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004B1 - 가스레인지 - Google Patents

가스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004B1
KR100685004B1 KR1020050015795A KR20050015795A KR100685004B1 KR 100685004 B1 KR100685004 B1 KR 100685004B1 KR 1020050015795 A KR1020050015795 A KR 1020050015795A KR 20050015795 A KR20050015795 A KR 20050015795A KR 100685004 B1 KR100685004 B1 KR 100685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air curtain
air
gas
out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0335A (ko
Inventor
김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넷
Publication of KR20050100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8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n air cur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를 점화하는 가스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에어커튼기를 갖는 가스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10)에 설치된 점화플러그(40)로 가스노즐(30)의 가스를 점화한 후, 베이스(10)에 내장된 에어커튼기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에어커튼기는 흡기공(22, 22')으로 유입되는 외기를 베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P)로 강제송풍한다. 따라서, 외기는 쉴드플레이트(20)의 배기공(24, 24')을 통하여 배기되면서, 베이스(10)의 상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한다. 이때, 에어커튼은 점화된 가스의 화기를 보호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베이스(10)에 내장된 에어커튼기가 베이스(10)의 상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므로, 에어커튼이 베이스(10) 외측의 바람이나 베이스(10) 내측의 냄새 및 연기를 단속한다. 또한, 에어커튼기가 베이스(10)의 내부에 내장됨에 따라, 에어커튼기를 갖는 컴팩트한 가스레인지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한 에어커튼기를 갖는 가스레인지를 제공한다.
가스레인지, 에어커튼, 유로, 송풍팬, 냄새

Description

가스레인지{GAS RANG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가스레인지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스레인지의 구성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스레인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가스레인지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가스레인지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가스레인지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가스레인지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20 : 쉴드플레이트
22, 22' : 흡기공 24, 24' : 배기공
30 : 가스노즐 40 : 점화플러그
52 : 인너플레이트 52a : 외기유입공
54 : 끼움구 54a : 끼움홈
56 : 송풍팬 58 : 미들플레이트
C : 컨트롤러 E : 토출관
본 발명은 가스를 점화하는 가스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에어커튼을 제공하는 가스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레인지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점화시켜서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가스레인지는 음식물의 조리시, 음식물 냄새를 주변으로 확산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가스레인지 주변에 바람이 불 경우, 이 바람에 의하여 가스불이 소화되는 단점도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등록출원되어 2004년 1월 30일자로 등록된 등록 제341486호(명칭: 외기 도입 급기장치 일체형 가스레인지, 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는, 전술한 일반적인 가스레인지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고안이다.
이러한, 종래기술1은 가스레인지 본체에 연결된 외기유입관에서 송풍팬이 외기를 송풍하게 되면, 송풍되는 외기가 외기유입관을 통하여 본체의 하부에 마련된 압력챔버를 경유한 후, 가스레인지 본체를 차폐한 상부판에 마련된 복수개의 급기관으로 토출되면서, 본체의 상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1은 가스레인지 본체의 하부에, 박스형태의 압력챔버를 별개로 부착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외기유입관 및 급기관을 가스레인지 본체에 별개로 장착하여야 한다. 따라서, 조립공수 및 제조단가가 과도하게 소요될 뿐 만 아니라, 조립도 매우 불편하고, 제조시간도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1은 이러한, 압력챔버와 외기유입관 및 급기관에 의하여 설치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가스레인지의 자중이 매우 무거워지는 문제도 있다.
특히, 종래기술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레인지 본체에 별개로 설치되는 부품들로 인하여, 가스레인지의 형상이 매우 투박해짐에 따라 소비자들로부터 외면을 받는 커다란 문제가 있다.
또 한편,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등록출원되어 1998년 6월 25일자로 공개된 공개 제1998-14797호(명칭: 가스레인지(가스오븐레인지)의 상부 에어커튼장치, 이하 "종래기술2"라 함)는, 전술한 종래기술1과 달리 에어커튼장치가 가스레인지의 본체상에 일체로 마련되어, 컴팩트한 가스레인지를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2는 에어커튼장치가 실제로 가스레인지 본체에 일체로 구성될 수 없는 미완성 고안임에 따라 1998년 10월 8일자로 거절사정되었다.
따라서, 에어커튼을 제공하는 가스레인지는, 아직까지 보편화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체에 심풀한 구조의 에어커튼기가 내장되어, 본체의 상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동시에 컴팩트한 형태를 갖는 가스레인지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에어커튼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에어커튼이 점화된 화기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측에 배치되는 레인지후드로 본체상의 냄새나 연기를 집진시키는 가스레인지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스레인지는, 쉴드플레이트와; 이 쉴드플레이트에 의하여 상부가 차폐됨에 따라, 내부가 비어있는 육면체형태를 취하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내장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전술한 쉴드플레이트상에 토출시키는 복수개의 가스노즐과; 이 가스노즐에서 토출되는 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플러그와; 전술한 베이스에 내장되어, 베이스의 외기를 베이스의 상부로 토출하면서 베이스의 상부에 에어커튼을 제공하되, 전술한 점화플러그에 의하여 점화된 가스의 화기를 보호하면서 에어커튼을 제공하는 에어커튼기와; 전술한 베이스의 외기를 소통시켜서, 이 에어커튼기에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수단 및; 전술한 에어커튼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외기를 유도하여, 전술한 베이스의 상부로 토출시키는 토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베이스는 바닥과 접촉하는 평판 및; 이 평판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측판을 갖는다. 그리고, 전술한 쉴드플레이트는 평판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쉴드플레이트는 테두리에 하방으로 절곡된 테두리벽판을 갖는 캡형태의 판재일 수 있다. 이때, 쉴드플레이트의 테두리벽판이 하방으로 길게 형성될 경우, 베이스의 측판은 생략이 가능하다.
전술한 에어커튼기는 예컨대, 전술한 쉴드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전술한 베이스의 표면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이격된 틈사이로 공기가 소통되는 유로를 제공하며, 베이스의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공을 갖는 인너플레이트와; 이 인너플레이트를 전술한 베이스나 쉴드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전술한 인너플레이트의 외기유입공으로 유입되는 외기를, 이 인너플레이트가 제공하는 유로에 강제로 송풍하는 송풍팬 및; 이 송풍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인너플레이트는 드로잉가공되어 상부가 개방된 오목한 형태의 찬넬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인너플레이트는 양측이 절곡되어 개방된 하부를 갖는 캡형태의 찬넬일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인너플레이트는 수평으로 형성된 판재일 수도 있다.
전술한 고정수단은 예컨대, 전술한 쉴드플레이트에 전술한 인너플레이트의 상단부가 정합되는 끼움홈을 갖는 끼움구를 동일체로 부착하여, 쉴드플레이트에 인너플레이트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고정수단은 예컨대, 전술한 쉴드플레이트의 하부에 전술한 인너플레이트를 볼팅이나 용접하여, 쉴드플레이트에 인너플레이트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거나 영구적으로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술한 인너플레이트 및 베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인너플레이트와 협조하면서 인너플레이트의 유로를 형성하는 미들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미들플레이트는 인너플레이트의 하부를 차폐하면서, 인너플레이트와 함께 덕트형태를 취한다. 이때, 미들플레이트는 수평으로 형성된 판재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미들플레이트는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어 상부가 개방된 찬넬일 수도 있다. 이러한 미들플레이트는, 인너플레이트를 통하여 액체가 유입될 경우, 이 액체가 유동하면서 증발하도록 경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외기공급수단은 예컨대, 전술한 쉴드플레이트에 전술한 에어커튼기와 연통되는 흡기공을 형성하여, 전술한 베이스의 외기를 에어커튼기로 유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외기공급수단은 예컨대, 전술한 베이스에 전술한 에어커튼기와 연통되는 흡기공을 형성하여, 베이스의 외기를 에어커튼기로 유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흡기공은 전술한 인너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한 베이스에 형성할 수도 있다. 만약, 흡기공을 이와 같은 위치에 형성할 경우, 인너플레이트의 외기유입공을 생략할 수 있다.
또 한편, 전술한 토출수단은 예컨대, 전술한 쉴드플레이트에 전술한 에어커튼기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배기공을 형성하여, 에어커튼기에서 배출되는 외기를 전술한 베이스의 상부로 토출시켜서 에어커튼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배기공은 쉴드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은 에어커튼기가 제공하는 에어커튼에 경사를 허용하는 경사허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사허용수단은 예컨대, 전술한 쉴드플레이트의 배기공이 형성된 부위에 측면상 내측으로 예각의 경사를 갖는 테이퍼를 형성하되, 1°내지 52° 범위의 경사를 갖는 테이퍼를 형성하여; 전술한 에어커튼기에 의하여 제공되는 에어커튼이, 점화된 화기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사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 한, 테이퍼의 경사는 30°내지 45°이내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7°내지 42° 범위 이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전술한 토출수단은 예컨대, 전술한 베이스에 상부를 향하는 배기공을 형성하여, 전술한 에어커튼기에서 배출되는 외기를 베이스의 상부로 토출시켜서 에어커튼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배기공은 베이스의 측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베이스의 측면을 외측으로 펀칭하여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펀칭으로 배기공을 형성할 경우, 베이스는 배기공이 형성된 부위가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와 또 달리, 전술한 토출수단은 예컨대, 전술한 베이스의 측면에, 출구가 베이스의 상부를 향하는 토출관을 관통고정하여, 전술한 에어커튼기에서 배출되는 외기를 베이스의 상부로 토출시켜서 에어커튼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토출관은 알파벳의 'L'자와 같은 형태를 갖는 엘보일 수 있다. 이러한, 토출관은 베이스의 측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레인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가스레인지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스레인지의 구성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스레인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가스 레인지는, 최 상부에 배치되는 쉴드플레이트(20)와; 이 쉴드플레이트(20)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10)와; 이 베이스(10)에 내장되어, 가스를 토출하는 가스노즐(30)과; 이 가스노즐(30)에서 토출되는 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플러그(40) 및; 전술한 베이스(10)의 상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에어커튼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에어커튼기에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수단 및; 이 에어커튼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외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쉴드플레이트(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분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베이스(10)의 상단에 피팅된다. 즉, 쉴드플레이트(20)는 뚜껑 처럼 베이스(10)의 상부에 씌워져서 고정된다.
베이스(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플레이트(20)에 의하여 상부가 차폐됨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박스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베이스(10)의 하부에는 베이스(10)의 하부면을 바닥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노즐(30)은 하부측에 미도시된 가스공급관이 연결되어, 이 가스공급관을 통하여 외부의 가스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이 가스를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플레이트(20)상에 토출시킨다.
점화플러그(4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노즐(30)의 토출구측에 마련되어, 스파크를 일으키면서 가스노즐(30)의 가스를 점화시킨다. 이때, 점화플러그(40)는 미도시된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스파크를 일으킨다.
여기서, 전술한 가스노즐(30) 및 점화플러그(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노브(K)에 의하여 제어된다.
에어커튼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인너플레이트(52)와; 이 인너플레이트(52)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이 인너플레이트(52)의 하부로 외기를 강제로 송풍하는 송풍팬(56) 및; 이 송풍팬(56)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C);를 포함한다.
이러한, 에어커튼기의 인너플레이트(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플레이트(20)의 하부에서 베이스(10)의 표면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이격된 틈사이로 유로(P)를 제공한다. 즉, 인너플레이트(52)는 베이스(10)의 표면과 협조하면서 유로(P)를 제공한다. 따라서, 인너플레이트(52) 및 베이스(10)는 덕트와 같은 구조를 취한다. 이때, 인너플레이트(52)는 후술되는 송풍팬(56)에 외기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기유입공(52a)을 갖는다. 이러한, 외기유입공(5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송풍팬(56)의 주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너플레이트(52)는 전술한 가스노즐(30)이 베이스(10)에 수직으로 내장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은 노즐공(52b)를 갖는다. 이때, 노즐공(52b)의 테두리에는 후술되는 송풍팬(56)에 의하여 유로(P)로 송풍되는 외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도시된 바와 같은 보스를 하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가스노즐(30)이 인너플레이트(52)를 관통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러한 노즐공(52b)을 생략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커튼기의 고정수단은, 인너플레이트(52)를 베이스(10)나 쉴드플 레이트(2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54a)을 갖는 끼움구(54)이다. 이와 같은 끼움구(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플레이트(20)의 테두리 하부에 볼팅이나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동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끼움구(54)의 끼움홈(54a)은 하방을 향한다. 따라서, 인너플레이트(52)의 상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구(54)의 끼움홈(54a)에 정합되어 착탈식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에어커튼기의 송풍팬(56)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팬(56a) 및 모터(56b)를 갖는다. 이때, 팬(56a)은 임펠러형태의 팬 보다는 도시된 바와 같은 시로코팬이 적당하다. 이러한, 모터(56b) 및 팬(56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플레이트(52)의 상부 및 하부에 제각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팬(56a)은 모터(56b)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외기를 유로(P)에 강제로 송풍한다.
마지막으로, 에어커튼기의 컨트롤러(C)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노브(K)에 인접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컨트롤러(C)는 송풍팬(56)의 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컨트롤러(C)는 송풍팬(56)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한하면서, 송풍팬(56)을 온/오프(ON/OFF) 시키거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외기공급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플레이트(20)나 베이스(10)에 형성된 흡기공(22, 22')이다. 여기서, 쉴드플레이트(20)에 흡기공(22)을 마련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노즐(30)이 관통하는 노즐공(22a)에 리세스를 부여하여 흡기공(22)을 마련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쉴드플레이트 (20)에 적어도 하나의 소통공(22b)을 별개로 마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베이스(10)에 흡기공(22')을 마련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측벽 상부나 중간부분, 또는 하부에 흡기공(22')이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흡기공(22')을 베이스(10)의 마련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인너플레이트(5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흡기공(22')을 인너플레이트(52)의 하부에 마련하게 되면, 베이스(10)의 외기가 전술한 송풍팬(56)에 직접적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흡기공(22, 22')은 베이스(10)의 외기를 에어커튼기에 공급한다. 즉, 흡기공(22, 22')은 외기를 인너플레이트(52)의 외기유입공(52a)이나 송풍팬(56)에 공급한다. 물론, 흡기공(22')을 베이스(10)의 하부에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련할 경우, 인너플레이트(52)의 외기유입공(52a)은 생략이 가능하다.
또 한편, 본 발명의 토출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플레이트(20)의 테두리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배기공(24)이다. 이러한 배기공(24)은, 송풍팬(56)에 의하여 유로(P)로 송풍되는 외기를 베이스(10)의 상부로 토출시킨다. 따라서, 베이스(10)상에는 에어커튼이 제공된다.
이때, 베이스(10)상의 에어커튼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부의 레인지후드(RH)에 집결되도록 경사를 갖는다. 이때, 에어커튼은 경사허용수단에 의하여 경사를 갖는다.
여기서, 경사허용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공(24)이 형성된 쉴드플레이트(20)의 테두리측에 측면상 내측으로 예각의 경사(θ)를 갖는 테이퍼이 다. 이때, 테이퍼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40°의 경사(θ)를 갖는다.
이러한, 테이퍼는 배기공(24)에 경사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배기공(24)으로 토출되는 에어커튼은 배기공(24)의 경사에 의하여 경사를 갖는다. 이때, 에어커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기와 이격된다. 즉, 화기에 간섭하지 않는다. 물론, 에어커튼이 화기에 간섭하지 않는 이유는, 이를 고려한 테이퍼의 경사(θ)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가스레인지는, 쉴드플레이트(20)상에 미도시된 조리용기를 안착시킨 후, 가스노즐(30)의 가스가 점화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K)를 조작하여 점화플러그(4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컨트롤러(C)를 돌려서 송풍팬(56)을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송풍팬(56)은 쉴드플레이트(20)나 베이스(10)의 흡기공(22, 22') 및 인너플레이트(52)의 외기유입공(52a)으로 외기를 흡기하여, 인너플레이트(52) 및 베이스(10)가 제공하는 유로(P)에 강제로 송풍한다. 따라서, 외기는 경사(θ)를 갖는 쉴드플레이트(20)의 배기공(24)을 통하여 베이스(10)의 상부로 토출되면서, 베이스(10)의 상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한다. 물론, 에어커튼은 쉴드플레이트(20)의 테이퍼에 의한 배기공(24)의 경사(θ)로 인하여, 점화된 화기에 간섭하지 않는다. 이때, 에어커튼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인지후드(RH)에 집결되면서 건물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베이스(1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바람은, 에어커튼을 통과하지 못한 다. 따라서, 점화된 화기는 에어커튼에 의하여 보호된다. 또한, 조리용기에서 배출되는 냄새는 에어커튼으로 인하여 베이스(1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물론, 조리시 발생하는 연기도 에어커튼에 의하여 베이스(1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5실시예에 의한 가스레인지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이다. 여기서, 이러한, 제2 내지 제5실시예에 의한 가스레인지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의 제2실시예에 의한 가스레인지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가스레인지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은 미들플레이트(58)를 더 포함하는 것이 차이점이다.
여기서, 미들플레이트(5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플레이트(52) 및 베이스(10)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미들플레이트(5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끼움홈(54a)을 갖는 끼움구(54)를 이용하여 베이스(10)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끼움구(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내면에 수평으로 고정하여야 함은 자명하다.
이러한, 미들플레이트(5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플레이트(52)와 협조하면서 유로(P)를 형성한다. 이때, 미들플레이트(58) 및 인너플레이트(52)는 덕트형태를 취한다.
이와 같은 미들플레이트(58)는, 쉴드플레이트(20)의 흡기공(22) 및 인너플레이트(52)의 외기유입공(52a)을 통하여 유입되는 액체(물이나 음식의 국물)가 베이 스(10)의 바닥면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미들플레이트(58)는 도시된 바와 달리, 경사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미들플레이트(58)에 경사를 형성할 경우, 미들플레이트(58)에 유입된 액체는 경사에 의하여 유동하면서, 송풍팬(56)의 외기에 의하여 증발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에 의한 가스레인지의 작동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가스레인지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외기가 미들플레이트(58) 및 인너플레이트(52) 사이에 형성된 유로(P)를 통하여 송풍되는 것이 다른 점이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스레인지의 작동은 당업자가 용이실시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 도 5의 제3실시예에 의한 가스레인지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가스레인지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공(24)이 형성된 쉴드플레이트(20)의 테두리를 수직으로 절곡하고, 베이스(10)의 상단부를 이 배기공(24)의 외측으로 절곡시킨 것이 차이점이다. 이때, 배기공(24)은 절곡된 쉴드플레이트(20)의 테두리로 인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다.
여기서, 베이스(10)의 상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알파벳의 'L'자 형태로 절곡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10)의 상단부 하측은 쉴드플레이트(20)의 하단을 지지하고, 상단부 상측은 배기공(24)과 이격되면서 배기공(24)의 외측에 벽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3실시예의 가스레인지는, 배기공(24)으로 토출되는 외기가, 배기공(24)의 외측에 형성된 베이스(10)의 상단에 부딪혀서 굴절된 후, 베이스(10)의 상부로 토출된다. 따라서, 베이스(10)의 상부에는 에어커튼이 제공된다.
그 다음, 도 6의 제4실시예에 의한 가스레인지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가스레인지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에 배기공(24')이 형성된 것이 차이점이다. 이러한, 배기공(24')은 베이스(10)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이때, 배기공(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와 동일체로 형성되고, 베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배기공(24')은 베이스(10)의 일측면을 소정길이로 절개한 후, 이 절개부위의 하부를 펀치로 펀칭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배기공(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되는 동시에 상부를 향한다.
이와 같은 제4실시예에 의한 가스레인지는, 송풍팬(56)에 의하여 송풍되는 외기가 배기공(24')을 통하여 베이스(10)의 상부로 토출된다. 따라서, 베이스(10)의 상부에는 에어커튼이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도 7의 제5실시예에 의한 가스레인지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가스레인지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에 엘보와 같은 토출관(E)이 장착된 것이 차이점이다. 이런한 토출관(E)은, 베이스(10)의 외주면를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장착된다.
이때, 토출관(E)은 일단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를 관통하여, 외기가 송풍되는 유로(P)와 연통되며, 타단부는 베이스(10)의 상부를 향한다. 이에 따라, 토출관(E)의 출구는 상부를 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5실시예에 의한 가스레인지는, 송풍팬(56)에 의하여 송풍되는 외기가 토출관(E)을 통하여 베이스(10)의 상부로 토출된다. 따라서, 베이스(10)의 상부에는 에어커튼이 제공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레인지는, 베이스에 내장된 에어커튼기가 토출수단을 통하여 베이스의 상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하므로, 에어커튼이 베이스 외측의 바람이나 베이스 내측의 냄새 및 연기를 단속하여, 레인지후드로 배기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커튼기가 인너플레이트와 고정수단 및 송풍팬으로 심풀하게 구성되어, 에어커튼기를 갖는 가스레인지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수 및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에어커튼기가 베이스의 내부에 내장되어, 컴팩트한 고급스러운 형태의 가스레인지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커튼기를 갖는 가스레인지를 실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경사제공수단에 의하여 경사를 갖는 에어커튼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냄새 및 연기를 단속하는 에어커튼이 레인지후드에 모이면서, 냄새 및 연기를 배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커튼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점화된 화기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1)

  1. 가스를 점화하는 가스레인지에 있어서,
    쉴드플레이트와;
    상기 쉴드플레이트에 의하여 상부가 차폐됨에 따라, 내부가 비어있는 육면체형태를 취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내장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상기 쉴드플레이트상에 토출시키는 복수개의 가스노즐과;
    상기 가스노즐에서 토출되는 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플러그와;
    상기 쉴드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베이스의 표면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이격된 틈사이로 공기가 소통되는 유로를 제공하며 베이스의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공을 갖는 인너플레이트, 상기 인너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나 쉴드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인너플레이트의 외기유입공으로 유입되는 외기를 상기 인너플레이트가 제공하는 유로에 강제로 송풍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어 유입된 외기를 베이스의 상부로 토출하면서 베이스의 상부에 에어커튼을 제공하는 에어커튼기와;
    상기 베이스의 외기를 소통시켜서, 상기 에어커튼기에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수단 및;
    상기 에어커튼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외기를 유도하여, 상기 베이스의 상부로 토출시키는 토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쉴드플레이트에 상기 인너플레이트의 상단부가 정합되는 끼움홈을 갖는 끼움구를 동일체로 부착하여, 쉴드플레이트에 인너플레이트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플레이트 및 베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인너플레이트와 협조하면서 상기 인너플레이트의 유로를 제공하는 미들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들플레이트는 상기 인너플레이트와 협조하면서 덕트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플레이트는,
    상기 인너플레이트를 통하여 유입되는 액체가 유동하면서 증발하도록 경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공급수단은,
    상기 쉴드플레이트에 상기 에어커튼기와 연통되는 흡기공을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의 외기를 에어커튼기로 유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공급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상기 에어커튼기와 연통되는 흡기공을 형성하여, 베이스의 외기를 에어커튼기로 유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단은,
    상기 쉴드플레이트에 상기 에어커튼기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배기공을 형성하여, 에어커튼기에서 배출되는 외기를 상기 베이스의 상부로 토출시켜서 에어커튼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튼기가 제공하는 에어커튼에 경사를 허용하는 경사허용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허용수단은, 상기 쉴드플레이트의 배기공이 형성된 부위에 측면상 내측으로 예각의 경사를 갖는 테이퍼를 형성하되, 1°내지 52° 범위의 경사를 갖는 테이퍼를 형성하여; 상기 에어커튼기에 의하여 제공되는 에어커튼이, 점화된 화기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사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상부를 향하는 배기공을 형성하여, 상기 에어커튼기에서 배출되는 외기를 베이스의 상부로 토출시켜서 에어커튼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 출구가 베이스의 상부를 향하는 토출관을 관통고정하여, 상기 에어커튼기에서 배출되는 외기를 베이스의 상부로 토출시켜서 에어커튼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
KR1020050015795A 2005-01-20 2005-02-25 가스레인지 KR100685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05352 2005-01-20
KR1020050005352 2005-01-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155U Division KR200383526Y1 (ko) 2005-02-25 2005-02-25 가스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335A KR20050100335A (ko) 2005-10-18
KR100685004B1 true KR100685004B1 (ko) 2007-02-20

Family

ID=3727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795A KR100685004B1 (ko) 2005-01-20 2005-02-25 가스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0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646B1 (ko) 2015-06-15 2017-02-2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리기기의 소화 방재 시스템
KR20160148089A (ko) 2015-06-15 2016-12-2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충전기 겸용 받침대
KR20180081343A (ko) 2017-01-06 201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335A (ko) 200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08332A1 (en) Water heater with forced draft air inlet
CA2500941A1 (en) Water heater with normally closed air inlet damper
KR100685004B1 (ko) 가스레인지
KR200383526Y1 (ko) 가스레인지
CA2424703C (en) Explosion-proof hot water heater with unsealed fuel combustion chamber
JP4025211B2 (ja) ドロップインコンロ
JP4565203B2 (ja) ガスコンロ
US9127839B2 (en) Combustion apparatus
WO2006001065A1 (ja) 室内空気によるエアカーテンを形成するレンジフード
RU2005109936A (ru) Горелка, в частности горелка вентури, с топочной трубой
JP3896046B2 (ja) 炭焼き用無煙ロースター
KR920006609B1 (ko) 강제 송풍식 연소장치
KR101748730B1 (ko) 개폐도어용 에어커튼을 구비한 벽난로
KR200433418Y1 (ko)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가스레인지
KR970009702A (ko) 가스겸용 숯불구이 화덕
KR101520637B1 (ko) 화목보일러의 급기장치
CN207501196U (zh) 一种具有点火和喷水功能的带二次进风的燃炉
KR200304022Y1 (ko) 휴대용 헤어 드라이어
JP2005140396A (ja) 組み込み式ガスコンロ
CN101451747B (zh) 油烟机灶具一体机
JP2002209757A (ja) 無煙ロースター
CN201149315Y (zh) 油烟机灶具一体机
JP4547520B2 (ja) ガスコンロ
KR920009082B1 (ko) 강제송풍식 연소장치
KR200474843Y1 (ko) 숯불 연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