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8433B1 - 도난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난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8433B1
KR100688433B1 KR20057011438A KR20057011438A KR100688433B1 KR 100688433 B1 KR100688433 B1 KR 100688433B1 KR 20057011438 A KR20057011438 A KR 20057011438A KR 20057011438 A KR20057011438 A KR 20057011438A KR 100688433 B1 KR100688433 B1 KR 100688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unting apparatuses
rest
ecu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7011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5798A (ko
Inventor
하루히코 오기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050085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5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2)을 도난으로부터 적절하게 보호하는 도난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2)에 탑재되어 있는 통신 ECU(3),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는 각각 서로 접속을 확인한다. 각 장치가 그 자신과 또다른 차량-탑재 장치 사이에서 비정상 접속을 검출하는 경우, 그 자신과 이러한 또다른 차량-탑재 장치의 동작은 정지된다. 그러므로, 차량(2)이 도난되고, 차량-탑재 장치들 중 어느 하나가 차량(2)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에도, 이는 차량-탑재 장치들의 그룹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절도자의 절도 의욕을 깨뜨릴 수 있고, 그에 따라 차량(2)을 도난으로부터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난방지, 암호화, 복호화, 데이터 통신, 차량 탑재 장치, 공개키, 비밀키, 통신 체크, 접속 확인

Description

도난방지 시스템{ANTITHEFT SYSTEM}
본 발명은 차량 등과 같이 서로 접속된 탑재 장치들(onboard devices)을 포함하는 물체가 도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난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난방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도난 신호가 수신되면, 엔진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도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가 존재한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2-59812호 참조).
그러나, 차량으로부터 장치 그 자체가 제거되면, 종래 기술을 이용하는 장치는 차량이 도난되는 것을 방지하는 예상된 기능성을 적절하게 실행할 수 없다, 즉 장치는 엔진이 시동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도난방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도난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는 것이 예상될 수 있다.
전술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도난방지 시스템은, 절도 의욕을 크게 감소/저하시킴으로써, 차량과 같이 탑재 장치들을 포함하는 물체가 도난되는 것을 적절하게 방지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과 같이 탑재 장치들을 포함하는 물체의 장치들 중 하나는, 그 자신 및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의 동작을 시동시키기 전에 전기적 접속을 체크하기 위해서,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와 통신한다. 전기적 접속 또는 '통신'이 체크되지 않는 경우, 도난방지 시스템은 그 자신 및 다른 장치들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이들 양쪽 모두의 동작을 제한한다.
그러므로, 탑재 장치들을 포함하는 물체가 도난되고, 서로 접속된 탑재 장치들 중 어느 하나가 물체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탑재 장치들 중 하나와 다른 장치들 사이의 접속의 비정상이 검출될 것이다. 이는, 장치 및 다른 탑재 장치들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 또는 선택적으로 장치 및 다른 탑재 장치들의 제한된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 중 어느 한 쪽을 트리거하고, 장치들의 그룹인 전체 시스템으로 하여금 적절하게 작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난방지 시스템이 부착된 탑재 장치들을 포함하는 물체는, 절도자가 절도를 가치 없다고 생각하게 만들고, 절도자의 절도 의욕을 저하시킴으로써 절도자가 차량을 절도하려는 것을 적절하게 방지한다.
이 경우, 통신 체크 동작을 위해서, 탑재 장치들을 포함하는 물체의 탑재 장치들의 그룹은 탑재 장치들의 다른 그룹과 통신할 수도 있고, 또는 탑재 장치들을 포함하는 물체의 모든 장치는 다른 탑재 장치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체크 동작의 대상은 모든 탑재 장치들 중 일부일 수도 있고, 또는 모든 탑재 장치들일 수도 있다. 더욱이, 다른 장치들과의 통신 체크 동작에서 비정상을 검출한 장치 그 자체의 동작만 제한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장치들의 동작만 제한될 수도 있다.
모든 탑재 장치들 사이에서 각각 통신이 체크되면, 소정의 통신 비정상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제거된 장치와 제거되지 않은 장치들 사이에서의 통신의 실패(loss) 때문에, 소정의 제거된 장치가 검출될 수 있다. 그 결과, 제거되지 않은 장치들은 작동을 정지하거나 또는 제거되지 않은 장치들은 그 고유의 동작을 제한하고, 시스템인 장치들의 그룹이 적절하게 작동하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이 경우, 통신 체크 동작의 대상은 또한 모든 탑재 장치들 중 일부일 수도 있고, 또는 모든 탑재 장치들일 수도 있다.
장치와 다른 장치 사이의 통신은 암호화된 통신을 통해 체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통신 체크 동작에서 복호화(deciphering)가 방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시스템의 보안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칭키 암호방식 또는 공개키 암호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탑재 장치들 중 하나는 다른 탑재 장치들과의 통신을 체크하기 위한 제어기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모든 탑재 장치가 서로 통신하는 통신 체크 동작과 비교하여 볼 때, 통신 체크 동작의 제어가 단순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시스템이 손쉽게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로 설정된 탑재 장치들 중 하나는 대응 장치에 대한 공개키(public key)를 유지하고, 대응 장치는 제어기로 설정된 장치에 저장된 공개키와 쌍을 이루는 비밀키(private key)를 유지한다. 이들 키(즉, 제어기의 공개키 및 대응 장치의 비밀키)를 이용함으로써, 암호화된 통신을 통해 2개의 이들 장치 사이의 통신 체크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체크 동작의 단계들은 안전하게 비밀로 유지될 수 있고, 제어기가 제거되고, 제어기의 공개키가 복호화되는 경우에도 시스템의 보안성이 향상될 수 있는데, 이는 대응 장치가 그 고유의 비밀키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어기로 설정된 탑재 장치들 중 하나는 외부 설비와의 통신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제어기로 설정된 탑재 장치는 예를 들어 전화망을 이용하여 도난방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송신된 도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로 설정된 탑재 장치들 중 하나는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다른 탑재 장치들과의 통신을 체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소정의 탑재 장치들과의 통신 체크 동작은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와의 통신 체크 동작 이전에 실행될 수 있다.
제어기로 설정된 탑재 장치들 중 하나는 먼저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 중 일부와의 통신을 체크한 다음,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 중 일부와의 정상 통신 체크 동작을 검출하고,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 중 일부의 동작을 시동시킨 후에, 모든 다른 탑재 장치들과의 통신을 체크한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엔진 ECU와의 통신은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 이전에 체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른 장치들과의 통신을 체크하기 전에 유리하게 엔진 ECU를 시동시킴으로써, 시스템의 유용성(usefulness)이 향상될 수 있다.
제어기로 설정된 탑재 장치는, 최소 임계값보다는 길고 최대 임계값보다는 짧은 소정의 간격으로 다른 탑재 장치들과의 통신을 체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 체크 동작이 필요 이상으로 자주 실행되면, 절도자가 통신 체크 동작에 이용된 단계들의 암호화된 코드를 복호화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이 문제점에 관하여, 최소 임계값보다 긴 소정의 간격으로 통신을 체크하면, 절도자가 통신 체크 동작의 단계들을 복호화하는 기회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신이 필요보다 덜 빈번하게 체크되면, 차량으로부터 탑재 장치들이 제거되는 경우 제거된 장치들을 오용하기 위한 보다 긴 시간 주기를 절도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문제점에 관하여, 최대 임계값보다 짧은 소정의 간격으로 통신을 체크하면, 보다 긴 시간 주기 동안 제거된 장치들을 절도자가 오용하는 것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어기로 설정된 장치에 의해 최대 임계값보다 긴 간격으로 또는 최소 임계값보다 짧은 간격으로 통신이 체크될 때, 다른 탑재 장치들은 그 고유의 동작을 정지할 수도 있고, 또는 그 고유의 동작을 제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기로 설정된 장치에 의한 통신이 부정한 행위 때문에 적절하게 체크될 수 없는 경우에도, 다른 탑재 장치들은 적절하게 그 고유의 동작을 정지할 수도 있고, 또는 그 고유의 동작을 제한할 수도 있다.
소정 이상의 시간 주기 동안 제어기에 의해 통신이 체크되지 않을 때, 다른 장치들은 제어기로 설정된 장치에 의해 통신 체크 동작이 실행되도록 프로그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시스템은, 장치들의 나머지가 제어기로 설정된 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주기 동안 통신을 체크하지 않는 것을 방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전체 시스템의 전압이 강하될 때, 전체 시스템의 전압 강하에 의해 야기된 다른 탑재 장치들과의 통신 체크 동작의 실패가 방지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통신 체크 동작 대상인 각 탑재 장치에 접속된 장치 및 이들 장치에 대한 통신 체크 동작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3은 통신 ECU(3)가 다른 탑재 장치들과의 통신을 체크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4는 통신 ECU(3)가 엔진 ECU(4)와의 통신을 체크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6은 각 탑재 장치들의 공개키 및 비밀키를 도시한 도면.
도7은 제어 장치들, 접속된 장치들(통신 체크 동작 대상들) 및 제어대상 장치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1 실시예)
여기서,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즉, 탑재 장치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한 본 발명의 적용)가 설명된다. 제1 실시예는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3항에 대응한다.
도1은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난방지 시스템(1)은, 차량(2)(본 발명에서, 탑재 장치들을 포함하는 물체)에서 서로 접속된 통신 ECU(3),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를 포함한다. 제1 통신 라인(7)은 통신 ECU(3), 엔진 ECU(4) 및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을 접속시키고, 제2 통신 라인(8)은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를 접속시킨다.
이들 각 장치들(즉, 통신 ECU(3),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은 다른 탑재 장치들과의 전기적 접속 또는 '통신'을 체크한다. 이 경우, 통신 ECU(3)는 제1 통신 라인(7)을 통해 엔진 ECU(4)와의 통신을 체크한다. 통신 ECU(3)는 제1 통신 라인(7)을 통해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과의 통신도 체크한다. 또한, 통신 ECU(3)는 제1 통신 라인(7),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제2 통신 라인(8)을 통해 에어-컨디셔너 ECU(6)와의 통신을 체크한다.
전술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다음의 각 장치들(즉,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은 다른 장치들에 대한 통신을 체크한다. 도2는 통신 체크 동작 관계들 및 제어기에 대한 각 탑재 장치들의 통신 체크 동작 경로들의 리스트를 도시한다. 통신 체크 동작에 관하여, 다음의 각 장치들(즉, 통신 ECU(3),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은 데이터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통신을 체크한다. 데이터 통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정상 통신으로 검출되고, 데이터 통신이 완료되지 않으면, 통신 실패로 간주된다.
전술된 동작 방식에 있어서, 차량(2)이 "도난" 상태에 있는 경우 전화망을 통해 도난 신호를 수신하면, 통신 ECU(3)는 도난방지 서비스 센터(9)로 현재 위치 신호를 송신한다.
다음에,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전술된 방식의 동작이 설명된다. 이 경우, 통신 ECU(3)는 다른 장치들과의 통신을 보장하기 위한 예로서 취해진다. 통신 ECU(3)는 제1 통신 라인(7)을 통해 엔진 ECU(4)와의 통신을 체크한다(단계(S1)). 통신 ECU(3)가 엔진 ECU(4)와의 성공적인 데이터 통신을 검출하면, 통신 ECU(3)와 엔진 ECU(4) 사이의 통신이 정상인 것으로 판정된다(단계(S2) : 예).
다음에, 통신 ECU(3)는 제1 통신 라인(7)을 통해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과의 통신을 체크한다(단계(S3)). 통신 ECU(3)가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과의 성공적인 데이터 통신을 검출하면, 통신 ECU(3)와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사이의 통신이 정상인 것으로 판정된다(단계(S4) : 예).
다음에, 통신 ECU(3)는 제1 통신 라인(7),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제2 통신 라인(8)을 통해 에어-컨디셔너 ECU(6)와의 통신을 체크한다(단계(S5)). 통신 ECU(3)가 에어-컨디셔너 ECU(6)와의 성공적인 데이터 통신을 검출하면, 통신 ECU(3)와 에어-컨디셔너 ECU(6) 사이의 통신이 정상인 것으로 판정된다(단계(S6) : 예).
다음에, 통신 ECU(3)는 전화망과의 통신을 체크한다(단계(S7)). 통신 ECU(3)가 전화망과의 정상 통신을 검출하면(단계(S8) : 예), 전화망을 통해 도난방지 서비스 센터(9)로부터 도난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단계(S9)). 통신 ECU(3)가 도난방지 서비스 센터(9)로부터 송신된 도난 신호가 없다는 것을 검출하 면(단계(S9) : 아니오), 통신 ECU(3)는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를 동작시키기 위한 정상 동작 신호를 출력한다(단계(S10)).
한편, 통신 ECU(3)와 엔진 ECU(4) 사이의 통신에서 비정상이 검출되면(단계(S2) : 아니오), 또는 통신 ECU(3)와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사이의 통신에서 비정상이 검출되면(단계(S4) : 아니오), 또는 통신 ECU(3)와 에어-컨디셔너 ECU(6) 사이의 통신에서 비정상이 검출되면(단계(S6) : 아니오), 통신 ECU(3)는 엔진 ECU(4) 또는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또는 에어-컨디셔너 ECU(6)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동작 신호를 송신한다(단계(S11)).
통신 ECU(3)와 전화망 사이의 통신에서 비정상이 검출되면(단계(S8) : 아니오), 또는 도난방지 서비스 센터(9)로부터 도난 신호의 수신이 검출되면(단계(S9) : 예), 통신 ECU(3)는 또한 엔진 ECU(4) 또는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또는 에어-컨디셔너 ECU(6)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동작 신호를 출력한다(단계(S11)).
전술된 프로세스를 통해,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와의 통신 및 전화망과의 통신이 정상이고, 도난방지 서비스 센터(9)로부터 송신된 도난 신호가 없다는 조건 하에서, 통신 ECU(3)는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킨다. 이와 달리,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와의 통신 또는 전화망과의 통신이 비정상이거나, 또는 도난방지 서비스 센터(9)로부터 송신된 도난 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통신 ECU(3)는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전술된 경우에 있어서,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 대신에, 통신 ECU(3)는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의 동작을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장치들과의 통신이 정상인 경우에는, 통신 ECU(3)는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다른 장치들과의 통신이 비정상인 경우에는, 통신 ECU(3)는 그 고유의 동작을 정지할 수도 있고, 또는 그 고유의 동작을 제한할 수도 있다.
다음에, 전술된 통신 체크 동작의 상세가 설명된다. 도4에 있어서, 통신 ECU(3)와 엔진 ECU(4) 사이의 통신 체크 동작의 단계들이 대표적인 경우로서 취해진다.
통신 ECU(3)는 난수(X1)를 생성하고(단계(T1)), 난수(X1)를 포함하는 신호(m1)를 엔진 ECU(4)로 송신한다. 통신 ECU(3)로부터 신호(m1)를 수신하면, 엔진 ECU(4)는 신호(m1)로부터 난수(X1)를 추출하고, 난수(X1)를 암호화하여 난수(X2)를 생성하며(단계(T2)), 난수(Y1)를 생성한다(단계(T3)). 다음에, 엔진 ECU(4)는 난수(X2 및 Y1)를 포함하는 신호(m2)를 통신 ECU(3)로 송신한다.
엔진 ECU(4)로부터 신호(m2)를 수신하면, 통신 ECU(3)는 신호(m2)로부터 난수(X2 및 Y1)를 추출하고, 난수(X2)를 식별하여 엔진 ECU(4)에서 암호화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T4)). 통신 ECU(3)가 엔진 ECU(4)에서의 정상 암호화를 검출하면, 통신 ECU(3)는 난수(Y1)를 암호화하여 난수(Y2)를 생성하고(단계(T5)), 난수(Y2)를 포함하는 신호(m3)를 엔진 ECU(4)로 송신한다.
통신 ECU(3)로부터 신호(m3)를 수신하면, 엔진 ECU(4)는 신호(m3)로부터 난수(Y2)를 추출하고, 난수(Y2)를 식별하여 통신 ECU(3)에서 암호화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T6)). 엔진 ECU(4)가 통신 ECU(3)에서의 정상 암호화를 검출하면, 엔진 ECU(4)는 신호(m4)를 통신 ECU(3)로 송신한다. 통신 ECU(3)는 엔진 ECU(4)로부터 신호(m4)를 수신하여 엔진 ECU(4)와의 정상 데이터 통신을 검출하고, 통신 ECU(3)와 엔진 ECU(4) 사이의 통신 체크 동작을 완료한다.
통신 ECU(3)는 전술된 단계에서의 데이터 통신의 암호화를 통해 엔진 ECU(4)와의 통신을 체크하고, 통신 ECU(3)는 데이터 통신의 암호화를 통해 동일한 방식으로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와의 통신도 체크한다. 다른 장치들 사이의 통신 체크 동작도 데이터 통신의 암호화를 통해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된다.
난수(X1 및 Y1)는 이들이 통신 체크 동작마다 랜덤하게 생성되면 통신 체크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암호화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ECU(3) 및 엔진 ECU(4)가 이들의 메모리에 다수의 난수를 저장하고, 통신 체크 동작 세션마다 서로 이들이 이용하는 난수를 통지함으로써, 전술된 방식이 실현될 수 있다. 난수를 결정하는 선택적인 방식은, 난수의 소정의 순차 순서가 비-휘발성 메모리에 유지되고, 통신 ECU(3)와 엔진 ECU(4) 사이의 순서에 따라 난수가 취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도난방지 시스템의 동작 방식은, 차량(2)의 각 탑재 장치들(즉, 통신 ECU(3),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 컨디셔너 ECU(6))에 의해 실행되는 통신 체크 동작 프로세스에서 비정상이 검출되면, 다른 장치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프로그램된다. 차량(2)이 도난되고, 탑재 장치들 중 하나가 제거되면, 탑재 장치들의 전체 시스템이 적절하게 작동되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그 결과, 절도자가 절도를 가치 없다고 생각하게 만들고, 그에 따라 절도 의욕이 크게 감소될 것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적절한 방식으로 차량(2)을 도난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통신 체크 동작의 단계들은 탑재 장치들 사이의 통신 체크 동작의 암호화된 데이터에 의해 보호되고, 그에 따라 도난방지 시스템의 보안성이 향상된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설명된다. 이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 부분은 생략되고, 단지 차이점만 설명된다. 제2 실시예는 청구범위 제1항, 제4항 및 제11항에 대응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다음의 각 장치들(즉, 통신 ECU(3),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은 다른 장치들과의 통신을 보장하도록 프로그램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ECU(3)는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와의 통신을 체크하고,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에 의한 통신 체크 동작은 제거된다. 다시 말하면, 통신 ECU(3)는 본 발명의 제어 장치로 프로그램된다.
이 동작 방식에 있어서, 통신 ECU(3)는 먼저 차량(2)이 도난 상태에 있는지 또는 없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21)). 차량(2)이 도난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 에는(단계(S21) : 아니오), 통신 ECU(3)는 엔진 ECU(4)와의 통신을 체크한다(단계(S22)). 엔진 ECU(4)와의 통신 체크 동작이 정상으로 판정되면(단계(S23) : 예),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와의 통신을 체크하기 전에 엔진 ECU(4)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통신 ECU(3)는 정상 동작 신호를 엔진 ECU(4)로 출력한다(단계(S24)).
다음에, 통신 ECU(3)는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과의 통신을 체크한다(단계(S25)).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과의 통신 체크 동작이 정상으로 판정되면(단계(S26) : 예), 통신 ECU(3)는 에어-컨디셔너 ECU(6)와의 통신을 체크한다(단계(S27)). 에어-컨디셔너 ECU(6)와의 통신 체크 동작이 정상으로 판정되면(단계(S28) : 예), 통신 ECU(3)는 전화망과의 통신을 체크한다(단계(S29)).
전화망과의 통신 체크 동작이 정상으로 판정되면(단계(S30) : 예), 통신 ECU(3)는 전화망을 통해 도난방지 서비스 센터(9)로부터 도난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31)). 도난방지 서비스 센터(9)로부터 도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단계(S31) : 아니오),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통신 ECU(3)는 정상 동작 신호를 이들 장치로 출력하고(단계(S32)), 차량(2)이 도난 상태에 있지 않다는 것을 기억한다(단계(S33)).
이와 달리, 차량(2)이 도난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단계(S21) : 예), 통신 ECU(3)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단계(S1) 내지 단계(S11)에 대응하는 단계(S34) 내지 단계(S44)의 프로세스를 따르고, 차량(2)이 도난 상태에 있다는 것을 기억한다(단계(S45)).
전술된 프로세스를 실행함으로써, 엔진 ECU(4)와의 통신 체크 동작이 정상으로 판정되면,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와의 통신을 체크하기 전에 엔진 ECU(4)의 동작을 시동시키기 위해서, 통신 ECU(3)는 제1 실시예에서 이용된 것과 상이한 시나리오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엔진 ECU(4)는 지연 없이 먼저 시동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은 데이터 통신의 암호화를 통해 체크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ECU(3)는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에 대한 특정 공개키를 유지하고, 대응 비밀키들은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에 의해 유지된다. 엔진 ECU(4)와의 통신이 체크될 때, 통신 ECU(3)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해 엔진 ECU(4)에 대한 특정 공개키를 이용하고, 이를 엔진 ECU(4)로 송신한다. 엔진 ECU(4)는 엔진 ECU(4)에 대한 대응 비밀키를 이용하여 통신 ECU(3)로부터의 데이터를 복호화(decrypting)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ECU(3)는, 최소 임계값보다는 길고 최대 임계값보다는 짧은 소정의 간격으로 다른 탑재 장치들과의 통신을 보장하도록 프로그램된다. 이 경우, 소정 간격의 하한 및 상한은 시스템 그 자체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또는 시스템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최대 임계값보다 긴 간격으로 또는 최소 임계값보다는 짧은 간격으로 통신이 체크되면(즉, 통신 체크 동작의 타이밍이 비정상이면), 다음의 각 장치들(즉,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은 그 고유의 동작을 정지하거나 또는 그 고유의 동작을 제한하도록 프로그램된다.
게다가,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는, 소정의 시간 주기 동안 통신 ECU(3)에 의해 체크되는 통신이 시작되지 않을 때에 통신을 보장하도록 프로그램된다. 이 경우, 소정의 시간 주기는 시스템 그 자체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고, 또는 시스템의 사용자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차량(2)의 탑재 장치들 사이에서, 통신 ECU(3)는 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와 같은 다른 장치들과의 통신을 체크한다. 통신 체크 동작 중에 비정상이 검출되면, 시스템은 다른 탑재 장치들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프로그램된다. 그러므로, 탑재 장치들 중 어느 하나가 도난 상태에 있는 차량(2)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이 동작 방식은 시스템이 장치들의 그룹으로 적절하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절도자는 차량(2)을 절도하는 것이 가치 없다고 생각하게 되고, 절도 의욕이 저하되어, 차량(2)을 도난으로부터 적절하게 보호하게 될 것이다.
통신 ECU(3)만이 다른 탑재 장치들(즉,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과의 통신을 보장하도록 프로그램되면, 제1 실시예에서의 동작 방식과 비교하여 볼 때, 도난방지 시스템의 제어가 단순화될 수 있고, 시스템이 손쉽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 ECU(3)는 각 다른 탑재 장치들에 대한 특정 공개키를 유지하고,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는 그 고유의 비밀키들을 유지하며, 시스템은 이들 공개키 및 비밀키를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의 암호 화를 통해 통신을 보장하도록 프로그램된다. 그러므로, 시스템의 보안성이 향상되고, 통신 체크 동작의 단계들은 손쉽게 복호화될 수 없는데, 이는 통신 ECU(3)가 차량(2)으로부터 제거되고, 통신 ECU(3)의 공개키가 복호화되는 경우에도, 암호화의 비밀키가 다른 탑재 장치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이다.
엔진 ECU(4)와의 통신 체크 동작이 정상으로 판정되면,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와의 통신을 체크하기 전에 엔진 ECU(4)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통신 ECU(3)는 정상 동작 신호를 엔진 ECU(4)로 출력한다. 이 동작 방식은 시스템으로 하여금 엔진 ECU(4)를 지연없이 먼저 시동시키도록 하여, 시스템의 유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통신 ECU(3)는, 최소 임계값보다 길고 최대 임계값보다 짧은 소정의 간격으로 다른 탑재 장치들과의 통신을 보장하도록 프로그램된다. 통신이 필요 이상으로 자주 체크되면, 절도자가 통신 체크 동작에 이용된 단계들의 암호화된 코드를 복호화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이 문제점에 관하여, 최소 임계값보다 긴 소정의 간격으로 통신을 체크하면, 절도자가 통신 체크 동작의 단계들을 복호화하는 기회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신이 필요보다 덜 빈번하게 체크되면, 차량(2)으로부터 탑재 장치들이 제거되는 경우 제거된 장치들을 오용하기 위한 보다 긴 시간 주기를 절도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문제점에 관하여, 최대 임계값보다 짧은 소정의 간격으로 통신을 체크하면, 절도자가 제거된 장치들을 오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신 ECU(3)에 의해 소정의 최대 주기보다 긴 간격으로 또는 소정의 최소 주기보다 짧은 간격으로 통신이 체크될 때,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와 같은 장치들은 그 고유의 동작을 정지하거나 또는 그 고유의 동작을 제한하도록 프로그램된다. 이와 같이, 통신 ECU(3)에 의한 통신 체크 동작이 부정한 행위 때문에 적절하게 실행될 수 없는 경우에도,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는 적절하게 그 고유의 동작을 정지할 수도 있고, 또는 그 고유의 동작을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소정의 시간 주기 동안 통신이 체크되지 않을 때,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는 통신 ECU(3)에 의해 통신 체크 동작이 실행되도록 프로그램된다. 이와 같이, 시스템은, 엔진 ECU(4),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가 소정의 시간 주기 동안 통신을 체크하지 않는 것을 방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도7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가 설명된다.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 부분은 제거되고, 단지 상이한 부분만 설명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ECU(3)만이 제어 장치로서 통신을 체크한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ECU(3) 및 엔진 ECU(4)가 통신을 보장하기 위한 제어 장치로 간주된다.
이 경우, 통신 ECU(3) 및 엔진 ECU(4)는 모두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를 제어할 것이고,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5) 및 에어-컨디셔너 ECU(6)의 제한된 동작의 정도는 보다 큰 제한이 보다 작은 것을 오버라이드(override)하는 원칙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그러므로, 내부 구조의 폭로 (revelation) 때문에 통신 ECU(3)가 제어 장치로 사용될 수 없는 경우에도, 엔진 ECU(4)가 제어 장치로 작동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탑재 장치들이 적절하게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동작 방식은, 절도자가 차량(2)을 절도하는 것이 가치 없다고 생각하게 만들고, 절도 의욕을 저하시켜, 차량(2)을 도난으로부터 적절하게 보호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음으로 수정 또는 강화될 수 있다.
이 동작 방식은 차량(2)의 탑재 장치들 뿐만 아니라 다른 유형의 장치에 탑재된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
통신 체크 동작 기능이 모든 장치에 설치되는 경우, 이들 장치 사이에 접속하는 와이어-설비(wire-harness)는 또한 상이한 수의 신호를 수용하기 위해 독점적인(proprietary) 구조를 갖도록 수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설비의 독점적인 구조는, 절도 의욕을 저하시킴으로써 차량(2)이 도난되는 것을 적절하게 방지할 것이고, 차량(2)이 도난된 상태에서 탑재 장치들이 제거될 때의 손해의 범위도 또한 억제될 수 있다.

Claims (11)

  1. 상호접속된 탑재 장치들을 포함하는 물체의 도난을 제한하는 도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는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와의 통신을 체크하기 위해 통신 체크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가,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와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 사이에서의 통신이 정상이라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는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의 정상 동작 및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의 정상 동작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가,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와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 사이에서의 통신이 비정상이라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는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의 동작 및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의 제한된 동작 및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의 제한된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도난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 장치들 모두는 각각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와의 통신 체크 동 작을 실행하는
    도난방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와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 사이에서의 통신 체크 동작은 이들 사이에 전달되는 데이터의 암호화를 통해 실행되는
    도난방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는 제어기로 설정되고,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와의 통신 체크 동작을 실행하는
    도난방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로 설정된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는 복수의 공개키를 저장하고 - 여기서, 상기 복수의 공개키는 각각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 중 대응하는 장치에 대해 특정함 -,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는 각각 상기 고유의 특정 공개키와 쌍을 이루는 고유의 특정 비밀키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기로 설정된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와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 사이에서의 통신 체크 동작은 이들 사이에 전달되는 데이터의 암호화를 통해 실행되고, 상기 데이터의 암호화는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에 저장된 비밀키들 및 상기 제어기로 설정된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에 저장된 공개키들의 이용을 통해 실행되는
    도난방지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로 설정된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는 외부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통신 능력을 갖는
    도난방지 시스템.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로 설정된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는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와의 통신 체크 동작을 실행하는
    도난방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로 설정된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는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 중 하나 또는 그 이상과의 통신 체크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제어기로 설정된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가,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와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사이에서의 통신이 정상이라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로 설정된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는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상 동작을 가능하게 한 다음,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제외한 장치들과의 통신 체크 동작을 실행하는
    도난방지 시스템.
  9.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로 설정된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는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와의 통신 체크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소정의 간격은 소정의 최소 임계 간격보다는 길고, 소정의 최대 임계 간격보다는 짧은
    도난방지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로 설정된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소정의 최대 임계 간격보다는 긴 간격으로 또는 상기 소정의 최소 임계 간격보다는 짧은 간격으로 상기 통신 체크 동작이 실행될 때,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는 그 고유의 동작을 정지하거나, 또는 그 고유의 제한된 동작을 실행하는
    도난방지 시스템.
  11.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소정 이상의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어기로 설정된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에 의해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와의 통신 체크 동작이 실행되지 않을 때,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는 상기 제어기로 설정된 상기 탑재 장치들 중 하나로 상기 탑재 장치들의 나머지와의 통신 체크 동작을 실행하도록 요구하는
    도난방지 시스템.
KR20057011438A 2003-06-12 2004-06-11 도난방지 시스템 KR100688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67728 2003-06-12
JP2003167728A JP3991927B2 (ja) 2003-06-12 2003-06-12 盗難防止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5798A KR20050085798A (ko) 2005-08-29
KR100688433B1 true KR100688433B1 (ko) 2007-03-02

Family

ID=3354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11438A KR100688433B1 (ko) 2003-06-12 2004-06-11 도난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26487B2 (ko)
JP (1) JP3991927B2 (ko)
KR (1) KR100688433B1 (ko)
CN (1) CN100366475C (ko)
DE (1) DE112004000132T5 (ko)
WO (1) WO20041108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15212B4 (de) * 2006-03-30 2017-05-04 Bundesdruckerei Gmbh Verfahren zum Schutz eines beweglichen Gutes, insbesondere eines Fahrzeugs, gegen unberechtigte Nutzung
JP4820697B2 (ja) * 2006-06-20 2011-11-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セキュリティ制御装置
US8151118B2 (en) * 2007-01-29 2012-04-03 Microsoft Corporation Master-slave security devices
US20080184341A1 (en) * 2007-01-29 2008-07-31 David Jaroslav Sebesta Master-Slave Protocol for Security Devices
GB0712394D0 (en) * 2007-06-27 2007-08-01 Modec Ltd Control system for a battery powered vehicle
DE102007037685A1 (de) * 2007-08-10 2009-02-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omechanische Feststellbremse für ein Kraftfahrzeug
JP5244431B2 (ja) * 2008-03-25 2013-07-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異常検出装置、異常情報送信方法、異常情報送信システム
WO2009132680A1 (en) * 2008-05-02 2009-11-05 Tomtom International B.V.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ES2446974T3 (es) * 2011-02-08 2014-03-11 Delphi Technologies Holding S.À.R.L. Método y aparato para la seguridad de vehículos
JP5310761B2 (ja) 2011-03-04 2013-10-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9135799B2 (en) 2013-02-15 2015-09-15 Xfmrs, Inc. Theft detection in HVAC unit having persistent alarm
DE102013104872A1 (de) 2013-05-13 2014-11-1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iebstahlprävention bei Fahrzeugteilen
JP6836340B2 (ja) * 2015-09-29 2021-02-2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不正検知電子制御ユニット、車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WO2018007015A1 (de) 2016-07-04 2018-01-11 Sew-Eurodrive Gmbh & Co. Kg Sicherheits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ystems
DE102019113818B4 (de) * 2018-05-31 2023-03-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ktronische steuerungseinrichtung, überwachungsverfahren, programm und gateway-einrichtung
JP2022094017A (ja) * 2020-12-14 2022-06-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9648A (en) * 1989-08-10 1993-07-20 Autosafe International, Inc. Multi element security system
JP2565596B2 (ja) * 1990-12-28 1996-12-1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セキュリティ装置
JP3137443B2 (ja) * 1992-07-17 2001-02-19 マツダ株式会社 盗難防止装置
US5675490A (en) * 1993-08-20 1997-10-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Immobilizer for preventing unauthorized starting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DE4418069C1 (de) * 1994-05-24 1995-08-24 Daimler Benz Ag Sicherungseinrichtung mit elektronisch codierter Zugangsberechtigung für ein Fahrzeug
DE19508369C2 (de) * 1995-03-10 1998-01-29 Daimler Benz Ag Verfahren zur Sicherung von Fahrzeugen vor unbefugter Nutzung
DE19652256A1 (de) * 1996-12-16 1998-06-1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Sicherung der Datenübertragung
US5982894A (en) * 1997-02-06 1999-11-09 Authentec, Inc. System including separable protected components and associated methods
JPH10278691A (ja) * 1997-04-11 1998-10-20 Honda Motor Co Ltd 車載通信装置
US6111888A (en) * 1997-05-27 2000-08-29 Micro Motion, Inc. Deterministic serial bus communication system
WO2002001527A1 (fr) * 2000-06-27 2002-01-0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ysteme d'indication de connexion defectueuse d'un dispositif de bord et dispositif de bord
JP2002059812A (ja) 2000-08-15 2002-02-26 Pioneer Electronic Corp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5798A (ko) 2005-08-29
CN1805870A (zh) 2006-07-19
CN100366475C (zh) 2008-02-06
JP2005001534A (ja) 2005-01-06
US7626487B2 (en) 2009-12-01
US20060090204A1 (en) 2006-04-27
DE112004000132T5 (de) 2005-10-27
WO2004110832A1 (ja) 2004-12-23
JP3991927B2 (ja) 200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433B1 (ko) 도난방지 시스템
CA295314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ehicle security
US7961076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mote control of vehicle devices and vehicle lock-out notification
US8048174B2 (en) Theft prevention system
US9571284B2 (en) Controlling access to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a vehicle using a cryptographic key
US20060115085A1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plurality of nodes sharing a common cipher key, cipher key dispatching apparatus for use in the system, and anti-theft apparatus utilizing information derived from cipher key utilization
US20170118023A1 (en) Method for authorizing a software update in a motor vehicle
EP3348036A1 (en) Unauthorized access event notificaiton for vehicle electronic control units
EP31674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ehicle security
US20200045025A1 (en) Secure control and access of a vehicle
CN111294795B (zh) 用于实现车内通信的系统
JP2005203882A (ja) 通信システム及び鍵送信方法
EP0740037A1 (en) Security device
US9893886B2 (en) Communication device
CN111294771A (zh) 车载设备、用于实现车内通信的系统和相关方法
JP7410313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を暗号で保護するための方法
KR100958109B1 (ko) 차량의 전장품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CN101493694B (zh) 具有验证装置的汽车的车载网络系统
KR102411797B1 (ko) 하드웨어 기반의 차량 사이버보안시스템
JP4608857B2 (ja) 接続確認情報管理システム
RU2686610C1 (ru) Автомобильное противоуг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KR20230086016A (ko) 차량의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2007462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CN117014132A (zh) 车载通信方法中的车辆变体码的更新方法及车载通信系统
CN114684069A (zh) 一种车辆防盗的启动授权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