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220B1 - 도로의 연약지반 개량 구조물 - Google Patents

도로의 연약지반 개량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220B1
KR100689220B1 KR1020060116138A KR20060116138A KR100689220B1 KR 100689220 B1 KR100689220 B1 KR 100689220B1 KR 1020060116138 A KR1020060116138 A KR 1020060116138A KR 20060116138 A KR20060116138 A KR 20060116138A KR 100689220 B1 KR100689220 B1 KR 100689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installation groove
retaining wall
holes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봉
김남훈
Original Assignee
동남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남이엔씨(주) filed Critical 동남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060116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01C3/02Concrete base for bituminous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형측구 대신 옹벽체를 설치하고, 옹벽체에 수평으로 수평콘크리트를 설치하며, 양쪽 수평콘크리트 사이에 유공관으로 벌집형사각판을 설치하여 아스팔트면을 지지할 뿐만아니라 내부의 수분을 유공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도로의 연약지반 개량 구조물에 관한 것이며, 차도의 양측에 설치되되 지반(4)까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단이 개방되도록 설치홈(11)이 상부에 형성되며, 설치홈(11)의 바닥면에 매설너트(12)가 설치되고, 설치홈(11)의 양측벽 상부에 마감홈(13)이 형성되며, 벽체를 전후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유공관홀(14)이 설치홈(11) 하측으로 형성되는 옹벽체(10); 콘크리트 몸체(21)의 후단 중앙이 돌출되어 돌출고정부(22)가 형성되고, 돌출고정부(22)는 옹벽체(10)의 설치홈(11)에 삽입되며, 돌출고정부(22)에 상하를 관통하는 볼트홀(24)이 형성되어 볼트(70)를 삽입시켜 매설너트(12)에 고정되고, 몸체(21)의 전후가 관통되도록 유공관홀(23)이 형성되어 옹벽체(10)의 유공관홀(14)과 같은 직선상에 위치하는 수평콘크리트(20); 수평콘크리트(20)가 설치홈(11)에 고정된 후에 설치홈(11)의 상부에 끼워져 고정되고, 사각형 몸체 양측에 고정돌기(31)가 형성되어 마감홈(1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마감구(30); 사각테두리(41)의 내측으로 다수개의 셀(42)이 형성되고, 사각테두리(41) 전후를 관통하도록 유공관설치홀(43)이 형성되어 유공관(60)이 삽입되며, 셀(42) 내에 섬유봉(51)을 삽입하는 벌집형사각판(40); 벌집형사각판(40)에 삽입되어 지반(4)과 성토층(5)에 매설되고, 벌집형사각판(40)중 유공관설치홀(43)이 형성된 셀(42)에 삽 입되며, 몸체에 유공관홀(51)이 형성되는 섬유봉(50); 스테인레스 강관(61)의 둘레에 다수개의 유공홀(62)이 형성되고, 양쪽 옹벽체(10)의 유공관홀(14)과 수평콘크리트(20)의 유공관홀(23)과 벌집형사각판(40)의 유공관홀(43)을 동시에 관통되어 설치되며, 섬유봉(50)으로 부터 흡입된 수분이 유공홀(62)을 통해 옹벽체(10) 외부로 배수되게 하는 유공관(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 배수, 유공관, 섬유봉, 벌집형사각판

Description

도로의 연약지반 개량 구조물{SMOOTH AREA CONSTRUCTION OF ROAD}
도 1은 종래의 도로의 침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도로의 연약지반 개량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로의 연약지반 개량 구조물을 도신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로의 연약지반 개량 구조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엘형측구 2 : 차도
3 : 아스팔트 4 : 지반
5 : 성토층 6 : 보도
10 : 옹벽체 11 : 설치홈
12 : 매설너트 13 : 마감홈
14 : 유공관홀 20 : 수평콘크리트
21 : 몸체 22 : 돌출고정부
23 : 유공관홀 24 : 볼트홀
30 : 상부마감구 31 : 고정돌기
40 : 벌집형사각판 41 : 사각테두리
42 : 셀 43 : 유공관설치홀
50 : 섬유봉 51 : 유공관홀
60 : 유공관 61 : 강관
62 : 유공홀 70 : 볼트
본 발명은 도로의 연약지반 개량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형측구 대신 옹벽체를 설치하고, 옹벽체에 수평으로 수평콘크리트를 설치하며, 양쪽 수평콘크리트 사이에 유공관으로 벌집형사각판을 설치하여 아스팔트면을 지지할 뿐만아니라 내부의 수분을 유공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도로의 연약지반 개량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 상에 도로가 시공되는 경우, 도 1과 같이, 엘형 측구(1)를 기준으로 차도(2)와 보도(6)가 형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차량의 잦은 통행으로 인해 화살표와 같이 상부 하중이 발생 되면 그 힘(F)으로 인해 엘형 측구(1)와 연접한 차도(2)의 아스팔트(3)와 보도(6)가 침하되는 경우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는, 대부분 차도와 보도를 시공시, 연약 지반에 전해지는 상부 하중에 따른 별도의 부재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 많이 발생 된다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3)를 깔기 위해서 지반(4) 위에 성토층(5)을 두고, 성 토층(5) 위에 엘형측구(1)나 아스팔트(3)를 설치한다. 특히 연약지반의 경우 아스팔트(3)의 침하가 잘 일어나므로 보강하여야 한다.
연약지반의 구성토층(構成土層)은 부드럽고 압축성이 큰 점토 ·실트 ·이탄(泥炭) 등이다. 이와 같은 지반에 직접 건조물을 지으면 지반이 파괴되거나 큰 압밀침하(壓密沈下)가 생긴다. 그래서 중요한 구조물의 기초는 말뚝이나 케이슨 등으로 하층의 견고한 지반에 지지시킨다. 또, 흙쌓기 등도 지반개량으로 연약지반을 단단하게 하는 것으로 그 위에 구축한다.
도로의 경우 연약지반 위에 도로를 형성할 때 다짐층인 성토층을 다른 지반에서 보다 더 오랜시간 다지고 성토하여야 하지만 마찬가지로 침하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약지반에서 도로를 설치할 때 아스팔트가 아래로 침하되지 않게 하고, 엘형측구 대신 옹벽체를 두어 도로 사이의 지반이 눌려지는 현상을 줄여주며, 연약지반에 있은 수분을 섬유봉을 통해 흡수하여 유공관으로 배수하게 하여 도로의 침하를 방지하는 도로의 연약지반 개량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수평콘크리트와 벌집형 사각판과 강관으로 이루어진 유공관에 의하여 아스팔트가 지지되어 아래로 작용하는 힘에 저항하도록 하여 침하가 되지 않게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도의 양측에 설치되되 지반까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단이 개방되도록 설치홈이 상부에 형성되며, 설치홈의 바닥 면에 매설너트가 설치되고, 설치홈의 양측벽 상부에 마감홈이 형성되며, 벽체를 전후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유공관홀이 설치홈 하측으로 형성되는 옹벽체; 콘크리트 몸체의 후단 중앙이 돌출되어 돌출고정부가 형성되고, 돌출고정부는 옹벽체의 설치홈에 삽입되며, 돌출고정부에 상하를 관통하는 볼트홀이 형성되어 볼트를 삽입시켜 매설너트에 고정되고, 몸체의 전후가 관통되도록 유공관홀이 형성되어 옹벽체의 유공관홀과 같은 직선상에 위치하는 수평콘크리트; 수평콘크리트가 설치홈에 고정된 후에 설치홈의 상부에 끼워져 고정되고, 사각형 몸체 양측에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마감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마감구; 사각테두리의 내측으로 다수개의 셀이 형성되고, 사각테두리 전후를 관통하도록 유공관설치홀이 형성되어 유공관이 삽입되며, 셀 내에 섬유봉을 삽입하는 벌집형사각판; 벌집형사각판에 삽입되어 지반과 성토층에 매설되고, 벌집형사각판중 유공관설치홀이 형성된 셀에 삽입되며, 몸체에 유공관홀이 형성되는 섬유봉; 스테인레스 강관의 둘레에 다수개의 유공홀이 형성되고, 양쪽 옹벽체의 유공관홀과 수평콘크리트의 유공관홀과 벌집형사각판의 유공관홀을 동시에 관통되어 설치되며, 섬유봉으로부터 흡입된 수분이 유공홀을 통해 옹벽체 외부로 배수되게 하는 유공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연약지반 개량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아스팔트가 설치되는 도로의 연약지반이 차량이 지나다니는 하중 에 의해 아래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연약지반에 함유된 수분을 섬유봉(50)에 의해 유공관(60)까지 흡입되어 배수되게 하고, 유공관(60)에 의해 지지되는 벌집형사각판(40)이 연약지반의 상부에서 전체적으로 하중을 분산시켜 주어 아스팔트의 일부가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도로의 양측에 매설되는 옹벽체(10)가 연약지반이 눌려 양측으로 퍼지는 것을 막아주어 침하가 방지되게 하고, 견고하게 수평콘크리트(20)와 벌집형사각판(40)을 옹벽체(10)가 지지하게 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옹벽체(10)는 차도의 양측에 설치되되 지반(4)까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단이 개방되도록 설치홈(11)이 상부에 다수개 형성된다.
옹벽체(10)의 설치홈(11) 바닥면에 매설너트(12)가 콘크리트 타설시 미리 매설되어 설치되고, 설치홈(11)의 양측벽 상부에 마감홈(13)이 형성된다. 그리고 벽체를 전후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유공관홀(14)이 설치홈(11) 하측으로 형성되어 유공관(60)이 삽입된다. 마감홈(13)은 옹벽체(10) 상단까지 형성되어 상부마감구(30)를 위에서 아래로 끼워넣게 된다.
수평콘크리트(20)는 콘크리트 몸체(21)의 후단 중앙이 돌출되어 돌출고정부(22)가 형성된다. 수평콘크리트(20)는 위에서 보면 대략 T형으로 형성되어 돌출고정부(22)가 옹벽체(10)의 설치홈(11)에 삽입된다. 이때 돌출고정부(22)는 몸체(21)의 전체 높이 다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상부 일부만 형성되므로 돌출고정부(22)가 설치홈(11)에 삽입되었을 때 몸체(21)는 설치홈(11) 아래까지 내려오게 된다.
돌출고정부(22)에 상하를 관통하는 볼트홀(24)이 형성되고, 볼트홀(24)에 볼트(70)를 삽입시켜 매설너트(12)에 고정되게 한다.
몸체(21)의 전후가 관통되도록 유공관홀(23)이 형성되고 이 유공관홀(23)은 옹벽체(10)의 유공관홀(14)과 같은 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몸체(21)가 설치홈(11)보다 아래로 내려오게 되므로 가능하다.
상부마감구(30)는 수평콘크리트(20)가 설치홈(11)에 고정된 후에 설치홈(11)의 상부에 끼워져 고정되고, 사각형 몸체 양측에 고정돌기(31)가 형성되어 마감홈(1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벌집형사각판(40)은 사각테두리(41)의 내측으로 다수개의 셀(4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이러한 다수개의 셀(42)로 이루어진 구조는 큰 수직 하중에도 견딜 있는 구조이다. 셀(42)의 형상은 사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벌집형태인 육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벌집형사각판(40)의 사각테두리(41) 전후를 관통하도록 유공관설치홀(43)이 형성되어 유공관(60)이 삽입되고, 셀(42) 내에 섬유봉(51)이 삽입된다.
섬유봉(50)은 수분을 잘 흡수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벌집형사각판(40)에 삽입되어 지반(4)과 성토층(5)에 매설된다. 섬유봉(50)은 벌집형사각판(40)중 유공관설치홀(43)이 형성된 셀(42)에 삽입되고, 몸체에 유공관홀(51)이 형성되어 유공관(60)이 삽입된다. 이때 섬유봉(50)에서 흡수되어 올라온 물은 유공관홀(51)과 유공홀(62)을 통해 배수된다.
유공관(60)은 강도가 높은 스테인레스 강관(61)의 둘레에 다수개의 유공 홀(6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양쪽 옹벽체(10)의 유공관홀(14)과 수평콘크리트(20)의 유공관홀(23)과 벌집형사각판(40)의 유공관홀(43)을 동시에 관통되어 설치된다. 섬유봉(50)으로 부터 흡입된 수분이 유공관(60)의 유공홀(62)을 통해 옹벽체(10) 외부로 배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도로 양측에 매설된 옹벽체가 연약지반이 눌려져 양측으로 퍼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고, 벌집형사각판의 셀형 구조가 위에서 아래로 내려 누르는 아스팔트 도로의 하중을 전체적인 면으로 분산시켜 연약지반 위에서 일부가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강관으로 이루어진 유공관이 물을 흡수하여 옹벽체 외부로 배수함과 동시에 벌집형사각판을 지지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섬유봉이 지반에 있는 수분을 유공관까지 흡수하여 배수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도의 양측에 설치되되 지반(4)까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단이 개방되도록 설치홈(11)이 상부에 형성되며, 설치홈(11)의 바닥면에 매설너트(12)가 설치되고, 설치홈(11)의 양측벽 상부에 마감홈(13)이 형성되며, 벽체를 전후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유공관홀(14)이 설치홈(11) 하측으로 형성되는 옹벽체(10);
    콘크리트 몸체(21)의 후단 중앙이 돌출되어 돌출고정부(22)가 형성되고, 돌출고정부(22)는 옹벽체(10)의 설치홈(11)에 삽입되며, 돌출고정부(22)에 상하를 관통하는 볼트홀(24)이 형성되어 볼트(70)를 삽입시켜 매설너트(12)에 고정되고, 몸체(21)의 전후가 관통되도록 유공관홀(23)이 형성되어 옹벽체(10)의 유공관홀(14)과 같은 직선상에 위치하는 수평콘크리트(20);
    수평콘크리트(20)가 설치홈(11)에 고정된 후에 설치홈(11)의 상부에 끼워져 고정되고, 사각형 몸체 양측에 고정돌기(31)가 형성되어 마감홈(1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마감구(30);
    사각테두리(41)의 내측으로 다수개의 셀(42)이 형성되고, 사각테두리(41) 전후를 관통하도록 유공관설치홀(43)이 형성되어 유공관(60)이 삽입되며, 셀(42) 내에 섬유봉(51)을 삽입하는 벌집형사각판(40);
    벌집형사각판(40)에 삽입되어 지반(4)과 성토층(5)에 매설되고, 벌집형사각판(40)중 유공관설치홀(43)이 형성된 셀(42)에 삽입되며, 몸체에 유공관홀(51)이 형성되는 섬유봉(50);
    스테인레스 강관(61)의 둘레에 다수개의 유공홀(62)이 형성되고, 양쪽 옹벽체(10)의 유공관홀(14)과 수평콘크리트(20)의 유공관홀(23)과 벌집형사각판(40)의 유공관홀(43)을 동시에 관통되어 설치되며, 섬유봉(50)으로 부터 흡입된 수분이 유공홀(62)을 통해 옹벽체(10) 외부로 배수되게 하는 유공관(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연약지반 개량 구조물.
KR1020060116138A 2006-11-23 2006-11-23 도로의 연약지반 개량 구조물 KR100689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138A KR100689220B1 (ko) 2006-11-23 2006-11-23 도로의 연약지반 개량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138A KR100689220B1 (ko) 2006-11-23 2006-11-23 도로의 연약지반 개량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9220B1 true KR100689220B1 (ko) 2007-03-02

Family

ID=38102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138A KR100689220B1 (ko) 2006-11-23 2006-11-23 도로의 연약지반 개량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2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84Y1 (ko) 2010-08-18 2011-02-10 정봉균 연약지반용 조립식 도로설치구조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7307A (ja) 1997-05-19 1998-12-02 Dia Consultant:Kk 道路の構築工法
KR200330844Y1 (ko) 2003-08-08 2003-10-22 (주)경성엔지니어링 도로의 연약지반 보강용 구조물
KR200351442Y1 (ko) 2004-03-02 2004-05-24 김길평 연약지반 아스팔트 도로의 침하방지시설
KR100467086B1 (ko) 2004-04-29 2005-01-24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폐침목을 이용한 건축구간 연약지반 기초 보강시설
KR200378180Y1 (ko) 2004-12-08 2005-03-11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지하수 노출이 심한 도로의 연약지반 보강 및 지하수처리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7307A (ja) 1997-05-19 1998-12-02 Dia Consultant:Kk 道路の構築工法
KR200330844Y1 (ko) 2003-08-08 2003-10-22 (주)경성엔지니어링 도로의 연약지반 보강용 구조물
KR200351442Y1 (ko) 2004-03-02 2004-05-24 김길평 연약지반 아스팔트 도로의 침하방지시설
KR100467086B1 (ko) 2004-04-29 2005-01-24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폐침목을 이용한 건축구간 연약지반 기초 보강시설
KR200378180Y1 (ko) 2004-12-08 2005-03-11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지하수 노출이 심한 도로의 연약지반 보강 및 지하수처리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84Y1 (ko) 2010-08-18 2011-02-10 정봉균 연약지반용 조립식 도로설치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445B1 (ko) 환경친화적 전주 설치 공법
KR100491410B1 (ko) 경사지의 배수구조
CN213653493U (zh) 一种公路边坡挡墙
KR100689220B1 (ko) 도로의 연약지반 개량 구조물
CN211228269U (zh) 一种高等级公路中央分隔带构造
CN210975426U (zh) 预制装配式卵形槽暗排水沟系统
CN110924251A (zh) 底部设置有管廊的道路结构
KR100326868B1 (ko) 배수판 및 배수판을 이용한 건물 지하 배수방법
CN216108602U (zh) 一种河涌治理挡土墙支护结构
KR100719231B1 (ko) 연약지반 개량 구조물
KR100960655B1 (ko) 노면 강화와 투수 및 배수기능을 갖는 도로
KR100930419B1 (ko) 보도블럭용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도블럭 시공방법
KR20020000318A (ko) 연약지반 개량구역의 간극수 처리용 수평 배수공법
KR20110034333A (ko)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친환경 옹벽 및 그 시공공법
KR100665985B1 (ko) 건축물의 상향수압 감소를 위한 자연 배수로 시공방법
CN205296365U (zh) 生态排水沟
CN214193980U (zh) 一种地基构造
CN217419689U (zh) 一种土体高边坡外扶壁式挡墙锚索加固结构
CN220927899U (zh) 一种挡土兼具排水功能的双排桩挡墙结构
JP4362202B2 (ja) 道路用浸透施設及びその施工方法
CN218990221U (zh) 一种高速公路浸水路基防护加固结构
CN218932751U (zh) 一种高填方路基结构
JPH0699954B2 (ja) 複合機能型側溝
KR102362469B1 (ko)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577851B1 (ko) 부력으로 인한 이탈방지용 도로 배수관로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