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462B1 - 공동주택 외벽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방범커버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외벽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방범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462B1
KR100688462B1 KR1020060130295A KR20060130295A KR100688462B1 KR 100688462 B1 KR100688462 B1 KR 100688462B1 KR 1020060130295 A KR1020060130295 A KR 1020060130295A KR 20060130295 A KR20060130295 A KR 20060130295A KR 100688462 B1 KR100688462 B1 KR 100688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ing
gas pipe
fixe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화
Original Assignee
(주)상건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건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상건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130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관의 일정부분에 설치하여 가스관을 타고 강 절도범이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고, 손으로 잡으면 슬라이딩커버체가 아래로 슬라이딩되어 내려가 더 이상 타고 올라갈 수 없게 한 공동주택 외벽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방범커버에 관한 것이며, 공동주택의 외벽에 설치되는 가스관의 보호구조에 있어서, 양측부에 플랜지(11)가 형성되어 공동주택 외벽(1)에 볼트로 고정되고, 가스관(2)이 내부에서 지나가도록 후방에 가스관설치홈부(16)가 형성되며, 전면에 지지판고정홈부(12)가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탄력지지판(20)이 삽입고정되는 커버부재(10); 사각 판체로 이루어진 몸체(21)의 상단에 고정플랜지(22)가 형성되어 지지판고정홈부(12)에 고정볼트(32)로 고정되고, 몸체(21)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원형의 가이드홀(23)이 형성되어 스프링(25)이 삽입되며, 스프링(25)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하이동체(26)가 가이드홀(23)에 삽입되고, 가이드홀(23)의 전단에 개방슬릿구(24)가 형성되어 상하이동체(26)의 고정돌기부(28)가 외부로 노출된 채 상하이동이 가능하며, 상하이동체(26)는 가이드홀(23)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원형 가이드부(27)의 전단으로 고정돌기부(28)가 형성되고, 고정돌기부(28)의 후방쪽 측면에 각각의 고정돌기부(28)를 연결하는 연결판(29)이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돌기부(28)의 전방쪽 양측면에 2개의 장볼트홀(30)이 형성되는 탄력지지판(20); 사각형 판체의 양측부에 다수개의 고정볼트홀(42)이 형성되어 고정볼트로 커버부재(10)에 고정되고, 전면과 배면을 관통하도록 다수개의 가이드슬릿홀(41)이 형성되며, 판체 상 단에 힌지(43)가 형성되고, 판체 상단의 힌지와 바늘판(46)의 힌지(48)가 회전가능하게 장볼트(49)와 너트(49-1)로 고정되며, 바늘판(46)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다수개의 바늘(47)이 고정되고, 판체 상단이 후방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위로 절곡되어 스프링고정판(44)이 형성되며, 스프링고정판(44)에 U형 판스프링(45)의 일단이 고정되어 바늘판(46)이 세워졌을 때 판스프링(45)의 탄력을 받게 설치되는 덮개판(40); 사각형의 몸체(51)의 내부로 세로판(53-1)과 가로판(53-2)에 의해 구분되어진 격자(53)가 다수개 형성되고, 가장 상부에 위치한 격자(53)의 세로판(53-1)을 관통하도록 두개의 볼트홀(55)이 형성되며, 가장 상부에 위치한 격자(53)의 바닥면에 삽입홀(54)이 형성되어 상하이동체(26)의 고정돌기부(28)가 삽입되어 장볼트(56)와 너트(56-1)로 고정되고, 상단 전면으로 경사면(52)이 형성되어 손이 지지될수 없게 할 뿐만 아니라 경사면(52)의 후방이 바늘판(46)의 후방을 지지하여 펴지지 않게 형성되는 슬라이딩커버체(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스관, 회전판, 돌출침, 커버부재, 방범

Description

공동주택 외벽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방범커버{A cover of prevention crimes using houses}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외벽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방범커버를 도시한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 외벽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방범커버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외벽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방범커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 외벽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방범커버에 사용하는 탄력지지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 외벽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방범커버에 설치되는 덮개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외벽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방범커버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외벽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방범커버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공동주택외벽 2 : 가스관
10 : 커버부재 11 : 플랜지
12 : 지지판고정홈부 13, 14, 15 : 볼트홀
16 : 가스관설치홈부 20 : 탄력지지판
21 : 몸체 22 : 고정플랜지
23 : 가이드홀 24 : 개방슬릿구
25 : 스프링 26 : 상하이동체
27 : 가이드부 28 : 고정돌기부
29 : 연결판 30 : 장볼트홀
31 : 볼트홀 32 : 고정볼트
40 : 덮개판 41 : 가이드슬릿홀
42 : 고정볼트홀 43, 48 : 힌지
44 : 스프링고정판 45 : 판스프링
46 : 바늘판 47 : 바늘
49 : 장볼트 49-1 : 너트
50 : 슬라이딩커버체 51 : 몸체
52 : 경사면 53 : 격자
53-1 : 세로판 53-2 : 가로판
54 : 삽입홀 55 : 볼트홀
56 : 장볼트 56-1 : 너트
본 발명은 공동주택 외벽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방범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관의 일정부분에 설치하여 가스관을 타고 강 절도범이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고, 손으로 잡으면 슬라이딩커버체가 아래로 슬라이딩되어 내려가 더 이상 타고 올라갈 수 없게 한 공동주택 외벽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방범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스는 연소시에 공해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청정에너지로 일컬어지고 있으며, 그 수급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이유로 각종 건물의 난방 등에 필요한 에너지원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이같은 도시가스의 사용은 대단위 아파트 단지의 건립 및 신도시 건설이 추진되면서 더욱 확산되는 추세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아파트의 각 가정에서는 난방용이나 취사용으로 천연가스인 LNG가스 또는 액화가스인 LPG가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스를 각 가정에 공급하기 위하여 아파트 외벽에 가스관을 설치한다.
종래의 가스관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외벽에 가스관이 설치되고, 중앙의 가스관에서 좌 우측의 가정으로 보조 가스관이 분기되어 각 가정으로 가스를 공급한다.
이같은 가스공급관은 건물의 외부로 노출되게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 이유는 도시가스는 폭발성이 강한 물질이기 때문에 공급과정에서 가스가 새나갈 경우 대형사고의 우려가 있는 것이므로, 가스공급자가 수시로 가스관의 연결부위 및 노후 정도 등을 점검할 수 있어야 하며, 만약 어떤 이유에서든지 가스가 새는 부위가 발견될 경우 즉시 교체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이유로 가스공급관이 건물의 외부로 노출되게 시공되기 때문에, 도둑이나 강도 들이 가스공급관을 타고 건물의 고층까지 올라가 각 세대로 침입하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어, 가스공급관이 범죄자들의 침입경로로 악용될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이때문에 범죄자들이 가스공급관을 침입경로로 악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범용 커버를 가스공급관에 부설하게 되었다.
이같은 방범용 커버는 중앙에 반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인데, 상기 반원형 돌출부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날카로운 못이 돌설되며, 이같은 한 쌍의 부재를 각각 관통하도록 조임볼트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조임볼트를 조이거나 풀어주므로서 가스관에 체결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인 바, 일종의 클램프 커플링 형태인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범용 커버는 제작시에 적용치수가 정해지는 정형화된 형태이므로 그 치수에 맞는 가스관에만 적용이 가능하게 되어 그 활용폭이 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고, 다양한 직경의 가스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그에 대응하는 다양한 직경을 갖는 방범용 커버를 각기 제작해야 하므로 생산공정이 복잡해짐과 동시에 생산원가를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범용 커버는 두 부재가 반드시 쌍을 이루어야만 그 기능을 할 수 있는 형태이므로, 두 부재 가운데 어느 한쪽만이라도 파손되거나 분실될 경우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이어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이와같은 도둑의 침입경로를 차단하기 위해 근자에는 가스관의 외면에 윤활유를 바르거나 가시철망을 감아주는 방법이 있었으나, 전자의 경우에는 일정 기간을 정하여 윤활유를 계속 발라주어야 하는 것이어서 그 작업이 대단히 번거롭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은 물론, 윤활유가 발라진 부위에 먼지나 이물질이 달라붙게 되므로 쉽게 더러워져 건물의 미관을 크게 해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에는 가시철망을 일일이 가스관의 외면에 돌려 감아야 하는 설치작업상의 불편과 번거로움이 수반되어 소요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었고, 철조망이 감겨진 외관은 보기에도 매우 흉한 느낌을 주는 것이었으며, 눈비(雪雨)로 인해 철조망이 쉽게 녹슬게 되면서 가스관까지 부식시키게 되므로서 가스의 누출 위험성마저 발생되는 치명적인 결함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가스관에 직접 설치하지 않아 가스관의 보수시 용이하게 하고, 직접적인 설치가 아니라 가스관을 덮어주는 설치방식을 사용하여 가스관이 보호되게 하며, 가스관을 타고 올라가는 사람의 손이 지지할 곳을 찾지 못하게 하여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게 하고, 슬라이딩커버체의 격자부분을 잡으면 슬라이딩커버체가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가 가스관을 타고 침입하려는 사람의 손이 지지될 수 없게 하고, 슬라이딩커버체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펴지는 바늘판에 의해 더 이상 진행이 저지되는 공동주택 외벽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방범커버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의 외벽에 설치되는 가스관의 보호구조에 있어서, 양측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공동주택의 외벽에 볼트로 고정되고, 가스관이 내부에서 지나가도록 후방에 가스관설치홈부가 형성되며, 전면에 지지판고정홈부가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탄력지지판이 삽입고정되는 커버부재; 사각 판체로 이루어진 몸체의 상단에 고정플랜지가 형성되어 지지판고정홈부에 고정볼트로 고정되고, 몸체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원형의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스프링이 삽입되며, 스프링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하이동체가 가이드홀에 삽입되고, 가이드홀의 전단에 개방슬릿구가 형성되어 상하이동체의 고정돌기부가 외부로 노출된 채 상하이동이 가능하며, 상하이동체는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원형 가이드부의 전단으로 고정돌기부가 형성되고, 고정돌기부의 후방쪽 측면에 각각의 고정돌기부를 연결하는 연결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돌기부의 전방쪽 양측면에 2개의 장볼트홀이 형성되는 탄력지지판; 사각형 판체의 양측부에 다수개의 고정볼트홀이 형성되어 고정볼트로 커버부재에 고정되고, 전면과 배면을 관통하도록 다수개의 가이드슬릿홀이 형성되며, 판체 상단에 힌지가 형성되고, 판체 상단의 힌지와 바늘판의 힌지가 회전가능하게 장볼트와 너트로 고정되며, 바늘판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다수개의 바늘이 고정되고, 판체 상단이 후방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위로 절곡되어 스프링고정판이 형성되며, 스프링고정판에 U형 판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어 바늘판이 세워졌을 때 판스프링의 탄력을 받게 설치되는 덮개판; 사각형의 몸체의 내부로 세로판과 가로판에 의해 구분되어진 격자가 다수개 형성되고, 가장 상부에 위치한 격자의 세로판을 관통하도록 두개의 볼트홀이 형성되며, 가장 상부에 위치한 격자의 바닥면에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하이동체의 고정돌기부가 삽입되어 장볼트와 너트로 고정되고, 상단 전면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손이 지지될수 없게 할 뿐만 아니라 경사면의 후방이 바늘판의 후방을 지지하여 펴지지 않게 형성되는 슬라이딩커버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외벽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방범커버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외벽에 설치되는 가스관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커버부재(10)를 공동주택 외벽(1)에 볼트로 고정하고, 커버부재(10)는 공동주택 외벽(1)에 고정하기 위하여 양측부에 플랜지(11)를 형성하며, 플랜지(11)에는 다수개의 볼트홀(13)이 형성된다.
커버부재(10)는 가스관(2)이 내부에서 지나가도록 후방에 가스관설치홈부(16)가 형성되고, 전면에 지지판고정홈부(12)가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탄력지지 판(20)이 삽입고정된다.
탄력지지판(20)은 사각 판체로 이루어진 몸체(21)의 상단에 고정플랜지(22)가 형성되어 지지판고정홈부(12)에 고정볼트(32)로 고정된다. 지지판고정홈부(12)의 바닥면 상부에 다수개의 볼트홀(15)이 형성되어 고정플랜지(22)의 볼트홀(31)을 관통하는 고정볼트(32)에 의해 고정된다.
사각판체로 이루어진 몸체(21)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원형의 가이드홀(23)이 형성되어 스프링(25)이 삽입되고, 가이드홀(23)의 하단은 막혀 스프링(25)의 하단이 지지된다.
스프링(25)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하이동체(26)가 가이드홀(23)에 삽입되고, 가이드홀(23)의 전단에 개방슬릿구(24)가 형성되어 상하이동체(26)의 고정돌기부(28)가 외부로 노출된 채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하이동체(26)는 가이드홀(23)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원형 가이드부(27)의 전단으로 고정돌기부(28)가 형성되고, 고정돌기부(28)의 후방쪽 측면에 각각의 고정돌기부(28)를 연결하는 연결판(29)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부(27)가 가이드홀(23)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돌기부(28)는 개방슬릿구(2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연결판(29)은 탄력지지판(20)의 전면에서 고정돌기부(28)를 서로 이어준다.
상하이동체(26)의 고정돌기부(28) 전방쪽 양측면에 2개의 장볼트홀(30)이 형성되어 후술할 슬라이딩커버체(50)에 형성된 삽입홀(54)에 삽입된채로 장볼트(56)가 관통되어 고정된다.
덮개판(40)은 사각형 판체의 양측부에 다수개의 고정볼트홀(42)이 형성되어 고정볼트로 커버부재(10)에 고정되고, 전면과 배면을 관통하도록 다수개의 가이드슬릿홀(41)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슬릿홀(41)을 통해 고정돌기부(28)가 상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덮개판(40)의 판체 상단에 힌지(43)가 형성되고, 판체 상단의 힌지와 바늘판(46)의 힌지(48)가 회전가능하게 장볼트(49)와 너트(49-1)로 고정된다. 바늘판(46)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다수개의 바늘(47)이 고정되어 90도의 회전반경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덮개판(40)의 판체 상단이 후방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위로 절곡되어 스프링고정판(44)이 형성되고, 스프링고정판(44)에 U형 판스프링(45)의 일측면이 고정되어 바늘판(46)이 세워졌을 때 고정되지 않은 판스프링(45)의 다른쪽 면의 탄력을 받게 설치된다.
슬라이딩커버체(50)는 사각형의 몸체(51)의 내부로 세로판(53-1)과 가로판(53-2)에 의해 구분되어진 격자(53)가 다수개 형성되고, 가장 상부에 위치한 격자(53)의 세로판(53-1)을 관통하도록 두개의 볼트홀(55)이 형성된다.
슬라이딩커버체(50)의 가장 상부에 위치한 격자(53)의 바닥면에 삽입홀(54)이 형성되어 상하이동체(26)의 고정돌기부(28)가 삽입되어 장볼트(56)와 너트(56-1)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하이동체(26)의 상하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커버체(50)도 같이 상하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딩커버체(50)의 상단 전면으로 경사면(52)이 형성되어 손이 지지될수 없게 할 뿐만 아니라 경사면(52)의 후방이 바늘판(46)의 후방을 지지하여 펴지지 않게 형성된다.
도둑이나 강도가 가스관을 통하여 침입하다가 본 발명의 슬라이딩커버체(50)의 격자(53)를 잡게 되면, 상하이동체(26)가 스프링(25)의 힘을 이기면서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슬라이딩커버체(50)도 같이 아래로 밀려 내려온다.
슬라이딩커버체(50)를 잡은 침입자가 지지력을 상실하여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딩커버체(50)가 아래로 내려오면 바늘판(46)이 판스프링(45)에 의해 수평으로 펴지므로 더 이상 손잡을 곳이 없어서 가스관을 통한 진입이 힘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가스관이 외부에서 보호되는 효과가 있고, 강도나 도둑이 가스관을 타고 올라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가스관을 타고 올라갈 때, 가스관 중간에 설치된 슬라이딩커버체의 격자 부분을 잡게 되면 슬라이딩커버체가 아래로 슬라이딩되어 밑으로 미끄러져 내려가게 되므로 더 이상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커버체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슬라이딩커버체에 의해 닫혀있던 바늘판이 판스프링에 의해 나와 슬라이딩 커버체를 올라오려다 바늘판의 바늘에 의해 진행이 방해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공동주택의 외벽에 설치되는 가스관의 보호구조에 있어서,
    양측부에 플랜지(11)가 형성되어 공동주택 외벽(1)에 볼트로 고정되고, 가스관(2)이 내부에서 지나가도록 후방에 가스관설치홈부(16)가 형성되며, 전면에 지지판고정홈부(12)가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탄력지지판(20)이 삽입고정되는 커버부재(10);
    사각 판체로 이루어진 몸체(21)의 상단에 고정플랜지(22)가 형성되어 지지판고정홈부(12)에 고정볼트(32)로 고정되고, 몸체(21)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원형의 가이드홀(23)이 형성되어 스프링(25)이 삽입되며, 스프링(25)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하이동체(26)가 가이드홀(23)에 삽입되고, 가이드홀(23)의 전단에 개방슬릿구(24)가 형성되어 상하이동체(26)의 고정돌기부(28)가 외부로 노출된 채 상하이동이 가능하며, 상하이동체(26)는 가이드홀(23)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원형 가이드부(27)의 전단으로 고정돌기부(28)가 형성되고, 고정돌기부(28)의 후방쪽 측면에 각각의 고정돌기부(28)를 연결하는 연결판(29)이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돌기부(28)의 전방쪽 양측면에 2개의 장볼트홀(30)이 형성되는 탄력지지판(20);
    사각형 판체의 양측부에 다수개의 고정볼트홀(42)이 형성되어 고정볼트로 커버부재(10)에 고정되고, 전면과 배면을 관통하도록 다수개의 가이드슬릿홀(41)이 형성되며, 판체 상단에 힌지(43)가 형성되고, 판체 상단의 힌지와 바늘판(46)의 힌지(48)가 회전가능하게 장볼트(49)와 너트(49-1)로 고정되며, 바늘판(46)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다수개의 바늘(47)이 고정되고, 판체 상단이 후방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위로 절곡되어 스프링고정판(44)이 형성되며, 스프링고정판(44)에 U형 판스프링(45)의 일단이 고정되어 바늘판(46)이 세워졌을 때 판스프링(45)의 탄력을 받게 설치되는 덮개판(40);
    사각형의 몸체(51)의 내부로 세로판(53-1)과 가로판(53-2)에 의해 구분되어진 격자(53)가 다수개 형성되고, 가장 상부에 위치한 격자(53)의 세로판(53-1)을 관통하도록 두개의 볼트홀(55)이 형성되며, 가장 상부에 위치한 격자(53)의 바닥면에 삽입홀(54)이 형성되어 상하이동체(26)의 고정돌기부(28)가 삽입되어 장볼트(56)와 너트(56-1)로 고정되고, 상단 전면으로 경사면(52)이 형성되어 손이 지지될수 없게 할 뿐만 아니라 경사면(52)의 후방이 바늘판(46)의 후방을 지지하여 펴지지 않게 형성되는 슬라이딩커버체(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외벽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방범커버.
KR1020060130295A 2006-12-19 2006-12-19 공동주택 외벽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방범커버 KR100688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295A KR100688462B1 (ko) 2006-12-19 2006-12-19 공동주택 외벽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방범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295A KR100688462B1 (ko) 2006-12-19 2006-12-19 공동주택 외벽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방범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8462B1 true KR100688462B1 (ko) 2007-03-02

Family

ID=38102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295A KR100688462B1 (ko) 2006-12-19 2006-12-19 공동주택 외벽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방범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84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334B1 (ko) * 2009-03-26 2009-09-03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가스관 설치용 방범장치
CN110761614A (zh) * 2019-10-23 2020-02-07 四川路桥建设集团交通工程有限公司 一种隔离栅及其安装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072A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와이퍼 모터 회전속도 제어 시스템
KR200174011Y1 (ko) * 1999-10-02 2000-03-15 최명철 침입방지용 요철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072A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와이퍼 모터 회전속도 제어 시스템
KR200174011Y1 (ko) * 1999-10-02 2000-03-15 최명철 침입방지용 요철밴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5607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74011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334B1 (ko) * 2009-03-26 2009-09-03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가스관 설치용 방범장치
CN110761614A (zh) * 2019-10-23 2020-02-07 四川路桥建设集团交通工程有限公司 一种隔离栅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295B1 (ko) 컨테이너 하우스용 고정장치
KR100688462B1 (ko) 공동주택 외벽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식 방범커버
US20080179577A1 (en) Fence System
KR100573691B1 (ko) 공동주택의 옥외용배관용 방범커버
KR100634747B1 (ko) 공동주택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방범슬라이딩커버
KR200402090Y1 (ko) 방범용 가스배관 커버
KR102009831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방범 관리시스템
KR100620364B1 (ko) 공동주택의 가스관에 설치되는 방범커버
KR200345103Y1 (ko) 가스배관용 방범 장치
JP3998652B2 (ja) 電線入りフェンス
KR20210141001A (ko) 방범용 cctv 카메라 설치용 지주 장치
KR102216844B1 (ko) 견고한 설치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의 마감용 금속구조물
CN201062702Y (zh) 防攀爬装置
CN2795415Y (zh) 室内活动防护窗
KR100583282B1 (ko) 건축물 저층세대 개스관을 이용한 침입방지 구조
TWM554127U (zh) 兼具優良排水及防盜功能的氣密門固定結構
KR20050094727A (ko) 화재시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CN220302027U (zh) 一种安装方便的防火防盗门
KR200175026Y1 (ko) 도난방지용 도시가스배관커버
KR200355513Y1 (ko) 화재시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TWI640682B (zh) 兼具優良排水及防盜功能的氣密門固定結構
KR200225846Y1 (ko) 등관 침입 방지판
KR200224382Y1 (ko) 방범창살이 구비된 창호
KR200497071Y1 (ko) 비상 탈출 방범창 구조체
KR102579951B1 (ko) 공동주택 시공 출입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