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3)

  1. 미용지에 있어서,
    약효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소정의 한방 약재로부터 추출된 고농도 추출액과 친수성 화장용 크림을 혼합하여서 되는 원액을 상기 바탕 종이의 적어도 일 표면 상에 코팅 또는 혼재하여 건조시켜 만들어지고,
    보습성을 가지면서 상기 원액 성분이 추후의 수분 공급에 의해 상기 바탕 종이로부터 용출 가능한 미용지.
  2. 제1항에 있어서 친수성 화장용 크림은
    정제수에 스테아린산, 폴리솔베이트, 세타놀 그리고 올리브유를 함께 섞어 유화시켜 만든 액에 보습제인 글리세린를 넣어 크림으로 만들며, 여기에 약쑥의 고농도 액기스를 넣어 혼합하여 만드는 원액 제조 단계와 이를 초지기의 헤드에서 정량적으로 지료에 주입하면서 초지 방법으로 만든 미용지.
  3.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한방 약재는 약쑥, 천궁, 오미자, 오배자, 황정 및 인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지.
KR1020050068130A 2005-07-27 2005-07-27 약쑥 액기스를 모체로한 한방재와 화장용크림이 혼재한 미용지 KR100690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130A KR100690189B1 (ko) 2005-07-27 2005-07-27 약쑥 액기스를 모체로한 한방재와 화장용크림이 혼재한 미용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130A KR100690189B1 (ko) 2005-07-27 2005-07-27 약쑥 액기스를 모체로한 한방재와 화장용크림이 혼재한 미용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658A KR20070013658A (ko) 2007-01-31
KR100690189B1 true KR100690189B1 (ko) 2007-03-09

Family

ID=38013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130A KR100690189B1 (ko) 2005-07-27 2005-07-27 약쑥 액기스를 모체로한 한방재와 화장용크림이 혼재한 미용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1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366B1 (ko) 2009-10-23 2012-06-05 김은실 눈썹 시술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7966B2 (ja) * 2016-12-28 2020-08-26 ミヨシ油脂株式会社 紙類処理剤の製造方法および紙類の風合いを向上させる方法
KR102400179B1 (ko) * 2020-08-31 2022-05-25 주식회사에이치엔비랩스 인진쑥 추출물 및 올리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산화, 미백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428Y1 (ko) 2001-08-20 2002-03-18 강남석 얼굴 미용 맛사지 팩
KR20020037076A (ko) * 2000-11-13 2002-05-18 서상두 맛사지용 팩의 조성물
JP2003113029A (ja) 2001-09-28 2003-04-18 Persia Zakuro Yakuhin:Kk 薬用植物混合物
JP2003226637A (ja) 2001-05-18 2003-08-12 Kanebo Ltd 洗浄用シート
KR20040021842A (ko) * 2002-09-05 2004-03-11 (주) 그린페이퍼텍 천연 쑥 향과 고농축 약쑥액을 함유하는 미용용지 및 이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076A (ko) * 2000-11-13 2002-05-18 서상두 맛사지용 팩의 조성물
JP2003226637A (ja) 2001-05-18 2003-08-12 Kanebo Ltd 洗浄用シート
KR200262428Y1 (ko) 2001-08-20 2002-03-18 강남석 얼굴 미용 맛사지 팩
JP2003113029A (ja) 2001-09-28 2003-04-18 Persia Zakuro Yakuhin:Kk 薬用植物混合物
KR20040021842A (ko) * 2002-09-05 2004-03-11 (주) 그린페이퍼텍 천연 쑥 향과 고농축 약쑥액을 함유하는 미용용지 및 이의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366B1 (ko) 2009-10-23 2012-06-05 김은실 눈썹 시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658A (ko)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299B1 (ko) 생약숙성탕액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743197B1 (ko) 발효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용 두피 케어 샴푸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샴푸 조성물
KR101206998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
KR101294762B1 (ko) 기능성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3779B1 (ko) 복합 한방 조성물, 한방 샴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한방 조성물 및 한방 샴푸
CN105769663A (zh) 一种具舒缓镇静功能的保湿卸妆水及其制备方法
KR20100121003A (ko) 한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90189B1 (ko) 약쑥 액기스를 모체로한 한방재와 화장용크림이 혼재한 미용지
KR20200073970A (ko) 수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146014A (zh) 一种复方烟酸薄荷酯植物多糖乳膏及其制备方法
JP3563021B2 (ja) 化粧用パックの製造方法
KR101019094B1 (ko) 기능성 미백 화장수의 제조방법
CN111643610A (zh) 一种植物复合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973523A (zh) 一种马齿苋抗敏修护面膜及其制备方法
JP2002363065A (ja) 薬草化粧石鹸及びローション
KR101045410B1 (ko) 올리브유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02955A (ko) 생약추출액이 함유된 샴푸조성물
KR101068320B1 (ko)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조성물
CN112641706A (zh) 一种含复方竹沥液的洗发香波
CN113350253A (zh) 一种抗菌止痒滋润养肤沐浴乳及其制备方法
JP4079908B2 (ja) 化粧用パック
KR100561271B1 (ko) 약쑥을 모체로 한 한방의 고농축 액상물질과 이의 스프레이/에어로졸 용기 가공체
KR100886879B1 (ko) 인체 피부용 기능성 조성물
CN108815076A (zh) 一种美白护肤霜及其制备方法
KR20070008832A (ko)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는 생강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