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883B1 -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단축키를 통한 화면 간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단축키를 통한 화면 간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883B1
KR100689883B1 KR1020060000165A KR20060000165A KR100689883B1 KR 100689883 B1 KR100689883 B1 KR 100689883B1 KR 1020060000165 A KR1020060000165 A KR 1020060000165A KR 20060000165 A KR20060000165 A KR 20060000165A KR 100689883 B1 KR100689883 B1 KR 100689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bookmark
information
pictur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0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06B3/22Hollow frames
    • E06B3/221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 E06B3/222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with internal prefabricated reinforcing section members inserted after manufacturing of the hollow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3/301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profiled members or glass
    • E06B3/306Covering plastic frames with metal or plastic profil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북마크 명령과 당해 북마크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인 북마크 번호를 포함하는 북마크 단축키가 입력되면, 북마크하고자 하는 화면의 타입에 따라 당해 화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 후, 화면전환 명령과 당해 북마크 번호를 포함하는 화면전환 단축키가 입력되면, 저장된 당해 화면에 관한 정보를 화면의 타입에 따라 디스플레이한다. 즉, 북마크하고자 하는 화면에 관한 정보를 포괄적으로 저장하여, 방송채널뿐 아니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제공하는 모든 화면에 대해서 단축키를 사용하여 전환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 북마크, 화면전환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단축키를 통한 화면 간 전환 방법{Method of converting screen using shortcut key in digital broadcast receiv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를 통한 화면 간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의 타입에 따른 저장하고자 하는 화면에 관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간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마크된 화면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도이다.
*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방송신호 수신부 107 : 비디오 신호 처리부
109 : EPG 처리부 111 : OSD 생성부
113 : 신호 합성부 115 : 디스플레이부
117 : 제어부 119 : 화면전환부
121 : 북마크부 123 : 저장부
125 : 키 입력부 127 : 리모트 컨트롤러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단축키를 통한 화면 간 전환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북마크하고자 하는 화면에 관한 정보를 포괄적으로 저장하여, 방송채널뿐 아니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제공하는 모든 화면에 대해서 단축키를 사용하여 전환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단축키를 통한 화면 간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북마크(Bookmark)는, 원래 서적에 읽었던 곳을 표시하는 서표를 끼운다는 의미로, 인터넷의 웹브라우저에서 특정 웹 주소를 쉽게 바로 찾아갈 수 있도록, 그 주소를 목록 형태로 저장해 둔 것을 말한다. '즐겨찾기'라는 용어로도 사용한다.
종래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도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송채널에 대해 북마크를 사용하였다. 다시 말해 방송채널의 번호만을 저장하였다.
그러나,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뿐만 아니라 방송 프로그램 일정표 등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부가정보를 함께 수신한다. 이러한 부가정보를 EPG(Electronic Program Guide)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화 채널을 시청하던 중 마음에 드는 배우를 보고, EPG 정보 화면을 통해 그 배우의 이름을 확인하고, EPG가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 검색 화면을 통해 그 배우가 나오는 방송 프로그램을 찾고 싶다고 가정한다. 검색화면에서 배우의 이름을 입력하던 중 스펠링이 생각나지 않으면, 사용자는 다시 처음부터 EPG 정보 화면을 찾아가 배우의 이름을 확인하고, 검색 화면으로 다시 와서 배우의 이름을 처음부터 다시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처럼, 종래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가 방송채널 외에 EPG 정보 화면이나 메뉴화면 등을 북마크할 수 없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북마크하고자 하는 화면에 관한 정보를 포괄적으로 저장하여, 방송채널뿐 아니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제공하는 모든 화면에 대해서 단축키를 사용하여 전환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단축키를 통한 화면 간 전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단축키를 통한 화면 간 전환 방법은, 북마크 명령과 상기 북마크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인 북마크 번호를 포함하는 북마크 단축키, 및 상기 북마크하고자 하는 화면의 타입에 따라 상기 화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화면전환 명령과 상기 북마크 번호를 포함하는 화면전환 단축키를 입력받아, 저장된 상기 화면에 관한 정보를 상기 화면의 타입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화면의 타입은, 방송채널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및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GUI 화면은, EPG(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및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제공하는 메뉴 화면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의 타입이 상기 방송채널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인 경우에는 상기 방송채널의 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화면의 타입이 상기 GUI 화면인 경우에는 상기 화면의 내용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의 타입이 상기 방송채널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인 경우에는 상기 방송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의 타입이 상기 GUI 화면인 경우에는 저장된 상기 화면의 내용을 OSD(On Screen Display)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북마크 명령 및 상기 화면전환 명령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저장된 상기 북마크 번호 및 상기 북마크 번호에 대응되는 화면에 관한 정보의 목록을 OSD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방송신호 수신부(101) 및 방송신호 분리부(103), 오디오신호 처리부(105), 비디오신호 처리부(107), EPG 처리부(109), OSD 생성부(111), 신호 합성부(113), 디스플레이부(115), 제어부(117), 저장부(123), 키 입력부(125), 리모트 컨트롤러(127)를 포함한다.
방송신호 수신부(101)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유입되는 디지털 방송신호들 중 사용자가 키 입력부(125)를 통해 선택한 방송채널을 선국하여 복조한다. 방송신호 분리부(103)는 복조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디지털 오디오신호, 디지털 비디오신호 및 EPG로 분리하고, 분리된 디지털 오디오신호와 디지털 비디오신호, EPG를 각각 오디오신호 처리부(105)와 비디오신호 처리부(107), EPG 처리부(109)로 전달한다.
오디오신호 처리부(105)는 전달받은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스피커 등을 통해 송출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한다.
비디오신호 처리부(107)는 전달받은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화면 같은 디스플레이부(115) 상에 표시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한다.
EPG 처리부(109)는 EPG를 OSD로 표시하기 위해, 전달받은 EPG를 파싱하여 OSD 생성부(111)에 전달한다.
OSD 생성부(111)는 EPG 처리부(109)로부터 전달받은 EPG가 표시되는 OSD(On Screen Display)를 생성한다.
신호 합성부(113)는 비디오신호 처리부(107)와 OSD 생성부(111)에서 생성된 신호를 합성한다. 방송 프로그램 화면과 OSD 화면을 하나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함이다.
디스플레이부(115)는 신호 합성부(113)에서 합성된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17)는 키 입력부(125)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7)는 화면전환부(119)와 북 마크부(121)를 포함한다.
북마크부(121)는 각각의 북마크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북마크 번호와 북마크하고자 하는 화면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23)에 저장하도록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제어한다.
화면전환부(119)는 사용자가 전환하고자 입력한 북마크 번호에 대응되는 화면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23)에서 가져와 화면의 타입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제어한다.
저장부(123)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록매체이다. 특히, 저장부(123)에는 각각의 북마크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북마크 번호와 북마크된 화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키 입력부(125)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조작 버튼을 구비한다. 키 입력부(125)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전면부에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127)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를 통한 화면 간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특정 화면을 북마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27)는 북마크 명령과 각각의 북마크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이하 '북마크 번호'라 한다.)를 포함하는 북마크 단축키를 입력받는다(S200:Y).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127) 상에 있는 'MENU'라는 고정키와 숫자키를 조합하 여 북마크 단축키로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별도의 키를 추가함이 없이, 기존 리모트 컨트롤러(127)에 있는 키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북마크부(121)는 북마크 번호와 북마크하고자 하는 화면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23)에 저장한다(S210). 이때, 북마크하고자 하는 화면에 관한 정보는 당해 화면의 타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의 타입에 따른 저장하고자 하는 화면에 관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화면의 타입에는 방송 채널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과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이 있다. GUI 화면에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하 'EPG 화면'이라 한다.)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제공하는 메뉴 화면 등이 있고, 이는 OSD(On Screen Display)로 표시된다.
EPG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부가정보로서, 방송 프로그램 일정표뿐 아니라, 당해 방송 프로그램의 제목, 방송시간, 출연배우 등의 여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EPG 정보는 오디오 신호 및/또는 비디오 신호와 함께 방송신호 수신부(101)에 수신되어, 방송신호 분리부(103)에서 분리된다. 분리된 EPG를 EPG 처리부(109)에서 파싱하여, OSD 생성부(111)에서 생성한 OSD(On Screen Display)로 표시되므로, 방송 채널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과는 다르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제공하는 메뉴는 저장부(123)에 저장되어 있고, 키 입력부(125)에서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17)가 저장부(123)에서 해당 메뉴를 읽어와 OSD 생성부(111)에서 생성된 OSD로 표시되므로, 역시 방송 채널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과는 다르다. 메뉴에는 화면조정, 외국어선택, 채널 잠금, 오디오 방식 조정 등을 포함하고 있다.
도 3(a)는 방송 채널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도 3(a) 화면에서 북마크 단축키, 예를 들어 고정키 'MENU'를 누른 상태에서 숫자키 '0'를 입력하면, 북마크부(121)는 북마크 번호인 '0'과 북마크하고자 하는 화면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23)에 저장한다(S210). 이때, 북마크하고자 하는 화면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당해 방송 채널의 번호가 된다.
도 3(b)는 방송 채널을 310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EPG 정보 중 프로그램 일정표를 320과 같이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사용자가 도 3(b) 화면에서 북마크 단축키, 예를 들어 고정키 'MENU'를 누른 상태에서 숫자키 '1'를 입력하면, 북마크부(121)는 북마크 번호인 '1'과 북마크하고자 하는 화면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23)에 저장한다(S210). 이때, 북마크하고자 하는 화면에 관한 정보는, 310 부분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당해 방송 채널의 번호와 EPG 정보 중 프로그램 일정표가 320 부분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다는 정보, 더 나아가 커서의 위치(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c)는 화면을 조정할 수 있는 메뉴에서 사용자가 명암이라는 옵션을 75(330)로 변경한 경우이다. 사용자가 도 3(c) 화면에서 북마크 단축키, 예를 들어 고정키 'MENU'를 누른 상태에서 숫자키 '2'를 입력하면, 북마크부(121)는 북마크 번호인 '2'와 북마크하고자 하는 화면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23)에 저장한다(S210). 이때, 북마크하고자 하는 화면에 관한 정보는, 메뉴 중 화면 조정메뉴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는 정보와 사용자가 변경한 명암의 값, 더 나아가 현재 위치한 커서의 위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북마크 번호와 북마크하고자 하는 화면에 관한 정보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고,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껐다 꼈을 때에도 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다만,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 용량을 줄이기 위해 북마크 번호와 화면의 타입, 채널번호 등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값이나 커서의 위치는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북마크된 화면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27)는 화면전환 명령과 북마크 번호를 포함하는 화면전환 단축키를 입력받는다(S220:Y).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127) 상에 있는 'GUIDE'라는 고정키와 숫자키를 조합하여 화면전환 단축키로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별도의 키를 추가함이 없이, 기존 리모트 컨트롤러(127)에 있는 키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화면전환부(119)는 사용자가 전환하고자 입력한 북마크 번호에 대응되는 화면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23)에서 가져와(S230), 화면에 관한 정보가 화면의 타입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도록(S240)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북마크된 화면의 타입이 도 3(a)와 같이 방송 채널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인 경우를 설명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27)에 화면전환 단축키, 예를 들어 고정키 'GUIDE'가 눌려진 상태에서 숫자키 '0'이 입력되면, 화면전환부(119)는 사용자가 전환하고자 입력한 북마크 번호 '0'에 대응되는 화면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23)에서 가져온다. 화면전환부(119)는 방송신호 수신부(101)가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유입되는 디지털 방송신호들 중 저장부(123)에서 가져온 방송 채널 번호에 해당하는 방송 채널을 선국하여 복조하도록, 저장부(123)에서 가져온 방송 채널의 번호를 방송신호 수신부(101)에 전달한다. 이로써 북마크된 방송 채널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북마크된 화면에 도 3(b)와 같이 GUI화면 중 EPG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이 포함된 경우를 설명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27)에 화면전환 단축키, 예를 들어 고정키 'GUIDE'가 눌려진 상태에서 숫자키 '1'이 입력되면, 화면전환부(119)는 사용자가 전환하고자 입력한 북마크 번호 '1'에 대응되는 화면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23)에서 가져온다. 화면전환부(119)는 저장부(123)에서 가져온 화면에 관한 정보, 즉 EPG 정보 중 프로그램 일정표를 320 부분에 디스플레이하여야 한다는 정보를 OSD 생성부(111)에 전달한다. 그리하여 310 부분에 대해서 비디오 신호처리부(107)가 처리한 신호와, 320 부분에 대해 OSD 생성부(111)가 처리한 신호가 합성되어 도 3(b)와 같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물론, 커서의 위치(320)를 반영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북마크된 화면의 타입이 도 3(c)와 같이 GUI화면 중 메뉴화면인 경우를 설명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27)에 화면전환 단축키, 예를 들어 고정키 'GUIDE'가 눌려진 상태에서 숫자키 '2'가 입력되면, 화면전환부(119)는 사용자가 전환하고자 입력 한 북마크 번호 '2'에 대응되는 화면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23)에서 가져온다. 화면전환부(119)는 저장부(123)에서 가져온 화면에 관한 정보, 즉 메뉴 중 화면 조정메뉴가 디스플레이되고, 명암 옵션의 값을 사용자가 75로 입력중이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OSD 생성부(111)에 전달한다. 그리하여 도 3(c)와 같은 내용이 OSD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역시, 커서의 위치(330)를 반영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간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위에서 설명한 화면 전환의 예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410 화면으로 영화 채널을 시청하던 중 마음에 드는 배우를 보고, EPG 정보 화면(420)을 통해 그 배우의 이름을 확인한 후, EPG가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 검색 화면(430)의 출연배우란(435)에 '홍길'을 입력하던 중 이름이 생각나지 않으면, 사용자는 고정키 'MENU'를 누른 상태에서 숫자키 '7'를 입력하여 430 화면을 북마크할 수 있다.
그 후, EPG 정보 화면(420)을 통해 그 배우의 이름을 다시 확인한 후, 고정키 'GUIDE'를 누른 상태에서 숫자키 '7'를 입력하면 430 화면으로 바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출연배우란(435)에 입력 중이던 '홍길'의 정보도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440 화면처럼 출연배우란(435)에 '홍길동'을 마저 입력하고 검색하여, 445와 같이 '홍길동'이 출연하는 프로그램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마크된 화면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도이다.
사용자가 고정키 'MENU' 또는 고정키 'GUIDE' 중 어느 하나를 누르고 있는 상태일 경우, 저장부(123)에 저장된 북마크 번호 및 북마크 번호에 대응되는 화면에 관한 정보의 목록을 OSD를 통해 도 5의 510와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미 북마크된 목록(510)를 보고, 북마크하고자 하는 번호나 전환하고자 하는 번호를 숫자키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북마크된 목록을 일일이 기억하기 힘드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북마크하고자 하는 화면에 관한 정보를 포괄적으로 저장하여, 방송채널뿐 아니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제공하는 모든 화면에 대해서 단축키를 사용하여 전환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5)

  1. 북마크 명령과 상기 북마크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인 북마크 번호를 포함하는 북마크 단축키, 및 상기 북마크하고자 하는 화면의 타입에 따라 상기 화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화면전환 명령과 상기 북마크 번호를 포함하는 화면전환 단축키를 입력받아, 저장된 상기 화면에 관한 정보를 상기 화면의 타입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단축키를 통한 화면 간 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타입은, 방송채널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및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GUI 화면은, EPG(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및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제공하는 메뉴 화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단축키를 통한 화면 간 전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의 타입이 상기 방송채널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인 경우에는 상기 방송채널의 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화면의 타입이 상기 GUI 화면인 경우에는 상기 화면의 내용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단축키를 통한 화면 간 전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의 타입이 상기 방송채널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인 경우에는 상기 방송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의 타입이 상기 GUI 화면인 경우에는 저장된 상기 화면의 내용을 OSD(On Screen Display)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단축키를 통한 화면 간 전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북마크 명령 및 상기 화면전환 명령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저장된 상기 북마크 번호 및 상기 북마크 번호에 대응되는 화면에 관한 정보의 목록을 OSD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단축키를 통한 화면 간 전환 방법.
KR1020060000165A 2006-01-02 2006-01-02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단축키를 통한 화면 간 전환 방법 KR100689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165A KR100689883B1 (ko) 2006-01-02 2006-01-02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단축키를 통한 화면 간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165A KR100689883B1 (ko) 2006-01-02 2006-01-02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단축키를 통한 화면 간 전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9883B1 true KR100689883B1 (ko) 2007-03-09

Family

ID=38102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165A KR100689883B1 (ko) 2006-01-02 2006-01-02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단축키를 통한 화면 간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8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8635A1 (ko) * 2017-11-14 2019-05-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북마크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170A (ko) * 2005-07-05 2007-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메뉴 자동 전환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170A (ko) * 2005-07-05 2007-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메뉴 자동 전환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7000517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8635A1 (ko) * 2017-11-14 2019-05-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북마크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1451871B2 (en) 2017-11-14 2022-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bookmarked cont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41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elevision program guides with category selection overlay
KR101047184B1 (ko) 추천 프로그램 통지 방법과 추천 프로그램 통지 장치
US20100319024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7956935B2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controllable device
KR10068988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단축키를 통한 화면 간 전환 방법
JP2000165771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GB2385483A (en) Television apparatus with programme guide function
KR20100059639A (ko) 위젯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US20070297758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television receiver and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KR100539515B1 (ko) 티브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TV Electro n i c P r o gram Guide)의 프로그램간 이동방법
US200300746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program guide
US8578422B2 (en) Process for making services in a list in a television system and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process
KR20000051895A (ko) 티브이 프로그램(TVprogram)의 부가 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US8700598B2 (en) Manual search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0538852B1 (ko) 방송 채널 정보 관리방법
KR19990039767A (ko)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사용 언어 자동 설정 방법
EP1798971B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05939B1 (ko) 키워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KR100449722B1 (ko)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7019927A (ja) 電子番組表表示装置および電子番組表表示方法
KR950010605A (ko) 방송데이타 저장장치와 브이씨알(vcr) 예약 녹화 장치 및 방법
KR19990026850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안내 화면 표시 방법
KR20080030910A (ko) Epg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40011165A (ko) 확장된 텔레웹 채널 탐색 기능을 갖는 텔레웹 재생장치및 그 탐색방법
KR20050081286A (ko) Epg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검색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