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277B1 -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277B1
KR100685277B1 KR1020040066288A KR20040066288A KR100685277B1 KR 100685277 B1 KR100685277 B1 KR 100685277B1 KR 1020040066288 A KR1020040066288 A KR 1020040066288A KR 20040066288 A KR20040066288 A KR 20040066288A KR 100685277 B1 KR100685277 B1 KR 100685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engines
query
drop
down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8632A (ko
Inventor
현인호
Original Assignee
현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인호 filed Critical 현인호
Priority to KR1020040066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277B1/ko
Publication of KR20040078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키지 아니한 상태에서 바탕화면이나 태스크 바에 포함된 검색창에 질의어를 입력하고, 검색엔진을 선택하여 검색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검색이 가능하며, 다수의 검색엔진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으로부터 일괄적으로 검색결과를 추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검색결과중 중복되는 사항을 제거하고 화면에 도시되는 형식을 통일하여 사용자에게 일목요연하게 보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질의어에 대응하는 광고링크를 재구성된 검색결과의 좌우나 상하 여백에 포함시킴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 시킬수 있는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윈도우즈 시스템의 바탕화면 또는 태스크 바에 배치되어 질의어를 입력받기 위한 검색창; 다수의 검색엔진중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을 선택하기 위한 드롭다운 리스트; 상기 검색창에 결합되며, 상기 검색창에 입력된 질의어를 상기 드롭다운 리스트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으로 전달하기 위한 검색버튼;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에서 전달받은 검색결과의 html 소스를 재구성하고,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켜 상기 재구성된 검색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탕화면, 태스크 바, 검색창, 드롭다운 리스트, 검색버튼, 제어부

Description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NSTRUCTURING SEARCH RESEARCH RESULT USING SEARCH ENGINES}
도 1은 본 발명의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드롭다운 리스트 200 : 검색창
300 : 검색버튼 400 : 제어부
본 발명은 드롭다운 리스트에서 사용할 검색엔진을 결정하고, 윈도우즈 시스템의 바탕화면이나 태스크 바에 배치된 검색창에 질의어를 입력하면, 별도의 창으로 검색결과가 도시되도 록 구성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색엔진에서 검색한 검색결과의 html 소스를 분석하여 질의어와 관련한 소정의 정보를 포함시켜 재구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웹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켜, 특정 검색엔진의 웹 페이지로 이동하여 질의어를 입력함으로써 검색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검색엔진들간의 이동을 위해서는 별도로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검색엔진의 주소를 입력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다수의 검색엔진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검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검색엔진의 검색페이지로 이동해서 검색을 해야하기 때문에 과도한 시 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드롭다운 리스트를 사용하여 다수의 검색엔진중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을 선택하고, 질의어를 입력함으로써 검색을 하는 윈도우즈 시스템의 바탕화면이나 태스크바에 배치되는 검색창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검색된 검색결과의 html 소스를 분석하여 중복되는 검색결과를 제거하고, 중복되지 않는 검색결과만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질의어와 관련있는 광고링크를 포함시켜 검색결과의 html 소스를 재구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는 윈도우즈 시스템의 바탕화면 또는 태스크 바에 배치되어 질의어를 입력받기 위한 검색창; 다수의 검색엔진중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을 선택하기 위한 드롭다운 리스트; 상기 검색창에 입력된 질의어를 상기 드롭다운 리스트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으로 전달하기 위한 검색버튼; 상기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에서 전달받은 검색결과의 html 소스를 재구성하고,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켜 상기 재구성된 검색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방법은 드롭다운 리스트에서 다수의 검색엔진중 검색할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을 선택하는 단계; 윈도우즈 시스템의 바탕화면 또는 태스크바에 배치된 검색창에 질의어를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질의어를 선택된 검색엔진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질의어에 대하여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전송받은 검색결과를 재구성하는 단계;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켜 상기 재구성된 검색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웹 브라우저는 인터넷을 통하여 html 포맷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화면상에 표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며, 윈도우즈 시스템은 미국의 마이크로 소프트웨어사의 퍼스널컴퓨터용 운영체계로서 GUI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는 다수의 검색엔진중 사용하고자 하는 검색엔진을 선택하기 위한 드롭다운 리스트(100), 윈도우즈 시스템의 바탕화면 또는 태스크 바에 배치되어 질의어를 입력받기 위한 검색창(200), 상기 검색창에 입력된 질의어를 상기 드롭다운 리스트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으로 전달하기 위한 검색버튼(30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에서 전달받은 검색결과의 html 소스를 재구성하고,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켜 상기 재구성된 검색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400)를 구비한다.
드롭다운 리스트(100)는 마우스로 클릭 했을때 리스트 전체를 보여주며, 일 부의 아이템이 선택되거나 리스트 전체를 보여줄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리스트에서 선택된 아이템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여주기 위한 콤포넌트이다. 본 발명의 드롭다운 리스트(100)는 검색엔진의 명칭이나 주소를 아이템으로 포함하고 있는데, 예를들어 www.empas.com, www.naver.com, kr.yahoo.com 및 www.google.com과 같은 검색엔진을 리스트의 구성요소로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검색엔진의 주소를 직접 나타내는 대신 야후코리아, 구글, 네이버, 엠파스와 같은 명칭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드롭다운 리스트(100)에는 드롭다운 리스트(100)에 포함되는 검색엔진의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이러한 드롭다운 리스트(100)을 클릭하여 리스트에 포함된 검색엔진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체크박스를 이용하여 마우스 클릭으로 체크된 검색엔진을 사용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검색창(200)은 html을 표시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지 아니하며 최소의 형태로 질의어만을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검색창(200)은 윈도우즈 시스템의 바탕화면이나 태스크 바에 배치되어 최소한의 공간만을 점유하며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지 아니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상를 통하여 검색엔진에 접속했을때 화면상에 도시되는 검색창과 형태에 있어서 유사하지만, 단지 형태상의 유사성이 있을뿐 웹 브라우저와는 별개의 콤포넌트로 구성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즉, 이러한 검색창(200)은 단순히 텍스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창으로써 최소의 크기를 가지며, 윈도우즈 시스템의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드래그에 의하여 위치를 이동할 수 있으며, 또는 태스크 바에 결합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화면상에서 최소한의 면적만을 점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검색창(200)의 존재를 무시하고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다가, 검색의 필요성이 있을 때마다 상기 검색창(200)을 통하여 검색엔진에 접근할 수 있게된다.
상기 검색버튼(300)은 사용자가 검색창(200)에 질의어를 입력한 다음 마우스 클릭이나 엔터키등을 누름으로써 질의어 입력이 완료후, 입력된 질의어를 이용하여 검색을 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콤포넌트이다. 즉, 이러한 검색버튼(300)은 질의어에 사용자가 질의어를 입력한 다음 상기 검색버튼(300)을 누르거나, 상기 검색버튼(300)에 포커스가 있는 동안에 엔터키나 스페이스바와 같은 키보드의 자판을 누름으로써 버튼이 클릭되었다는 이벤트를 발생시키며, 이러한 이벤트는 제어부(400)으로 전달됨으로써 질의어의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알린다.
제어부(400)는 상기 검색버튼(300)에서 버튼 누름 이벤트 발생시 상기 검색창(200)에 입력된 질의어를 드롭다운 리스트(100)에서 선택된 검색엔진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질의어를 전송하여 검색결과를 html 포맷으로 전송받으면 이를 재구성고,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켜 표시한다.
이때,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에서 검색결과를 전송받아 재구성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에서 검색한 검색결과중 주소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내용, 즉,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에서 동일하게 검색해낸 공통적인 사항을 제거하고, 검색엔진의 순서에 따라 검색결과를 배치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선호하는 검색엔진의 검색결과를 상단에, 나머지 검색엔진의 검색결과를 하단에 표시하는 방법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다수의 검색엔진중 선호하는 검색엔진 순으로 상기 드롭다운 리스트(100) 상에서 순서대로 배열할 수도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검색엔진을 사용하는 빈도에 따라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검색엔진 순으로 선호도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각 검색엔진은 검색결과를 표시하는 방식이 상이한데, 구체적으로는 화면 좌우의 여백이라던가, 프레임의 구조등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각 검색엔진에서 검색결과를 수신하여 검색결과를 통일시켜 하나의 화면에 보여줄 수 있다. 즉, 각 검색엔진에서 수신한 검색결과를 모두 통합하여 html 소스의 수준에서 화면 표시형태를 편집 및 통합하여 새로운 웹 브라우저 창을 열어 표시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의 구성요소인 드롭다운 리스트(100)와 검색버튼(300)이 각각 검색창(200)의 우측과 좌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윈도우즈 시스템의 바탕화면에 최소의 면적을 점유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2b에서는 드롭다운리스트(100)을 클릭하여 다수개 의 검색엔진중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을 선택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제어부(400)는 화면상에 도시되는 부재가 아니므로 도 2a 및 도 2b에는 미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드롭다운 리스트(100)는 다수의 검색엔진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3을 참조로 할 때, 검색하고자 하는 질의어를 카테고리별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일반적으로 검색엔진은 각각 세분화되어 있어 검색하고자 하는 내용에 따라 세분화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반영한 것이며, 특히, 단순하게 검색엔진을 통하여 웹 페이지를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도서검색이나 음악검색, 영어단어 검색 및 쇼핑몰 검색과 같은 다양한 검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드롭다운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사항의 범위를 좁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드롭다운 리스트(100)는 1단계에서 사전검색, 지식검색, 음악검색, 도서검색, 웹사이트 검색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2단계에서는 1단계의 사전검색, 지식검색, 음악검색, 도서검색, 웹사이트 검색에 해당하는 하위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사전검색의 경우, 의학용어사전, IT용어사전, 음악용어사전, 국어사전, 영어 사전, 일어사전 등으로 나누어 질 수 있으며, 음악검색의 경우 음악방송검색, mp3 검색, 뮤직비디오 검색등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이러한 각각의 아이템에 해당하는 하위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는데, 국어사전의 하위리스트로 한글학회국어대사전, 연세국어사전, 푸르넷 초등 국어사전, 엠파스 국어사전이 3단계 선택을 위한 드롭다운 리스트의 아이템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단순하게 웹페이지 검색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검색하고자 하는 질의어의 성격에 따라서 가장 적합한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검색엔진을 사용자가 여러 단계에 걸쳐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로 할 때,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는 윈도우즈 시스템의 바탕화면에 배치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시야를 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반투명한 색상을 이용하여 표시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는 최소한의 공간만을 차지하면서 동시에 투명효과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함에 있어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겪을 수 있는 불편함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의 제어부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으로부터 전송받은 검색결과를 재구성 함에 있어 웹 브라우저의 검색결과가 표시되는 영역의 상하 또는 좌우의 여백에 질의어에 대응하는 배너광고등을 게재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으로부터 전송받은 검색결과를 통합하여 웹 브라우저 상에 표시함에 있어, 사용자의 퍼스널컴퓨터에서 구현가능한 해상도를 감안하여 좌우나 상하에 일정한 여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여백은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하게 검색결과를 인식하도록 도와주는데, 이러한 여백의 일정한 부분에 배너광고등을 삽입하도록 검색결과를 재구성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광고배너등을 삽입함에 있어, 질의어와 관련있는 광고배너를 노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배너광고 마다 다수개의 질의어를 링크시켜 질의어가 입력될 때 마다 해당하는 배너광고를 노출시킬수 있다. 즉, 음식조리방법을 검색하는 경우에 음식재료를 판매하는 쇼핑몰의 배너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400)는 별도의 서버를 이용하여 배너광고와 질의어의 관련성을 정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방법은 드롭다운 리스트에서 다수의 검색엔진중 검색할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을 선택하는 단계; 윈도우즈 시스템의 바탕화면 또는 태스크바에 배치된 검색창에 질의어를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질의어를 선택된 검색엔진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질의어에 대하여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전송받은 검색결과를 재구성하는 단계;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켜 상기 재구성된 검색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키지 아니한 상태에서 바탕화면이나 태스크 바에 포함된 검색창에 질의어를 입력하고, 검색엔진을 선택하여 검색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손쉽게 검색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검색엔진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으로부터 일괄적으로 검색결과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검색결과중 중복되는 사항을 제거하고 화면에 도시되는 형식을 통일하여 사용자에게 일목요연하게 보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질의어에 대응하는 광고링크를 재구성된 검색결과의 좌우나 상하 여백에 포함시킴으로써 광고효과를 극대화 시킬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윈도우즈 시스템의 바탕화면 또는 태스크 바에 배치되어 질의어를 입력받기 위한 검색창;
    다수의 검색엔진중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을 선택하기 위한 드롭다운 리스트;
    상기 검색창에 결합되며, 상기 검색창에 입력된 질의어를 상기 드롭다운 리스트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으로 전달하기 위한 검색버튼;
    상기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에서 전달받은 검색결과의 html 소스를 재구성하고,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켜 상기 재구성된 검색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롭다운 리스트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검색엔진으로부터 전송받은 검색결과를 재구성함에 있어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지 아니하도록 웹 브라우저의 검색결과가 표시되는 영역의 상하 또는 좌우의 여백에 소정의 정보를 게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40066288A 2004-08-23 2004-08-23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 및 방법 KR100685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288A KR100685277B1 (ko) 2004-08-23 2004-08-23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288A KR100685277B1 (ko) 2004-08-23 2004-08-23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632A KR20040078632A (ko) 2004-09-10
KR100685277B1 true KR100685277B1 (ko) 2007-02-22

Family

ID=3736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288A KR100685277B1 (ko) 2004-08-23 2004-08-23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2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01293C (zh) * 2005-03-04 2008-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网页的关联查询及回填页面对象的方法
KR100645614B1 (ko) * 2005-07-15 2006-11-14 (주)첫눈 정보 가치 측정결과를 반영한 검색 방법 및 검색 장치
KR100909459B1 (ko) * 2007-04-27 2009-07-24 (주)유비랩아이앤씨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16500B1 (ko) * 2007-12-27 2009-09-08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통합 검색을 위한 모바일 위젯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0954026B1 (ko) * 2008-04-23 2010-04-20 인크루트 주식회사 취업 정보 노출 방법 및 시스템
KR100885945B1 (ko) 2008-06-04 2009-02-26 김수현 지능형 자동인식 툴바 검색 방법 및 검색 시스템
CN113010763A (zh) * 2021-03-18 2021-06-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搜索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774A (ko) * 2000-04-08 2000-09-05 윤성원 인터넷 검색엔진의 검색결과 표시방법
KR20030088087A (ko) * 2002-05-11 2003-11-17 이경목 떠있는 검색 단어 입력 창을 공유하는 원터치 음성인식검색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774A (ko) * 2000-04-08 2000-09-05 윤성원 인터넷 검색엔진의 검색결과 표시방법
KR20030088087A (ko) * 2002-05-11 2003-11-17 이경목 떠있는 검색 단어 입력 창을 공유하는 원터치 음성인식검색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53774
102003008808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632A (ko) 200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88067B (zh) 从电子文档组装、提取和配置内容的方法和装置
Wong et al. What do we" mashup" when we make mashups?
Jones et al. Improving web search on small screen devices
US200802292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for objects in electronic documents
KR20000006838A (ko) 인터넷상의 검색전문웹사이트 및 그 검색방법
Hong et al. E-service environment: impacts of web interface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online shopping behavior
Nawaz et al. Website usability in Asia “from within”: an overview of a decade of literature
JP2007280011A (ja) Webページ閲覧履歴の提示方法および装置
KR100685277B1 (ko)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 및 방법
Thompson et al. Web-scale discovery in an academic health sciences library: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EBSCO Discovery Service
JP6653169B2 (ja) キーワード抽出装置、コンテンツ生成システム、キーワード抽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007450A (ja) 検索支援システム
Wissel et al. Telling the story of a collection with visualizations: A case study
JP2003281093A (ja) ブラウザにおけるリンク先情報の閲覧方法及び装置
Caple et al. Using Kaleidographic to visualize multimodal relations within and across texts
WO20071392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tab corresponding to query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JP2023015766A (ja) 検索装置、検索方法及び検索プログラム
Sesagiri Raamkumar et al. Can I have more of these please? Assisting researchers in finding similar research papers from a seed basket of papers
KR100616152B1 (ko) 인터넷상에서 기사를 자동분류하여 타 웹사이트에 자동송출하는 제어방법
KR100495034B1 (ko) 인포박스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Gottron Combining content extraction heuristics: the CombinE system
KR20020028044A (ko) 데이터베이스 링크 키워드 포털서비스 방법
Sahni et al. Web usability: issues, challenges and solutions
KR100605128B1 (ko) 하드웨어 고유번호에 따른 검색결과의 재구성 장치
Whang Card-sorting usability tests of the WMU libraries’ web s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