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921B1 - 우수 흐름의 차단장치 및 그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우수 흐름의 차단장치 및 그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921B1
KR100683921B1 KR1020050133473A KR20050133473A KR100683921B1 KR 100683921 B1 KR100683921 B1 KR 100683921B1 KR 1020050133473 A KR1020050133473 A KR 1020050133473A KR 20050133473 A KR20050133473 A KR 20050133473A KR 100683921 B1 KR100683921 B1 KR 100683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outlet
body portion
blocking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명
Original Assignee
에레드 주식회사
홍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레드 주식회사, 홍순명 filed Critical 에레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3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내리는 우수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우수 차단장치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는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게 되는 몸체부와; 상기의 몸체부의 벽면에 형성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집수된 우수를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흘러들어오게 하는 유입구와; 외부에서 유입된 우수를 1차적으로 배출하여 우수처리구역으로 보내주는 1차 배출구와; 상기 1차 배출구의 이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1차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 우수에 의한 부력에 의하여 상기 우수처리구역으로 향하는 우수의 진행방향을 차단하는 차단수단과; 외부에서 유입된 우수를 2차적으로 배출하여 상기 몸체부의 바깥쪽으로 보내주는 2차 배출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외부에서 유입된 우수를 3차적으로 배출하여 우수배출구역으로 보내주는 3차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를 사용할 경우 초기 우수와 나중 우수를 무동력으로 자동적 선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게 된다.
강우, 우수(雨水), 빗물, 오염물질, 우수 처리장치, 우수 차단, 수질오염

Description

우수 흐름의 차단장치 및 그 처리방법{Cutoff Equipment for Flowing of Rainwa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Rainwater}
도 1은 종래의 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에 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를 통하여 1차 배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2차 배출구 및 3차 배출구로 향하게 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가 우수 처리장치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우수 차단장치(본 발명), 210 : 몸체부,
212 : 유입구, 214 : 상부 차단벽,
216 : 하부 차단벽, 220 : 1차 배출구,
230 : 2차 배출구, 240 : 3차 배출구,
250 : 차단수단, 251 : 힌지축,
252 : 차단판, 254 : 부력체,
256 : 걸고리
본 발명은 우수의 흐름을 무동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우수 차단장치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 처리장치에 장착되어 초기 우수를 처리한 이후에 유입되는 우수에 대하여 그 흐름방향을 차단할 수 있는 우수 차단장치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세계무역기구(WTO)에서 지정하고 있는 대표적인 물부족 국가군으로 분류되고 있으면서도, 초여름에 집중적인 호우를 동반하거나 장마전선을 동반하여 연간 강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자연적으로 내리는 우수의 효율적인 이용이 무엇보다 중요한 사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한편,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들은 산업화의 영향으로 각종의 먼지, 자동차의 매연, 공장의 매연이나 분진 등의 오염물질들을 대기중으로 뿜어내고 있으며, 이들 오염물질들은 대기 중에 떠돌아다니다가 우수가 내릴 때 초기 우수에 포함되어 지표면에 함께 용해되어 낙하하게 되는데, 이러한 초기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지 않으면, 수질오염 등의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현상에 대한 예외가 아니어서, 초기 우수에 대한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 와 있다.
현재, 초기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들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그대로 방류할 경우, 수질오염의 큰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실제로 이러한 초기 우수에 포함된 비 점오염물질은 전체 수계 오염의 약 20 % 내지 35 %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이러한 강우 특성을 살펴볼 때, 초기 우수에 포함된 비 점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오늘날 빈발하고 있는 국지성 호우의 문제와, 장마전선의 장기화, 집중호우의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응할 필요가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이러한 강우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우수 처리장치(대한민국 특허등록 제516951호)에 관한 것으로서, 그에 대한 기술적 구성이 단면도로 제시되어 있다.
상기 도 1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우수 처리장치는 유입구(11)와 유출구(12)를 포함한 우수 수용조(10)로 구성되어 있고, 초기 우수가 소정량 이하일 경우에는 그 초기 우수는 우수 수용조(10)의 하부측으로만 흐르도록 하고, 소정량 이상일 경우에는 커버(20)에 의해 상하부측으로 나누어 흐르도록 하며, 하부측으로 흘러가는 우수는 오염물질 처리수단(50)에 의해 1차적으로 여과처리되어지고, 다시 오염물질 흡착수단(70)에 의하여 2차적으로 처리되어진 다음, 곧바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우수 처리장치는 초기 우수를 처리하는데 중점을 둔 것으로 여겨지고, 초기 우수를 제외한 나머지 우수들이 소량일 경우에는 여전히 비 점오염물질을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1차 및 2차 여과처리를 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상기의 종래기술은 우수가 증가하게 되면, 상기 도 1의 커버(20)에 의하여, 그 일부의 우수를 상부측으로 흘러가게 함으로써 여과흡착 처리를 행하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초기 우수가 아닌 나머지 우수들이 여전히 소량 내릴 경우에는 여전히 하부측으로 흘러갈 수밖에 없고, 이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여과흡수 처리를 계속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종래 기술은 초기 우수를 제외한 나머지의 우수에 대해서는 이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의 여부를 전혀 알 수 없고, 그에 대한 어떠한 시사도 되어있지 않다.
이와 같이, 종래의 통상적인 우수 처리장치는 비록 초기 우수에 대한 오염물질의 처리방법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효율성을 인정할 수 있겠으나, 초기 우수 이외의 나머지 우수에 대해서는 이를 굳이 여과처리할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동일하게 여과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다양한 강우특성을 고려하여, 초기 우수에 대해서는 여과 흡착 등의 처리를 행하는 우수처리구역으로 향하게 하는 반면에, 초기 우수를 제외한 나머지 우수에 대해서는 상기 우수처리구역으로 향하는 유통로를 차단하는 우수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다양한 강우특성을 고려하여, 초기 우수에 대해서는 여과 흡착 등의 처리를 행하는 우수처리구역으로 향하게 하는 반면에, 초기 우수를 제외한 나머지 우수에 대해서는 상기 우수처리구역으로 향하는 유통로를 차단하는 우수 차단장치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초기 우수에 대해서는 우수처리구역으로 진행시키면서도, 그 이후의 나중 우수에 대해서는 그 흐름 방향을 무동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우수 차단장치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는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게 되는 몸체부와; 상기의 몸체부의 벽면에 형성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집수된 우수를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흘러들어오게 하는 유입구와; 외부에서 유입된 우수를 1차적으로 배출하여 우수처리구역으로 보내주는 1차 배출구와; 상기 1차 배출구의 이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1차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 우수에 의한 부력에 의하여 상기 우수처리구역으로 향하는 우수의 진행방향을 폐쇄하는 차단수단과; 외부에서 유입된 우수를 2차적으로 배출하여 상기 몸체부의 바깥쪽으로 보내주는 2차 배출구;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는, 상기 몸체부(210)에 있어서, 외부에서 유입된 우수를 3차적으로 배출하여 상기 우수배출구역으로 보내주는 3차 배출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몸체부에는 착탈식 뚜껑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1차 배출구는 외부에서 유입된 오염물질 중에서 조대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스크린 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차단수단은 상기 몸체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에 부착되어 있는 부력체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차단판은 걸고리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차단수단은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몸체부의 아래쪽에 위치한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아래쪽에 부착되어 있는 부력체와, 상기 차단판을 상기 몸체부에 결합시켜주는 걸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의 사용방법은 지면에 내린 우수가 집수되어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들어오는 단계와; 상기의 우수가 초기 우수일 경우 상기 1차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상기의 차단수단을 경유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단계와; 상기의 1차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 우수가 점점 차올라오면서 그의 부력에 의해 상기 차단수단을 상기 1차 배출구에 밀착시켜 상기 1차 배출구의 유통로를 폐쇄하는 단계와; 상기 1차 배출구의 유통로를 폐쇄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들어온 우수가 2차 배출구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몸체부에 3차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2차 배출구로 배출되던 우수가 점점 그 배출 흐름이 둔화되면서 상기 3차 배출구로 점차적으로 배출되어지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200)에 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2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200)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200)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200)를 통하여 1차 배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2차 배출구 및 3차 배출구로 향하게 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200)는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게 되는 몸체부(2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몸체부(210)는 철재 또는 프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우수 처리장치에 장착되어질 형상에 맞추어 제작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200)는 상기의 몸체부(210)의 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21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유입구(212)는 지면에 내린 우수를 집수하여 상기 몸체부(210)의 내부로 흘러들어오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200)는 상기 몸체부(210)의 내부로 흘러들어온 우수를 1차적으로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1차 배출구(2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1차 배출구(220)는 상기 몸체부(21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부로 흘러들어온 우수가 그대로 하중에 의해 바닥면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배 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1차 배출구(220)는 외부에서 흘러들어온 우수에 포함된 조대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스크린 망의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1차 배출구(220)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210)의 밖으로 나간 우수는 각종의 오염물질로서, 특히 초기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 흡착시켜 처리할 수 있는 우수처리구역(110)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200)는 상기 1차 배출구(220)의 이면에 결합되어 있는 차단수단(25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차단수단(250)은 상기 1차 배출구(220)를 통하여 초기 우수가 처리되어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상기 1차 배출구(220)의 이면에 밀착되어지고, 종국적으로는 상기의 우수처리구역(110)으로 향하는 우수의 진행방향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차단방식은 무동력에 의한 것으로 상기 강우의 부력을 이용하여 행하는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특징 중의 하나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차단수단(250)은 상기 1차 배출구(22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힌지축(25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힌지축(251)은 그 양쪽에 결합된 차단판(252)으로 하여금 보다 쉽게 부력을 받아 상기 1차 배출구(220)의 아래쪽 밑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차단판(252)은 상기 힌지축(251)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면서, 평소에는 그 자체의 하중에 의해 상기 힌지축(251)의 반대편이 아래쪽으로 벌어져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차단판(252)은 상기 1차 배출구(220)의 우수 배출통로를 개방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러한 상태로 있는 한, 상기 몸체부 (210)의 내부로 흘러들어온 우수는 상기 1차 배출구(220)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자연적으로 흘러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차단수단(250)은 상기 차단판(252)에 부착되어 있는 부력체(25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부력체(254)는 물의 비중보다 작아서 물에 의한 부력에 의해 물 위로 뜨게 되는 재질로 구성된 물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의 부력체(254)는 예컨대, 그 재질의 본질상 미세 기공으로 형성된 발포 스티로폴, 발포 우레탄, 발포 고무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내부에 공기, 수소 또는 헬륨 가스 등을 채워넣은 비닐 백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차단수단(250)은 상기 힌지축(251)의 반대편에 걸고리(256)를 형성하여 상기 차단판(252)을 몸체부(210)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의 차단판(252)이 자체의 하중에 의해 완전히 접쳐지지 않고 그 아래쪽에 우수가 차올라 오게 될 경우, 상기의 부력체(2540가 상기 우수에 의한 부력을 받아 위쪽으로 떠올라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200)는 상기 몸체부(210)의 일측에 형성된 2차 배출구(2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2차 배출구(230)는, 상기의 1차 배출구(220)가 상기 차단수단(250)에 의하여 차단되어짐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된 우수를 2차적으로 상기 몸체부(210)의 바깥쪽으로 배출되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2차 배출구(230)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210)의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우수는 상기 우수처리구역(110)을 경유하지 않게 되고, 집수된 상태에서 직접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200)는, 상기의 2차 배출구(230) 이외에, 상기 2차 배출구(230)의 형성 위치에 비하여 더 높은 위치에 3차 배출구(240)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3차 배출구(240)의 형성위치를 상기 2차 배출구(230)의 높이에 비하여 더 높게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몸체부(210)의 내부에 흘러들어온 우수가 상기 2차 배출구(230)를 통하여 배출되어지고, 상기 배출구(230)를 통하여 더 이상 배출되어지기 어려워짐에 따라 그 수위가 높아질 경우, 비로소 상기 몸체부(210)의 내부에 있는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3차 배출구(240)는 상기 1차 배출구(220) 또는 상기 2차 배출구(230)와는 달리 외부의 우수관이나 우수맨홀 등에 직접 연결되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몸체부(210)에는 착탈식 뚜껑(218)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탈식 뚜껑(218)을 형성할 경우, 그 내부에 남겨진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세척하는 등 사후적으로 관리하는 데 편리한 잇점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200)는 상기 1차 배출구(220)의 이면에 결합된 차단수단(250)을 약간 변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차단수단(250)은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로서, 상기 몸체부(210)의 아래쪽에 위치한 차단판(252)과, 상기 차단판(252)의 아래쪽에 부착되어 있는 부력체(254)와, 상기 차단판(252)을 상기 몸체부(210)에 결합시켜주는 걸고리(25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대체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200)는 상기 몸체부(210)의 내부에 상부 차단벽(214)과 하부 차단벽(216)을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차단벽(214)과 하부 차단벽(216)을 설치할 경우, 상기 몸체부(210)의 내부에 채워진 우수가 상기의 2차 배출구(230)와 3차 배출구(240)로 흘러나가게 될 때, 우수의 상층에 떠 있는 오염물질들을 계속적으로 그 상층에 떠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2차 배출구(230)와 3차 배출구(240)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200)가 우수 처리장치(100)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200)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단독으로 사용되기보다는 우수 처리장치(100)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더욱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우수 처리장치(100)에 결합된 상태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200)는 지면에 내린 우수가 집수되어 유입구(212)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210)의 내부로 흘러들어오게 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 다. 이때, 지면에 내린 초기 우수는 각종의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오염물질이 포함된 강우가 상기 몸체부(210)로 유입되어진다.
지면에 내린 우수가 각종의 오염물질을 포함한 초기 우수일 경우, 상기 몸체부(210)의 내부에 흘러들어온 우수는 아래쪽에 형성된 1차 배출구(220)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낙하하게 되고, 낙하된 우수는 차단판(252)의 윗면을 타고 다시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내려가게 됨으로써, 외부로 완전히 배출되어진다.
이때, 상기 차단판(252)의 아래쪽으로 흘러내린 우수는 우수 처리장치(100)의 우수처리구역(110)을 통과하면서 여과 흡착 등의 수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고, 수처리된 우수가 상기 우수처리구역(110)으로부터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므로, 그 수위가 점점 위쪽으로 올라오게 된다.
지면에 내린 우수가 계속적으로 상기 몸체부(210)의 내부로 흘러들어오게 되면, 상기 1차 배출구(220)를 통하여 상기 차단판(252)의 아래쪽으로 흐르던 우수도 점점 차올라오게 되므로, 그 우수의 수위도 점점 위쪽으로 올라오게 된다. 더욱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수가 계속적으로 내리게 되면, 대기중의 오염물질은 초기 우수에 이미 용해되어 지면에 내렸으므로, 더 이상 오염물질을 포함하지 않게 되는데, 그러한 우수가 계속적으로 흘러들어와 상기 몸체부(210)의 아래쪽에 차올라 오게 되고, 그 상태에서 서서히 상기 차단판(252)의 양쪽이 우수의 부력에 의해 위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오염물질이 거의 제거된 우수는 계속적으로 상기 유입구(212)를 통하여 들어오게 되고, 드디어 상기 차단판(252)은 상기 1차 배출구(220)에 밀착되어지고, 1차 배출구(220)의 유통로를 완전히 폐쇄하게 된다.
우수가 지면에 더욱 계속적으로 내리게 되면, 이제 오염물질이 거의 제거된 상태이므로, 별도의 수처리를 진행시키지 않아도 될 정도의 우수가 지면에 내리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우수는 추후 수질오염의 문제를 일으킬 염려가 없게 된다. 이러한 우수가 상기 몸체부(210)의 내부로 계속적으로 흘러들어오게 되면, 그 상태에서 상기 1차 배출구(220)는 상기의 차단판(252)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우수는 상기 몸체부(210)의 내부에 채워져서 그 수위를 점점 높여가게 되고, 그 수위가 2차 배출구(230)에 이르게 되면, 드디어 상기 2차 배출구(2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상기 2차 배출구(2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우수는 별도의 수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를 단지 저장하는 우수저류구역(170)으로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의 몸체부(210)에 3차 배출구(240)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2차 배출구(230)로 배출되던 우수가 상기 우수저류구역(170)의 저장한계점에 이르게 됨에 따라 점점 그 배출 흐름이 둔화되어지게 되고, 이는 상기 몸체부(210)의 내부 수위를 위쪽으로 점점 높이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우수가 더욱 유입되어지면, 유입된 우수는 상기 3차 배출구(240)를 통하여 점차적으로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상기 3차 배출구(240)는 우수관 또는 우수맨홀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더 이상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상기 우수저류구역(170)에서 우수의 수용에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으므로, 이를 직접 우수관 등에 방 류하더라도, 수질오염의 염려가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를 사용할 경우, 초기 우수에 대해서는 1차 배출구를 통하여 우수처리구역으로 보내주게 되는 반면에, 초기 우수를 제외한 나머지 우수에 대해서는 상기 1차 배출구를 폐쇄시키고 2차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므로, 초기 우수에 대해서는 수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지만, 나중 우수에 대해서는 수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를 사용할 경우, 초기 우수와 나중 우수의 수처리 과정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전기 에너지와 같은 외부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순전히 우수 차단장치와 우수의 부력에 의하여 작동되어질 뿐이므로, 전기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차단장치를 사용할 경우, 우수에 함유된 각종의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비 점오염원 등에 의한 수계오염 및 이로 인한 생태계 파괴의 위험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우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게 되는 몸체부(210)와;
    상기의 몸체부(210)의 벽면에 형성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집수된 우수를 상기 몸체부(210)의 내부로 흘러들어오게 하는 유입구(212)와;
    외부에서 유입된 우수를 1차적으로 배출하여 우수처리구역(110)으로 보내주는 1차 배출구(220)와;
    상기 1차 배출구(220)의 이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1차 배출구(220)를 통하여 배출된 우수에 의한 부력에 의하여 상기 우수처리구역(110)으로 향하는 우수의 진행방향을 차단하는 차단수단(250)과;
    외부에서 유입된 우수를 2차적으로 배출하여 상기 몸체부(210)의 바깥쪽으로 보내주는 2차 배출구(230);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우수 차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10)의 아래쪽에 결합된 차단수단(250)은 상기 몸체부(21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힌지축(251)과, 상기 힌지축(251)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차단판(252)과, 상기 차단판(252)에 부착되어 있는 부력체(25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우수 차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10)의 아래쪽에 결합된 차단수단(250)의 부력체(254)는 물의 비중보다 작아서 물에 의한 부력에 의해 물 위로 뜨게 되는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우수 차단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10)의 아래쪽에 결합된 차단수단(250)은 상기 차단판(252)을 지지하고 있는 걸고리(256)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우수 차단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10)의 아래쪽에 결합된 차단수단(250)은 상기 몸체부(210)의 아래쪽에 위치한 차단판(252)과, 상기 차단판(252)의 아래쪽에 부착되어 있는 부력체(254)와, 상기 차단판(252)을 상기 몸체부(210)에 결합시켜주는 걸고리(25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우수 차단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10)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우수를 3차적으로 배출하여 우수배출구역(180)으로 보내주는 3차 배출구(24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우수 차단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의 몸체부(210)에는 착탈식 뚜껑(218)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우수 차단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10)에 형성된 1차 배출구(220)는 외부에서 유입된 오염물질 중에서 조대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스크린 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우수 차단장치.
  9. 지면에 내린 우수가 집수되어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들어오는 유입단계와;
    상기의 우수가 초기 우수일 경우 상기 1차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상기 의 차단수단을 경유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1차 유출단계와;
    상기의 1차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 우수가 점점 차올라오면서 그의 부력에 의해 상기 차단수단을 상기 1차 배출구에 밀착시켜 상기 1차 배출구의 유통로를 폐쇄하는 단계와;
    상기 1차 배출구의 유통로를 폐쇄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들어온 우수가 2차 배출구로 배출되는 2차 유출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우수 차단장치의 사용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의 몸체부에 3차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2차 배출구로 유출되던 우수가 점점 그 유출 흐름이 둔화되면서 상기 3차 배출구로 점차적으로 배출되어지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우수 차단장치의 사용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3차 배출구의 형성 위치는 상기 2차 배출구의 형성 위치에 비하여 더 높은 곳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우수 차단장치의 사용방법.
KR1020050133473A 2005-12-29 2005-12-29 우수 흐름의 차단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0683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473A KR100683921B1 (ko) 2005-12-29 2005-12-29 우수 흐름의 차단장치 및 그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473A KR100683921B1 (ko) 2005-12-29 2005-12-29 우수 흐름의 차단장치 및 그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3921B1 true KR100683921B1 (ko) 2007-02-15

Family

ID=38106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473A KR100683921B1 (ko) 2005-12-29 2005-12-29 우수 흐름의 차단장치 및 그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9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255B1 (ko) * 2014-02-07 2015-02-23 주식회사 에싸 관로형 자동분리 배수장치
CN109183945A (zh) * 2018-09-05 2019-01-11 中铁贵州工程有限公司 一种调蓄池及其雨水调蓄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497A (ko) * 2000-06-05 2000-10-05 김현철 하수관로용 우수 유입 자동차단구
JP2001336213A (ja) 2000-05-26 2001-12-07 Kubota Corp 雨水分離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6213A (ja) 2000-05-26 2001-12-07 Kubota Corp 雨水分離桝
KR20000058497A (ko) * 2000-06-05 2000-10-05 김현철 하수관로용 우수 유입 자동차단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255B1 (ko) * 2014-02-07 2015-02-23 주식회사 에싸 관로형 자동분리 배수장치
CN109183945A (zh) * 2018-09-05 2019-01-11 中铁贵州工程有限公司 一种调蓄池及其雨水调蓄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836B1 (ko) 자체 세정기능을 갖는 스크린이 구비된 비점오염정화장치
KR101353045B1 (ko) 제어기능을 갖는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749656B1 (ko) 친환경 여과 집수조 및 그것을 이용한 우수 재순환 시스템
KR101243415B1 (ko) 빗물정화장치
KR102067348B1 (ko)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협잡물 분리 저장기능을 갖는 점배수식 집수정
KR101400313B1 (ko) 수처리시설
CN211948667U (zh) 一种雨水分流收集系统
KR100704901B1 (ko) 강우의 특성을 고려한 우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200414264Y1 (ko) 빗물의 오염물질처리장치
KR101872911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991836B1 (ko)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KR20110067232A (ko)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101707141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0726157B1 (ko) 매립시설 침출수 정화장치 및 방법
KR100683921B1 (ko) 우수 흐름의 차단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0638526B1 (ko) 교량용 초기우수 정수장치
KR101124771B1 (ko)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100898839B1 (ko) 초기 강우 유출 조절장치
KR101036019B1 (ko) 오수의 오염물질 여과장치
KR101771942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자동역세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879690B1 (ko) 정수형 무동력 초기우수 정량 배제 및 우수 저장 유도 장치
KR20110131868A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764398B1 (ko) 정체수 배재 및 역세척 설비를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20110046833A (ko) 우수 내 도시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20100093194A (ko) 와류와 여과기능을 갖춘 빗물 저류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