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939B1 - Indoor unit of ventilation device - Google Patents

Indoor unit of ventil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939B1
KR100688939B1 KR1020050056406A KR20050056406A KR100688939B1 KR 100688939 B1 KR100688939 B1 KR 100688939B1 KR 1020050056406 A KR1020050056406 A KR 1020050056406A KR 20050056406 A KR20050056406 A KR 20050056406A KR 100688939 B1 KR100688939 B1 KR 100688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oor unit
grill
air guide
suction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4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00787A (en
Inventor
김지용
김성우
권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6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939B1/en
Publication of KR2007000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7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9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장치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환기장치의 실내기에 흡입되는 공기의 저항과 소음을 줄이고, 제품의 외관을 수려하게 하는 환기장치의 실내기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 ventil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reduce the resistance and noise of the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of the ventilator, and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the ventilator to enhance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본 발명에 의한 환기장치의 실내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그릴로 구성되는 환기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그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원호모양의 곡선으로 형성되고 그 단면의 일부가 절곡된 형상으로 된 복수의 공기안내부재와, 상기 공기안내부재 사이에 형성되며 공기가 상기 케이스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는 복수개의 그릴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door unit of the venti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door unit of a ventilation apparatus consisting of a case forming an appearance and a suction grill coupled to the case and sucking air,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grill and sucked into the case. A plurality of air guide members formed in an arc-shaped curve to guide the air and having a bent portion thereof, and a plurality of grill suction ports formed between the air guide members and allowing air to enter the cas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Description

환기장치의 실내기{Indoor unit of ventilation device}Indoor unit of ventilation device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장치의 실내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of the venti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흡입 그릴의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of a suction gr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a)는 도2에서 Ⅰ-Ⅰ 부분의 측단면도이다.FIG. 3 (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tion II of FIG.

도3(b)는 도3(a)에서 A부분을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Figure 3 (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A in Figure 3 (a).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장치의 실내기의 작동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venti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31 : 흡입그릴 33 : 외측원호부31: suction grill 33: outer arc portion

35 : 내측원호부 37 : 측면테두리부35: inner arc portion 37: side border portion

41 : 지지대 43 : 공기안내부재41: support 43: air guide member

45: 그릴흡입구 47 : 평탄부       45: grill suction port 47: flat part

49 : 경사부49: inclined portion

본 발명은 환기장치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기장치에 흡입되는 공기의 소음과 풍량을 증대시키고, 아울러 상기 실내기의 내부의 전장물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외관 디자인을 개선시키는 환기장치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 ventil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increase the noise and air volume of the air sucked into the ventilator, and to improve the appearance design by preventing the electrical equipment inside the indoor unit from being seen from the outside. It is about the indoor unit.

일반적인 환기장치는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를 교환하게 함으로써 실내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을 하며, 요즘에는 공기청정기능을 부가하여 실내 공기중의 먼지나 세균 등을 걸러내어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A general ventilator performs the function of supplying fresh air to the room by exchanging indoor and outdoor air, and nowadays, it adds an air cleaning function to filter dust and bacteria in the indoor air. It also plays a role in purifying the air.

이러한 공기청정기능과 환기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89566호에 개시된 공기청정기능을 갖춘 환기장치가 있다. As the air cleaning function and the ventilation function, the ventilation device having the air cleaning function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89566 is available.

상기 환기장치는 본체의 내부에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와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전열교환기와,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급기 또는 배기를 위한 송풍장치, 그리고 공기청정기능과 환기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를 걸러주기 위한 필터를 구비한다. The ventilator is a heat exchanger for heat exchange betwee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and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a blower for supplying or exhausting outdoor air and indoor air, and performs an air cleaning function and a ventilation function. It is provided with a filter for filtering the air discharged into the room in the process.

또, 이 환기장치는 공기청정운전과 환기운전에 선택에 따라 내부의 유로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복수의 댐퍼를 구비한다. The ventilat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ampers so that an internal flow path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air cleaning operation and the ventilation operation.

이러한 환기장치가 환기운전을 수행할때에는 실외에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본체 내부의 흡기쪽 송풍장치, 전열 교환기, 필터를 거쳐서 실내공간으로 공급되고, 실내에서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가 배기쪽 송풍장치와 전열교환기를 차례로 거쳐서 외부로 배출된다. When the ventilation device performs the ventilation operation, the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room is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intake side blower, the heat exchanger, and the filter inside the body,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door to the outside is exhausted from the exhaust side. It is discharged to outside through the heat exchanger and then.

이때 실외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전열교환기를 교 차하도록 통과하면서 상호 열교환된다.At this time,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room are exchanged with each other while passing through the total heat exchanger.

그리고, 공기청정운전을 수행할때에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그릴을 지나 필터, 그리고 송풍팬을 거쳐서 다시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 When the air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indoor air is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suction grill, the filter, and the blowing fan.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환기장치의 실내기가 실내의 천장에 부착되는 경우에 있어서 내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의 형상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그릴의 면적이 상기 그릴이 결합되는 실내기 부분의 면적의 일부에 지나지 않아서 그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제한되는 단점이 존재하였으며, 그릴의 단면이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져 공기가 흡입되는 순간에 그 방향이 급속하게 꺾임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indoor unit of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device is attached to the ceiling of the room, the shape of the suction grill in which the internal air is sucked is formed in a quadrangle, and the area of the grill is determined by the area of the indoor unit portion to which the grill is coupled. There was a drawback that the amount of air sucked is limited to only a portion,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grille is vertical, and there is a problem that noise occurs due to the rapid bending of the air at the moment of the air being sucked.

또한, 상기 그릴의 단면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실내기의 내부구조가 다 보여지게 되는 외관 디자인 상의 단점이 존재하여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이를 꺼려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as the cross section of the grille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 is a drawback in appearance design in which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can be see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consumers are reluctant to select a product.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환기장치의 실내기에 보다 많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여 공기의 흡입량을 증대시키는 한편, 흡입공기의 유동특성을 개선하여 공기마찰소음을 감소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또한, 상기 실내기 내부의 구조가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실내기의 외관 디자인을 수려하게 하여 소비자의 제품 선호도를 제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more air to be sucked into the indoor unit of the ventilation device to increase the intake amount of air, while improving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intake air air fric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noise, and to improve consumer's product preference by improving the appearance design of the indoor unit by making the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invisible.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실내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그릴과, 상기 흡입그릴내부에 구성되는 복수의 공기안내부재와, 상기 공기안내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그릴흡입구로 구성되는 환기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그릴흡입구가 상기 실내기가 설치되는 벽을 향해 형성되어 상기 벽 부근의 실내공기를 원활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안내부재는 상기 벽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흡입그릴은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 안내부재는 상기 흡입그릴의 외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흡입그릴 내부에는 상기 흡입그릴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안내부재와 교차하면서 상기 공기안내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실내기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상기 흡입그릴은 그 외부가 외측원호부와, 내측원호부와, 상기 외측원호부와 내측원호부의 양단을 이어주는 복수의 측면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그릴의 내부는 상기 공기안내부재와 상기 그릴흡입구가 번갈아 나열되면서 형성되고, 상기 측면테두리부에 의하여 상기 공기안내부재들의 단부가 일렬로 연결되며, 상기 지지대는 복수개가 마련되어 상기 외측원호부와 내측원호부를 연결하는 특징으로 한다.
An indoor unit of the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suction grill coupled to the lower case to suck air, and a plurality of air guide members formed inside the suction grill; In the indoor unit of the ventilation devic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grill suction port formed between the air guide member,
The grill suction port is formed toward the wall where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so that the air guide member is installed toward the wall so as to smoothly suck the indoor air near the wall, and the suction grill is formed in a fan shape. The air guide member is formed in an arc shape so as to harmonize with the appearance of the suction grill,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air guide member is formed inside the suction gril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ction grill and intersects with the air guide member. It provides an indoor unit of the venti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 addition, the suction gril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ide includes an outer arc portion, an inner arc portion, and a plurality of side edge portions connecting both ends of the outer arc portion and the inner arc portion.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suction grill is formed while the air guide member and the grill suction port are alternately arranged, the end of the air guide member is connected in a line by the side edge portion,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outer arc It is characterized by connecting the portion and the inner arc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공기안내부재의 단면은 상기 지지대와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면서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air guid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at portion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and the inclin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flat portion and bent while forming a slope.

또한, 상기 경사부는 흡입공기의 안내를 위하여 상기 실내기가 설치되는 벽을 향하여 45도 하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clin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portion formed in a 45 degree downward toward the wall on which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to guide the intake air.

또한, 상기 부채꼴로 형성된 흡입그릴의 중심각은 90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angle of the suction grill formed in the fan shape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90 degree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 장치의 실내기(1)는 상부케이스(3)과 하부케이스(5)가 결합되며 그 외관을 이루어지며, 상기 실내기(1)는 상면과 하면이 부채꼴 형상을 가진 입체로 형성되며, 상기 실내기(1)의 전면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기구(7)와 상기 실내기에 흡입된 외부공기 혹은 실내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9)가 그릴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indoor unit 1 of the ventilation device is combined with an upper case 3 and a lower case 5 to form an exterior thereof. The indoor unit 1 has an upper and lower surfaces having a fan shape. It is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indoor unit 1 is provided with an intake opening 7 through which indoor air is sucked and a discharge hole 9 through which external air or indoor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is discharged.

여기서, 상기 실내기(1)가 취하고 있는 부채꼴의 각도는 실내벽과 천장에 동시에 부착되기 용이하게 90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Here, the fan-shaped angle of the indoor unit 1 is most preferably formed at 90 degrees to be easily attached to the indoor wall and the ceiling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 실내기(1)의 측면에는 실외기(미도시)로부터 외부공기를 흡입하거나 실내공기를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급기덕트(11)과 배기덕트(13)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n air supply duct 11 and an exhaust duct 13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indoor unit 1 to suck external air from the outdoor unit (not shown) or to discharge the indoor air.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3)와 하부케이스(5)의 사이에는 실내공기가 상기 실내기 내부로 흡입되도록 흡입동력을 제공하는 송풍팬(15)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15)을 보호하는 동시에 흡입공기 또는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팬케이스(19)가 상기 송풍팬(15)의 주위에 설치된다. In addition, a blowing fan 15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case 3 and the lower case 5 to provide suction power so that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while protecting the blowing fan 15. A fan case 19 for guiding intake air or discharge air is installed around the blower fan 15.

상기 팬케이스(19)의 부분 중 상기 상부케이스(3)의 토출구(9)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흡입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팬케이스토출구(21)가 가로 방향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팬케이스(19)의 하부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팬케이스흡입구(23)가 형성된다.The fan case discharge port 21 for discharging the sucked air is formed w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ort 9 of the upper case 3 of the fan case 19, the fan case ( A fan case inlet 23 through which indoor air is sucked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19).

또한, 상기 팬케이스흡입구(23)의 중앙부에는 송풍팬(15)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17)가 안치될 수 있는 모터지지판(18)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motor support plate 18 on which the motor 17 for driving the blower fan 15 is mounted is provid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fan case inlet 23.

상기 팬케이스(19)의 하부와 상기 하부케이스(5)의 사이에는 상기 실내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비롯한 여러 가지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미세필터(25)가 놓이게 되며, 상기 미세필터(25)는 상기 실내기(1)의 상,하면의 형상에 맞게 부채꼴의 형상을 취하고 있다. A fine filter 25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fan case 19 and the lower case 5 to filter out various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dust contained in the air sucked from the room. Reference numeral 25 has a fan shape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door unit 1.

상기 미세필터(25)가 안정적으로 안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케이스(5)의 흡입구(30)에는 흡입구(30)의 측면과 전후를 연결하는 필터거치대(27)가 형성되어 상기 실내기가 작동하는 경우에 상기 미세필터(25)가 안정적으로 이물질 정화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When the indoor unit operates by forming a filter holder 27 connecting the side and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uction port 30 to the suction port 30 of the lower case 5 so that the fine filter 25 can be stably placed. The fine filter 25 to stably perform the foreign matter purification function.

상기 흡입구(30)는 보다 많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입구(30)의 주위에는 후술할 흡입그릴(31)이 결합되기 위한 걸림홈(29)이 형성되어 있다. The suction port 30 is formed in a fan shape to suck more air, and a locking groove 29 for engaging the suction grill 31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around the suction port 30.

상기 흡입구(30)의 하부에 결합되는 흡입그릴(31)은 상기 흡입구(30)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그 테두리 모양이 부채꼴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입그릴(31)의 테두리에는 상기 흡입그릴(31)이 상기 하부케이스(5)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후크(39)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후크(39)가 상기 하부케이스(5)의 걸림홈(29)에 걸려서 체결됨으로써, 상기 흡입그릴(31)이 상기 하부케이스(5)의 흡입구(30)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것이다. The suction grill 31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port 30 has a fan shap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suction port 30, and the suction grill 31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suction grill 31. A coupling hook 39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case 5, and the coupling hook 39 is engaged by the locking groove 29 of the lower case 5 to thereby engage the suction grill 31. The inlet 30 of the lower case 5 may cover the whole.

도2를 참고하면, 상기 흡입그릴(31)은 그 내부에 원호형상의 복수의 공기안내부재(43)가 형성되고, 그 외부가 외측원호부(33), 내측원호부(35), 상기 외측원호부(33)와 내측원호부(35)의 단부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공기안내부재(43)의 일단을 일렬로 연결하여 상기 공기안내부재(43)의 형상을 안정하게 유지토록 하는 측면테두리부(37)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suction grill 31 has a plurality of arc-shaped air guide member 43 is formed therein, the outer outer arc portion 33, the inner arc portion 35, the outer side Side edges for connecting the ends of the arc portion 33 and the inner arc portion 35 and at the same time to connect one end of the air guide member 43 in a row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air guide member 43 in a stable manner. It turns out that it is formed by (37).

또한, 상기 흡입그릴(31)내부의 복수의 공기안내부재(43)를 지지하도록 상기 공기안내부재(43)과 교차하는 동시에 상기 외측원호부(33)의 일부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내측원호부(35)의 일부분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대(41)가 상기 흡입그릴(31)의 원주방향을 향하게끔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outer arc portion 33 and the inner arc portion corresponding thereto intersect with the air guide member 43 so as to support the plurality of air guide members 43 inside the suction grill 31. A plurality of supports (41) formed to connect a portion of the 35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to face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ction grill (31).

상기 내측원호부(35)의 호의 길이는 상기 외측원호부(33)의 호의 길이보다 작고, 이에 따라서, 상기 외측원호부(33)의 쪽에서 시작하여 상기 내측원호부(35)에 가까이 갈 수록 상기 흡입그릴(31)내부의 공기안내부재(43)의 호의 길이도 점점 작아지는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상기 공기안내부재(43)와 공기안내부재사이에는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그릴흡입구(45)가 형성되어 있다.The length of the arc of the inner arc part 35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arc of the outer arc part 33, and thus, starting from the side of the outer arc part 33 and closer to the inner arc part 35, The length of the arc of the air guide member 43 inside the suction grill 31 also becomes smaller and smaller, and a grill suction port 45 through which air can be sucked is provided between the air guide member 43 and the air guide member. Formed.

여기서, 상기 흡입그릴(31)이 취하고 있는 부채꼴의 각도는 90도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Here, the angle of the fan shape that the suction grill 31 takes is most preferably formed at 90 degrees.

도3(a)와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그릴의 측면을 보자면, 상기 공기안내부재(43)는 평행하게 형성된 평탄부(47)와, 상기 평탄부(47)에서 연장되며 절곡됨으로서 상기 내측원호부 쪽을 향하는 동시에 하향 45도로 경사져 있는 경사부(49)로 구성되고, 이중 상기 평탄부(47)가 상기 지지대(41)와 교차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공기안내부재(43)가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As shown in Figure 3 (a) and (b), when looking at the side of the grille, the air guide member 43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flat portion 47 and the flat portion 47 formed in parallel It is composed of an inclined portion 49 which is inclined downward 45 degrees at the same time toward the inner arc portion, wherein the flat portion 47 is connected to cross the support 41, the plurality of air guide member 43 ) Can maintain its shape.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실내기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겠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의한 환기장치의 실내기는 청정모드와 환기모드의 두 가지 모드를 선택하여 작동시킬 수 있으며, 환기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의 공기유동을 통하여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동시에,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흡입그릴에 의한 공기의 흡기동작은 큰 역할을 하지 않으므로 상기 흡입그릴에 의한 공기의 흡입이 중요하게 되는 상기 실내기의 청정모드 동작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하겠다.The indoor unit of the venti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by selecting two modes of the clean mode and the ventilation mode, in the case of the ventilation mode to discharge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flow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The outdoor air is supplied to the room. In this case, since the intake operation of the air by the intake grill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lay a large role, the clean mod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in which the intake of air by the intake grill is important will be described. I will see you.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환기장치의 실내기는 실내벽의 천장과 벽에 동시에 접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As shown in Figure 4, the indoor unit of the ventilation device is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ceiling and the wall of the indoor wall at the same time.

상기 환기장치가 공기청정모드에서 작동하는 경우, 실내공기는 상기 송풍팬(15)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실내기(1)의 하면에 설치되는 상기 흡입그릴(31)의 그릴흡입구(45)로 흡입되어 통과한 다음, 상기 흡입그릴(31)과 상기 팬케이스(19)사이에 안치되는 미세필터(25)에 이르러 먼지를 비롯한 이물질이 걸러진 후, 상기 팬케이스흡입구(23)와, 팬케이스토출구(21), 그리고 상기 실내기(1)의 전면에 그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토출구(9)를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실내공기 청정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When the ventilation device is operated in the air cleaning mode, the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grill suction port 45 of the suction grill 31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door unit 1 by the rotation of the blower fan 15. After passing through, the foreign matter including dust is filtered out by reaching the fine filter 25 placed between the suction grill 31 and the fan case 19, and the fan case inlet 23 and the fan case outlet 21 ), And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 (9) formed in the grill shape on the front of the indoor unit (1) to perform the indoor air cleaning process.

특히, 실내공기가 상기 흡입그릴(31)을 통하여 흡입되는 과정을 보면, 실내기(1) 하부에 위치하는 실내공기는 상기 송풍팬(15)이 회전할때 상기 흡입그릴(31)내부에 설치되는 공기안내부재(43)의 구성요소중 우선 상기 실내기 후면쪽을 향하는 동시에 하향 45도로 형성되어 있는 경사부(49)의 안내를 받아서 그릴흡입구(45)를 상향45도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통과하며, 상기 경사부(49)와 연장되어 있는 평탄부(47)의 부근에 이르러서, 그 운동각도가 변화되면서 상기 평탄부(47)의 위에 안치되어 있는 미세필터(25)를 통과함으로써 상기에 설명한 대로 흡입 및 실내로의 토출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In particular, when the indoor ai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grill 31, the indoor air positioned below the indoor unit 1 is installed inside the suction grill 31 when the blowing fan 15 rotates. Among the components of the air guide member 43, the grille suction port 45 is first passed toward the rear of the indoor unit while being guided by the inclined portion 49 formed downward 45 degrees while maintaining the angle of 45 degrees upward, By reaching the vicinity of the inclined portion 49 and the extended flat portion 47, the motion angle is changed, passing through the fine filter 25 settled on the flat portion 47, so that suction and The discharge process to the room is to go through.

일반적으로 실내의 벽 부근에는 소파나 침대와 같은 가구가 놓여있으며, 소비자가 이 위치에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생각하면, 그러한 가구들이 놓여져 있는 곳의 벽과 가까운 천장부근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정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본 발명의 흡입그릴(31)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안내부재(43)가 그러한 위치를 향하여 부분적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위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킬 수 가 있는 것이다. In general, there are furniture such as sofas or beds near the walls of the room, and if a consumer thinks that it is common to rest in this position, the air near the wall close to the wall where such furniture is placed is effectively cleaned and purified. It is necessary to, and because the air guide member 43 formed in the suction grill 3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ally bent toward such a position it is possible to meet the above needs.

또한, 상기 실내기가 설치되는 천장과 벽면으로 이루어지는 코너부분은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고 정체되어 있는 경향이 많으므로 이러한 부분의 공기를 단위 시간당 보다 많이 흡입하여 정화시킴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공기정화가 이루어 질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rner portion formed of the ceiling and the wall surface of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the air flow is not smooth and tends to be stagnant, so that air can be more effectively purified by inhaling and purifying more air per unit time. .

또한, 상기 흡입그릴(31)의 그릴흡입구(45)를 거쳐서 상기 실내기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은 상방 45도 각도 형태의 부드러운 곡선의 형상으로 나타나고, 상기 공기의 흡입유로를 형성하는 상기 공기안내부재(43)에 있어서 평탄부(47)과 경사부(49)가 곡선을 이루면서 이어져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공기의 마찰 소음도 줄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flow of air sucked into the indoor unit through the grill suction port 45 of the suction grill 31 is represented by a smooth curve in the form of an upward 45 degree angle, and the air guide forms the suction flow path of the air. In the member 43, since the flat portion 47 and the inclined portion 49 are connected in a curved manner, they have a structure that can relatively reduce the friction noise of air.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31)의 부채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양을 기존의 사각형 형태의 흡입그릴에 비하여 20~30% 증가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suction grill 31 is fan-shaped, the amount of indoor air sucked may be increased by 20 to 30%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uction grill.

또한, 상기 실내기가 설치된 부분의 아래에서 상기 실내기의 하면을 쳐다보게 되면, 상기 흡입그릴(31)의 평탄부(47)와 경사부(49) 번갈아 보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실내기(1)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미세필터(25)나 팬케이스(19) 혹은 송풍팬(15)의 모습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상기 실내기의 외관 디자인를 보는 소비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lower surface of the indoor unit under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the flat portion 47 and the inclined portion 49 of the suction grill 31 alternately visible, thereby causing the inside of the indoor unit 1 The micro filter 25, the fan case 19, or the blower fan 15, which are installe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may induce aesthetics to consumers who view the exterior design of the indoor uni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공기가 상기 실내기 내부로 흡입되는 경우에 있어서, 흡입그릴을 지나는 공기의 마찰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한편, 공기의 흡입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실내공기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riction nois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grill, while increasing the amount of air intake can be more effective indoor air purification is achieved. To help.

또한, 상기 흡입그릴의 공기안내부재는 상기 실내기가 접하고 있는 벽면을 향하고 있음으로 해서 그 부근에 정체되어 잘 순환되지 않는 실내공기를 필터링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만드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ir guide member of the suction grill has an effect of making the indoor environment more comfortable by filtering the indoor air that is stagnant and not circulated well near the wall surface that the indoor unit is in contact with.

게다가, 상기 흡입그릴 내부의 공기안내부재의 독특한 형상으로 인하여 상기 실내기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나 송풍팬과 같은 전장물들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실내기의 외관의 디자인적 효과를 제고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unique shape of the air guide member inside the suction grill, electric equipment such as a filter or a blowing fan installed inside the indoor unit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the design effect of the exterior of the indoor unit. There is also an advantage.

Claims (6)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그릴과, 상기 흡입그릴내부에 구성되는 복수의 공기안내부재와, 상기 공기안내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그릴흡입구로 구성되는 환기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suction grill coupled to the lower case to suck air, a plurality of air guide members formed in the suction grill, and a plurality of air guide members In the indoor unit of the ventilation device composed of the grill suction port, 상기 그릴흡입구가 상기 실내기가 설치되는 벽을 향해 형성되어 상기 벽 부근의 실내공기를 원활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안내부재는 상기 벽을 향해 설치되고,The grill suction port is formed toward the wall where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so that the air guide member is installed toward the wall so as to smoothly suck the indoor air near the wall. 상기 흡입그릴은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The suction grill is made of a fan shape, 상기 공기 안내부재는 상기 흡입그릴의 외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되,The air guide member is made of an arc shape in harmony with the appearance of the suction grill, 상기 흡입그릴 내부에는 상기 흡입그릴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안내부재와 교차하면서 상기 공기안내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실내기. The indoor unit of the venti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grill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ction grill to support the air guide member while crossing the air guide memb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그릴은 그 외부가 외측원호부와, 내측원호부와, 상기 외측원호부와 내측원호부의 양단을 이어주는 복수의 측면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실내기. The suction grill is an indoor unit of a venti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ide includes an outer arc portion, an inner arc portion, and a plurality of side edge portions connecting both ends of the outer arc portion and the inner arc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흡입그릴의 내부는 상기 공기안내부재와 상기 그릴흡입구가 번갈아 나열되면서 형성되고, 상기 측면테두리부에 의하여 상기 공기안내부재들의 단부가 일렬로 연결되며, The inside of the suction grill is formed while the air guide member and the grill suction port are alternately arranged, the ends of the air guide members are connected in a line by the side edge portion, 상기 지지대는 복수개가 마련되어 상기 외측원호부와 내측원호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실내기. The support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door units of the ventil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he outer arc portion and the inner arc portion.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공기안내부재의 단면은 상기 지지대와 평행을 이루면서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면서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실내기.The cross section of the air guide member includes a flat portion parallel to the support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flat portion and bent to form an inclination.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경사부는 흡입공기의 안내를 위해 상기 실내기가 설치되는 벽을 향하여 45도 하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실내기.The inclined por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ventil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portion formed in a 45 degree downward toward the wall on which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to guide the intake air.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부채꼴로 형성된 흡입그릴의 중심각은 90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의 실내기.The indoor angle of the venti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angle of the suction grill formed in the fan shape made of 90 degrees.
KR1020050056406A 2005-06-28 2005-06-28 Indoor unit of ventilation device KR1006889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406A KR100688939B1 (en) 2005-06-28 2005-06-28 Indoor unit of ventil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406A KR100688939B1 (en) 2005-06-28 2005-06-28 Indoor unit of ventil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787A KR20070000787A (en) 2007-01-03
KR100688939B1 true KR100688939B1 (en) 2007-03-02

Family

ID=37868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406A KR100688939B1 (en) 2005-06-28 2005-06-28 Indoor unit of ventil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893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199B1 (en) 2016-12-02 2019-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and ventilating apparatus
WO2018101801A1 (en) * 2016-12-02 2018-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ware and exhaust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6353A (en) * 1995-12-14 1997-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ir conditioner
JP2000018630A (en) 1998-06-30 2000-0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ir conditioner
JP2001280680A (en) 2000-03-31 2001-10-10 Sanyo Electric Co Ltd Suction grille fo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the same
JP2001329668A (en) 2000-05-23 2001-11-30 Asahi Kinzoku Kk Ventilation ridge
KR20030020593A (en) * 2001-09-03 2003-03-1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Air-cleaner of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6353A (en) * 1995-12-14 1997-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ir conditioner
JP2000018630A (en) 1998-06-30 2000-0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ir conditioner
JP2001280680A (en) 2000-03-31 2001-10-10 Sanyo Electric Co Ltd Suction grille fo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the same
JP2001329668A (en) 2000-05-23 2001-11-30 Asahi Kinzoku Kk Ventilation ridge
KR20030020593A (en) * 2001-09-03 2003-03-1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Air-cleaner of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787A (en) 200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7348A (en)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5423189B2 (en) Air purifier and air purifier with humidification function
KR100577206B1 (en) Ventilation Systems
KR100688939B1 (en) Indoor unit of ventilation device
JP3783015B2 (en) Air purifier with ventilation function
KR102217013B1 (en) Indoor unit of ceiling type air-conditioner
JP2010145057A (en) Air conditioner
KR20090026981A (en) Door-combined air cleaner
KR101010472B1 (en) A ventilation device
KR20050118784A (en) A ventilation system of window type
TWI291536B (en) Air conditioner
KR100543596B1 (en) Support structure of filter assembly for ventilation system
EP1416228A2 (en) Indoor unit of wall-mounted air conditioner
KR20040053942A (en) Air conditioner
KR102480369B1 (en) Ceiling type indoor unit with UV lamp installed
JP4984646B2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20070077411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3852507B2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H0515718A (en) Outside air admitting type air cleaner
CN212390492U (en) Purifier and fresh air part, air conditioner indoor unit that have it
JP2004340497A (en) Air conditioner
CN215571012U (en) Ceiling type fresh air purification all-in-one machine
KR100580298B1 (en) Air Cleaner
KR20060027533A (en) A ventilation device
JP3861555B2 (en)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