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124B1 -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124B1
KR100685124B1 KR1020050012490A KR20050012490A KR100685124B1 KR 100685124 B1 KR100685124 B1 KR 100685124B1 KR 1020050012490 A KR1020050012490 A KR 1020050012490A KR 20050012490 A KR20050012490 A KR 20050012490A KR 100685124 B1 KR100685124 B1 KR 100685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ata
frame
information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1549A (ko
Inventor
정구익
이군섭
정원석
이동학
이주식
이명성
김덕경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2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124B1/ko
Publication of KR20060091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8Transmitter circuitry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0Modula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시스템 E 기반 위성 DMB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시, 단말의 처리능력, 화면 크기, 소모 가능 전력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을 고려해 계층적 수신을 통해 이득을 취하는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 관련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SVC 압축기법을 이용하여, 계층화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디오 인코더; 상기 계층화된 각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PES 패킷을 생성하는 PES 패킷타이저; 상기 각 PES 패킷을 입력받아 계층화된 TS 패킷을 생성하는 TS 다중화기; 상기 계층화된 각 TS 패킷 중 최하위 계층을 제외한 계층의 TS 패킷을 입력받아, 상기 TS 패킷에 패러티 정보를 추가한 후 리드 솔로몬 부호화 함과 동시에 최하위 계층의 영상 데이터에 계층화 되지 않은 상기 음성정보 TS 패킷 및 프로그램 구성정보 TS 패킷을 포함시켜 패러티 정보를 추가한 후 리드 솔로몬 부호화 하는 리드 솔로몬 부호화기; 상기 리드 솔로몬 부호화된 데이터를 바이트 인터리빙 하는 바이트 인터리버; 상기 바이트 인터리빙 된 각 계층의 데이터를 계층별로 길쌈 부호화 하는 길쌈 부호화기; 상기 길쌈 부호화된 각 계층의 데이터를 계층별로 비트 인터리빙 하는 비트 인터리버; 및 상기 비트 인터리빙 된 각 계층의 데이터를, 낮은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로 부터 높은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 순으로 슈퍼 프레임의 각 계층별 전송 구간 길이와 일치하도록 스위칭하며, 상기 스위칭된 각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와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계층화된 다른 방송 프로그램의 프레임 데이터를 함께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변조하여 전송하는 CDM 변조기로 구성된다.
SVC(Scalable Video Coding) 압축기법,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 TS(Transport Stream) 패킷

Description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Hierarchical Transmission System In Satellite-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DMB) Systems And Method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 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송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된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기 위해 송신측 내부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된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기 위해 수신측 내부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 및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0: 송신기 21: 비디오 인코더
22: PES 패킷타이저 23: TS 다중화기
24: 리드 솔로몬 부호화기 25: 바이트 인터리버
26: 길쌈 부호화기 27: 비트 인터리버
28: CDM 변조기 31: 코드 생성기
32: CDM 복조기 33: 계층 프레임 카운터기
34: 수신 제어기 34-1: 비교기
34-2: 전원 제어기 34-3: 코드 생성 제어기
35: 비트 디인터리버 36: 내복호화기
37: 바이트 디인터리버 38: 외복호화기
39: PES 디패킷타이저 40: TS 역다중화기
41: 비디오 디코더 300: 수신기
본 발명은 위성 DMB 관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스템 E 기반 위성 DMB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시, 단말의 처리능력, 화면 크기, 소모 가능 전력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을 고려해 계층적 수신을 통해 이득을 취하는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 E 기반 위성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로 약칭함) 시스템은 방송국으로부터 사용자로의 일방향 전송 시스템으로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고정 수신, 휴대 및 이동수신 환경에서 목표 서비스 품질 을 만족 하도록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목표 서비스 품질이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수신 정합표준에 의하면, 사용자가 서비스 받는 최저 요구 품질로써, 오디오의 경우 고품질 디지털 오디오 매체(CD) 급에 상응하는 수준의 음질이고, 비디오 서비스와 함께 제공되는 오디오는 아날로그 FM 급의 음질로 정의하며, 비디오의 경우 5 인치급 LCD를 기준으로 VCD 급의 화질로 규정한다. 이러한 목표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도록 제작된 DMB 전용 단말기는 현재 차량용, 휴대용 등으로 상용화 단계까지 들어섰다.
그러나, 단말기의 소형화와 저렴한 가격, 보다 다양한 기능 등 사용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 DMB 전용 단말기가 목표 서비스 품질을 만족한다 할지라도 보다 많은 서비스 이용자 유치를 위해서는 서비스 품질 이외에 구매자의 제품 요구 조건에도 부합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서, DMB 전용 단말기를 휴대폰, PDA 와 같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기기들과 결합하여 기능은 높이되 상대적 가격은 낮추어 구매자의 욕구를 보다 더 충족시키는 또 다른 형태의 단말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렇게 보다 다양한 기능을 가진 단말들은 기존의 기기 위에 위성 DMB 서비스의 기능이 추가된 형태를 띄고 있는 것이 일반적으로, 단말의 크기 및 화면 크기 등의 외형적 모습은 기존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소비자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고 있다.
이와 같이 DMB 단말의 모습이 기존 위성 DMB 시스템의 고정된 틀 안에서 다양한 모습을 가지고 나타나게 되는데, 그 중에서도 변모된 제품이 가지는 소형화 및 기능의 다양화는 기존의 DMB 전용 단말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방송 서비스 시청 시간의 단축 문제와 영상 서비스의 제약을 야기시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부가적 기능으로 인해 요구하는 전력 용량은 더 커지는 반면,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배터리 크기는 축소되어 방송 서비스 시청 가능시간을 줄이는 결과를 낳는다. 뿐만 아니라 단말과 함께 영상 화면의 크기도 같이 소형화되면서 작아진 화면 위에 기존 화면 크기에 대한 영상 정보가 모두 서비스 되지 못하거나 혹은 필요 이상의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는 현상을 발생시키게 된다.
현재 이러한 사안들 중, 전력 제약에 대한 극복 노력으로 전력 소비가 작은 칩 개발 및 전력 소비를 낮추는 알고리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지만 영상 서비스 제약에 관한 해결책은 영상 정보들을 모두 수신한 후 어떻게 데이터를 처리할지에 대해서만 국한되어 PHY 부분에서의 이득은 전혀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대안으로 위성 DMB 시스템에 적용된 기술 및 표준안을 다시 검토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지만, 대대적으로 시스템을 수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기존의 시스템에서 미소 부분 변화를 주어 효과를 얻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 E 기반 위성 DMB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 수신 시, 단말의 처리능력, 화면 크기, 소모 가능 전력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을 고려해 계층적 수신을 통해 이득을 취하는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 램 관련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SVC 압축기법을 이용하여, 계층화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디오 인코더; 상기 계층화된 각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PES 패킷을 생성하는 PES 패킷타이저; 상기 각 PES 패킷을 입력받아 계층화된 TS 패킷을 생성하는 TS 다중화기; 상기 계층화된 각 TS 패킷 중 최하위 계층을 제외한 계층의 TS 패킷을 입력받아, 상기 TS 패킷에 패러티 정보를 추가한 후 리드 솔로몬 부호화 함과 동시에 최하위 계층의 영상 데이터에 계층화 되지 않은 상기 음성정보 TS 패킷 및 프로그램 구성정보 TS 패킷을 포함시켜 패러티 정보를 추가한 후 리드 솔로몬 부호화 하는 리드 솔로몬 부호화기; 상기 리드 솔로몬 부호화된 데이터를 바이트 인터리빙 하는 바이트 인터리버; 상기 바이트 인터리빙 된 각 계층의 데이터를 계층별로 길쌈 부호화 하는 길쌈 부호화기; 상기 길쌈 부호화된 각 계층의 데이터를 계층별로 비트 인터리빙 하는 비트 인터리버; 및 상기 비트 인터리빙 된 각 계층의 데이터를, 낮은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로 부터 높은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 순으로 슈퍼 프레임의 각 계층별 전송 구간 길이와 일치하도록 스위칭하며, 상기 스위칭된 각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와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계층화된 다른 방송 프로그램의 프레임 데이터를 함께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변조하여 전송하는 CDM 변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방법은, a) 송신기가, 방송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영상 정보 인지 아니면 음성 정보 및 프로그램 구성 정보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의 판단결과, 영상 정보일 경우, 비디오 인코더가, 방송 프로그램 관련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계층화된 영상 데이터를 생 성하는 단계; c) PES 패킷타이저(Packetizer)가, 상기 계층화된 각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을 생성하고, TS 다중화기가, 상기 각 PES 패킷을 입력받아 계층화된 TS(Transport Stream)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송신기가, 상기 계층화된 각 영상관련 TS 패킷이 최하위 계층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단계(d)의 판단결과, 상기 계층화된 각 영상관련 TS 패킷이 최하위 계층이 아닐 경우, 리드 솔로몬 부호화기가, 상기 계층화된 각 영상관련 TS 패킷을 입력받아, 상기 TS 패킷에 패러티 정보를 추가한 후 리드 솔로몬 부호화 하고, 상기 바이트 인터리버가, 상기 리드 솔로몬 부호화된 데이터를 바이트 인터리빙 하는 단계; f) 길쌈 부호화기가, 상기 바이트 인터리빙 된 각 계층의 데이터를 계층별로 길쌈 부호화 하고, 상기 비트 인터리버가, 상기 길쌈 부호화된 각 계층의 데이터를 계층별로 비트 인터리빙 하는 단계; 및 g) 상기 송신기가, 상기 비트 인터리빙 된 각 계층의 데이터를, 낮은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로 부터 높은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 순으로 슈퍼 프레임의 각 계층별 전송 구간 길이와 일치하도록 스위칭하며, 상기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변조기가, 상기 스위칭된 각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와 계층화된 다른 방송 프로그램의 프레임 데이터를 변조하여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면 구간 동안 전송 프레임 수신과 관련된 전력 및 수신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보다 더 오래 전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방송 서비스 시청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첨부 도면의 구성요소 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동일한 구성요소 들에 한해서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 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 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 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현재 변모된 단말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보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방송 서비스 시청 시간의 단축 문제를 타계하기 위해 전력 소모를 줄이고, 소형화된 화면 크기를 갖는 단말이 필요한 만큼의 품질을 서비스 받도록, 혹은 수신해도 서비스 되지 못하는 영상 정보들은 받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계속적으로 변화하고 다양해질 단말의 형태에 대비하여 단말의 능력에 따라 서비스를 유동성 있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 여기서, 단말의 능력이란 배터리 용량 및 화면의 해상도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 처리속도 및 데이터 처리 능력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시스템을 위의 두 가지 특징에 부합 하도록 최소한으로 수정함으로써 투자 비용을 최소화 하는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및 도 5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송국과 단말 사이의 전송 프레임 구조에 대하 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송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말들은 여러 개의 계층으로 나누어져 해당 수신 구간에만 데이터를 받고, 나머지 구간은 휴면 구간으로 정해져 이 동안에는 수신을 하지 않는다.
가장 하위의 계층은 가장 적은 수의 프레임만을 수신하며, 제일 긴 휴면구간을 갖는다. 최하위 계층의 바로 윗 계층의 단말은 최하위 계층의 단말이 수신한 프레임과 시간 상에서 연장된 프레임 하나를 수신하게 된다. 이런 방법으로 계층이 한 단계 높은 단말은 바로 아래 계층 단말이 수신한 프레임을 모두 수신하고 시간 상에서 연장된 프레임을 하나 더 받는다. 최종적으로 최상위 계층의 단말은 휴면 구간 없이 모든 프레임을 수신한다.
상기 전송 프레임의 구조에 대하여 부연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프레임(슈퍼 프레임)의 길이는 76.5ms로서, 기존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슈퍼 프레임 길이와 같다.
그러나, 6 개의 프레임이 묶여서 슈퍼 프레임을 구성하던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N 개의 계층 프레임들이 모여 슈퍼 프레임을 구성한다. 하나의 계층 프레임의 길이는 임의로 정하되, 기존 프레임 길이인 12.75ms의 정수배가 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N은 최소 1 에서 부터 최대 6 사이의 정수 값이 될 수 있다.
계층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말도 계층화 되어 구분 되는데, 그에 따른 수신 구간은, 도 1과 같이, 단말이 가지는 각 계층에 따라 최하위인 계층 프레임 1의 전송 구간 부터 해당 계층 프레임의 전송구간까지로 정한다. 이에 따라, 계층 1에 해당하는 단말은 계층 프레임 1 만을 수신하며, 계층 N에 해당하는 단말은 모든 계층 프레임을 수신하게 된다.
하나의 슈퍼 프레임 전송 구간 내에서 해당 수신 구간이 끝나면 최상위인 계층 N을 제외한 나머지 계층의 단말은 휴면구간을 가지게 된다. 또한, 전송순서는 낮은 계층 프레임 부터 높은 계층 프레임으로의 순이며, 전체 N 개 계층 프레임 길이(슈퍼 프레임 한 개의 길이)를 주기로 반복 전송된다.
전술된 전송 프레임 구조를 위해서는 기존의 위성 DMB 시스템의 송신단 및 수신단에 몇 가지 고려할 사항과 이를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된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기 위해 송신기 내부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된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기 위해 수신기 내부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신기(200)는, 방송 프로그램 관련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SVC(Scalable Video Coding) 압축기법을 이용하여, 계층화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디오 인코더(21)와; 상기 계층화된 각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을 생성하는 PES 패킷타이저(Packetizer)(22)와; 상기 각 PES 패킷을 입력받아 계층화된 TS(Transport Stream) 패킷을 생성하는 TS 다중화기(23)와; 상기 계층화된 각 TS 패킷 중 최하위 계층을 제외한 계층(계층 2 ~ 계층 N)의 TS 패킷을 입력받아, 상기 TS 패킷에 패러티 정보를 추가한 후 리드 솔로몬 부호화 함과 동시에 최하위 계층(계층 1)의 영상 데이터 에 계층화 되지 않은 상기 음성정보 TS 패킷 및 프로그램 구성정보 TS 패킷을 포함시켜 패러티 정보를 추가한 후 리드 솔로몬 부호화 하는 리드 솔로몬 부호화기(24)와; 상기 리드 솔로몬 부호화된 데이터를 바이트 인터리빙 하는 바이트 인터리버(25)와; 상기 바이트 인터리빙 된 각 계층의 데이터를 계층별로 길쌈 부호화 하는 길쌈 부호화기(26)와; 상기 길쌈 부호화된 각 계층의 데이터를 계층별로 비트 인터리빙 하는 비트 인터리버(27)와; 그리고 상기 비트 인터리빙 된 각 계층의 데이터를, 낮은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로 부터 높은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 순으로 도 1의 슈퍼 프레임의 각 계층별 전송 구간 길이와 일치하도록 스위칭하며, 상기 스위칭된 각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와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계층화된 다른 방송 프로그램의 프레임 데이터를 함께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변조하여 전송하는 CDM 변조기(2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신기(300)는, 파일럿 신호의 확산코드인 왈쉬코드를 생성함과 동시에 CDM 복조에 이용하기 위해, 후술할 코드 생성 제어기로부터 해당 데이터 채널에 관한 코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참고하여 해당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기(31)와; 데이터 채널 및 상기 왈쉬코드를 포함하는 파일럿 채널을 CDM 복조하는 CDM 복조기(32)와; 파일럿 채널의 심볼 중 프레임 카운터 정보를 얻은 후, 현재 계층 프레임이 몇 번째 계층에 속하는지를 계산하는 계층 프레임 카운터기(33)와; 상기 계산된 현재 프레임의 계층과 미리 결정된 단말의 계층을 입력받아 그 두개의 값을 비교하는 비교기(34-1), 단말의 계층이 현재의 프레임 계층 보다 더 높을 경우에 휴면 구간으로 판단하여 다음 수신 구간이 올 때까지 CDM 복조기를 OFF 하는 전원 제어기 (34-2), 단말의 계층이 현재의 프레임 계층 보다 더 낮은 경우에 수신구간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입력 받아 상기 코드 생성기(31)로 해당 데이터 채널에 관한 코드 정보를 전달하는 코드 생성 제어기(34-3)로 구성된 수신 제어기(34)와; CDM 복조된 해당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 채널의 프레임 데이터를, 단말의 계층에 할당된 각 계층 프레임의 수신 시간에 맞춰 스위칭한 후 전달받아 비트 디인터리빙 하는 비트 디인터리버(35)와; 각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를 계층별로 복호화 하는 내복호화기(36)와; 상기 복호화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바이트 디인터리빙 한 후, 각 계층의 영상 데이터, 첫 번째 계층 데이터에 속해 있던 음성 데이터 및 프로그램 구성정보 데이터와 첫 번째 계층 영상 데이터를 각각 분리시켜 출력하는 바이트 디인터리버(37)와; 상기 각 계층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복호화 한 후, 각 계층의 TS 패킷, 음성정보 TS 패킷, 프로그램 구성정보 TS 패킷을 출력하는 외복호화기(38)와; 상기 출력된 각 계층의 패킷을 각각 TS 역다중화 및 PES 디패킷타이징(depacketizing) 하는 TS 역다중화기(39) 및 PES 디패킷타이저(depacketizer)(40)와; 그리고 상기 TS 역다중화 및 PES 디패킷타이징(depacketizing) 된 각 계층별 패킷을 입력받아 영상정보로 복호하는 비디오 디코더(41)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 및 수신기의 동작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상술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위 N 번째 계층의 단말을 제외한 기타 계층의 단말들은 자신보다 한 계층 위의 단말이 수신한 프레임에서 계층 프레임 하나를 덜 수 신한 후 서비스 하게 된다. 다시 말해, 자신보다 한 계층 위의 단말이 수신하는 프레임의 일부분으로 서비스를 해야 하기 때문에 영상 정보가 각 계층 프레임 마다 계층적으로 존재해야 한다. 따라서, 영상 압축의 계층화가 필요하게 된다.
먼저, 상기 송신기(200)는 방송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종류를 판단한다(S401). 즉, 상기 방송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영상(비디오) 정보 인지 아니면 음성 정보 및 프로그램 구성 정보 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는,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영상(비디오) 정보 외에 음성 정보 및 프로그램 구성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상기 단계(S401)의 판단결과, 상기 방송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영상(비디오) 정보일 경우, 상기 비디오 인코더(21)는 방송 프로그램 관련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현재 MPEG-21에서 표준화 작업 중인 SVC(Scalable Video Coding) 압축기법을 이용하여, 계층화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402). 여기서, 상기 SVC 압축기법은 영상의 화소 수 및 동영상의 초당 프레임 수(초당 영상 장면수)를 조절하여 데이터의 크기를 임의대로 바꿀 수 있는 압축 기법으로서, 이를 사용하여 원하는 계층의 수만큼 화소를 나누거나 영상 장면을 나누어 각각의 데이터들을 압축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SVC 기법을 사용하면 압축된 영상 데이터들은 서로 독립적인 영상정보를 포함하고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후, 상기 PES 패킷타이저(Packetizer)(22)는 상기 계층화된 각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을 생성하고(S403), 상기 TS 다중화기(23)는 상기 각 PES 패킷을 입력받아 계층화된 TS(Transport Stream) 패킷을 생성한 후 상기 리드 솔로몬 부호화기(24)로 출력한다(S404).
한편, 상기 단계(S401)의 판단결과, 상기 방송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음성 정보 및 프로그램 구성 정보 일 경우, 상기 송신기(200)는 상기 각 정보를 음성 정보 TS 및 프로그램 구성 정보 TS로 변환한 후, 상기 리드 솔로몬 부호화기(24)로 출력한다(S405). 상기 음성 정보 및 프로그램 구성 정보가 상기 PES 패킷타이저(Packetizer)(22) 및 상기 TS 다중화기(23)를 통해 계층화 되지 않는 것은, 영상 정보에 비하여 그 양이 작기 때문에 기존 TS 패킷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송신기(200)는, 상기 계층화된 각 영상관련 TS 패킷이 최하위 계층(계층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6).
상기 단계(S406)의 판단결과, 상기 계층화된 각 영상관련 TS 패킷이 최하위 계층이 아닐 경우(계층 2 ~ 계층 N), 상기 리드 솔로몬 부호화기(24)는 상기 계층화된 각 영상관련 TS 패킷을 입력받아, 상기 TS 패킷에 패러티 정보를 추가한 후 리드 솔로몬 부호화(외부호화) 한다(S407).
한편, 상기 단계(S406)의 판단결과, 상기 계층화된 각 영상관련 TS 패킷이 최하위 계층일 경우(계층 1), 상기 리드 솔로몬 부호화기(24)는 최하위 계층(계층 1)의 영상 데이터에 계층화 되지 않은 상기 음성정보 TS 패킷 및 프로그램 구성정보 TS 패킷을 포함시켜 패러티 정보를 추가한 후 리드 솔로몬 부호화(외부호화) 한다(S408).
이후, 상기 바이트 인터리버(25)는 상기 리드 솔로몬 부호화된 데이터를 바이트 인터리빙 한다(S409). 이때, 상기 바이트 인터리빙 과정은 각 계층안에서 이루어지도 록 하여 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섞이지 않도록 한다.
이후, 상기 길쌈 부호화기(26)는 상기 바이트 인터리빙 된 각 계층의 데이터를 계층별로 길쌈 부호화 하고(S410), 상기 비트 인터리버(27)는 상기 길쌈 부호화된 각 계층의 데이터를 계층별로 비트 인터리빙 한다(S411).
이후, 상기 송신기(200)는, 상기 비트 인터리빙 된 각 계층의 데이터를, 낮은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로 부터 높은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 순으로 도 1의 슈퍼 프레임의 각 계층별 전송 구간 길이와 일치하도록 스위칭하며, 상기 스위칭된 각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와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계층화된 다른 방송 프로그램의 프레임 데이터를 함께 상기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변조기(28)로 출력하고, 상기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변조기(28)는 상기 각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 및 다른 방송 프로그램의 프레임 데이터를 변조하여 상기 수신기로 전송한다(S412).
이후, 도 5를을 참조하여, 상기 전송된 계층화된 데이터(방송 프로그램 등)를 수신하여 복조 및 디코딩 과정을 통해 출력하는 수신기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수신기(300)는 단말의 화면크기, 사용 가능 전력 및 처리능력 등을 토대로 단말의 계층을 결정한다(S501).
이후, 상기 수신기(300)는 상기 송신기(200)로부터 계층화된 프레임을 수신한다(S502). 이때, 상기 해당 단말에 할당된 수신 구간 동안만 데이터를 받기 위해서는 현재 전송 받는 계층 프레임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위성 DMB 시스템은 데이터를 보내기 위한 CDM채널 외에 제어에 관련된 심볼을 보내기 위한 파일럿 채널을 가 지고 있다. 이 파일럿 채널의 4번째 심볼에는 수신한 프레임이 한 슈퍼 프레임 내에 몇 번째에 위치 하는지를 알려주는 계층 프레임 카운터기(33)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사용하면 각 계층 프레임 길이가 프레임 길이의 정수배이고 그 값을 미리 알고 있으므로 현 계층 프레임을 구분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코드 생성기(31)가 파일럿 신호의 확산코드인 왈쉬코드를 생성함과 동시에 CDM 복조에 이용하기 위해, 상기 코드 생성 제어기(34-3)로부터 해당 데이터 채널에 관한 코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참고하여 해당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CDM 복조기(32)는 상기 왈쉬코드를 포함하는 파일럿 채널을 CDM 복조한다(S503). 또한, 상기 CDM 복조기(32)는 데이터 채널을 CDM 복조하기 위하여 상기 계층 프레임 카운터기(33) 및 수신 제어기(34)에 의한 소정의 비교 및 판단 과정을 거치는데,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신 제어기(34)의 계층 프레임 카운터기(33)는 파일럿 채널의 심볼 중 프레임 카운터 정보를 얻은 후, 현재 계층 프레임이 몇 번째 계층에 속하는지를 계산하고, 상기 비교기(34-1)는 상기 계산된 현재 프레임의 계층과 미리 결정된 단말의 계층을 입력받아 그 두개의 값을 비교한다(S504).
상기 단계(S504)의 비교결과, 단말의 계층이 현재의 프레임 계층 보다 더 높을 경우에 휴면 구간으로 판단하여 다음 수신 구간이 올 때까지, 즉 다음 계층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까지 상기 전원 제어기(34-2)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CDM 복조기(32)를 OFF 시킨다(S505).
한편, 상기 단계(S505)의 비교결과, 단말의 계층이 현재의 프레임 계층 보다 더 낮은 경우에 수신구간으로 판단하고, 상기 코드 생성 제어기(34-3)로 하여금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입력 받아 상기 코드 생성기(31)로 해당 데이터 채널에 관한 코드 정보를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 CDM 복조기(32)는, 상기 데이터 채널에 관한 코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참고하여 해당 코드를 생성하는 상기 코드 생성기(31)로부터 상기 코드를 입력받아 데이터 채널을 CDM 복조한다(S506).
이후, 상기 수신기(300)는, 상기 복조된 데이터 채널의 프레임 데이터가 최하위 계층(계층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07).
상기 단계(S508)의 판단결과, 상기 프레임 데이터가 최하위 계층이 아닐 경우(계층 2 ~ 계층 N), 상기 비트 디인터리버(35)는 CDM 복조된 해당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 채널의 프레임 데이터를, 상기 수신기에 의해 단말의 계층에 할당된 각 계층 프레임의 수신 시간에 맞춰 스위칭된 후 전달받아, 비트 디인터리빙 하고(S508), 상기 내복호화기(36) 및 상기 바이트 디인터리버(37)가 상기 비트 디인터리빙된 상기 계층 프레임 데이터들을 각 계층마다 독립적으로 처리하여 내복호화 및 바이트 디인터리빙 한다(S509). 상기 비트 디인터리빙과 채널 내복호화의 과정은 상기 송신기(200)의 비트 인터리빙과 채널 내부호화의 역과정으로서, 각각 순서대로 계층별로 입력시켜 처리된다.
이후, 상기 외복호화기(38)는 상기 각 계층의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입력받아 외복호화 한 후, 각 계층의 영상 TS 패킷을 출력하고(S510), 상기 TS 역다중화기(39) 및 PES 디패킷타이저(depacketizer)(40)는 상기 각 계층의 영상 TS 패킷을 입력받아 TS 역다중화 및 PES 디패킷타이징(depacketizing) 한다(S511). 여기서, 리드 솔 로몬 부호화(외부화) 당시, 상기 계층(계층 2 ~ 계층 N)에서는 계층화된 영상 데이터가 상기 리드 솔로몬 부호화기(38)를 통해 영상 TS 패킷 만을 리드 솔로몬 부호화(외부호화) 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역과정으로서, 외복화 된 이후에는 계층화된 영상 TS 패킷 만이 출력되고, 상기 TS 역다중화 및 PES 디패킷타이징(depacketizing) 과정을 거치게 되면 각 계층의 영상 데이터 만이 남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비디오 디코더(41)는, 상기 송신기(200)의 SVC에 대응하는 디코로서, 상기 TS 역다중화 및 PES 디패킷타이징(depacketizing)된 각 계층별 패킷을 입력받아 영상정보로 복호화한다(S512). 이때, 단말의 계층에 따라 영상 디코더에 입력되는 데이터 양은 달라지게 되는데,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에 이미 단말의 계층이 결정 되므로 상기 비디오 디코더(41)에 입력되는 데이터 양은 미리 결정된다.
한편, 상기 단계(S508)의 판단결과, 상기 프레임 데이터가 최하위 계층일 경우(계층 1), 최하위 계층(계층 1)에 해당하는 프레임 데이터를 비트 디인터리빙 한다(S513).
이후, 내복호화 및 바이트 디인터리빙 과정은 상기 내복호화기(36) 및 상기 바이트 디인터리버(37)에 의해 상기 단계(S509)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S514 ~ S515).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채널 내복호화 및 비트 디인터리빙의 과정은 상기 송신기(200)의 비트 인터리빙과 채널 내부호화의 역과정과 같다. 이때, 상기 바이트 디인터리버(37)는 첫 번째 계층 데이터에 속해 있던 음성 데이터 및 프로그램 구성정보 데이터와 첫 번째 계층 영상 데이터를 각각 분리시켜 출력한다.
이후, 상기 외복호화기(38)는 상기 첫 번째 계층 프레임 데이터에 속해 있던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프로그램 구성정보 데이터를 입력받아 복호화 한 후, 영상 TS 패킷, 음성정보 TS 패킷, 프로그램 구성정보 TS 패킷을 각각 생성하고, 이중 상기 영상 TS 패킷은 상기 단계(S511 ~ S512)를 거쳐 영상정보로 복호화 되고, 상기 음성정보 TS 패킷 및 프로그램 구성정보 TS 패킷은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시에 그대로 사용된다(S516).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면 구간 동안 전송 프레임 수신과 관련된 전력 및 수신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보다 더 오래 전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방송 서비스 시청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의 계층을 결정하는데 화면 크기가 반영되어 화면 크기에 맞는 데이터 양을 받아서 서비스 할 수 있다. 즉, 단말의 화면 크기가 작을수록 단말 계층이 낮아져 더 적은 수의 프레임을 받기 때문에, 화면 크기가 작아질수록 수신 구간의 길이는 짧아지고 대신 휴면 구간의 길이가 길어 지는데, 이로 인해 같은 품질의 영상 서비스를 하되 전력을 절약하는 이득을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단말의 계층을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영상 서비스 품질 및 배터리 소모 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남아 있는 배터리의 양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임의대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화, 뮤직 비디오 등과 같은 높은 품질을 요구하는 미디어에 대해서는 보다 높은 서비스 품질을 선택할 수 있으며, 뉴스 등과 같이 낮은 품질을 요구하는 미디어에 대해서는 낮은 서비스 품질을 선택하는 등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서비스의 품질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의 계층에 의존해 수신할 프레임의 개수를 결정하기 때문에 차후 변모할 단말이 가지는 데이터 처리 속도에 제약을 덜 수 있다. 즉, 모든 데이터를 받을 필요없이 단말이 가지는 데이터 처리 속도에 맞춰 적당한 데이터 양을 수신함으로써 실시간 서비스의 데이터 처리속도에 대한 제약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4)

  1. 방송 프로그램 관련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SVC(Scalable Video Coding) 압축기법을 이용하여, 계층화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디오 인코더;
    상기 계층화된 각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을 생성하는 PES 패킷타이저(Packetizer);
    상기 각 PES 패킷을 입력받아 계층화된 TS(Transport Stream) 패킷을 생성하는 TS 다중화기;
    상기 계층화된 각 TS 패킷 중 최하위 계층을 제외한 계층의 TS 패킷을 입력받아, 상기 TS 패킷에 패러티 정보를 추가한 후 리드 솔로몬 부호화 함과 동시에 최하위 계층의 영상 데이터에 계층화 되지 않은 상기 음성정보 TS 패킷 및 프로그램 구성정보 TS 패킷을 포함시켜 패러티 정보를 추가한 후 리드 솔로몬 부호화 하는 리드 솔로몬 부호화기;
    상기 리드 솔로몬 부호화된 데이터를 바이트 인터리빙 하는 바이트 인터리버;
    상기 바이트 인터리빙 된 각 계층의 데이터를 계층별로 길쌈 부호화 하는 길쌈 부호화기;
    상기 길쌈 부호화된 각 계층의 데이터를 계층별로 비트 인터리빙 하는 비트 인터리버; 및
    상기 비트 인터리빙 된 각 계층의 데이터를, 낮은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로 부터 높은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 순으로 슈퍼 프레임의 각 계층별 전송 구간 길이와 일치하도록 스위칭하며, 상기 스위칭된 각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와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계층화된 다른 방송 프로그램의 프레임 데이터를 함께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변조하여 전송하는 CDM 변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위 계층은,
    계층 1 이고, 상기 최하위 계층을 제외한 계층은, 계층 2 내지 계층 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솔로몬 부호화기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 관련 영상 데이터 이외에 음성정보 및 프로그램 구성정보에 따른 음성 정보 TS 및 프로그램 구성정보 TS를 리드 솔로몬 부호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파일럿 신호의 확산코드인 왈쉬코드를 생성함과 동시에 CDM 복조에 이용하기 위해, 코드 생성 제어기로부터 해당 데이터 채널에 관한 코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참고하여 해당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기;
    데이터 채널 및 상기 왈쉬코드를 포함하는 파일럿 채널을 CDM 복조하는 CDM 복조기;
    파일럿 채널의 심볼 중 프레임 카운터 정보를 얻은 후, 현재 계층 프레임이 몇 번째 계층에 속하는지를 계산하는 계층 프레임 카운터기;
    상기 계산된 현재 프레임의 계층과 미리 결정된 단말의 계층을 입력받아 그 두개의 값을 비교하는 비교기, 단말의 계층이 현재의 프레임 계층 보다 더 높을 경우에 휴면 구간으로 판단하여 다음 수신 구간이 올 때까지 CDM 복조기를 OFF 하는 전원 제어기, 단말의 계층이 현재의 프레임 계층 보다 더 낮은 경우에 수신구간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입력 받아 상기 코드 생성기로 해당 데이터 채널에 관한 코드 정보를 전달하는 코드 생성 제어기로 구성된 수신 제어기;
    CDM 복조된 해당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 채널의 프레임 데이터를, 단말의 계층에 할당된 각 계층 프레임의 수신 시간에 맞춰 스위칭한 후 전달받아 비트 디인터리빙 하는 비트 디인터리버;
    각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를 계층별로 복호화 하는 내복호화기;
    상기 복호화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바이트 디인터리빙 한 후, 각 계층의 영상 데이터, 첫 번째 계층 데이터에 속해 있던 음성 데이터 및 프로그램 구성정보 데이터와 첫 번째 계층 영상 데이터를 각각 분리시켜 출력하는 바이트 디인터리버;
    상기 각 계층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복호화 한 후, 각 계층의 TS 패킷, 음성정보 TS 패킷, 프로그램 구성정보 TS 패킷을 출력하는 외복호화기;
    상기 출력된 각 계층의 패킷을 각각 TS 역다중화 및 PES 디패킷타이징 (depacketizing) 하는 TS 역다중화기 및 PES 디패킷타이저(depacketizer); 및
    상기 TS 역다중화 및 PES 디패킷타이징(depacketizing) 된 각 계층별 패킷을 입력받아 영상정보로 복호하는 비디오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시스템.
  5. a) 송신기가, 방송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영상 정보 인지 아니면 음성 정보 및 프로그램 구성 정보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의 판단결과, 영상 정보일 경우, 비디오 인코더가, 방송 프로그램 관련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계층화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c) PES 패킷타이저(Packetizer)가, 상기 계층화된 각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을 생성하고, TS 다중화기가, 상기 각 PES 패킷을 입력받아 계층화된 TS(Transport Stream)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송신기가, 상기 계층화된 각 영상관련 TS 패킷이 최하위 계층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단계(d)의 판단결과, 상기 계층화된 각 영상관련 TS 패킷이 최하위 계층이 아닐 경우, 리드 솔로몬 부호화기가, 상기 계층화된 각 영상관련 TS 패킷을 입력받아, 상기 TS 패킷에 패러티 정보를 추가한 후 리드 솔로몬 부호화 하고, 상기 바이트 인터리버가, 상기 리드 솔로몬 부호화된 데이터를 바이트 인터리빙 하는 단계;
    f) 길쌈 부호화기가, 상기 바이트 인터리빙 된 각 계층의 데이터를 계층별로 길쌈 부호화 하고, 상기 비트 인터리버가, 상기 길쌈 부호화된 각 계층의 데이터를 계층별로 비트 인터리빙 하는 단계; 및
    g) 상기 송신기가, 상기 비트 인터리빙 된 각 계층의 데이터를, 낮은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로 부터 높은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 순으로 슈퍼 프레임의 각 계층별 전송 구간 길이와 일치하도록 스위칭하며, 상기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변조기가, 상기 스위칭된 각 계층의 프레임 데이터와 계층화된 다른 방송 프로그램의 프레임 데이터를 변조하여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의 계층화된 영상 데이터는,
    SVC(Scalable Video Coding) 압축기법을 통해 생성되고, 원하는 계층의 수만큼 화소가 나누어 지거나 영상 장면이 나누어져 각각의 데이터들로 압축되며, 그 압축된 영상 데이터들은 서로 독립적인 영상정보를 포함하고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상기 단계(a)의 판단결과, 상기 방송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음성 정보 및 프로그램 구성 정보 일 경우, 상기 송신기가, 상기 각 정보를 음성 정보 TS 및 프로그램 구성 정보 TS로 변환한 후, 상기 리드 솔로몬 부호화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위 계층은,
    계층 1 이고, 상기 최하위 계층을 제외한 계층은, 계층 2 내지 계층 N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의 바이트 인터리빙 은,
    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섞이지 않도록 각 계층안에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는,
    상기 단계(d)의 판단결과, 상기 계층화된 각 영상관련 TS 패킷이 최하위 계층일 경우, 상기 리드 솔로몬 부호화기가, 최하위 계층의 영상 데이터에 계층화 되지 않은 상기 음성정보 TS 패킷 및 프로그램 구성정보 TS 패킷을 포함시켜 패러티 정보를 추가한 후 리드 솔로몬 부호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방법.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h) 상기 수신기가, 단말의 화면크기, 사용 가능 전력 및 처리능력 등을 토대로 단말의 계층을 결정하는 단계;
    i) 상기 수신기가, 상기 송신기로부터 계층화된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j) 코드 생성기가, 파일럿 신호의 확산코드인 왈쉬코드를 생성함과 동시에 CDM 복조에 이용하기 위해, 코드 생성 제어기로부터 해당 데이터 채널에 관한 코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참고하여 해당 코드를 생성하고, CDM 복조기가, 상기 왈쉬코드를 포함하는 파일럿 채널을 CDM 복조하는 단계;
    k) 계층 프레임 카운터기가, 파일럿 채널의 심볼 중 프레임 카운터 정보를 얻은 후, 현재 계층 프레임이 몇 번째 계층에 속하는지를 계산하고, 비교기가, 상기 계산된 현재 프레임의 계층과 미리 결정된 단말의 계층을 입력받아 그 두개의 값을 비교하는 단계;
    l) 상기 단계(k)의 판단결과, 단말의 계층이 현재의 프레임 계층 보다 더 높을 경우에 휴면 구간으로 판단하여 다음 계층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까지 전원 제어기로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CDM 복조기를 OFF 시키는 단계;
    m) 상기 CDM 복조기가, 상기 데이터 채널에 관한 코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참고하여 해당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기로부터 상기 코드를 입력받아 데이터 채널을 CDM 복조하는 단계; 및
    n) 상기 수신기가, 상기 복조된 데이터 채널의 프레임 데이터가 최하위 계층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o) 상기 단계(n)의 판단결과, 상기 프레임 데이터가 최하위 계층이 아닐 경우, 비트 디인터리버가, CDM 복조된 해당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 채널의 프레임 데이터를, 상기 수신기에 의해 단말의 계층에 할당된 각 계층 프레임의 수신 시간에 맞춰 스위칭된 후 전달받아 비트 디인터리빙 하고, 내복호화기 및 바이트 디인터리버가 상기 비트 디인터리빙된 상기 계층 프레임 데이터들을 각 계층마다 독립적으로 처리하여 내복호화 및 바이트 디인터리빙 하는 단계;
    p) 외복호화기가, 상기 각 계층의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입력받아 복호화 한 후, 각 계층의 영상 TS 패킷을 출력하고, TS 역다중화기 및 PES 디패킷타이저(depacketizer)가, 상기 각 계층의 영상 TS 패킷을 입력받아 TS 역다중화 및 PES 디패킷타이징(depacketizing) 하는 단계; 및
    q) 비디오 디코더가, 상기 TS 역다중화 및 PES 디패킷타이징(depacketizing)된 각 계층별 패킷을 입력받아 영상정보로 복호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i)의 계층화된 프레임은,
    파일럿 채널의 4 번째 심볼로 수신된 프레임이 한 슈퍼 프레임 내에 몇 번째에 위치 하는지를 알려주는 상기 계층 프레임 카운터기를 이용하여,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l)는,
    상기 단계(k)의 판단결과, 단말의 계층이 현재의 프레임 계층 보다 더 낮은 경우에 수신구간으로 판단하고, 코드 생성 제어기로 하여금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입력 받아 코드 생성기로 해당 데이터 채널에 관한 코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o)는,
    o-1) 상기 단계(n)의 판단결과, 상기 프레임 데이터가 최하위 계층일 경우, 최하위 계층에 해당하는 프레임 데이터를 비트 디인터리빙 하고, 상기 내복호화기 및 상기 바이트 디인터리버가 상기 비트 디인터리빙된 상기 프레임 데이터를 복호화 및 바이트 디인터리빙 하는 단계;
    o-2) 상기 바이트 디인터리버가, 첫 번째 계층 데이터에 속해 있던 음성 데이터 및 프로그램 구성정보 데이터와 첫 번째 계층 영상 데이터를 각각 분리시켜 출력하는 단계; 및
    o-3) 외복호화기가, 상기 첫 번째 계층 프레임 데이터에 속해 있던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프로그램 구성정보 데이터를 입력받아 복호화 한 후, 영상 TS 패킷, 음성정보 TS 패킷, 프로그램 구성정보 TS 패킷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방법.
KR1020050012490A 2005-02-15 2005-02-15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85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490A KR100685124B1 (ko) 2005-02-15 2005-02-15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490A KR100685124B1 (ko) 2005-02-15 2005-02-15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549A KR20060091549A (ko) 2006-08-21
KR100685124B1 true KR100685124B1 (ko) 2007-02-22

Family

ID=3759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490A KR100685124B1 (ko) 2005-02-15 2005-02-15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1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239B1 (ko) 2007-06-04 2014-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인터리빙/디인터리빙 장치 및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423B1 (ko) * 2007-02-12 2013-12-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계층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101337288B1 (ko) * 2007-03-16 2013-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948260B1 (ko) * 2007-12-18 2010-03-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계층적 부호화를 이용한 다중대역 방송 전송/수신 장치 및그 방법
JP5512657B2 (ja) * 2008-04-21 2014-06-04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リッチメディアサービスのための端末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290A (ko) * 2002-10-19 200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환경에 따라 오류정정 부호화 과정을 달리하는디지털방송 시스템의 전송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290A (ko) * 2002-10-19 200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환경에 따라 오류정정 부호화 과정을 달리하는디지털방송 시스템의 전송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특허공보1020040035290(2004.04.2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239B1 (ko) 2007-06-04 2014-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인터리빙/디인터리빙 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549A (ko) 2006-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79741B (zh) 用于无线设备中的多节目观看的多媒体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01438520B (zh) 无线设备中的多节目观看
KR101221914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1351019B1 (ko)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JP5543590B2 (ja) モバイ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システムにおける階層送信方法、階層受信方法、階層送信装置、及び階層受信装置
KR20080092643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20180234111A1 (en) Wireless Transport Framework with Uncoded Transport Tunneling
KR19990063541A (ko) 오류 정정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데이터 전송 방법, 수신 방법 및 장치
JP2008546238A (ja) Dvb−h送信システムにおいてプライオリティ表示されたデータグラムに不等のエラー保護を与え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80090726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80091997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80087371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WO2008127056A1 (en) Method of controlling and apparatus of receiving mobile service data
JP2017520940A5 (ja) レイヤードコード化コンテンツを多重化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1603376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layered coded contents
KR100685124B1 (ko) 위성 dmb 시스템에서의 계층적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292526B (zh) 双重传输流产生装置和方法
JP4125565B2 (ja) 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60068254A (ko) 비디오 부호화 방법, 복호화 방법 그리고, 복호화 장치
KR101253188B1 (ko)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
EP2297881B1 (en) Transmission of multimedia streams to mobile devices with uncoded transport tunneling
KR20080074680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921472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930899B1 (ko) 수신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917213B1 (ko) 수신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