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060B1 -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060B1
KR100686060B1 KR1020050079037A KR20050079037A KR100686060B1 KR 100686060 B1 KR100686060 B1 KR 100686060B1 KR 1020050079037 A KR1020050079037 A KR 1020050079037A KR 20050079037 A KR20050079037 A KR 20050079037A KR 100686060 B1 KR100686060 B1 KR 100686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level data
field value
cdma
data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형석
강필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9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휴대 단말기의 메뉴화면을 출력하고 부호분할접속(CDMA) 모듈의 모드 변경 입력신호를 판별하여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입력 신호에 의해 모드 필드(field) 값을 변경하여 비동기식 상위레벨 데이터 제어링크(HDLC) 계층을 이용하여 모드 변경 요구 메시지(Mode change Request Message)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 필드(field) 값으로 모드를 셋팅하여 모드 변경 응답 메시지(Mode Change Response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개인휴대단말기와 부호분할접속 모듈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PDA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 부호분할접속(CDMA) 모듈의 모드를 제어하기 위해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제어(Asynchronous HDLC)계층을 이용하여 보다 신속, 정확하게 CDMA 모듈의 성능 테스트, Binary/ PRL/ Script Down load 및 데이터 통신 모드 설정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PDA 단말기 개발 환경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효과가 있다.
HDLC, PDA, CDMA module

Description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face using Asynchronous HDLC}
도 1은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Asynchronous HDLC)계층의 프레임 필드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부호분할접속(CDMA)모듈의 인터페이스 제어를 위한 모드 변경 요청 메시지의 패킷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휴대단말기와 부호분할접속 모듈의 인터페이스 제어를 위한 메시지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개인휴대단말기와 부호분할접속 모듈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휴대단말기와 부호분할접속 모듈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기종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사이 인터페이스(Inter face) 제어 방식은 AT 명령어(Command)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AT 명령어(Comm and)를 사용하여 1 바이트(byte)의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 'Base 64 code' 형식을 사용해야 함으로 2 바이트(bytes)로 사이즈(Size)가 증가하게 되고 전송 측에서는 인코더 모듈(Encoder module)이 필요하고 수신 측에서는 디코더 모듈(Decoder module)이 필요하게 되어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HDLC) 방식을 사용할 때보다 명령어(Command) 처리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PDA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에서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 모듈의 모드를 제어하기 위해 명령어(Command) 전송시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HDLC) 사용 시보다 늦어져 모드 변경(Mode change)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모드 변경시 또 다른 명령어(Command)를 전송할 경우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모듈의 모드 상태(Mode state)가 꼬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휴대 단말기 PDA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부터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 모듈의 모드를 제어하기 위해 종전에 사용하던 AT 명령어(Command) 형식이 아닌 비동기식 상위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Asynchronous HDLC)계층 형식을 사용하여 기존 방식보다 신속, 정확하게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 모듈의 모드를 제어하여 CDMA 모듈의 성능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List)/Script(SCR) 다운로드 및 데이터 통신 모드 설정 기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와 부호분할접속 모듈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서 개인휴대 단말기의 메뉴화면을 출력하고 부호분할접속(CDMA) 모듈의 모드 변경 입력신호를 판별하여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입력 신호에 의해 모드 필드(field) 값을 변경하여 비동기식 상위레벨 데이터 제어링크(HDLC) 계층을 이용하여 모드 변경 요구 메시지(Mode change Request Message)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변경 필드(field) 값으로 모드를 셋팅하여 모드 변경 응답 메시지(Mode Change Response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Asynchronous High-level Data Link Control; HDLC) 계층의 프레임 필드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비동기식 상위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Asynchronous HDLC) 프레임은 정보필드(Information Field), 프레임 체크(Frame Check), 종료 플래그(Ending Flag)로 구성 된다. 이것은 ISO-3309:1984-PDA 1 규격에 따른 것이다. 정보필드(Information Field)는 PDA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통신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 제어를 담당하고 있는 DIAG(Diagnostic) Task를 수행하기 위한 모든 메시지를 포함하는데 사용된다. 외부장치 혹은 PDA Phone UI S/W를 통해 요구(Request)되는 메시지들과 그에 따른 응답(Response) 메시지를 포함한다. 만약 Information에 Ending Flag(0x7E) 혹은 Ending Character(0x7D)를 포함하여 전하게 된다면 Ending Character(0x7D)를 집어넣고 보내고자하는 문자를 Escape Complement Value(0x20)과 XOR 처리하여 전송하여야 하며, 패킷 수신 시는 Ending Character(0x7D)를 버리고 다음 문자를 Escape Complement Value(0x20)와 XOR하여 복원하여 사용한다. CRC(Cyclic Redundancy Check)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프레임 체크(Frame Check)는 Information 필드의 에러를 검출한다. CRC의 생성은 X16+X12+X5+1의 표준 CRC-CCITT-16 다항식 생성기에 따른다. CRC는 모든 데이터에 따라 초기화되고 보충되어 전송되며 수신자 측에서는 전송한 bits(CRC bits 포함)를 CRC 계산을 통해 비교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단, CRC 계산에 있어 삽입되거나 삭제된 escape bytes는 포함되지 않는다. 종료 플래그(Ending Flag)는 프레임의 끝을 나타낸다. 이것은 항상 8 bit binary sequence인 01111110 (0x7E)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부호분할접속(CDMA)모듈의 인터페이스 제어를 위한 모드 변경 요청 메시지의 패킷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PDA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서 CDMA 모듈로 모드 변경을 요청하고 특정 모드로 전환하여 개발자의 TEST나 Layer 1단의 파라미터(Parameter) 값 변경 및 데이터(data) 통신 모드 설정을 위해 사용하는 HDLC 형식의 요청메시지 패킷(Request message packet)이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서 변경을 원하는 CDMA 모듈의 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CDMA 모듈로 모드 변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요청 메시지 패킷의 구성은 CMD_CODE, SUB_CMD_CODE, MODE 필드로 이루어진다. CMD_CODE(240)는 1byte로 표현 가능한 명령어 수는 0(0x00) ~ 255(0xFF), 즉 256가지로 구분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주 명령어(main command number)의 일련 번호가 240번인 것을 나타낸다. 이는 PDA와 CDMA 모듈 간의 비동기식 HDLC 명령어 통신 데이터에 붙여지는 일련번호를 의미한다. SUB_CMD_CODE(4)는 보조 명령어(Sub command number)의 일련번호가 4인 것을 나타낸다. 이는 주 명령어가 240번인 비동기식 HDLC 통신에서 4번째 CDMA 모듈 인터페이스 제어와 관련된 보조 명령어임을 의미한다. 모드(MODE) 필드(field)의 값은 0 ~ 8까지 입력 가능하며 모드 0은 단말기가 오프라인 디지털(Offline Digital) 상태에서 축적 프로그램 제어(Stored Program Control; SPC) 방식의 Unlock 후에 NV_WRITE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모드 필드(field)가 1인 경우 아날로그 FM변조 방식(AMPS)의 오프라인 아날로그(Offline Analog)를 설정하는 것이다. 모드 필드(field)가 2인 경우 코드접속분할(CDMA) 모듈의 소프트웨어 리셋(Reset)을 설정한다. 소프트 리셋할 수 있기 위해서 축적 프로그램 제어(Stored Program Control; SPC)방식의 Unlock과 더불어 모드 오프라인 디지털 명령어(Mode Office Digital Command)가 선행 송부되어야 한다. 모드 필드(field)가 3인 경우 PDA와 CDMA 모듈 간의 디폴트 인터페이스 채널(default interface CH)인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UART) 2로만 요청 패킷(Request Packet)을 송부하는 사용자(User) 모드를 설정한다. 모드 필드(field)가 4인 경우 PC 및 외부장치(External Device)와 CDMA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 채널인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niversal Asyn 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UART) 1, UART2의 모든 포트(Port)로 요청 패킷(Request Packet)을 송부하는 테스트(Test) 모드를 설정한다. 모드 필드(field)가 5인 경우 Reserved 모드를 설정한다. 모드 필드(field)가 6인 경우 1x Only 통신 모드를 설정한다. 모드 필드(field)가 7인 경우 HDR(High Data Rate) Only 통신 모드를 설정한다. 모드 필드(field)가 8인 경우 1x HDR(High Data Rate) Hybrid 통신 모드를 설정한다. 실시 예에서는 모드 2로 변경 요청한다.
삭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개인휴대단말기(PDA)와 부호분할접속(CDMA) 모듈의 인터페이스 제어를 위한 메시지 흐름도이다.
User가 부호분할접속(CDMA)모듈의 모드 변경 선택 신호를 개인휴대단말기(PDA)로 입력한다. 개인휴대단말기(PD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의해 모드 변경 요청 메시지를 부호분할접속(CDMA)모듈로 송신한다. 부호분할접속(CDMA)모듈은 모드 변경 응답 메시지를 개인휴대단말기(PDA)로 송신하여 모드 변경 요청에 따른 결과 정보를 제공한다. 모드 변경 요청 메시지 및 모드 변경 응답 메시지는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Asynchronous HDLC) 계층 형식을 이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개인휴대단말기와 부호분할접속 모듈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개인휴대 단말기는 화면표시부에 메뉴화면을 출력하고 부호분할접속(CDMA) 모듈의 모드 변경 입력신호를 판별하여 검출한다(S400). 검출된 입력 신호에 의해 모드 필드(field) 값을 변경하여 비동기식 상위레벨 데이터 제어링크(HDLC) 계층을 이용하여 모드 변경 요구 메시지(Mode change Request Message)를 송신한다(S401). 모드 변경 요구 메시지(Mode change Request Message)를 수신한 부호분할접속(CDMA)모듈은 모드 필드 변경 값으로 셋팅한다(S402). 필드(field) 값으로 모드를 변경하여 처리된 모드 변경 응답 메시지(Mode Change Response Message)를 수신한다(S403).
본 발명은 PDA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 부호분할접속(CDMA) 모듈의 모드를 제어하기 위해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제어(Asynchronous HDLC)계층을 이용하여 보다 신속, 정확하게 CDMA 모듈의 성능 테스트, Binary/ PRL/ Script Down load 및 데이터 통신 모드 설정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PDA 단말기 개발 환경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개인휴대 단말기의 메뉴화면을 출력하고 부호분할접속(CDMA) 모듈의 모드 변경 입력신호를 판별하여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개인휴대 단말기는 상기 검출된 입력 신호에 의해 모드 필드(field) 값을 변경하고, 비동기식 상위레벨 데이터 제어링크(HDLC) 계층을 이용하여 상기 부호분할접속(CDMA) 모듈로 모드 변경 요구 메시지(Mode change Request Message)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변경 필드(field) 값으로 모드를 셋팅하여 상기 부호분할접속(CDMA) 모듈로부터 상기 모드 변경 응답 메시지(Mode Change Response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휴대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경 요구 메시지(Mode change Request Message)는 CMD_CODE, SIB_CMD_CODE, MODE 패킷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필드(field) 값은 0 ~ 8까지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필드(field) 값이 0인 경우 NV_WRITE 가능한 오프라인 디지털(Offline Digital) 모드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필드(field) 값이 1인 경우 아날로그 FM변조 방식(AMPS)의 오프라인 아날로그(Offline Analog) 모드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필드(field) 값이 2인 경우 코드접속분할(CDMA)모듈의 소프트웨어 리셋(Reset) 모드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필드(field) 값이 3인 경우 PDA와 CDMA 모듈 간의 디폴트 인터페이스 채널(default interface CH)인 UART 2로만 요청 패킷(Request Packet)을 송부하는 사용자(User) 모드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필드(field) 값이 4인 경우 PC 및 외부장치(External Device)와 CDMA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 채널인 UART1, UART2의 모든 포트(Port)로 요청 패킷(Request Packet)을 송부하는 테스트(Test) 모드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필드(field) 값이 5인 경우 Reserved 모드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필드(field) 값이 6인 경우 1x Only 통신 모드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필드(field) 값이 7인 경우 HDR(High Data Rate) Only 통신 모드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필드(field) 값이 8인 경우 1x HDR(High Data Rate) Hybrid 통신 모드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4. 삭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경 응답 메시지(Mode Change Response Message)는 모드 변경의 성공 여부를 데이터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6. 모드 변경 요청 메시지를 비동기식 상위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Asynchronous HDLC) 계층을 이용하여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으로 송신하는 개인휴대 단말기(PDA);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모드 필드(field) 값을 변경하여 셋팅 한 후 모드 변경 응답 메시지를 상기 개인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휴대 단말기(PDA)는 상기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 모듈의 성능 테스트 모드를 설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휴대 단말기(PDA)는 상기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모듈의 Binary (BIN), PRL(Preferred Roaming List), Script(SCR) 다운로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휴대 단말기(PDA)는 상기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모듈의 Data 통 신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KR1020050079037A 2005-08-26 2005-08-26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686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037A KR100686060B1 (ko) 2005-08-26 2005-08-26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037A KR100686060B1 (ko) 2005-08-26 2005-08-26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6060B1 true KR100686060B1 (ko) 2007-02-26

Family

ID=38104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037A KR100686060B1 (ko) 2005-08-26 2005-08-26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60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006A (ko) * 1996-06-29 1998-03-30 김주용 통신 속도 향상을 위한 하이레벨 데이터 링크제어절차 제어장치
KR19990085948A (ko) * 1998-05-23 1999-12-15 김영환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처리 장치
KR20030037462A (ko) * 2001-11-05 2003-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W-cdma wll pci 단말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및 방법
KR20050086398A (ko) * 2005-08-09 2005-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휴대정보단말기와 통신모듈간의 시스템 타임정보 공유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006A (ko) * 1996-06-29 1998-03-30 김주용 통신 속도 향상을 위한 하이레벨 데이터 링크제어절차 제어장치
KR19990085948A (ko) * 1998-05-23 1999-12-15 김영환 프레임 릴레이 프로토콜 처리 장치
KR20030037462A (ko) * 2001-11-05 2003-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W-cdma wll pci 단말에서의 데이터 처리 장치및 방법
KR20050086398A (ko) * 2005-08-09 2005-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휴대정보단말기와 통신모듈간의 시스템 타임정보 공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04837B (zh) 一种用于建立无线连接的方法及设备
KR101595762B1 (ko)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EP23813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rmware update in a portable terminal
JP2020503723A (ja) Harqフィードバック−ack情報送信方法及び関連装置
EP1894432B1 (en) Performing diagnostics in a wireless system
JP2012518309A (ja) メッセージ処理装置及び方法
KR20010096543A (ko) 해석된 바이트코드 프로그램의 무선 전송을 이용하여이동국을 준비/업데이트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4152816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WO2018036026A1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基站、目标终端、系统及存储介质
CN103916852A (zh) 一种数据传输方法以及一种移动终端
EP1934761B1 (en) Dma transfer and hardware acceleration of ppp frame processing
KR100566975B1 (ko) 휴대폰의 원격 기능변경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413032B (zh) 一种热点建立方法及终端设备
KR101407369B1 (ko) 듀얼 톤 다중 주파수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TW201236491A (en) Method of pairing a computer and wireless electronic devices
CN109286634A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0686060B1 (ko)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8049968A1 (zh) 热点建立方法及终端
CN112888024A (zh) 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1174987A (zh) 无线通讯系统处理协议错误的方法及其相关装置
JP2005033776A (ja) 移動体通信端末及び外部装置
KR100720589B1 (ko) 비동기식 상위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계층을 이용한스피커 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7315623B (zh) 一种上报统计数据的方法和装置
KR100593549B1 (ko) 유에스비를 이용한 컴퓨터와 이동 통신 단말기 상호간의 데이터 전송 장치
CN115412972A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