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017B1 -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017B1
KR100685017B1 KR1020010018797A KR20010018797A KR100685017B1 KR 100685017 B1 KR100685017 B1 KR 100685017B1 KR 1020010018797 A KR1020010018797 A KR 1020010018797A KR 20010018797 A KR20010018797 A KR 20010018797A KR 100685017 B1 KR100685017 B1 KR 100685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emperature
power supply
aberration
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8438A (ko
Inventor
박경한
정영균
임형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18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017B1/ko
Publication of KR20020078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2Baffles or guid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96Safety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2Safety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에 사용되는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에서의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유로를 에워싸는 내부커버를 감싸도록 이분할형 외부커버를 갖추고, 상기 내,외부커버사이의 상부를 밀폐하는 이분할형 상부커버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상기 전원공급부가 수용되는 커버부; 상기 유입수로의 제진수흐름에 의해서 회전되는 수차를 갖추고, 상기 수차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방향 회전구동되는 배기팬을 상기 상부커버의 배기후드내에 갖추어 상기 배기팬을 통해 외부배출되는 공기량만큼 상기 외부커버의 흡기후드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는 수차부; 및 상기 내부공간의 내부온도와 대기온도를 검출하는 내,외부온도센서를 갖추고, 상기 온도센서들의 검출온도값을 서로 비교하는 온도비교제어기의 편차온도값을 근거로 하여 경보기의 작동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결로현상을 방지할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시크너폰드, 수직유로, 외부커버, 수차, 흡기후드, 온도센서

Description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the dewfall of power supply in a thickener pond of water treatment}
도 1은 일반적인 용광로의 수처리설비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일반적인 수처리 시크너폰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b)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처리 시크너폰드에 설치되는 전원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를 이용한 작동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유입수로 4a ..... 수직유로
10 ..... 전원공급부 11 ..... 턴테이블
21 ..... 내부커버 22 ..... 외부커버
23 ..... 상부커버 24 ..... 빗물차단판
32 ..... 수차 32h .... 배기팬
33 ..... 배기후드 34 ..... 흡기후드
41,42 ... 내,외부온도센서 43 ..... 온도비교제어기
본 발명은 수처리에 사용되는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에서의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내,외부온도차에 의하여 유발되는 전원공급부내에서의 결로현상 및 부식성 가스류의 침투를 방지하여 수처리설비의 가동율을 향상시키고, 수질환경오염을 방지할수 있는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광로(1)에서 발생되는 용광로가스(blast furnace gas)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스중에 함유된 더스트(dust) 및 분진은 건식제진기(2)와 습식제진기(3)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습식제진기(3)를 이용한 제진방식에 있어서, 가스세척용으로 사용된 물은 가스중에 분진과 혼합되어 슬러리(slurry)형태로 유입수로(4)를 통하여 수처리설비인 시크너폰드(thickener pond)(이하 폰드라 한다.)(5)로 유입되며, 유입된 슬러지(sludge)는 침강제 약품에 의해 슬러지와 상등수(청정수)로 분류된 다음, 상등수는 가스의 제진용으로 재사용하기 위해서 상등수탱크(7)로 배관(6)을 통해 재공급됨으로서, 상기 상등수탱크(7)의 상등수는 펌프(8)에 의해서 상기 습식제진기(3)내로 재공급된다.
한편, 상기 폰드(5)의 상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폰드(5)의 외주상단테두리에 바퀴부재(11c)가 구름회전가능하게 올려지고, 이를 회전구동시키는 테이블모터(11a)를 갖는 턴테이블(11)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됨으로서, 상기 턴테이블(11)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하부단이 상기 폰드(5)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스크래퍼(11b)는 상기 턴테이블(11)과 더불어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폰드(5)의 바닥에 누적되어 침전된 액체형 슬러지를 폰드중앙에 배치된 슬러지콘(9c)부에 모으게 되며, 상기 슬러지콘(9c)부에는 슬러지의 누적고창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교반기모터(9)의 구동력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교반기회전축(9a)의 단부에 장착되는 교반기(9b)를 상기 슬러지콘(9c)에 배치하였다.
그리고, 상기 유입수로(4)를 통해 유입되는 약 60℃의 고온 제진수는 상기 교반기회전축(9a)을 감싸는 수직유로(4a)를 통해 폰드(5)내로 공급되며, 상기 수직유로(4a)의 외부면에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스크래퍼(11b)를 회전구동시킬수 있도록 상기 턴테이블(11)의 테이블모터(11a)측으로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0)가 설치되는바, 상기 수직유로(4a)에서 발생한 열은 상기 전원공급부(10)의 상부커버(10a)와 몸체커버(10c)측으로 전달되고, 전달된 열은 내,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상기 상부커버(10a)의 내부에 이슬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커버부재(10a)(10c)내에 맺혀지는 이슬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하였다.
첫째, 상기 이슬이 상기 커버부재(10a)(10c)내에 조립되는 슬립링 절연재(insulator)(10e)측으로 흘러내리면서 복수개의 전원입력케이블(10k)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슬립링(11d)을 고정하고 있는 상기 슬립링절연재(10e)의 절연성을 저하시키는 한편, 절연재(10e)를 파괴하여 설비사고를 유발하였다.
둘째, 상기 슬립링절연재(10e)의 절연저하 및 파괴시 중량물이고, 일체로 조립된 절연재(10e)를 교체하거나 보수하는 작업이 매우 힘들고, 장기간의 작업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작업중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었다.
셋째, 슬러지가 고온이고, 성분이 부식성이 강하기 때문에 부식중 수증기와 가스가 발생하여 상기 전원공급부(10)의 부식을 촉진시켜 사용수명을 저하시켰다.
넷째, 고장에 따른 복구시간이 장기화되면, 상기 슬러지콘(9c)부에 과다한 슬러지가 누적고착됨으로서 순환되는 상기 폰드(5)를 휴지시겨야 함은 물론, 누적고착된 슬러지의 제거작업을 위해 많은 장비 및 인력을 투입하여 양수작업을 수행한 다음 상기 폰드(5)내의 슬러지를 제거해야만 하는 것이다.
도 3(a)(b)에서 미설명부호 10b는 용접부이고, 10f는 상기 슬립링절연재 (10e)의 하부단을 고정하여 상기 수직유로(4a)에 용접고정되는 고정판이며, 10g는 브러쉬, 10h는 브러쉬홀더(10i)의 일단을 고정하는 플레이트이고, 10l은 전원출력케이블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에서의 내,외부온도차를 줄일수 있도록 내부의 온기를 외부로 배기함과 동시에 차가운 외기를 내부로 유입하여 결로현상을 방지하고, 수직유로의 표면으로부터의 복사열을 차단하며, 내부로의 수증기 및 부식성 가스의 침투를 방지하여 설비수명을 연장하고, 설비이상을 조기에 검지함으로서 폰드내의 슬러지누적을 감소하고, 수질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유입수로, 수직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제진수를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하고, 전원공급부가 배치되는 시크너폰드에 있어서,
상기 수직유로를 에워싸는 내부커버를 감싸도록 이분할형 외부커버를 갖추고, 상기 내,외부커버사이의 상부를 밀폐하는 이분할형 상부커버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상기 전원공급부가 수용되는 커버부;
상기 유입수로의 제진수흐름에 의해서 회전되는 수차를 갖추고, 상기 수차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방향 회전구동되는 배기팬을 상기 상부커버의 배기후드내에 갖추어 상기 배기팬을 통해 외부배출되는 공기량만큼 상기 외부커버의 흡기후드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는 수차부; 및
상기 내부공간의 내부온도와 대기온도를 검출하는 내,외부온도센서를 갖추고, 상기 온도센서들의 검출온도값을 서로 비교하는 온도비교제어기의 편차온도값을 근거로 하여 경보기의 작동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를 이용한 작동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100)는 도 4 내지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온도가 높은 제진수를 시크너폰드(5)내로 공급하는 수직유로(4a)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10)에서 내,외부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장치(100)는 커버부(20), 수차부(30) 및 제어부(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커버부(20)는 전원입력케이블(10k)에 연결된 슬립링(10d), 전원출력케이블(10l)에 연결된 브러쉬홀더(10i) 및 슬립링절연재(10e)등으로 이루어진 전원공급부(10)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내부공간(P)을 형성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내부커버(21), 외부커버(22) 및 상부커버(23)로 구성되는바, 상기 내부커버(21)는 유입수로(4)를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제진수가 흐르는 수직유로(4a)로부터 복사열전달을 최소화시킬수 있도록 상기 수직유로(4a)의 외부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감싸도록 조립되며, 상기 내부커버(21)의 하단부는 복수개의 슬립링(10d)을 고정하는 있는 슬립링절연재(10e)의 하단부가 조립되고, 상기 수직유로(4a)에 용접고정된 고정판(10f)과 일체로 용접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커버(22)는 상기 내부커버(21)의 외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내부커버(21)를 감싸도록 다수개의 연결조인트(22a)에 의해서 이분할형으로 조립되며, 상기 상부커버(23)는 상기 내,외부커버(21)(22)사이의 상 부를 밀폐하여 상기 전원공급부(10)가 수용될수 있는 내부공간(P)을 형성할수있도록 다수개의 연결조인트(23a)에 의해서 이분할형으로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10)의 슬립링(10d),고정판(10f)에는 혼입된 수분을 용이하게 배출할수 있도록 복수개의 구멍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내부커버(21)의 상단부에는 상기 내부커버(21)의 내부면과 상기 수직유로(4a)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빗물차단막(24)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외부커버(22)의 외부면에는 외주방향으로 돌출부(22b)를 좌우대칭으로 각각 돌출형성하고, 그 전면에는 상기 내부공간(P)내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10)의 상태를 간편하게 관찰하고, 이상발생시 내부수리가 가능하도록 점검창(22d)을 갖는 점검문(22c)을 장착하는 한편, 상기 외부커버(22)의 하단부는 턴테이블(11)의 상부면에 수직설치되는 복수개의 높이조정용 수직바(25)에 형성된 다수개의 볼트구멍(25b)에 체결되는 볼트부재(25a)에 의해서 상하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23)는 상부면에 낙하되는 빗물이 하부로 용이하게 떨어질수 있도록 상부중앙에서 하부외주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형상으로 갖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10)가 수용되는 내부공간(P)의 온도차를 줄일수있도록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는 수차부(30)는 상기 수직유로(4a)에 일단이 연결된 유입수로(4)를 통하여 공급되는 제진수의 흐름력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수차(32)를 갖추는바, 다수개의 회전날개(32a)를 갖는 수차(32)는 상부가 개방된 상기 유입수로(4)를 흐르는 제진수에 몸체일부가 침지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입수로(4)의 베어링블록(32c)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수차축(32b)의 일단에는 구동기어(32d)를 조립하며, 상기 구동기어(32c)와 치합되는 피동기어(32e)에는 상기 상부커버(23)상부면의 배기후드(33)내에 배치되는 배기팬(32h)을 하단에 조립하고, 축베어링블록(32g)에 지지되는 회전축(32f)의 상단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커버(22)의 하부면에는 상기 내부공간(P)과 연통되고,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흡입할수 있는 흡기후드(34)를 갖추어 구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유로(4a)측으로 경사진 유입유로(4)를 통하여 상기 수직유로(4a)내로 공급되는 제진수의 공급흐름에 의해서 회전날개(32a)일부가 침지된 수차(32)는 도면상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수차(32)의 회전력은 수차축(32b)에 연결된 구동,피동기어(32d)(32e) 및 회전축(32f)을 통하여 전달됨으로서 상기 배기후드(33)내에 배치된 배기팬(32f)을 일방향 회전시켜 내부공간(P)내의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킴과 동시에 상기 흡기후드(34)를 통하여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공간(P)내의 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킬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내부공간(P)의 내부온도를 검출할수 있도록 내부온도센서(41)를 갖추고, 대기중의 대기온도를 검출할수 있도록 외부온도센서(42)를 각각 갖추며, 상기 온도센서(41)(42)에서 검출된 온도값을 각각 전송받아 서로 비교하고, 온도편차값을 연산하는 온도비교제어기(43)를 갖추며, 상기 온도비교제어기(43)에서는 온도편차값과 설정온도값을 비교하여 주의용 램프(45a)와 고장경보용 램프(45b)가 설치된 경보기(45)의 작동유무를 판단한다.
즉, 상기 온도비교제어기(43)는 내,외부온도편차값이 10 내지 20℃ 일 경우 상기 내부공간(P)내로 외부공기를 강제로 공급할수 있도록 상기 흡기후드(34)내에 설치된 흡기팬(35)에 외부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작업자에게 주의경보를 알리도록 상기 경보기(45)의 주의용 램프(45a)를 점등한다.
또한 내,외부온도편차값이 20 내지 30℃ 일 경우에는 상기 경보기(45)의 고장경보용 램프(45b)를 점등시켜 작업자에게 고장발생을 경보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보기(45)는 상기 전원공급부(10)의 전원출력케이블(10l)을 통해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을 상기 전원출력케이블(10l)에서 각 상별로 검출하고, 검출된 전압을 비교제어하는 전압비교제어기(44)와 전기적으로 연결구성됨으로서, 상별(R,S,T)전압편차가 5%(440±5%)이상 검출시에는 상기 경보기(45)의 주의용 램프(45a)를 점등시켜 주의를 경보하고, 상별전압편차가 10%(440±10%)이상 검출시에는 고장경보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상기 경보기(45)의 고장경보용 램프(45b)를 점등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용광로(1)의 용광로가스내에 함유된 분진 및 이물질을 습식제진기(3)에서 여과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제진수는 유입수로(4) 및 수직유로(4a)를 통하여 시크너폰드(5)내로 유입되어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하게 되는데, 상기 폰드(5)상의 수직유로(4a)에 연결된 유입수로(4)를 통하여 제진수가 유입되면, 상기 유입수로(4)의 제진수에 몸체일부가 침지되도록 배치된 수차(32)의 회전날개(32a)가 제진수의 흐름에 영향을 받아 도면상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되기 시작한다.
연속하여 상기 수차(32)와 더불어 회전구동되는 수차축(32b)은 그 일단에 조립된 구동기어(32d)와 기어물림된 피동기어(32e) 및 이를 갖는 회전축(23f)을 회전구동시킴으로서, 상기 회전축(23f)의 하단부에 조립되고, 상부커버(23)의 상부면에 조립된 배기후드(33)내에 배치된 배기팬(32h)을 일방향 회전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슬립링(10d), 슬립링절연재(10e)등으로 이루어진 전원공급부(10)를 수용하기 위해서 상,하부 및 내부커버(21)(22)(23)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 (P)내의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공간(P)의 부압발생에 의해 상기 외부커버(22)의 하부면에 설치된 흡기후드(34)를 통해 대기중의 냉기가 상기 내부공간(P)내로 흡입되는 공기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상기 내부공간 (P)의 내부온도와 외부온도사이의 편차가 작아져 결로현상을 방지할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P)의 내부온도를 검출하는 내부온도센서(41)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값과 상기 내부공간(P)의 외부온도를 검출하는 외부온도센서(42)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값이 수신되는 온도비교제어기(43)에서 비교연산되는 온도편차값이 15℃이상일 경우, 이는 결로를 발생시킬 수 있는 주의경보단계로 판단하여 경보기(45)의 주의경보용 램프(45a)를 점등시켜 작업자에게 작업주의를 알림과 동시에, 상기 흡기후드(34)내에 설치된 흡기팬(35)를 회전구동시켜 상기 내부공간(P)내로 차가운 외부공기를 강제로 통입시킬수 있도록 외부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온도비교제어기(43)에서 연산되는 편차온도값이 15℃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흡기팬(35)의 회전구동을 중단시킨다. 이때, 상기 흡기팬(35)으로 전달되는 외부전원은 테이블모터 (11a)측으로 전달되는 전원을 분기하여 사용하거나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여도 좋 다.
그리고, 상기 온도비교제어기(43)에서의 온도편차값이 25℃이상일 경우, 경보기(45)의 고장경보용 램프(45b)를 점등시켜 운전실내의 작업자에게 경보를 알려주도록 한다.
한편, 설치구조상 옥외에 설치된 수직유로(4a)에 빗물이 떨어지면, 상기 수직유로(4a)의 길이중간에는 빗물차단판(24)이 설치되고, 상기 빗물차단판(24)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상부커버(23)의 상부중앙은 높고 하부외주측으로 갈수록 하향지게 경사져 있기 때문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커버(21)는 고온의 제진수가 흐르는 상기 수직유로(4a)의 외부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수직유로(4a)의 외부면으로부터 발생되는 복사열이 상기 전원공급부(10)가 배치되는 내부공간(P)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며, 이로 인하여 상기 내부공간(P)과 외부사이의 온도차를 줄여 결로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폰드(5)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및 부식성가스가 상기 내부공간(P)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외부커버(22)는 턴테이블(11)상에 조립되는 수직바(25)의 볼트구멍(25b)에 볼트부재(25a)에 의해서 상하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볼트부재(25a)를 풀어서 자유로워진 상기 외부커버(22)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볼트부재(25a)를 재조립하여 상기 외부커버(22)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한다.
이때, 상기 외부커버(22)는 테이블모터(11a)의 회전구동력에 의해서 회전구 동되는 턴테이블(11)상에 수직바(25)를 매개로 하여 상하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이동되는 이동부재인 반면에, 상기 내,상부커버(21)(23)는 전원공급부(10)와 연결구성된 위치고정부재이기 때문에, 상기 외부커버(22)는 상기 전원공급부(10)와의 간섭없이 개별적으로 이동될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수직유로(4a)는 상기 턴테이블(11)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관통공(11c)을 통하여 폰드(5)내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내,외부 및 상부커버(21)(22)(23)로서 이루어진 내부공간(P)내에 수용된 전원공급부(10)는 상기 외부커버(22)의 좌우양측 외부면에 대칭구조로 돌출형성된 돌출부(22b)의 점검문(22c)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점검문(22c)의 점검창(22d)을 통하여 내부를 확인하여 점검하고, 이상발생시에는 상기 점검문(22c)을 열고서 내부를 수리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10)에 대한 전반적인 교체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분할형으로 조립되고, 취급이 용이하도록 알루미늄과 같은 가벼운 소재로 이루어진 외부, 상부커버(22)(23)의 연결조인트(22a)(23a)를 풀어서 외부노출되는 전원공급부(10)를 교체수리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폰드내로 안내유입되는 제진수의 흐름력을 이용하여 수차를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수차의 동력을 전달받아 배기팬을 회전시켜 전원공급부가 수용되는 내부공간내의 뜨거운 공기를 외부배출하는 반면에, 차가운 대기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며, 내,외부온도를 검출하고 서로 비교하여 내부공간의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설비이상을 조기에 검출하는 한편, 내부공간측으 로 복사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서, 전원공급부에 이슬이 맺혀 슬립링, 슬립링절연재의 절연을 저하시키고, 설비가 중단되는 설비사고를 방지할수 있기 때문에, 폰드내에 슬러지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질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고장에 의한 수처리설비의 휴지시간을 단축할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및 상부커버가 이분할형으로 조립되고, 부식에 강하고, 가벼운 소재로 구성되며, 상하위치조절이 용이하도록 조립됨으로서, 수증기 및 부식성가스의 혼입을 방지하고, 고장시 수리작업시간을 단축하며, 작업중 안전사고를 예방할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유입수로, 수직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제진수를 슬러지와 상등수로 분리하고, 전원공급부가 배치되는 시크너폰드에 있어서,
    상기 수직유로를 에워싸는 내부커버를 감싸도록 이분할형 외부커버를 갖추고, 상기 내,외부커버사이의 상부를 밀폐하는 이분할형 상부커버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상기 전원공급부가 수용되는 커버부;
    상기 유입수로의 제진수흐름에 의해서 회전되는 수차를 갖추고, 상기 수차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방향 회전구동되는 배기팬을 상기 상부커버의 배기후드내에 갖추어 상기 배기팬을 통해 외부배출되는 공기량만큼 상기 외부커버의 흡기후드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는 수차부; 및
    상기 내부공간의 내부온도와 대기온도를 검출하는 내,외부온도센서를 갖추고, 상기 온도센서들의 검출온도값을 서로 비교하는 온도비교제어기의 편차온도값을 근거로 하여 경보기의 작동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커버의 상단부에는 상기 내부커버의 내부면과 상기 수직유로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빗물차단막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커버의 외부면에는 돌출부를 좌우대칭으로 각각 돌출형성하고, 그 전면에는 점검창을 갖는 점검문을 장착하는 한편, 하단부는 턴테이블의 상부면에 수직설치되는 복수개의 높이조정용 수직바에 상하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상부면에 낙하되는 빗물이 하부로 용이하게 떨어질수 있도록 상부중앙에서 하부외주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형상으로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차는 상기 유입수로의 제진수에 몸체일부가 침지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입수로의 베어링블록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수차축의 일단에는 구동기어를 조립하며,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피동기어에는 상기 상부커버상부면의 배기후드내에 배치되는 배기팬을 하단에 조립하고, 축베어링블록에 지지되는 회전축의 상단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후드내에는 전원인가시 회전구동되어 상기 내부공간내로 외부공기를 강제로 공급할수 있도록 흡기팬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
KR1020010018797A 2001-04-09 2001-04-09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 KR100685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797A KR100685017B1 (ko) 2001-04-09 2001-04-09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797A KR100685017B1 (ko) 2001-04-09 2001-04-09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438A KR20020078438A (ko) 2002-10-18
KR100685017B1 true KR100685017B1 (ko) 2007-02-20

Family

ID=2770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797A KR100685017B1 (ko) 2001-04-09 2001-04-09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0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416B1 (ko) 2009-05-07 2009-08-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 라돈 저감장치
KR100927438B1 (ko) * 2009-07-27 2009-11-1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발전 시스템이 구비된 지하수 라돈 저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065A (en) * 1975-07-24 1977-02-02 Kobe Steel Ltd Method of regulating flocculant input into a thickener
US4425228A (en) * 1982-03-02 1984-01-10 Bethlehem Steel Corporation Wet-classifying method for recovery of carbon and iron-bearing particles
KR19980060516U (ko) * 1997-03-12 1998-11-05 김종진 용광로 시커너폰드의 애지테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065A (en) * 1975-07-24 1977-02-02 Kobe Steel Ltd Method of regulating flocculant input into a thickener
US4425228A (en) * 1982-03-02 1984-01-10 Bethlehem Steel Corporation Wet-classifying method for recovery of carbon and iron-bearing particles
KR19980060516U (ko) * 1997-03-12 1998-11-05 김종진 용광로 시커너폰드의 애지테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438A (ko) 200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45557A (ko) 하수관 검사와 보수용 로봇
KR100685017B1 (ko) 수처리용 시크너폰드의 전원공급부 결로방지장치
EP0596728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ust accumulation in an exhaust duct of an electric furnace
CN108532414B (zh) 一种沥青混合料搅拌环保处理系统及工艺
KR101522097B1 (ko)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시스템
KR200439294Y1 (ko) 여과집진기의 여과포 상태 확인장치
CN215427890U (zh) 一种防尘防腐效果好的巡检机器人
KR101177036B1 (ko) 고로 시크너폰드 턴테이블 슬립링 절연장치
KR100711768B1 (ko) Ecs와 cdq 겸용 집진기의 방폭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6568413B1 (en) Apparatus for process washing
KR100858129B1 (ko) 코크스 오븐 탄화실 도어 프레임의 카본 제거장치
CN212108456U (zh) 一种板式捞渣机跑偏与停转报警装置
CN2419491Y (zh) 干式排渣机
KR200331206Y1 (ko) 더스트 누적이 방지되는 배가스 청정라인의 실탱크 및슬러리탱크
KR102561094B1 (ko) 송풍장치 자동 세정시스템
CN219128304U (zh) 一种薄膜蒸发器
KR20210045748A (ko) 습기제거 및 부식성가스 유입 방지 자동제어반 제작법
KR19980022981A (ko) 집진기의 필터 자동 교환장치
KR20110003465U (ko) 먼지 제거용 집진장치
KR100973895B1 (ko) 냉각 및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을 갖춘 화염 검출장치
CN209263062U (zh) 刮板捞渣机用的轴承内置导流式内导轮
CN220940783U (zh) 一种智能巡检功能的生物安全柜
CN212492223U (zh) 一种便于拆卸维护的烧结用脱硫设备
KR101143169B1 (ko) 미분코크스 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분코크스 배출방법
KR100797955B1 (ko) 정전유도 작용을 이용한 코크스 오븐가스의 타르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