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546B1 -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혈압억제제 - Google Patents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혈압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546B1
KR100687546B1 KR1020017000540A KR20017000540A KR100687546B1 KR 100687546 B1 KR100687546 B1 KR 100687546B1 KR 1020017000540 A KR1020017000540 A KR 1020017000540A KR 20017000540 A KR20017000540 A KR 20017000540A KR 100687546 B1 KR100687546 B1 KR 100687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d
composition
extract
rice bran
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2668A (ko
Inventor
키무라아키히코
오모리마사키
타카다아츠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학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학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학코
Publication of KR20010072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겨ㆍ콩발효 추출물 및 커피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및 혈압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을 함유하는 사료를, 시험군1에 자유롭게 섭취시킨 후, 본 발명의 SOD활성, 과산화지질치 및 혈압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을 섭취하지 않은 대조군1, 및 쌀겨ㆍ콩발효 추출물을 섭취한 대조군2와 비교하여, 시험군1의 혈중SOD활성은 의미있게 높고, 과산화지질량은 의미있게 저하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게다가, 본 발명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을 섭취시킨 결과, 시험군1에서는, 대조군1 및 대조군2보다도 혈압상승이 억제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은, 쌀겨ㆍ콩발효 추출물과 커피콩 추출물의 상승효과에 의해서, 보다 높은 SOD활성과 과산화지질의 억제효과 및 혈압상승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Description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혈압억제제{Composition having SOD activity, and blood-pressure controlling agent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쌀겨ㆍ콩발효 추출물 및 커피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및 혈압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활성산소가 원인으로 되는 각종 병, 예컨대, 혈류장해에 의한 병(심근경색, 뇌졸중, 고혈압, 생리통, 어깨뻐근함, 신경통, 요통, 숙취 등), 성인병ㆍ내과질환(암, 신장염, 간염, 당뇨병 등), 미용ㆍ피부병(기미, 주근깨, 피부거칠어짐, 냉증, 변비, 주름, 아토스성 피부염 등) 등의 치료, 개선 등에 널리 이용될 수 있는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및 혈압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슈퍼옥시드디스뮤타제(이하, SOD라함)는, 산소분자의 1전자환원으로 생성하는 슈퍼옥시드라디칼(O2 -)의 불균화반응(아래식)을 확산율속에 가까운 속도로 반응시키는 촉매이고, 세포 내의 O2 -농도를 저하시키는 효소이다.
2O2 -+2H+→H2O2+O2
O2 -로 대표되는 활성산소종은, 통상, 생체 내에 있어서 활성화된 마이크로파지 등의 식세포로부터 생산되고, 살균작용이나 살종양작용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들의 활성산소종에는 선택독성이 없고, 정상세포에도 작용할 수 있으므로, 생체에 대해 각종 장해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컨대, 지질의 과산화에 의한 막의 손상, 단백질의 산화수식에 의한 단백질의 구조변화, DNA의 절단 등의 결과, 세포에 장해작용을 나타내고, 여러가지 질병의 원인으로 되는 것이 명확하다.
따라서, O2 -의 제거효소인 SOD는, 활성산소종으로부터 생체를 지키기 위하여 존재하는 것이고, 이 활성산소종을 원인으로 하여 생긴다고 생각되는 병 등에 유효하다는 관점에서, 최근, 그 반응기구, 생리기구 등이 연구되고 있다[「활성산소-생물에서의 생성ㆍ소거ㆍ작용의 분자기구」(신장판 2쇄, 쿄오리츠출판 주식회사 발행, 나카노 미노루 등 편저)223 내지 230페이지)]. 또한, 암세포에서는 SOD활성이 낮고, 게다가, SOD와 발암과의 직접인과관계는 명확하지 않지만, SOD 또는 SOD유사 물질을 암세포에 주입하면, 증식을 억제한다라는 보고도 있다(동 64페이지). 안전하고 또한 SOD작용(활성산소농도를 감소시키는 작용뿐만 아니라, 이것을 원인으로하여 생긴다고 생각되는 각종 병의 예방, 개선의 작용도 포함한다.)을 보유하고, 식품 등에 이용되는 것이면, 사람의 건강 및 미용에 있어서 매우 유용하고, 그 필요성은 아주 크다. 종래, 이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SOD작용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보유하고, 혈압상승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쌀겨ㆍ콩발효 추출물에 녹차 추출엑기스를 첨가한 활성산소억제 조성물 및 혈압억제제가 개발되어 있다(일본 특공평8-40호 공보).
또한, 최근에 생활환경, 특히 식생활의 서구화의 영향 등에 의해, 고혈압증은 증가추세로 되고, 의료면에 있어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고혈압증에는, 일차성과 이차성이 있고, 이차성 고혈압증은 쿠싱(cushing) 증후군, 신장혈관성 고혈압병 등 원인이 명확하지 않는 것이 많지만, 일차성 고혈압증은 본능성 고혈압증이라고도 하며, 원인불명의 질환이다. 고혈압증과 같은 생활습관병 대책에는, 운동요법 및 식생활의 개선 등의 생활습관의 개선이 불가결하다. 그래서, 최근에는 의식이 불가분의 관계라는 생각 하에, 미각적으로 우수하며 건강에도 좋고, 생활습관병의 예방ㆍ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식품소재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커피생콩은, 탄닌성분인 클로로겐산류 외, 지질류, 탄수화물류, 단백질 및 카페인 등, 여러가지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최근, 커피가, 항변이원성, 산화방지 등의 각종 작용효과를 보유하는 것이 명확하게 되어 있고, 그 응용예로서, 예컨대, 클로로겐산류에 의한, ①비타민C의 안정화(일본 특개평6-9603호), ②천연향료의 열화방지(일본 특개평4-345693호), ③색소의 갈색방지제(일본 특개평5-32909호, 일본 특공평1-22877호), ④향미의 열화방지(일본 특개평6-38723호), ⑤위점막보호용 약제(일본 특공표63-502349) 외, ⑥Nβ-알카노일-5-히드록시트립타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제(일본 특개평8-157816호), ⑦클로로겐산을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커피아라비카(coffea arabica)종 추출물배합화장료(일본 특개평8-92057호) 등이 알려져 있다.
커피의 생리활성에 관한 최근의 연구는, 커피콩 안의 특정성분을 추출하여, 그 생리활성을 검토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커피콩 안의 성분은 수많은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들 전체를 분리, 동정하고, 생리활성을 검토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어느 특정성분뿐만 아니라, 복수의 성분의 상승효과가 있는 경우도 생각되지만, 이와 같은 상승효과에 관한 지견은 아직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것이 현상황이다. 게다가, 생체 외에서 효과가 보여진 물질을 생체 내에 경구투여해도, 소화기계 각처에 있어서의 소화, 흡수과정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반드시 동일한 효과를 거둔다고는 할 수 없다. 상기 대응예 중 ① 내지 ④ 및 ⑥은, 생체 외에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두 생체 외에 있어서의 효과에 관해서의 지견에 지나지 않고, 실제로 생체에 투여한 경우의 효과에 관해서는 어디에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응용예⑦는 인체로 사용하는 것은 있지만, 피부에 사용하는 화장료이기 때문에, 이것도 실제로 생체에 투여한 경우의 체내동태 및 효과에 관해서는 어디에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게다가, 상기 응용예⑤에서는, 클로로겐산이 생체 내에 투여되어 들어가지만, 그 효과는 주로 수축작용에 의한 위점막보호작용, 즉, 위점막 상에서 단백질과 결합하여 불용성침전물을 만들고, 이것이 피막으로 되어서 위점막을 보호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는 투여된 클로로겐산은 그다지 소화기에서 흡수되지 않는다고 생각되며, 커피콩 안의 성분이 소화기에서 흡수되어서, 전신에 어떠한 작용효과를 거두는가에 관해서는 불분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 현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종래로부터 SOD와 마찬가지의 작용을 가지고, 혈압억제작용을 거두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쌀겨ㆍ콩발효 추출물에, 커피콩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생체 내에 있어서 안전하고 또한 우수한 SOD작용을 거두는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및 혈압억제작용을 하는 혈압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전에 커피콩의 생리작용에 관해서 각종 검토한 결과, 커피콩 추출물이 SOD작용을 보유하고, 활성산소가 원인으로 되는 각종 병의 치료, 개선 등에 널리 이용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출원을 하고 있다(일본 특원평10-211739호). 게다가, 계속해서 커피콩 추출물의 작용에 관해서 검토한 결과, 종래로부터 SOD작용을 보유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쌀겨ㆍ콩발효 추출물에, 커피콩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쌀겨ㆍ콩발효 추출물을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보다 높은 SOD작용 및 우수한 혈압억제작용을 하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인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및 본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혈압억제제는, 쌀겨류, 콩류 및 탄소원을 함유하는 배지에 납두균 또는 고초균을 접종하고, 발효배양하여 얻어진 쌀겨ㆍ콩발효 추출물과, 커피콩 추출물을 함유하고, 상기 커피콩 추출물(고형분)의 함유량은, 상기 쌀겨ㆍ콩발효 추출물(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5 내지 7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쌀겨ㆍ콩발효 추출물」이란, 쌀겨류, 콩류 및 탄소원을 함유하는 배지에 납두균 또는 고초균을 접종하고, 발효배양하여 얻어지는 추출물이다. 상기 「 쌀겨ㆍ콩발효 추출물」로서는, 배양하여 얻어진 배양발효액을 여과한 그대로의 액이어도 좋고, 이것을 탈색 등의 후처리를 한 액이어도 좋고, 이것을 농축한 농축액이어도 좋다. 이 외에도, 분무건조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용매를 제거한 고형물이나 분말화한 분말물이어도 좋다.
상기 「쌀겨류」란, 쌀배아, 탈지쌀배아, 쌀겨, 탈지쌀겨 등을 말하고, 상기 「콩류」란, 탈지콩, 퀴닌분말, 콩분말, 콩찌꺼기, 이들의 가수분해물 등을 말한다. 또한, 상기 「탄소원」으로서는, 통상 이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글루코스, 덱스트린, 유당 및 녹말 등의 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상, 이들의 첨가비율은, 쌀겨류를 100중량부로 하는 경우, 콩류가 1 내지 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중량부이고, 탄소원은 20 내지 8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부이다. 이들의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균의 발육에 가장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상기 「배지」로서는, 상기 쌀겨류, 콩류 및 탄소원을 함유하여, 납두균 또는 고초균이 증식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통상은 물에 쌀겨류, 콩류 및 탄소원을 첨가한 액체배지가 이용되지만, 그 외, 이하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커피콩 추출액에 쌀겨류, 콩류 및 탄소원을 첨가한 액체배지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배지」는 통상은 액체배지이지만, 고형배지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납두균」 및 「고초균」은, 시판되고 있는 일반적인 납두균이나 고초균을 이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자연적, 또는 니트로소구아니딘 등의 화학물질, X선, 자외선 등에 의해 인위적 변이수단에 의해 얻어지고, 균학적 성질이 변이한 납두균이나 고초균의 변이주이더라도, SOD작용을 보유하는 쌀겨ㆍ콩발효 추출물을 생산하는 성질을 잃어버리지 않는 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상, 발효배양은 통기교반을 행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발효배양의 조건에 관해서는, 발효가 행해지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pH가 7.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10이고, 배양온도가 40 내지 45℃정도이다. 배지의 pH를 조절하는 경우는, 알카리제로서 탄산수소나트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배지원료로서는 프로테아제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콩펩티드를 더 분해하므로 유용하다.
상기 「커피콩」으로서는, 예컨대, 아라비카종, 롭스타종 및 리베리카종 등 중 어느 하나의 품종을 이용하여도 좋고, 그 산지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재배원지에 있어서 커피음료로서 생산된 커피콩은, 베이킹용에 선택되는 경우에 다량의 선외품이 분별제거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선외품도 상기 「커피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피콩」은, 생콩을 이용하는 쪽이 바람직하지만, 베이킹 후의 것이어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커피콩 추출물」로서는, 추출액을 여과한 그대로의 액이어도 좋고, 이것을 탈색 등의 후처리를 한 액이어도 좋고, 이것을 농축한 농축액이어도 좋다. 그 외에도, 분무건조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용매를 제거한 고형물이나 분말화한 분말물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커피콩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방법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원료인 커피콩은 미분쇄한 것이나, 분쇄한 것이어도 좋고, 추출물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한, 불순물제거 등의 전처리를 하여도 좋다. 추출용매로서는, 물 또는 열수 외, 에탄올, 초산에틸, n-헥산 등의 유기용매나, 이들의 유기용매와 물 또는 열수와의 혼합용매이어도 좋다. 또, 본 추출물은 수용성이기 때문에, 이들이 용매 중, 물(열수도 포함) 또는 에탄올/물의 혼합용매가 바람직하다. 추출조건도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은 상온 또는 가열추출이 바람직하다.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에 관해서도, 충분히 추출가능하고, 추출물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각종 조건으로 추출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추출에 관해서, 추출물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한, 추출을 보조하는 물질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프로테아제, 셀룰라제 등의 효소류 외, L-아스코르빈산류와 같은 환원성물질 등을 가하여도 좋다. 추출액의 pH는, L-아스코르빈산류 등을 가하면, 통상은 5 내지 6을 나타내지만, 추출물의 품질열화를 일으키지 않는 한, 상기 pH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인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및 본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인 혈압억제제에 있어서, 쌀겨ㆍ콩발효 추출물(고형분)의 양에 대한 커피콩 추출물(고형분)의 양의 비율은,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중 쌀겨ㆍ콩발효 추출물(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5 내지 7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중량부이다. 5중량부 미만에서는, 쌀겨ㆍ콩발효 추출물과의 상승작용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70중량부를 넘으면, 역으로 SOD유사 작용이 저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인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및 본 청구항 5에 기재된 혈압억제제에 있어서의 커피콩 추출물(고형분)의 함유량은, 본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 및 본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 0.0003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3 내지 1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중량%이다. 커피콩 추출물의 농도가 0.05 내지 0.5중량%의 경우, 상기 SOD작용은 특별히 현저하게 상승하는 것 이외에, 커피콩 추출물의 농도가 5중량%를 초과해도, 상기 SOD작용 및 혈압억제작용은 한계점에 도달하게 되는 경향이 보여지기 때문이다.
삭제
게다가, 본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인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및 본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혈압억제제에 있어서의, 쌀겨ㆍ콩발효 추출물(고형분)과 커피콩 추출물(고형분)의 함유량의 총계는, 본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 및 본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0.0007중량%이상, 바람직하게는 0.015 내지 4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4중량%이다. 0.0007중량%미만에서는 SOD유사 작용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청구항 1 내지 4에 기재된 각 발명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은, 활성산소가 원인으로 되는 각종 병, 예컨대, 혈류장해에 의한 병(심근경색, 뇌졸중, 고혈압, 생리통, 어깨뻐근함, 신경통, 요통, 숙취 등), 성인병ㆍ내과질환(암, 신장염, 간염, 당뇨병 등), 미용ㆍ피부병(기미, 주근깨, 피부거칠어짐, 냉증, 변비, 주름, 아토스성 피부염 등) 등의 치료, 개선 등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본 청구항 5 내지 8에 기재된 각 발명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히 혈압억제제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목적, 용도에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성물의 형태는, 통상, 수용액 또는 원액 등의 액상태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 추출물을 흡액성 분말에 함침시킨 분말품, 입자제조한 조립(造粒)품, 증량제 증 다른 분말성분을 배합한 정제, 또는 마이크로캅셀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수용액, 분말품 등을 소정용기에 충진하여 이루어지는 상품형태, 또한 단독으로 사용하는지, 다른 약(수용액인 것, 유성액인 것 또는 분말이어도 상관없음.)에 배합하여 사용하는지에 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포션형이어도 좋고, 다른 형상용기에 충진하여도 좋고, 분말품을 스틱형상용기(자루)에 충진한 것이어도 좋다.
게다가, 종래의 청량음료수, 드링크제, 유제품, 유제화제품 등에 배합, 분산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 이 분산은 유중수(油中水)형, 수중유형에 관계없다. 또한, 다른 영양성분(예컨대, 각종 비타민류, 칼슘이온성분, 철이온성분 등), 약효성분, 조미성분, 향기성분 등을 배합하여도 좋다. 이들 중, 특별히 수용성성분이 바람직하다. 균일하게 용해한 상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1은, [실시예1]의 대조군1, 2 및 시험군1의 SOD활성치(저해율%)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1]의 대조군1, 2 및 시험군1의 과산화지질농도(nmol/dl)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2]의 대조군3, 4 및 시험군2의 최고혈압치(군평균치, mmHg)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3]의 대조군5, 6 및 시험군3의 혈청글루코스농도(mg/dl)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3]의 대조군5, 6 및 시험군3의 혈청T-chol(mg/dl)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3]의 대조군5, 6 및 시험군3의 혈청TG(mg/100ml)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3]의 대조군5, 6 및 시험군3의 오줌 중 8-OHdG량(ng/24h)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3]의 대조군5, 6 및 시험군3의 간조직에 있어서의 GST활성(units/mg 단백질)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신장조직에 있어서의 GST활성(units/mg 단백질)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시예3]의 대조군5, 6 및 시험군3의 간조직에 있어서의 GPx활성 (units/mg 단백질)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신장조직에 있어서의 GPx활성(units/mg 단백질)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실시예3]의 대조군5, 6 및 시험군3의 간조직에 있어서의 티오바비틀산(thiobarbituric acid)반응양성물질(TBARS)(nmol/mg 단백질)의 평균치를 나타 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신장조직에 있어서의 TBARS(nmol/mg 단백질)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실시예3]의 대조군5, 6 및 시험군3의 혈청 중에 있어서의 TBARS(nmol/mg 단백질)의 평균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실시예1] 및 [실시예2]에서 사용하는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및 혈압억제제의 제조
이하의 [실시예1]에서 사용하는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및 [실시예2]에서 사용하는 혈압억제제를,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①커피콩 추출물의 제조
커피콩 60kg을 분쇄하고, 이 분쇄콩에 10000가우스의 자력을 통하여 금속이물을 제거한다. 다음에, 이 분쇄콩에 대해서, 물을 5배량 혼입하고, 게다가 구연산을 0.02kg, L-아스코르빈산을 0.15kg, L-아스코르빈산나트륨을 0.01k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pH를 5.6 내지 6.0으로 하고, 녹으면 교반을 멈추어서 60 내지 70℃로 3시간 추출하여, 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고형분농도 3중량%).
②쌀겨ㆍ콩발효 추출물의 제조
배지원료로서 탈지쌀겨를 30.0kg, 탈지콩을 5.0kg, 피틴산을 5.0kg, 글루코스를 15.0kg, 인산수소이나트륨을 10.0kg, 인산수소이암모늄을 2.5kg, 탄산수소나 트륨을 45.0kg, 소포제를 0.25kg, 물을 500kg을 사용하였다. 또, pH는 9전후이다.
상기 배지를 121℃, 30분으로 살균하고, 그 후 냉각하고, 다음으로, 납두균(제조원 ; 나리세학코가가쿠켄큐쇼) 0.05kg을 접종하고, 40 내지 45℃로 약 48시간, 통기, 교반하여 배양시켜서 배양물을 얻었다. 그 후, 이 배양물을 압착투과하고, 활성탄 및 펄라이트로 처리를 하여 탈취, 탈색을 하고, 거의 투명한 쌀겨ㆍ콩발효 추출엑기스를 얻었다(고형분 농도 5중량%). 또, 이 활성탄으로서는, 분말활성탄(활성탄S, 활성탄K 등), 입자형상 활성탄(활성탄SG 등)의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펄라이트로서는, 「펄라이트No. 4180」(다이카라인오리엔트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사용하였다.
③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및 혈압억제제의 제조
상기 ①에서 제조된 커피콩 추출물을 20중량부(고형분환산)와, 상기 ②에서 제조된 쌀겨ㆍ콩발효 추출물을 80중량부(고형분환산)를 각각 혼합하고, 활성탄처리를 하여 탈취, 탈색을 행하고, 그 후, 이 혼합물을 압착투과하여 활성탄 등의 고형분을 제거한다. 게다가, 압착투과 후의 혼합물을 진공농축한 후, 동결건조법으로 분말화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분말1중량부를, 오리엔탈고보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오리엔탈MF」99중량부에 첨가하여, [실시예1]의 SOD유사 작용의 시험방법에서 사용하는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분말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1%용액으로 하여, [실시예2]의 혈압억제작용의 시험방법에서 사용하는 혈압억제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2) [실시예3]에서 사용하는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3]에서 사용하는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배지원료로서 탈지쌀겨를 30.0kg, 탈지콩을 5.0kg, 피틴산을 5.0kg, 글루코스를 15.0kg, 인산수소이나트륨을 10.0kg, 인산수소이암모늄을 2.5kg, 탄산수소나트륨을 45.0kg, 소포제를 0.25kg, 물을 500kg 및 상기 ①에서 제조된 커피콩 추출물을 100kg 사용하였다. 또, pH는 9전후이다.
상기 배지를 121℃, 30분간 살균하고, 그 후 냉각하고, 다음으로, 고초균(제조원 ;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학코) 0.05kg을 접종하고, 40 내지 45℃에서 약 18시간, 통기, 교반하면서 액체배양을 행한다. 발효종료후, 압착여과에 의해 고형물을 제거하고, 한외여과를 행한다. 게다가, 활성탄소처리하고 탈색ㆍ탈취하고, 마무리로 정밀여과하고, 이 발효액을 동결건조법으로 분말화함으로써,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
공시동물로서, 생후 8주된 우이스타계 쥐(니혼 에스엘디 가부시키가이샤에서 구입)를, 수컷 60마리 사용하였다.
상기 우이스타계 쥐를 3일간의 예비사육후, 1군에 20마리씩, 대조군1, 2과 시험군1의 3군으로 나누었다. 게다가, 실온 23±1℃, 습도 45 내지 55%, 12시간 조명(8시 내지 20시)의 조건 하에서 30일간 사육하였다.
시험기간 중, 시험군1에는 상기 (1)의 ③에서 제조된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을 자유섭취시켰다. 한편, 대조군1에는 공급사료로서 상기 「오리엔탈MF」를, 대조군2에는 공급사료로서 상기 「오리엔탈MF」99중량부에, 상기 (1)의 ②에서 제조된 쌀겨ㆍ콩발효 추출물(고형분)을 1중량부 추가하여, 전체양을 100중량부로 한 것을 각각 자유섭취시켰다. 시험기간 중, 물은 증류수를 자유롭게 물을 마시게 하였다. 게다가, 시험종료일에 심장으로부터 채혈하고, 채혈후 즉시 -18℃로 보존하였다. 혈청 중 SOD활성 및 과산화지질치를 이하에 나타내는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SOD활성은, 측정키트로서 와미츠쥰야쿠고교제 「SOD테스트워커」(체외진단용 의약품, 승인번호(63AM) 제0285호)를 사용하여, NBT환원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및 도 1에 나타낸다. 또한, 과산화지질은, 측정키트로서 와코쥰야쿠공업제 「과산화지질-테스트워커(형광팔목법(螢光八木法))」(체외진단용 의약품, 승인번호(61AM) 제4641호)를 이용하여, 티오바비틀산(이하, 「TBA」이라함.)법에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및 도 2에 나타낸다.
[실시예2]
공시동물로서, 사람의 본태성 고혈압혈압증과 같은 생후 3주된 자연발증 고혈압쥐(SHR)를 60마리 사용하였다.
상기 자연발증 고혈압쥐를 7주간의 예비사육후, 1군에 20마리씩 대조군3, 4과 시험군2의 3군으로 나누었다. 게다가, 실온 23±1℃, 습도 45 내지 55%, 12시간 조명(8시 내지 20시)의 조건 하에서 12주간, 시험기간으로서 사육하였다.
시험기간 중, 1일의 음료로서, 시험군2에는 상기 (1)의 ③에서 제조된 혈압억제제용액 30g을, 대조군3에는 증류수 30g을, 대조군4에는 상기 (1)의 ②에서 제조된 쌀겨ㆍ콩발효 추출물(고형분)을 1%함유한 증류수 30g을 급수병에 넣어서 자유섭취시켰다. 급수병은 시험기간 중 매일 교환하였다. 또한, 급여사료로서, 오리엔 탈 고보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오리엔탈MF」를 이용하여 자유섭취로 하였다. 게다가, 시험개시시 및 2주간에 1회씩 혈압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표 3 및 도 3에 나타낸다. 또, 표 3 및 도 3의 측정치는, 각 군의 최고혈압치의 평균치이다.
[실시예3]
공시동물로서, 생후 6주의 우이스타계 쥐(니혼 에스엘디 가부시키가이샤에서 구입)를, 수컷 25마리 사용하였다.
상기 우이스타계 쥐를 1주간의 예비사육 후, 하기와 같이, 대조군5, 6 및 시험군3의 3군으로 나누었다. 즉, 대조군5로서, 당뇨병유발제 스트레프토노트신 (이하, 「STZ」라 함.)처리를 하지 않은 쥐를 5마리, 대조군4 및 시험군3으로서, STZ처리에 의해, 인슐린결핍형 당뇨병을 발증한 인슐린결핍형 당뇨병쥐를 각 10마리의 3군으로 나누었다.
Figure 112001000856778-pct00001
Figure 112001000856778-pct00002
Figure 112001000856778-pct00003
상기 제 3군의 각 쥐를 실온 23±1℃, 습도 50 내지 60%, 12시간 채광(7시 내지 19시)의 조건 하에서 4주간(28일) 사육하였다. 시험기간 중, 시험군3의 쥐에는, 상기 (2)에서 제조된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을 3.6mg/마리/일의 양으로 경구투여하였다. 또한, 물은 수돗물을 자유롭게 마시게하였다. 급여사료로서, 오리엔탈 고보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오리엔탈MF」를 자유섭취로 하였다.
게다가, 사육최종주(사육 4주째)에, 상기 3군의 각 쥐로부터 24시간의 오줌을 채취하였다.
상기 3군의 각 쥐는 사육종료 후, 10시간 절식시키고, 에테르마취를 실시한 후, 해부, 채혈하고, 간장 및 신장을 적출하여 습중량을 측정하였다. 조직은 탈혈처리한 후, 생리식염수로 세정하고, -80℃의 냉동장치(산요덴키 가부시키가이샤제「SANYO MDF-192」)에 보존하였다.
동결보존해 둔 간장 및 신장은 해동한 후, 3mM-Tris염산완충액(3mM-Tris, 0.25M-자당, 0.1mM-EDTA pH7.4)을 이용하여 10% 균질화액으로 하였다. 균질화액를 에펜관에 분리주입하여 -80℃로 보존하고, 이를 해동하고, 냉각원심분리기(쿠보타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KUBOTA 7930」)를 이용하여, 5000rpm, 5분간, 4℃의 조건으로 원심분리하여 여과액을 얻었다.
이러한 여과액을 적당히 희석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글루타치온-S-전이효소(이하, 「GST」라함.)활성, 글루타치온벨옥시다제(이하, 「GPx」라함.)활성 및 TBA반응양성물질(이하, 「TBARS」라함.)의 측정을 행하였다.
GST활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즉, 상기 여과액 0.2ml을 채취하고, 20배로 희석을 하여 GST활성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게다가, 상기 GST활성측정용 샘플 0.2ml과, 제1기질용액(10mM GSH용액, 0.2M인산칼륨완충액[pH6.5] 및 증류수를 1:5:2의 비율로 제조)을 1.6ml을 혼화한 후, CDNB(1-클로로2, 4디니트로벤젠) 0.2ml를 가하여, 3분간 반응시키고, 340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활성은, 몰흡광계수9600×10-3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이 측정결과를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GPx활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즉, 상기 상청액을 30배로 희석을 하여 GPx활성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게다가, 상기 GPx활성측정용 샘플 0.01ml과, 1M-Tris염산ㆍEDTA완충액(pH8.0) 0.1ml, 0.1M글루타치온 0.02ml, 10단위/ml효모 GSSG리덕타제 0.1ml, 2mM NADPH 0.1ml, 및 증류수 0.66ml를 혼합하고, 37℃에서 2분간 반응후, 7mM-t1부틸히드로퍼옥시드 0.01ml를 가해서 반응을 개시하고, 3분 후, 3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효소적 반응의 흡광도는, 효소에 의존하지 않은 비효소적인 NADPH의 산화반응이 내존하고 있으므로, 상기 GPx활성측정용 샘플의 대신에 증류수를 동일 용량(0.01ml) 더하여 측정하였다. 활성치는, NADPH의 340nm에 있어서의 mmol흡광계수ε는 6.22×10M-1cm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이 측정결과를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다.
TBARS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즉, 상기 여과액 0.3ml에, 0.67% (w/v)TBA시약 1.0ml, 및 20%(w/v)트리크롤 초산(TCA)용액 3ml를 순서대로 더하고, 보텍스로 충분히 교반한 후, 100℃에서 10분간 가열하였다. 가열종료후, 얼음물 중에서 10분간 급냉하고, n-부탄올 4.0ml를 더하여 적색물질을 흔들어 추출하였다. 추출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를 행한 후, n-부탄올층을 채취하고, 파장 532nm에서 비색측정하였다. 정량에는 1, 1, 3, 3-테트라에톡시프로판 110mg을 이용하고, 1% 유산용액 50ml를 더해서 2시간 실온에 보존한 후, 100nmol/ml로 조제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표준용액(0, 10, 20, 30, 40, 50, 60nmol/ml)을 제작하고, 상기 상청액의 대신에 반응시켜서, 상기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였다. 이것에의해 검량선을 제작하고, 상기 여과액 중의 TBARS양을 구하였다. 이 측정결과를 도 12, 13 및 도 14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시험방법에 있어서의 측정결과의 통계처리에 있어서는, 분산분석을 행하지 않고, F값이 중요한(P<0.05) 경우에는, 듀칸(Duncan)의 다중범위테스트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각 군의 평균간의 중요도차(significant difference)(P<0.05) 검정을 행하였다.
혈액은, 채혈후 30분간 실온에 깨끗하게 놓은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쿠보타쇼지 가부시키가이샤제 「KUBOTA KC-70」를 행하고, 여과액을 에펜관에서 -80℃에서 보존하여 혈청샘플로 하였다. 게다가, 이 샘플을 이용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측정방법에 의해, 혈청글루코스, 총콜레스테롤(이하, 「T-chol」이라함.), 중성지방(이하, 「TG」라함.)을 측정하였다. 또한, 채취한 오줌을 이용하여, 오줌 중 8- 히드록시디옥시구아노신(이하, 「오줌 중 8-OHdG」라함.)양을 측정을 행하였다.
혈청글루코스는, 측정키트로서 와미츠쥰야쿠고교제의 「글루코스CΠ테스트워커」를 이용하여, 무타로제ㆍGOD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T-chol은, 측정키트로서 와미츠쥰야쿠고교제의 「총콜레스테롤E테스트워커」를 이용하여, 콜레스테롤옥시다제ㆍDAOS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TG는 측정키트로서 니혼로카세이교켄큐쇼제의 「네스코트TG키트-GN」을 이용하여, L-글리세롤-3-인산옥시다제ㆍ효소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오줌 중 8-OHdG는, 측정키트로서 일본노화제어연구소제의 「8-OHdG측정용 키트」를 이용하여, ELISA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혈청글루코스의 측정결과를 도 4에, T-chol의 측정결과를 도 5에, TG의 측정결과를 도 6에, 8-OHdG의 측정결과를 도 7에 각각 나타낸다.
시험결과
상기 [실시예1]의 결과, 표 1 및 도 1에서, 대조군1, 2와, 쌀겨ㆍ콩발효 추출물에 커피콩 추출물을 첨가한 시험군1을 비교하면, 우선, 종래로부터 SOD활성을 보유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쌀겨ㆍ콩발효 추출물을 투여한 대조군2에서는, 대조군1에 대해서, SOD활성치가 1.8%의 비율로 상승하고 있었다. 게다가, 이 대조군2와 시험군1을 비교하면, 시험군1에서는, 대조군2보다도 쌀겨ㆍ콩발효 추출물의 함유량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대조군2의 SOD활성치보다도 더욱 1.8%의 비율로 상승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대조군1과 시험군1에 관해서, 스튜던트t검정의 결과, 양 군간에 중요도차(P<0.01)가 확인되었다. 마찬가지로, 대조군2과 시험군1에 관해서도, 스튜던트t검정의 결과, 양 군간에 중요도차(P<0.05)가 확인되었다.
과산화지질은 활성산소저해적 질환의 지표로 되는 것이고, 그 정도가 심하면 증가하는 것이다. 표 2 및 도 2로부터, 측정의 결과, 종래로부터 과산화지질량을 저하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는 쌀겨ㆍ콩발효 추출물을 투여한 대조군2에서는, 대조군1과 비교하여 과산화지질량이 약 5%저하하고 있었지만, 이 대조군2과 시험군1과 비교하면, 시험군1에서는, 대조군2보다도 쌀겨ㆍ콩발효 추출물의 함유량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대조군2의 과산화지질량보다도 더욱 5%저하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대조군1과 시험군1에 관해서, 스튜던트t검정의 결과, 양 군간에 중요도차(P<0.01)가 확인되었다. 마찬가지로, 대조군2와 시험군1에 관해서도, 스튜던트 t검정의 결과, 양 군간의 중요도차(P<0.05)가 확인되었다.
상기 [실시예2]의 결과, 표 3 및 도 3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을 섭취시킨 결과, 시험군2에서는, 대조군3 및 대조군4보다도 혈압상승이 억제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예컨대, 6주간째에서의 최고혈압치는, 대조군3의 경우, 시험개시시보다 21% 증가하고, 종래로부터 혈압저하작용을 보유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쌀겨ㆍ콩발효 추출물을 투여한 대조군4의 경우는 14% 증가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시험군2에서는 겨우 9% 증가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12주간째에서는, 대조군3의 경우, 시험개시시보다 24% 증가하고, 대조군4의 경우는 19%증가하고 있는 것에 대해, 시험군2에서는 11%증가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즉, 경과주수가 많게 될 때마다, 본 실시예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은 현저한 혈압억제효과를 거두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대조군3과 시험군2에 관해서, 스튜던트r검정의 결과, 4 내지 12주간째에 있어서, 양 군간에 중요도차(P<0.01)가 확인되었다. 게다가, 대조군4과 시험군2에 관해서, 스튜던트t검정의 결과, 6 내지 12주간째에 있어서, 양 군간에 중요도차(P<0.05)가 확인되었다.
상기 [실시예3]의 결과, 도 4로부터, 혈청글루코스농도는 대조군5에 비해서, 당뇨병쥐인 대조군6에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이것은 STZ투여에 의한 췌장 β-세포의 파괴에 기초하여 인슐린의 절대부족에 의해, 당대사가 현저하게 혼란한 고혈당을 초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을 투여한 시험군 3에서는, 대조군6에 비해, 혈청글루코스농도는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본 실시예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에는, 당대사를 개선하고, 혈청글리코스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를 보유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당뇨병에서는, 인슐린의 현저한 부족에 의해서, 당대사는 시작지방의 대사도 현저히 혼란하게 한다. 당뇨병에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고TG혈증이고, 인슐린작용부족에 의해서, TG-rich리포단백의 이화장해에 의한 고TG혈증을 초래한다. 도 5로부터, 혈청T-chol는, 대조군5와 비교해서 당뇨병쥐인 대조군6에서 현저하게 높게 되지만, 본 실시예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을 투여한 시험군3에서는, 대조군5의 레벨까지 의미있게 저하하였다. 또한, 도 6으로부터, 혈청TG는, 대조군5에 비해서, 당뇨병쥐인 대조군 6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지만, 시험군3에서는 의미있게 저하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본 실시예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은, 혈청지질의 개선효과를 보유하고, 당뇨병에 기인하는 고TG혈청 등의 지방의 대사이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유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생체내 지질과산화반응에 의해 생긴 활성산소에 의한 DNA 중의 핵산염기, 디옥시구아노신에 대한 공격의 결과, 8-OHdG가 생성한다. 또한, 8-OHdG는, 과잉의 산화스트레스를 받은 피부세포나 신장세포 안에서도 축적하는 것이 명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DNA 중에 생긴 8-OHdG는, 통상은 수복효소에 의해 잘려지고, 혈청을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산화저해물로서 오줌 중으로 배설된다. 게다가, 도 7로부터, 오줌 중 8-OHdG량은 대조군5에 비해서 당뇨병쥐인 대조군6에서는 의미있게 증가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을 투여한 시험군3에서는, 중요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저하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부터, 당뇨병유발에 의한 DNA의 산화저해에 대해서, 본 실시예의 SOD 조성물이 항산화효과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GST는 동물조직에 널리 분포하고, 특히 간조직에 다량존재하고, 생체 내에 있어서의 해독작용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 도 8에 의해, 간조직의 GST활성은, 본 실시예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을 투여에 의한 중요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도 9로부터, 신장조직의 GST활성은, 대조군5에 비해서 당뇨병쥐인 대조군6이 의미있게 높고, 본 실시예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을 투여한 시험군3에서도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부터, STZ처리에 의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GST에 의한 해독작용은, 간조직보다도 신장조직에 있어서 항진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STZ에 의해 세포 내에 생성한 과산화물의 분해에 소비된 글루타치온(GSH)의 재생을 위하여, GPx가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게다가, 도 10으로부터, 간조직에 있어서의 GPx활성은, 대조군5에 비해서, 당뇨병쥐인 대조군6에서 감소경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을 투여한 시험군2에서는,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또한, 도 11로부터, 신장조직에서도 간조직과 마찬가지로 GPx활성은 대조군6에 비해서 시험군3에서는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부타, 본 실시예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을 투여하면, 과산화물의 분해에 소비된 GSH의 재생을 위하여 GPx가 증가하고, 재생한 GSH가 과산화물의 분해에 소비되어서 항산화작용을 하는 것이 판명된다.
당뇨병의 경우, 고혈당을 위한 단백당화가 항진되고, 생성된 단백으로부터도 활성산소가 생성되고, 혈장 중이나 조직 중의 과산화지질이 증가한다. 그 결과, 산성조건 하에서 TBA와 반응하는 성질을 보유하고, 과산화지질의 분해물인 MDA(마론디알데히드) 또는 그 외의 카르보닐화합물 등의 TBARS가 증가한다. 도 12로부터, 당뇨병쥐인 대조군6의 간조직의 TBARS는, 대조군5에 비해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예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을 투여한 시험군3에서는 의미있게 감소하여, 대조군5과 동일레벨까지 저하하였다. 또한, 도 13 및 도 14로부터, 신장조직 및 혈청 중의 TBARS도 간조직과 마찬가지로, 당뇨병쥐인 대조군6이 의미있게 높은 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을 투여한 시험군3에서는, 대조군5와 거의 동일한 레벨까지 저하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본 실시예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과산화물의 소거효과를 거두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종래로부터 SOD작용 및 혈압억제작용을 보유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쌀겨ㆍ콩발효 추출물에, 커피콩 추출물을 첨가한 조성물을 섭취함으로써, 쌀겨ㆍ콩발효 추출물을 단독으로 이용하는 경우보다도 체내의 SOD활성이 높아짐과 아울러, 지질의 산화가 억제되고, 혈압상승이 억제된 것이 판명된다. 즉, 본 실시예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에 함유되는 쌀겨ㆍ콩발효 추출물과 커피콩 추출물의 혼합물은, 서로의 상승효과에 의해서, 보다 높은 SOD활성과, 보다 우수한 과산화지질억제효과, 혈압억제효과, 당대사개선의 효과 및 혈청콜레스테롤의 개선효과 등이 있는 것이 판명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성분에도 유해성분 및 중금속은 확인되지 않고, 특히 본 발명에 관한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은 완전한 천연물을 원료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하다라고 생각된다. 게다가, 상기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은 SOD작용 및 혈압억제작용에 우수한 것이므로, 혈압억제효과 등의 SOD작용에 기인하는 각종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청구항 1 내지 4에 기재된 각 발명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은, 종래로부터 SOD작용을 가지는 것이 알려져 있는 쌀겨ㆍ콩발효 추출물 단독으로 비교하여, 생체 내에 있어서의 SOD작용에 우수한 것이기 때문에, SOD작용에 기인하는 효과(예컨대, 혈압억제효과 등)에 유효하다. 따라서, 활성산소종이 원인으로 되는 각종 병, 예컨대, 혈류장해에 의한 병(심근경색, 뇌졸중, 고혈압, 생리통, 어깨뻐근함, 신경통, 요통, 숙취 등), 성인병ㆍ내과질환(암, 신장염, 간염, 당뇨병 등), 미용ㆍ피부병(기미, 주근깨, 피부거칠어짐, 냉증, 변비, 주름, 아토스성 피부염 등) 등의 치료, 개선 등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청구항 5 내지 8항에 기재된 각 발명의 혈압억제제에 의하면, 최근, 특히 증가추세로 되는 고혈압증의 예방ㆍ개선에 대해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청구항 1 내지 4에 기재된 각 발명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및 본 청구항 5 내지 8에 기재된 각 발명의 혈압억제제는, 모두 수용성이기 때문에, 흡수효과에 우수함과 아울러, 경로투여에 의해 간이하게 섭취할 수 있고, 수용성음료, 또는 식품 등의 넓은 분야에 있어서 이용되는 것이 고려된다. 게다가, 본 청구항 1 내지 4에 기재된 각 발명의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및 본 청구항 5 내지 8에 기재된 각 발명의 혈압억제제는, 모두 완전한 천연물을 원료로 하고 있기 때문에, 유해한 성분 및 중금속은 확인되지 않으며 안전하다.

Claims (8)

  1. 쌀겨류, 콩류 및 탄소원을 함유하는 배지에 납두균 또는 고초균을 접종하고, 발효배양하여 얻어진 쌀겨ㆍ콩발효 추출물과, 커피콩 추출물을 함유하고,
    상기 커피콩 추출물(고형분)의 함유량은, 상기 쌀겨ㆍ콩발효 추출물(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5 내지 7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콩 추출물의 함유량이 고형분환산으로 0.0003 내지 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콩 추출물(고형분)과 상기 쌀겨ㆍ콩발효 추출물(고형분)의 함유량의 총계는, 0.0007중량%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5. 쌀겨류, 콩류 및 탄소원을 함유하는 배지에 납두균 또는 고초균을 접종하고, 발효배양하여 얻어진 쌀겨ㆍ콩발효 추출물과, 커피콩 추출물을 함유하고,
    상기 커피콩 추출물(고형분)의 함유량은, 상기 쌀겨ㆍ콩발효 추출물(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5 내지 7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억제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콩 추출물의 함유량이 고형분환산으로 0.0003 내지 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억제제.
  7. 삭제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콩 추출물(고형분)과 상기 쌀겨ㆍ콩발효 추출물(고형분)의 함유량의 총계는, 0.0007중량%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억제제.
KR1020017000540A 1999-05-13 2000-05-12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혈압억제제 KR100687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326599 1999-05-13
JP99-133265 1999-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668A KR20010072668A (ko) 2001-07-31
KR100687546B1 true KR100687546B1 (ko) 2007-02-27

Family

ID=15100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540A KR100687546B1 (ko) 1999-05-13 2000-05-12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혈압억제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651822B2 (ko)
KR (1) KR100687546B1 (ko)
AU (1) AU4612900A (ko)
TW (1) TW592640B (ko)
WO (1) WO20000694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5308A (zh) * 2018-07-04 2018-12-07 长沙谷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超氧化物歧化酶替代抗生素饲养家禽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6990B2 (ja) * 2003-08-06 2011-12-28 株式会社テラ・ブレインズ 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剤
JP2008173134A (ja) * 2008-03-26 2008-07-31 Kao Corp 高血圧症予防・改善・治療剤
CN107048392B (zh) * 2017-03-10 2021-05-28 内蒙古医科大学 一种锁阳饮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1671A (ja) * 1985-11-11 1987-05-22 Ajinomoto General Foods Kk 生コ−ヒ−豆からの食品用天然抗酸化剤の製造方法
JPH06284872A (ja) * 1991-10-31 1994-10-11 Toyo Hakko:Kk Sod作用を有する健康・美容増進剤、血圧抑制剤及び便秘改良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6305B1 (fr) * 1993-06-15 1995-08-25 Payot Laboratoires Dr Ng Composition cosmétique ou pharmaceutique anti-radicaux libres pour application topique.
JP3521155B2 (ja) * 1993-12-06 2004-04-19 ニッカウヰスキー株式会社 果実ポリフェノールの製造方法
JPH08157816A (ja) * 1994-12-02 1996-06-18 Oriza Yuka Kk 天然抗酸化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55293B2 (ja) * 1996-02-14 2006-12-06 長谷川香料株式会社 酸化防止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1671A (ja) * 1985-11-11 1987-05-22 Ajinomoto General Foods Kk 生コ−ヒ−豆からの食品用天然抗酸化剤の製造方法
JPH06284872A (ja) * 1991-10-31 1994-10-11 Toyo Hakko:Kk Sod作用を有する健康・美容増進剤、血圧抑制剤及び便秘改良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lin. Sci(Lond). 72(4), 443-7 (1987) *
Int. J. Vitam. Nutr. Res. 55(3), 301-7 (1985)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5308A (zh) * 2018-07-04 2018-12-07 长沙谷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超氧化物歧化酶替代抗生素饲养家禽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668A (ko) 2001-07-31
TW592640B (en) 2004-06-21
JP4651822B2 (ja) 2011-03-16
WO2000069453A1 (fr) 2000-11-23
AU4612900A (en)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7836B2 (ja) 高シュウ酸尿症の予防または処置用の食養生または医薬組成物
JP4669920B2 (ja) 血糖上昇抑制且つ血圧上昇抑制作用を有する機能性素材
KR102299934B1 (ko) 숙취해소에 뛰어나며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271367B1 (en) Mineral absorption accelerator and iron deficiency anemia improver or food composition
KR20190042006A (ko) 지구력 성능을 향상시키고 지질 이화작용을 자극하기 위한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용도
JP4231208B2 (ja) 骨粗鬆症の予防のための発酵乳由来の栄養補助食品
JP2019011353A (ja) 茶発酵物
CN104379155A (zh) 包含裙带菜孢子叶和海鞘皮的混合物提取液的异位性皮肤炎改善用组合物
US20030211176A1 (en) Sugar decomposition inhibitor, digestive enzyme activity inhibitor, insulin secretion controller, and healthy food and beverage
KR20160013069A (ko) 페디오코커스 및 락토바실러스를 포함하는 박테리아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알코올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0687546B1 (ko) Sod작용을 가진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혈압억제제
JP2004105157A (ja) 糖類分解酵素阻害飲食組成物
JPH06284872A (ja) Sod作用を有する健康・美容増進剤、血圧抑制剤及び便秘改良剤
KR100717742B1 (ko) 콜레스테롤 저하제,2차 담즙산 생산 억제제 및 음식품
US20060240120A1 (en) Composition for lowering blood glucose
JPH0881381A (ja) Sod作用を有する健康・美容増進剤、血圧抑制剤及び便秘改良剤
KR20020021980A (ko) 알콜대사 향상제 및 간장애 저감제
JP2010100530A (ja) 抗肥満剤
KR101672098B1 (ko) 발효 쌀뜨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523661B1 (ko) 결장 내에서 프로피온산 및/또는 프로피오네이트를생성하기 위한 프로피온 박테리아의 용도
JPH07285881A (ja) アルコール代謝促進剤
Sumi et al. Fermented soybean components and disease prevention
JP3308497B2 (ja) コーヒー豆から抽出されたsod様抽出組成物
KR102413920B1 (ko) 검정무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JP4869492B2 (ja) 抗腫瘍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