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825B1 - 희생막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들 - Google Patents

희생막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825B1
KR100689825B1 KR1020050012082A KR20050012082A KR100689825B1 KR 100689825 B1 KR100689825 B1 KR 100689825B1 KR 1020050012082 A KR1020050012082 A KR 1020050012082A KR 20050012082 A KR20050012082 A KR 20050012082A KR 100689825 B1 KR100689825 B1 KR 100689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interlayer insulating
sacrificial
layer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1191A (ko
Inventor
구자응
박병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2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825B1/ko
Priority to US11/352,640 priority patent/US7348277B2/en
Publication of KR20060091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01L21/7688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by deposition over sacrificial masking layer, e.g. lift-of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50Mollus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19Smoothing of the di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희생막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들을 제공한다. 이 형성방법들은 다마신 공정에서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동안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걸쳐서 희생막 아래의 층간절연막들의 두께 분포를 균일되게 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서,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패드막, 패드 층간절연막 및 식각 저지막을 형성한다. 상기 식각 저지막을 덮도록 패드 층간절연막 상에 평탄화 층간절연막 및 희생막을 계속해서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희생막은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에 대해서 평탄화 층간절연막보다 식각률이 큰 절연막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희생막 및 평탄화 층간절연막에 트랜치를 적어도 하나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트랜치 아래에 위치되도록 식각 저지막, 패드 층간절연막 및 패드막에 비아 콘택홀을 형성한다. 상기 트랜치 및 비아 콘택홀을 채우도록 희생막 상에 확산 방지막 및 도전막을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도전막, 확산 방지막 및 희생막에 적어도 일 회의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을 수행한다.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희생막, 트랜치, 비아 콘택홀.

Description

희생막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들{METHODS OF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A SACRIFICIAL LAYE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1 은 각각이 도 1 의 절단선 Ⅰ-Ⅰ' 를 따라 취해서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해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12 는 도 1 의 절단선 Ⅰ-Ⅰ' 를 따라 취해서 반도체 기판의 전면 상의 두께 분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들을 통해서 반도체 기판 상의 단차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희생막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에 개별 소자들을 배치한 후 층간절연막들을 이용해서 개별소자들을 서로 연결시키려고 반도체 제조 공정들의 공정 마진을 늘리는 연구들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연구들 중 하나는 층간절연막들에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반도체 제조 공정들은 포토, 식각 및 증착 공정들을 일컫는다. 상기 층간절연막들은 일반적으로 개별 소자들을 덮어서 그들을 고립시키려고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층간절연막들은 개별 소자들 및 반도체 기판 사이, 개별 소자들 사이의 단차들을 제거하려고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을 통하여 양호한 평탄화 특성을 가지고 사용되어져 왔다. 상기 층간절연막들의 평탄화 특성은 주어진 디자인 룰을 가지고 포토, 식각 및 증착 공정들의 공정 마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은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걸쳐서 층간절연막들의 두께 분포를 균일되게 유지시킬 수 없다. 왜냐하면, 상기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은 개별 소자들의 물리적인 단차들 이외에 연마 장비의 고유 특성들에 기인해서 반도체 기판의 소정 영역들에 또 다른 단차들을 각각 형성하기 때문이다. 상기 고유 특성들은 연마 장비의 패드(Pad), 웨이퍼(Wafer) 또는 캐리어(Carrier) 해드 및 소모성의 컨디셔너(Conditioner)들의 라이프 타임(Life Time)에 의존한다. 이를 통해서, 상기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은 포토, 식각 및 증착 공정들의 공정 마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메탈로 채워진 반도체 형상들을 형성해서 이후의 메탈 CMP 공정을 개선하는 방법(METHODS FOR FORMING METAL FILLED SEMICONDUCTOR FEATURES TO IMPROVE A SUBSEQENT METAL CMP PROCESS)" 이 미국특허공보 제 6,599,838 호(U.S PATENT No. 6,599,838)에 츄 샤이(Tsu Shih) 등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미국특허공보 제 6,599,838 호에 따르면, 이 방법은 제 1 및 제 2 유전 절연막들이 차례로 배치된 반도체 제조 기판(Semiconductor Processing Substrate)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유전 절연막(Dielectric Insulating Layer)은 개구부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 2 유전 절연막은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에서 제 1 유전막 대비 1/2 미만의 제거율(Removal Rate)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를 채우도록 제 2 유전 절연막 상에 메탈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 2 유전 절연막이 노출될 때까지 메탈에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제 2 유전 절연막을 사용해서 반도체 제조 기판의 상부를 평탄화시킬 수 없다. 왜냐하면, 상기 방법은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이전의 제 1 유전 절연막의 상면을 평탄화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방법은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후 연마 장비의 고유 특성들로 인해서 제 2 유전 절연막의 두께를 반도체 제조 기판의 전면에 걸쳐서 균일되게 할 수 없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을 통해서 반도체 기판의 상부를 평탄화할 수 있는 희생막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구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희생막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들을 제공한다.
이 형성방법의 일 실시예는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패드막, 패드 층간절연막, 식각 저지막, 평탄화 층간절연막 및 희생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희생막 및 평탄화 층간절연막에 트랜치들을 형성한다. 상기 식각 저지막 및 패드 층간절연막 그리고 패드막에 비아 콘택홀들을 형성한다. 상기 비아 콘택홀들은 각각이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걸쳐서 트랜치들 아래에 위치된다. 상기 트랜치들 및 비아 콘택홀들을 채우도록 희생막 상에 확산 방지막 및 도전막을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도전막, 확산 방지막 및 희생막에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을 연이어 두번 수행한다. 상기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은 첫번째 수행되는 동안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걸쳐서 확산 방지막 및 상기 희생막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은 두번째 수행되는 동안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걸쳐서 평탄화 층간절연막을 균일되게 노출시켜서 반도체 기판의 상부를 평탄화시키도록 수행된다. 상기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은 두번째 수행되는 동안 연마제를 사용해서 평탄화 층간절연막 대비 희생막에 대해서 식각 선택비를 가지도록 수행된다.
상기 형성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패드막, 패드 층간절연막, 식각 저지막, 평탄화 층간절연막 및 희생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희생막 및 평탄화 층간절연막에 트랜치들을 형성한다. 상기 식각 저지막 및 패드 층간절연막 그리고 패드막에 비아 콘택홀들을 형성한다. 상기 비아 콘택홀들은 각각이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걸쳐서 트랜치들의 아래에 위치된다. 상기 트랜치들 및 비아 콘택홀들을 채우도록 희생막 상에 확산 방지막 및 도전막을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도전막, 확산 방지막 및 희생막에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을 연이어 두 번 수행한다. 상기 화학 기계적 공정은 첫번째 수행되는 동안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걸쳐서 확산 방지막 및 희생막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은 두번째 수행되는 동안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걸쳐서 평탄화 층간절연막을 균일되게 노출시켜서 반도체 기판의 상부를 평탄화시키도록 수행된다. 상기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은 두번째 수행되는 동안 평탄화 층간절연막 대비 희생막에 대해서 식각 선택비를 가지도록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희생막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들은 첨부한 참조 도면들을 참고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1 은 각각이 도 1 의 절단선 Ⅰ-Ⅰ' 를 따라 취해서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을 설명해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 상에 복수 개의 하부 패턴(24)들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패턴(24)들은 반도체 기판(10)의 전면에 걸쳐서 형성된다. 상기 하부 패턴(24)들은 구리(Cu)를 사용해서 형성하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패턴(24)들을 덮도록 반도체 기판(10) 상에 매립 층간절연막(28)및 패드막(30)을 차례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패드막 상에 패드 층간절연막(35) 을 형성한다. 상기 패드막(30)은 공지된 식각 공정에 대해서 상기 패드 층간절연막(35) 및 매립 층간절연막(28)과 다른 식각률을 갖는 절연막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립 층간절연막(28)은 공지된 식각 공정에 대해서 패드 층간절연막(35)과 동일한 식각률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패드 층간절연막(35) 상에 식각 저지막(40) 및 평탄화 층간절연막(45)을 차례로 형성한다. 계속해서,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45) 상에 희생막(50)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서, 상기 희생막(50) 및 평탄화 층간절연막(45)은 반도체 기판(10)의 상부에 도 1 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희생막(50)은 화학 기계적 연막 공정에 대해서 평탄화 층간절연막(45)과 다른 식각률을 갖는 절연막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45)은 화학 기계적 연막 공정 이외의 공지된 식각 공정에 대해서 식각 저지막(40)과 다른 식각률을 갖는 절연막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45)은 공지된 식각 공정에 대해서 패드 층간절연막(35)과 동일한 식각률을 갖는 절연막을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에, 상기 희생막(50)은 공지된 식각 공정에 대해서 식각 저지막(40)과 다른 식각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희생막(50)은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을 통해서 평탄화 층간절연막(45)보다 연마율이 높거나 또는 연마 속도가 빠른 절연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45)으로 FSG(Fluorine-doped Silicon Glass)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희생막(50)은 BPSG, SiON 및 Low-k 물질 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ow-k 물질은 Black Diamond, Coral, Aurora 또는 그와 유사한 유전상수를 갖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45)으로 Black Diamond, Coral, Aurora 또는 그와 유사한 유전상수를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Low-k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희생막(50)은 Low-k 물질보다 낮은 유전상수를 갖는 Lower-k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Lower-k 물질은 Nonoporous silicate, BCB, Flare, ALCAP 또는 LKD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희생막(50) 상에 포토레지스트 막(52)을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막(52)은 하부 패턴(24)들의 상부에 위치하는 개구부(54)들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막(52)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해서 개구부(54)들을 통하여 희생막(50), 평탄화 층간절연막(45), 식각 저지막(40), 패드 층간절연막(35) 및 패드막(30)에 식각 공정(56)을 차례로 수행한다. 상기 식각 공정(56)은 하부 패턴(24)들을 노출시키도록 패드막(30), 패드 층간절연막(35), 식각 저지막(40), 평탄화 층간절연막(45) 및 희생막(50)에 비아 콘택홀(58)들을 형성한다.
상기 비아 콘택홀(58)들을 형성한 후, 상기 포토레지스트 막(52)을 반도체 기판(10)으로부터 제거한다.
도 1 및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희생막(50) 상에 포토레지스트 막(62)을 연이어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막(60)은 비아 콘택홀(58)들의 상부에 개구부(62)들을 각각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막(60)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해서 개구부(62)들을 통하여 희생막(50), 평탄화 층간절연막(45)에 식각 공정(64)을 차례로 수행한다. 상기 식각 공정(64)은 비아 콘택홀(58)들의 상부에 트랜치(66)들을 각각 형성한다. 이때에, 상기 하부 패턴(24)들은 트랜치(66)들 및 비아 콘택홀(58)들을 통해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비아 콘택홀(58)들의 폭은 트랜치(66)들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랜치(66)들을 형성한 후, 상기 포토레지스트 막(60)을 반도체 기판(10)으로부터 제거한다.
도 1, 도 6 내지 도 8 을 참조하면, 상기 비아 콘택홀(58)들 및 트랜치(66)들을 채우도록 희생막(50) 상에 확산 방지막(70) 및 도전막(73)을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확산 방지막(70)은 트랜치(66)들 및 비아 콘택홀(58)들을 컨포멀하게 덮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산 방지막(70)은 차례로 적층된 탄탈륨 나이트라이드(TaN) 및 타이타늄(Ti)를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산 방지막(70)은 단독으로 탄탈륨 나이트라이드(TaN) 또는 탄탈륨(Ta)을 사용해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전막(73)은 구리(Cu)를 사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산 방지막(70)이 노출될 때까지 도전막(73)에 1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75)을 수행한다. 상기 1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75)은 확산 방지막(70)이 노출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75)은 비아 콘택홀(58)들로부터 연장되어서 트랜치(66)들을 채우는 상부 패턴(79)들을 각각 형성한다. 이때에, 상기 1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75)은 도 1 의 반도체 기판(10)의 가장자리 영역들(A, C) 및 중심 영역(B)에서 확산 방지막(70) 및 희생막(50)을 각각 노출시키도록 수행된다. 상기 반도체 기판(10)의 가장자리 영역들(A, C)의 확산 방지막(70)은 도 7 을 통해서 도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기판(10)의 중심 영역(B)의 희생막(50)은 도 8 을 통해서 도시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1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75)은 연마 공정의 산포때문에 반도체 기판(10)의 전면에 걸쳐서 희생막(50)의 두께를 균일되게 유지시키지 못한다. 이를 통해서, 상기 1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75)은 반도체 기판(10)의 가장자리 영역들(A, C)에서 희생막(50)이 소정 두께(T1)로 유지되도록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1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75)은 반도체 기판(10)의 중심 영역(B)에서 희생막(50)이 소정 두께(T2)로 유지되도록 수행된다. 상기 1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75)을 수행한 후, 상기 반도체 기판(10)의 가장자리 영역들(A, C) 상의 매립 층간절연막(28) 내지 희생막(50)의 두께(T3)는 반도체 기판(10)의 중심 영역(B) 상의 매립 층간절연막(28) 내지 희생막(50)의 두께(T4)와 다르다.
도 1, 도 9 내지 도 11 을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기판(10)의 가장자리 영역들(A, C) 및 중심 영역(B)에서 평탄화 층간절연막(45)이 노출되도록 2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77)을 계속해서 수행한다. 상기 2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77)은 평탄화 층간절연막(45)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도록 소정 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반대로, 상기 2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77)은 평탄화 층간절연막(45)의 식각 선택비 대비 희생막(50)의 식각 선택비를 크게하는 연마제를 채택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는 실리카(Silica), 알루미나(Alumina) 또는 세리아(Ceria)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77)은 반도체 기판(10)의 가장자리 영역들(A, C) 및 중심 영역(B)의 확산 방지막(70) 및 희생막(50)을 제거해서 도 9 및 도 10 의 수평선들(D, E) 상의 평탄화 층간절연막(45)들을 각각 노출시키도록 수행될 수 있다. 상기 2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77)은 반도체 기판(10)의 가장자리 영역들(A, C) 및 중심 영역(B)에서 비아 콘택홀(58)들 및 트랜치(66)들을 차례로 채우는 확산 방지막 패턴(72)들 및 상부 패턴(79)들을 형성한다.
결론적으로, 상기 2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77)을 수행한 후, 상기 반도체 기판(10)의 가장자리 영역들(A, C) 및 중심 영역(B) 상의 매립 층간절연막(28) 내지 평탄화 층간절연막(45)은 동일한 두께(T5)를 갖도록 도 11 과 같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서, 상기 2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77)은 반도체 기판(10)의 상부를 평탄화시켜서 반도체 소자(80)를 형성한다.
도 12 는 도 1 의 절단선 Ⅰ-Ⅰ' 를 따라 취해서 반도체 기판의 전면 상의 두께 분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들을 통해서 반도체 기판 상의 단차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 도 12 및 도 13 을 참조하면, 상기 1 차 및 2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들(75, 77)을 수행한 후 두께 측정들을 각각 수행한다. 상기 두께 측정들은 반도체 기판(10)의 가장자리 영역들(A, C) 및 중심 영역(B) 상의 매립 층간절연막(28) 내지 희생막(50), 매립 층간절연막(28) 내지 평탄화 층간절연막(45)에 대해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두께 측정들은 1 차 및 2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들(75, 77)을 수행한 후 반도체 기판(10)의 전면의 두께 분포들에 대해서 2 개의 추세선들(84, 88)을 도 12 상에 나타낼 수 있다.
상기 1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75)을 수행한 후, 상기 추세선들 중 하나(84)는 반도체 기판(10)의 가장자리 영역들(A, C) 및 중심 영역(B) 상의 매립 층간절연막(28) 내지 희생막(50)이 서로 다른 두께 분포들을 각각 가지고 있슴을 보여주고 있다. 즉, 상기 반도체 기판(10)의 가장자리 영역들(A, C) 상의 매립 층간절연막(28) 내지 희생막(50)은 소정 두께 분포(T3 내지 T4)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기판(10)의 중심 영역(B) 상의 매립 층간절연막(28) 내지 희생막(50)은 소정 두께(T4) 주변의 두께들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1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75)은 반도체 기판(10)의 상부를 평탄화시키지 못한다.
상기 2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77)을 수행한 후, 상기 추세선들 중 나머지(88)는 반도체 기판(10)의 가장자리 영역들(A, C) 및 중심 영역(B) 상의 매립 층간절연막(28) 내지 평탄화 층간절연막(45)이 동일한 두께 분포를 가지고 있슴을 보여주고 있다. 즉, 상기 반도체 기판(10)의 가장자리 영역들(A, C) 및 중심 영역(B) 상의 매립 층간절연막(28) 내지 평탄화 층간절연막(45)은 소정 두께(T5) 주변의 두 께들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2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77)은 반도체 기판(10)의 상부를 평탄화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1 차 및 2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들(75, 77)은 희생막(50)의 사용 유무에 따라서 반도체 기판(10)의 전면에 걸쳐서 발생하는 단차(Step Difference)들의 추세선들(94, 98)을 도 13 상에 나타낼 수 있다. 도 13 의 X 축은 공정 시간들을 달리해서 1 차 및 2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들(75, 77)을 통하여 반도체 기판(10)으로부터 도전막(73), 확산 방지막(70), 희생막(50) 및 평탄화 층간절연막(45)의 제거량들을 순서적으로 나열한 것이다. 도 13 의 Y 축은 공정 시간들에 대응해서 반도체 기판(10)의 전면에 걸쳐서 발생하는 두께들의 최소값들 및 최대값들의 크기의 차들을 단차들로 각각 정의하여 순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때에, 본 발명에 따른 1 차 및 2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들(75, 77)은 평탄화 층간절연막(45) 상에 희생막(50)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서 나타내는 추세선(94)과 비교되는 다른 추세선(98)을 갖도록 수행된다. 상기 다른 추세선(98) 및 추세선(94)은 1 차 및 2 차 화학 기계적 공정들(75, 77)의 공정 시간들에 따라서 X 축에 대하여 서로 다른 기울기들을 각각 갖는다. 이는 평탄화 층간절연막(45) 상에 희생막(50)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반도체 기판(10)의 전면에 걸쳐서 평탄화 특성이 불량함을 의미한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1 차 및 2 차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들(75, 77)은 평탄화 층간절연막(45) 상에 희생막(50)을 사용하기 때문에 반도체 기판(10)의 상부를 평탄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평탄화 층간절연막 상에 희생막을 형성해서 반도체 기판의 상부를 평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서, 상기 희생막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들의 형성방법들은 반도체 제조 공정들의 공정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패드막, 패드 층간절연막, 식각 저지막, 평탄화 층간절연막 및 희생막을 차례로 형성하고,
    상기 희생막 및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에 트랜치들, 상기 식각 저지막 및 상기 패드 층간절연막 그리고 상기 패드막에 비아 콘택홀들을 형성하되, 상기 비아 콘택홀들은 각각이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걸쳐서 상기 트랜치들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트랜치들 및 상기 비아 콘택홀들을 채우도록 상기 희생막 상에 확산 방지막 및 도전막을 차례로 형성하고,
    상기 도전막, 상기 확산 방지막 및 상기 희생막에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을 연이어 두번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은 첫번째 수행되는 동안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걸쳐서 상기 확산 방지막 및 상기 희생막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고 그리고 두번째 수행되는 동안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걸쳐서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을 균일되게 노출시켜서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를 평탄화시키도록 수행되고, 상기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은 두번째 수행되는 동안 연마제를 사용해서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 대비 상기 희생막에 대해서 식각 선택비를 가지도록 수행되는 것이 특징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제는 실리카(Silica), 알루미나(Alumina) 또는 세리아(Ceria)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으로 FSG(Fluorine-doped Silicon Glass)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희생막은 BPSG, SiON 및 Low-k 물질 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Low-k 물질은 Black Diamond, Coral, Aurora 또는 그와 유사한 유전상수를 갖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으로 Black Diamond, Coral, Aurora 또는 그와 유사한 유전상수를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Low-k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희생막은 상기 Low-k 물질보다 낮은 유전상수를 갖는 Lower-k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6. 제 5 항이 있어서,
    상기 Lower-k 물질은 Nonoporous silicate, BCB, Flare, ALCAP 또는 LKD 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7. 반도체 기판의 상부에 패드막, 패드 층간절연막, 식각 저지막, 평탄화 층간절연막 및 희생막을 차례로 형성하고,
    상기 희생막 및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에 트랜치들, 상기 식각 저지막 및 상기 패드 층간절연막 그리고 상기 패드막에 비아 콘택홀들을 형성하되, 상기 비아 콘택홀들은 각각이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걸쳐서 상기 트랜치들의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트랜치들 및 상기 비아 콘택홀들을 채우도록 상기 희생막 상에 확산 방지막 및 도전막을 차례로 형성하고,
    상기 도전막, 상기 확산 방지막 및 상기 희생막에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을 연이어 두 번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화학 기계적 공정은 첫번째 수행되는 동안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걸쳐서 상기 확산 방지막 및 상기 희생막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고 그리고 두번째 수행되는 동안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걸쳐서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을 균일되게 노출시켜서 상기 반도체 기판의 상부를 평탄화시키도록 수행되고, 상기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은 두번째 수행되는 동안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 대비 상기 희생막에 대해서 식각 선택비를 가지도록 수행되는 것이 특징인 반도체 소자의 형성.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으로 FSG(Fluorine-doped Silicon Glass)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희생막은 BPSG, SiON 및 Low-k 물질 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Low-k 물질은 Black Diamond, Coral, Aurora 또는 그와 유사한 유전상수를 갖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층간절연막으로 Black Diamond, Coral, Aurora 또는 그와 유사한 유전 상수를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Low-k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희생막은 상기 Low-k 물질보다 낮은 유전상수를 갖는 Lower-k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11. 제 10 항이 있어서,
    상기 Lower-k 물질은 Nonoporous silicate, BCB, Flare, ALCAP 또는 LKD 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50012082A 2005-02-14 2005-02-14 희생막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들 KR100689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082A KR100689825B1 (ko) 2005-02-14 2005-02-14 희생막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들
US11/352,640 US7348277B2 (en) 2005-02-14 2006-02-13 Methods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sacrificial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082A KR100689825B1 (ko) 2005-02-14 2005-02-14 희생막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191A KR20060091191A (ko) 2006-08-18
KR100689825B1 true KR100689825B1 (ko) 2007-03-08

Family

ID=36816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082A KR100689825B1 (ko) 2005-02-14 2005-02-14 희생막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48277B2 (ko)
KR (1) KR1006898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3809B2 (en) * 2010-03-15 2013-01-01 Stats Chippac,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repassivation layer with reduced opening to contact pad of semiconductor die
US9318441B2 (en) 2007-12-14 2016-04-19 Stats Chippac,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sacrificial adhesive over contact pads of semiconductor die
US8456002B2 (en) 2007-12-14 2013-06-04 Stats Chippac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insulating layer disposed over the semiconductor die for stress relief
US8183095B2 (en) 2010-03-12 2012-05-22 Stats Chippac,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sacrificial protective layer to protect semiconductor die edge during singulation
US9548240B2 (en) 2010-03-15 2017-01-17 STATS ChipPAC Pte.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repassivation layer for robust low cost fan-out semiconductor package
KR20200061192A (ko) * 2018-11-23 2020-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이퍼 평탄화 방법 및 이에 의한 이미지 센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3269A (ja) 2000-02-10 2001-08-17 Ne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45380A (ja) 2000-05-31 2001-12-14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JP2003174085A (ja) 2001-12-04 2003-06-20 Ulvac Japan Ltd デュアルダマシン構造体及びその形成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17475A (ko) * 2002-08-21 200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희생충진물질을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듀얼다마신배선형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6592A (en) * 1998-03-19 1999-08-31 Winbond Electronics, Corp. Combined in-situ high density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HDPCVD) and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process to form an intermetal dielectric layer with a stopper layer embedded therein
US20040084780A1 (en) * 1998-07-07 2004-05-06 Tri-Rung Yew Dual damascene structure for the wiring-line structures of multi-level interconnects in integrated circuit
US6599838B1 (en) * 2002-07-02 2003-07-2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for forming metal filled semiconductor features to improve a subsequent metal CMP process
US6717265B1 (en) * 2002-11-08 2004-04-06 Intel Corporation Treatment of low-k dielectric material for CMP
KR20040054142A (ko) 2002-12-17 2004-06-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방법
US6919276B2 (en) * 2003-04-24 2005-07-1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to reduce dishing and erosion in a CMP process
US6946391B2 (en) * 2003-09-08 2005-09-2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for forming dual damascenes
KR100590203B1 (ko) * 2003-10-22 2006-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금속 패턴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3269A (ja) 2000-02-10 2001-08-17 Ne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45380A (ja) 2000-05-31 2001-12-14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JP2003174085A (ja) 2001-12-04 2003-06-20 Ulvac Japan Ltd デュアルダマシン構造体及びその形成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17475A (ko) * 2002-08-21 200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희생충진물질을 이용한 반도체 장치의 듀얼다마신배선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48277B2 (en) 2008-03-25
US20060183333A1 (en) 2006-08-17
KR20060091191A (ko) 200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6059B2 (en) Dual damascene process using an oxide liner for a dielectric barrier layer
US6380087B1 (en) CMP process utilizing dummy plugs in damascene process
US6071809A (en) Methods for forming high-performing dual-damascene interconnect structures
US8709942B2 (en) Methods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s
US6734096B2 (en) Fine-pitch device lithography using a sacrificial hardmask
US20090170221A1 (en) Etch residue reduction by ash methodology
US7208404B2 (en) Method to reduce Rs pattern dependence effect
US5792707A (en) Global planarization method for inter level dielectric layers of integrated circuits
KR100689825B1 (ko) 희생막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들
US676782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0641502B1 (ko) 반도체 소자 제조시 듀얼 다마신 공정을 이용한 콘텍형성방법
US6124200A (en) Method of fabricating an unlanded via
US6930033B2 (en) Treating surface of low-dielectric constant material to achieve good mechanical strength
JP2003179136A (ja) デュアルダマシン半導体製造のためのマスク層及び相互接続構造
US6214745B1 (en) Method of improving surface planarity of chemical-mechanical polishing operation by forming shallow dummy pattern
US6117766A (en) Method of forming contact plugs in a semiconductor device
US6849536B2 (en) Inter-metal dielectric patterns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6964598B1 (en) Polis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n integrated circuit
US6878621B2 (en) Method of fabricating barrierless and embedded copper damascene interconnects
US6443809B1 (en) Polis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n integrated circuit
US7435673B2 (en) Methods of forming integrated circuit devices having metal interconnect structures therein
US7303988B2 (en) Methods of manufacturing multi-level metal lines in semiconductor devices
US7514793B2 (en) Metal interconnection lines of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KR100640625B1 (ko) 반도체 소자의 평탄화된 금속층간절연막 형성 방법
TWI550713B (zh) 鑲嵌結構製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