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126B1 -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저장공간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저장공간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126B1
KR100690126B1 KR1020050067488A KR20050067488A KR100690126B1 KR 100690126 B1 KR100690126 B1 KR 100690126B1 KR 1020050067488 A KR1020050067488 A KR 1020050067488A KR 20050067488 A KR20050067488 A KR 20050067488A KR 100690126 B1 KR100690126 B1 KR 100690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file
capacity
hard disk
storag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3119A (ko
Inventor
임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7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126B1/ko
Publication of KR20070013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9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serves a specific purpose
    • G11B2020/1292Enhancement of the total storage capacit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데이터가 기록된 저장매체의 용량이 부족하게 되면 특정 조건에 부합되는 데이터 파일의 용량을 감축시켜서 저장매체의 기록용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저장공간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데이터 저장매체에 비디오 파일을 기록하여 저장하는 비디오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매체의 기록 가능 잔여 용량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기록 가능 잔여 용량을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저장매체에 저장된 파일중 기록용량을 변경하여 저장할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파일을 저화질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디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용량부족, HQ, EQ

Description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저장공간 관리 방법{HARD DISK MANAGEMENT METHOD FOR VIDEO RECORD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공간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비디오 기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저장공간 관리를 위한 사용자 설정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비디오 파일의 재생 이력에 근거하여 재생빈도가 낮은 파일을 추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재생 빈도가 낮은 비디오 파일의 기록 속도를 변경하여 파일 용량을 축약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튜너, 12:디모듈레이터,
14:엔코더, 16:버스 인터페이스,
18: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20:디코더,
22:비디오 출력부, 24:키입력부,
26:제어부, 28:OSD 발생부.
본 발명은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저장공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디오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비디오 기록 장치에서 비디오 데이터가 기록되는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저장공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은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와 같은 북미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식과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DVB-T)와 같은 유럽 디지털 텔레비전 방식으로 대별되고, 이는 방송신호의 송출 방식에 따라 디지털 위성 방송과 디지털 케이블 방송, 디지털 지상파 방송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서 북미 디지털 텔레비전 방식에 해당하는 ATSC 방식의 경우에는 비디오 신호를 MPEG-2 표준으로 압축하고, 오디오 신호를 AC-3 포맷으로 압축하여 전송하도록 되어 있어서 고효율의 압축 성능이 장점이고, 신호 포맷이 18개로 다양하여 동시에 여러개 채널의 방송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을 단지 시청하는데에만 그치지 않고, 원하는 프로그램을 녹화하여 디지털 비디오 파일 형태로 보관하거나 해당 프로그램을 미리 녹화하였다가 차후에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 디오 기록 장치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비디오 기록 장치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장시간으로 녹화하여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대용량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를 탑재하고 있으며, 그러한 대용량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탑재된 비디오 기록 장치에서는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녹화하여 저장하는 것을 반복하게 됨에 따라 대용량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 저장용량이 부족해지는 경우에, 사용자가 임의로 이미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파일 중에서 불필요한 파일을 삭제하거나, 고화질의 비디오 파일을 저화질로 변환하여 파일 용량을 감축시키도록 되어 있지만, 사용자의 수동 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사용상의 불편함이 가중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비디오 기록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용량 부족 상태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특정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녹화를 설정하게 되면, 하드디스크의 용량 부족에 따라 정상적인 녹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면서 방송 프로그램 녹화 기능의 정상적인 수행이 어렵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비디오 데이터가 기록된 저장매체의 용량이 부족하게 되면 특정 조건에 부합되는 데이터 파일의 용량을 감축시켜서 저장매체의 기록용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저장공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녹화하는 비디오 기록 장치에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저장용량이 부족하게 되면, 재생빈도가 낮은 비디오 파일의 용량을 감축시켜서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저장공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매체에 비디오 파일을 기록하여 저장하는 비디오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매체의 기록 가능 잔여 용량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기록 가능 잔여 용량을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저장매체에 저장된 파일중 기록용량을 변경하여 저장할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파일을 저화질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저장공간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공간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비디오 기록 장 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기록 장치는, 원하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선국하는 튜너(10)와, 튜너(10)에 의해 선국된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earml; TS) 형태로 변환하는 디모듈레이터(12), 상기 디모듈레이터(12)에 의해 변환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데이터 저장이 가능한 비디오 파일 포맷으로 엔코딩하여 변환하는 엔코더(14), 버스인터페이스(16)를 통해 상기 엔코더(14)에서 변환된 비디오 파일을 저장하고, 저장된 비디오 파일의 재생을 위해 독출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8), 상기 버스인터페이스(16)를 통해 독출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8)로부터의 비디오 파일을 재생출력하기 위해 디코딩처리하는 디코더(20), 상기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외부 화면으로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부(22), 해당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전반적인 기능 입력과 더불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8)의 저장공간 확보를 위한 설정 입력을 수행하는 키입력부(24), 상기 키입력부(24)에 의한 설정 입력 상태를 근거로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8)의 데이터 저장용량이 부족하면 재생 빈도가 낮은 비디오 파일을 저화질 기록모드로 변환하여 데이터용량을 축약함에 의해 하드디스크의 저장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제어하는 제어부(26), 상기 키입력부(24)의 설정 입력 상태를 표시하는 OSD 신호를 발생하는 OSD 발생부(28)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6)는 상기 키입력부(24)를 통한 사용자 입력으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8)의 데이터 저장용량 확보를 위한 설정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저장공간 축약 모드의 ON/OFF 설정 여부와, 하드디스 크 드라이브(18)의 저장공간 부족상태에 해당하는 디스크 공간의 한계 설정 여부(예컨대 2GB), 재생빈도가 낮은 비디오 파일의 용량 축약을 위해 변경할 파일의 기록모드 설정 여부(예컨대 EQ), 기록용량 축약 대상의 비디오 파일에 대한 재생빈도 기간 설정 여부(예컨대 6개월)가 화면 표시되도록 상기 OSD 발생부(28)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8)에 저장되는 비디오 파일은 9.8Mbps(1.22Mbytes/sec)의 비트레이트(Bitrate)를 갖는 "HQ(High Quality)"의 기록모드와, "HQ"의 1/3인 약 3.27Mbps(0.41Mbytes/sec)의 속도로 녹화가 가능한 기록모드인 "LQ(Low Quality)"의 기록모드, "HQ"의 1/4인 "EQ(Extended Quality)"(9.8/4 Mbps)의 기록모드, "HQ"의 1/6인 "SLP"(9.8/6 Mbps)의 기록모드로 각각 녹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HQ"의 기록모드로 녹화되어 있는 비디오 파일에 대한 기록용량을 축약하고자 하게 되면, 도 2에 예시된 변경할 기록모드의 사용자 설정 여부에 따라 "HQ"의 1/3인 "LQ"의 기록모드나, "HQ"의 1/4인 "EQ"의 기록모드 또는 "HQ"의 1/6인 "SLP"의 기록모드로 임의적으로 데이터의 비트레이트를 변환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6)는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8)에 저장되어 이Tss 다수개의 비디오 파일에 대한 재생 상태를 감시하여 각 비디오 파일의 재생 이력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게 되고,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8)의 디스크 저장공간이 부족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디스크 공간 한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비디오 파일 재생이력 리스트에 근거하여 재생빈도가 낮은 파일에 대한 리스트를 추출하게 된다.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8)의 데이터 저장공간이 부족한 경우에 상기 비디오 파일 재생이력 리스트를 근거로 하여 해당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8)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비디오 파일(#1∼#n(HQ)) 중에서 도 2에 설정된 재생빈도 기간(예컨대 6개월) 내에서 재생빈도가 낮은 비디오 파일(#2(HQ), #5(HQ), #12(HQ), #15(HQ))의 리스트를 추출하게 된다.
여기서,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재생빈도가 낮은 비디오 파일이 추출되었더라도 특정한 비디오 파일(#2(EQ))의 기록모드가 저화질 기록모드(예컨대 EQ)로 녹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저화질 기록모드의 비디오 파일은 제외시키도록 한다.
상기 비디오 파일 재생이력 리스트를 근거로 하여 재생빈도가 낮은 비디오 파일의 리스트를 추출하게 되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HQ"의 고화질 기록모드로 녹화되어 있는 각각의 비디오 파일들을 "EQ"와 같은 저화질 기록모드로 비트레이트를 낮추어서 기록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HQ"의 1/4인 "EQ" 기록모드로의 비디오 데이터 용량 변환에 따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8)의 충분한 기록용량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탑재한 비디오 기록 장치에서 해당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저장용량이 일정 용량 이하로 부족하게 되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파일 중에서 재생빈도가 낮은 파일을 저화질 기록모드로 변환하여 파일 용량을 감축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파일의 삭제 또는 파일 용량의 변경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데이터 저장용량의 부족상태를 검지하게 되면 중요도가 떨어지는 비디오 파일부터 자동적으로 화질을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서, 전체적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데이터 저장용량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8)

  1. 데이터 저장매체에 비디오 파일을 기록하여 저장하는 비디오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매체의 기록 가능 잔여 용량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기록 가능 잔여 용량을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저장매체에 저장된 파일중 기록용량을 변경하여 저장할 낮은 재생 빈도의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파일의 재생 빈도에 따라 저화질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저장공간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재생 빈도를 결정하는 기간과 횟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저장공간 관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화질 모드 변경 조건에 부합되어 추출된 재생빈도가 낮은 파일 중에서 저화질 모드로 저장된 파일은 저화질 변경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저장공간 관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저화질 모드는 9.8Mbps의 고화질 비디오 파일을 3.3Mbps나 2.5Mbps 또는 1.6Mbps의 저화질 기록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저화질 모드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저장공간 관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는 기록 예정된 데이터의 용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저장공간 관리 방법.
KR1020050067488A 2005-07-25 2005-07-25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저장공간 관리 방법 KR100690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488A KR100690126B1 (ko) 2005-07-25 2005-07-25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저장공간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488A KR100690126B1 (ko) 2005-07-25 2005-07-25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저장공간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119A KR20070013119A (ko) 2007-01-30
KR100690126B1 true KR100690126B1 (ko) 2007-03-08

Family

ID=38012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488A KR100690126B1 (ko) 2005-07-25 2005-07-25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저장공간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1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7727A (ko) * 2003-12-29 2005-07-05 주식회사 휴맥스 디지털 기록장치에서의 저장 공간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7727A (ko) * 2003-12-29 2005-07-05 주식회사 휴맥스 디지털 기록장치에서의 저장 공간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119A (ko) 2007-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59709A1 (en)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reproducing system, recording method
US20060062542A1 (en) Recorder player
KR101375272B1 (ko) 영상파일 관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기기
JP4076428B2 (ja) 映像・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US20040252982A1 (en) Recording apparatus, program, and integrated circuit
KR100690126B1 (ko) 비디오 기록 장치의 저장공간 관리 방법
JP2007288248A (ja) 記録再生装置
JP2008306278A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
US20070116429A1 (en) Broadcast recording apparatus and broadcast recording method
US20070212018A1 (en) Broadcast recording apparatus and broadcast recording method
KR100615242B1 (ko) 타임 쉬프트 구현이 가능한 디지털 텔레비전 및 동작 방법
JP2009076175A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KR100605187B1 (ko) 디지털 데이터스트림의 선택적 기록방법
JP5444722B2 (ja) ダビング装置
KR20070006461A (ko) 디지털 복합기의 퀵 부팅 방법
JP4416586B2 (ja) 映像記録再生装置
KR101226761B1 (ko) 방송 녹화 장치의 시청등급을 이용한 녹화정보 관리 방법
KR100610680B1 (ko) 디지털 방송 녹화 편집장치 및 방법
KR100734105B1 (ko) 미녹화분 없이 녹화하는 방법 및 장치
JP5644182B2 (ja) 記録再生装置
KR100896281B1 (ko) 최대 타임 시프트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영상기기 및 그제어방법
JP4363301B2 (ja) デ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4787723B2 (ja) 映像・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KR20070013089A (ko) 절전 기능을 갖는 디브이알 장치 및 방법
JP2007266815A (ja) 放送システム及びそれを構成する放送送信機と放送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