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175B1 -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175B1
KR100687175B1 KR1020050083529A KR20050083529A KR100687175B1 KR 100687175 B1 KR100687175 B1 KR 100687175B1 KR 1020050083529 A KR1020050083529 A KR 1020050083529A KR 20050083529 A KR20050083529 A KR 20050083529A KR 100687175 B1 KR100687175 B1 KR 100687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rod
circumferential surface
length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
Original Assignee
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 filed Critical 강원
Priority to KR1020050083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 신축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형성된 낚싯대의 길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있도록 하는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상하부 로드를 상호 결속하기 위한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에 있어서, 플랜지를 가지며 테이퍼진 외주면에 다수의 가이드 돌기를 형성한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가이드 돌기를 안내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절개부에 의해 분할 형성된 압착편의 외경이 확장되면서 상기 하부 로드의 내주면을 가압 구속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상부 로드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와 가압부재에 각기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그 각각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는 조절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가 개시된다.
낚싯대, 길이조절, 승강부재, 가압부재, 조절나사

Description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A LENGTH ADJUSTMENT APPARATUS FOR FISHING ROD}
도 1은 종래의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의 적용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승강부재 11: 플랜지
12: 왼나사대우 13: 가이드 돌기
15: 테이퍼 20: 가압부재
21: 압착편 23: 절개부
24: 오른나사대우 26: 밀착돌기
30: 조절나사 32: 왼나사
34: 오른나사 35: 고정홈
36: 고정체 45: 스냅링
R1, R2: 로드(rod)
본 발명은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 신축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형성된 낚싯대에 제공되어 그 길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싯대는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협소하도록 한 다수의 로드(rod)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며 순차적으로 여러 단이 출몰가능하게 수납된 상태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그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낚싯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통상적인 종래의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로드(R1)의 선단부에 나사봉(3)이 결합되고, 그 나사봉(3)에는 다수의 절개부(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가압부재(2)를 결합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다수가 절첩된 로드(R1,R2)를 신축 조절한 후, 한쪽의 로드(R1)를 회전시키면 나사봉(3)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가압부재(2)의 외경을 확장시키게 된다. 따라서 가압부재(2)가 다른 쪽 로드(R2)의 내주면을 가압하게 되어 고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낚싯대 길이조절장치는 한쪽 로드(R1)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에 의해 가압부재(2)가 나사봉(3)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나사봉(3)의 선단에 경사면을 가지며 형성된 안내부재(5)에 의해 가압부재(2)를 직접 확장시키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한쪽 로드(R1)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만큼 가압부재(2)가 이동하면서 확장되고, 동시에 다른 쪽 로드(R2)의 내주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회전을 많이 시켜야 하는 불편함과 그에 따른 고정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 신축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형성된 낚싯대의 길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상하부 로드를 상호 결속하기 위한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에 있어서, 플랜지를 가지며 테이퍼진 외주면에 다수의 가이드 돌기를 형성한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가이드 돌기를 안내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절개부에 의해 분할 형성된 압착편의 외경이 확장되면서 상기 하부 로드의 내주면을 가압 구속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상부 로드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와 가압부재에 각기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나사결합되 어 회전방향에 따라 그 각각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는 조절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한 구성으로 상기 가압부재의 압착편 외주면에는 밀착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한 구성으로 상기 조절나사의 왼나사와 오른나사는 각각 두줄나사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한 구성으로 상기 조절나사의 하단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이 고정 설치되도록 그 외주면 둘레를 따라 고정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의 적용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며,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길이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소 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상하부 로드(R1,R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 로드(R2)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20)와, 상기 가압부재(20)의 외주면을 확장시키는 승강부재(10)와, 상기 가압부재(20)와 승강부재(10)를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왼나사(32)와 오른나사(34)를 갖는 조절나사(3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재(20)는 상기 승강부재(10)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강한 마찰력을 통해 하부 로드(R2)의 내주면과 상호 구속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쪽의 내주면에는 상기 조절나사(30)의 오른나사(34)와 대응하는 오른나사대우(24)가 형성되고, 다른 쪽은 그 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에 다수의 절개부(23)가 그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23)에 의해 복원력을 가지며 분할된 압착편(2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압착편(21)의 외주면에는 가압부재(20)가 하부 로드(R2)의 내주면과 더욱 긴밀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밀착돌기(26)가 방사상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부재(10)는 승강 작용을 통해 상기 가압부재(20)의 마주하는 쪽 외주면을 확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가압부재(20)의 내주면에 억지끼움되도록 테이퍼(15)를 갖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15)의 상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1)의 중심부 내주면에는 상기 조절나사(30)의 왼나사(32)와 대응 결합되는 왼나사대우(12)가 형성되며, 테이퍼(15)의 외주면에는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13)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10)가 조절나사(30)의 축 방향으로 수직이동시 발생하는 미는 힘이 가압부재(20)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작용하면서, 가압부재(20)의 압착편(21)이 하부 로드(R2)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구속되게 된다.
상기 조절나사(30)는 승강부재(10)와 가압부재(2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쪽 끝 부분에는 상부 로드(R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체(36)가 마련되고, 다른 쪽에는 동일 축을 갖는 왼나사(32)와 오른나사(3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나사(30)의 왼나사(32)는 승강부재(10)의 상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왼나사대우(12)와 나사결합되고, 오른나사(34)는 가압부재(20)의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오른나사대우(24)와 나사결합된다.
이로써 조절나사(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부재(10)와 가압부재(20)는 동시에 서로 마주하는 쪽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반대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조절나사(30)를 1회전시키면 나사 1피치만큼 이동한다. 그러므로 나사피치를 크게 하거나 두줄나사 등의 여러 개의 홈을 판 나사로 하면 조절나사(30)의 회전수에 따른 이송량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절나사(30)에 승강부재(10)와 가압부재(20)가 체결된 후에는 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45)을 조절나사(30)의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홈(35)에 체결시켜 고정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나사(30)의 왼나사(32)에 승강부재(10)를 나사결합하고, 그 왼나사(32)의 상단부에 고정체(36)를 결합한다. 이후 오른나사(34)에 가압부재(20)를 나사 결합한 후 스냅링(45)을 고정홈(35)에 끼운다. 계속해서 상부 로드(R1)의 하단부에 상기 고정체(36)를 고정 설치하고, 상부 로드(R1) 보다 직경이 큰 하부 로드(R2)의 개방구를 통해 상부 로드(R1)을 끼워 넣으면 된다.
이 상태에서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사용자가 설정하고자 하는 길이를 갖도록 적당한 위치를 정한다. 이때 가압부재(20)의 압착편(21)은 원형을 유지한 상태이고, 승강부재(10)의 가이드 돌기(13)는 가압부재(20)의 절개부(23) 안쪽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위치한 상태이며, 플랜지(11)는 하부 로드(R2)의 외주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끔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하부 로드(R1,R2)를 각각 양손으로 잡고 상부 로드(R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부재(10)는 양손의 비틀림 모멘트에 의해 플랜지(11)가 하부 로드(R2)에 순간적으로 강하게 밀착되고, 가이드 돌기(13)가 가압부재(20)의 절개부(23)에 개재된 상태로 걸림 되어 있기 때문에 조절나사(3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회전하지 않고 가압부재(2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함께 가압부재(20)는 조절나사(30)의 회전시 초기에는 미세하게 회전되지만 반복적인 조임시 압착편(21)에 의한 하부 로드(R2)와의 마찰력을 통해 회전이 정지됨과 동시에 조절나사(30)의 동일 축선상에 승강부재(10)와 역방향으로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마주하는 승강부재(1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재 (20)의 압착편(21)은 승강부재(10)의 테이퍼(15)에 의해 그 외경이 확장되면서 하부 로드(R2)의 내주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하부 로드(R2)와 견고히 구속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낚싯대의 길이를 다시 신축조절하거나 이동 및 보관하기 위해 접을 때에는 상기한 바와 반대로 즉, 상하부 로드(R1,R2)가 각각 그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을 때까지 상하부 로드(R1,R2)를 양손으로 잡고 상부 로드(R1)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낚싯대의 길이가 구속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부 로드(R1,R2)를 상호 상대적인 풀림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켜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낚싯대의 길이를 손쉽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조절나사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나사결합된 가압부재와 승강부재가 조절나사의 회전을 통해 동시에 양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승강부재가 가압부재를 확장시키거나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은 회전수로도 낚싯대의 길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나아가, 사용의 편의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로부터 신뢰성을 확보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상하부 로드를 상호 결속하기 위한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에 있어서,
    플랜지를 가지며 테이퍼진 외주면에 다수의 가이드 돌기를 형성한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가이드 돌기를 안내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절개부에 의해 분할 형성된 압착편의 외경이 확장되면서 상기 하부 로드의 내주면을 가압 구속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상부 로드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와 가압부재에 각기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그 각각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는 조절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압착편 외주면에는 밀착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의 왼나사와 오른나사는 각각 두줄나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낚 싯대용 길이조절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의 하단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이 고정 설치되도록 그 외주면 둘레를 따라 고정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
KR1020050083529A 2005-09-08 2005-09-08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 KR100687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529A KR100687175B1 (ko) 2005-09-08 2005-09-08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529A KR100687175B1 (ko) 2005-09-08 2005-09-08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919U Division KR200401901Y1 (ko) 2005-09-08 2005-09-08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7175B1 true KR100687175B1 (ko) 2007-03-02

Family

ID=3810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529A KR100687175B1 (ko) 2005-09-08 2005-09-08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71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748B1 (ko) 2015-08-26 2016-09-01 유지수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KR20190089641A (ko) 2018-01-22 2019-07-31 김해광 파이프 길이 조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539Y1 (ko) 2001-11-17 2002-03-12 이수영 대를 갖는 낚시용구의 대 길이 조절구
KR200274473Y1 (ko) 2002-01-29 2002-05-06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다단식 지팡이용 연결관의 길이 조절장치
KR200284867Y1 (ko) 2002-04-23 2002-08-13 송정식 다단식 등산용 지팡이
KR200299557Y1 (ko) 2002-09-30 2003-01-06 전용우 신축지팡이의 조절구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539Y1 (ko) 2001-11-17 2002-03-12 이수영 대를 갖는 낚시용구의 대 길이 조절구
KR200274473Y1 (ko) 2002-01-29 2002-05-06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다단식 지팡이용 연결관의 길이 조절장치
KR200284867Y1 (ko) 2002-04-23 2002-08-13 송정식 다단식 등산용 지팡이
KR200299557Y1 (ko) 2002-09-30 2003-01-06 전용우 신축지팡이의 조절구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748B1 (ko) 2015-08-26 2016-09-01 유지수 파이프 길이조절장치
KR20190089641A (ko) 2018-01-22 2019-07-31 김해광 파이프 길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6821B1 (en) Stageless adjusting/locating device for sticks
US10500891B2 (en) Mechanical pencil
US6667432B2 (en) Drumhead tensioning device and method
US10047787B2 (en) Tension rod mechanism
US5188492A (en) Split ring clamping arrangement
US2999706A (en) Tube lock
US5074724A (en) Split ring clamping arrangement
EP3250832B1 (en) Locking arrangement for telescopic devices
JP2010529509A (ja) 光学機器もしくはビデオ/写真機器のための調節可能支持ヘッド
US4236844A (en) Joint support structure
KR20030043722A (ko) 섕크에 연결된 지지 요소에 로드형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체결 장치
KR100687175B1 (ko)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
KR20140049069A (ko) 신축장치
JP2000046021A (ja) 伸縮ロッドおよびこの伸縮ロッドを用いた柄付き用具
KR20190132484A (ko) 스타 드래그 릴의 드래그 조절 조립체
KR102156051B1 (ko) 너트
KR200401901Y1 (ko) 낚싯대용 길이조절장치
WO1996031707A1 (en) Adjustable hinge
WO2013080462A1 (ja) 固定装置
JP2004261956A (ja) クイックナット
KR970070590A (ko) 풀림방지 너트 및 볼트
US2291748A (en) Tripod
JP7260386B2 (ja) クランプ装置
JP2007232103A (ja) クランプ装置
US5533460A (en) Thread tension device with latch for a sew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