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606B1 - 근력 증강 기구 - Google Patents

근력 증강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606B1
KR100683606B1 KR1020047018833A KR20047018833A KR100683606B1 KR 100683606 B1 KR100683606 B1 KR 100683606B1 KR 1020047018833 A KR1020047018833 A KR 1020047018833A KR 20047018833 A KR20047018833 A KR 20047018833A KR 100683606 B1 KR100683606 B1 KR 100683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belt
muscle strength
tub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6399A (ko
Inventor
요시아끼 사또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사토 스포츠 플라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사토 스포츠 플라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사토 스포츠 플라자
Publication of KR20060026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isometric or isokinetic,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or wherein the speed of the motion is independent of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63B21/4025Resistance devices worn on the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22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22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 A61B17/1327Tensioning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63B2213/005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with respiratory gas delivering means, e.g. O2
    • A63B2213/006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with respiratory gas delivering means, e.g. O2 under hypoxy conditions, i.e. oxygen supply subnorm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2Infla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가압 부위에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가압 근력 트레이닝 방법용 근력 증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근력 증강 기구는 메인 벨트(10), 고정용 벨트(20)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벨트(10)의 일단부에는 링(11A)이, 타단부에는 루프형으로 된 벨트(12A)가 고정되어 있다. 메인 벨트(10)와 고정용 벨트(20)에는 고정용 면 파스너(16, 2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근력 증강 기구를 가압 부위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메인 벨트(10)의 일단부를 벨트(12A)로 빠져나가게 하여 형성한 메인 벨트(10)에 의한 고리 안으로 가압 부위를 통과시킨다. 계속해서, 고정용 벨트(20)의 선단부를 링(11A)에 통과시킨 후 되접는다. 계속해서, 고정용 벨트(20)를 인장하여 고정용 벨트(20)를 메인 벨트(10)에 고정한다.
가압 부위, 메인 벨트, 고정용 벨트, 링, 면 파스너, 접속관, 튜브, 접속구

Description

근력 증강 기구 {MECHANISM FOR REINFORCING MUSCULAR STRENGTH}
본 발명은 근력 증강을 위해 이용하는 근력 증강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강한 사람뿐만 아니라 운동 기능에 장해를 가진 사람에게도 효율적으로 근력 증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 근력 트레이닝 방법을 실행하는 데 적합한 근력 증강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자는 근육의 증강을 용이하게, 안전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근력 트레이닝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예전부터 연구를 행하여, 그 성과로서 평성 5년 특허 출원 제313949호의 특허 출원을 행하고, 특허 제2670421호를 받는 데 이르렀다.
이 특허에 관한 근력 트레이닝 방법은 가압 근력 트레이닝 방법이라 불리우는 것으로, 가압을 이용하여 행하는 종래에는 없는 특징적인 것이다. 이 근력 트레이닝 방법은 이하와 같은 이론을 기초로 하고 있다.
근육에는 지근과 속근이 있는데, 지근은 거의 커지는 일이 없으므로, 근육을 증강시키기 위해서는 지근과 속근 중 속근을 활동시킬 필요가 있다. 속근이 활동함으로써 생기는 유산이 근육으로의 축적이 계기가 되어 뇌하수체로부터 분비되는 성장 호르몬에는 근육을 만들고, 체지방을 분해하는 등의 효과가 있으므로, 속근을 활동시키면 속근의 증강, 나아가서는 근육의 증강이 행해지게 된다.
그런데, 지근과 속근으로는, 전자가 산소를 소비하여 활동하는 것이고, 또한 가벼운 부하의 운동을 행하면 활동을 개시하는 데 반해, 후자가 산소가 없어도 활동하는 것이고, 또한 꽤 큰 부하를 가한 경우에 지근에 지연되어 활동을 개시한다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속근을 활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활동하는 지근을 빨리 피로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의 근력 트레이닝 방법에서는 바벨 등을 이용한 운동을 행하게 함으로써 지근을 우선 피로하게 하고, 다음에 속근을 활동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는 큰 운동량이 필요하므로 장시간이 걸리고, 또한 근육 및 관절에의 부담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가압함으로써 그곳에 흐르는 혈류를 제한한 상태에서 근육에 운동을 행하게 하면 그 근육에 공급되는 산소가 적어지므로, 활동을 위해 산소를 필요로 하는 지근이 곧 피로해진다. 따라서, 가압에 의해 혈류를 제한한 상태에서 근육에 운동을 행하게 하면, 큰 운동량을 필요로 하지 않고 속근을 활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에 의해 혈류가 제한되어 있음으로써 근육 내에서 생성된 유산이 근육 밖으로 나오기 어려워지므로, 혈류가 제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유산치가 상승하기 쉬워 성장 호르몬의 분비량이 매우 상승한다.
이와 같은 이론에 의해, 근육에 있어서의 혈류를 저해함으로써 근육의 비약적인 증강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특허에 관한 가압 근력 트레이닝 방법은 이 혈류 저해에 따른 근력 증 강의 이론을 응용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증강을 도모하고자 하는 근육에 대해 근접하는 심장에 가까운 부위, 즉 그 근육에 대해 근접하는 상위 부위에 혈류를 저해시키는 체결력을 부여하고, 그 체결력을 조정함으로써 근육에 혈류 저해에 의한 적절한 부하를 부여하여 그에 의해 근육에 피로를 생기게 하고, 이로써 근육의 효율적인 증강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 근력 트레이닝 방법은 혈류 저해에 따른 부하를 근육에 부여함으로써 근육의 증강을 행하는 것이므로, 근육을 증강시키는데 있어서 운동을 행하지 않아도 좋아지는 큰 특징을 갖고 있다. 즉, 이 근력 트레이닝 방법은 운동을 할 수 없는 노인의 트레이닝이나, 부상 등으로부터의 회복을 위한 리허빌리테이션에 응용함으로써 큰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이 근력 트레이닝 방법은 혈류 저해에 따른 부하를 근육에 부여함으로써 근육에 부여하는 부하의 총량을 보상할 수 있으므로, 운동과 조합하는 경우에는 운동에 의한 부하를 종래보다도 줄어들게 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 이점은 근육에 행하게 하는 운동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관절이나 근육 손상의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트레이닝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낳는다.
본원 발명자는 이와 같은 근육에 흐르는 혈류를 저해함으로써 근육에 부하를 부여하여 근육의 증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기구로서, 본원 발명자가 앞서 서술한 평성 5년 특허 출원 제313949호의 명세서에서 개시한 벨트의 체결력으로 혈류를 저해하는 긴장 체결띠를 발명하고 있다. 이러한 긴장 체결띠는 가압이 행해져야 하는 사용자의 사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정된 소정의 가압 부위에 권취하고, 그 가압 부위를 가압하는 것으로 상기 사지에 흐르는 혈류를 저해함으로써 근육을 증강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긴장 체결띠에도 개량해야 할 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즉, 상술한 긴장 체결띠는 가압 부위에 2중으로 권취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가압 부위의 주위를 1 회전시킨 벨트를 다시 1 회전시키고자 하면, 벨트 전체가 가압 부위의 주위에서 미끄러지면서 회전해 버리므로, 가압 부위에 대한 고정을 혼자서는 간단하게는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특히, 가압 근력 트레이닝 방법은 건강하지 않은 사람에게도 적합하므로, 가압 부위에 대한 긴장 체결띠의 고정을 혼자서 간단하게 행할 수 없다는 것은 가압 근력 트레이닝 방법의 보급을 방해하는 것으로 이어질지도 모른다.
본원 발명은 가압 부위에 대한 고정을 혼자서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근력 증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원에 관한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이다.
본원 발명은 소정의 가압력을 사용자의 사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정된 소정의 가압 부위에 부여해 상기 사지에 흐르는 혈류를 저해함으로써 근육을 증강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근력 증강 기구이다. 그리고, 이 근력 증강 기구는 그 선단부에 제1 구멍을 갖고 있는 띠형의 제1 띠와, 상기 제1 띠의 기단부와 그 기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띠의 선단부를 빠져나가게 할 수 있는 제2 구멍을 그 선단부 근방에 갖고 있는 띠형의 제2 띠와, 상기 제2 구멍에 상기 제1 띠의 선단부를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상기 제1 띠와 상기 제2 띠에 의해 형성된 고리에 상기 가압 부위를 통과시켰을 때에 상기 가압 부위에 면하지 않는 측인 상기 제1 띠의 기단부의 외측면에 그 기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구멍에 그 선단부가 빠져나가게 되어 있는 띠형의 제3 띠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띠 및 상기 제2 띠 중 적어도 상기 제1 띠에는 그 길이 방향에 따르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그 내부로 기체를 송입하게 된 기밀한 속이 빈 튜브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띠 및 상기 제3 띠는 그 선단부를 상기 제1 구멍으로 빠져나가게 한 후 되접은 상기 제3 띠를 상기 제1 띠의 외측면(가압 부위에 권취된 상태의 제1 띠 중 가압 부위로부터 먼 측의 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근력 증강 기구는 제2 띠의 제2 구멍에 제1 띠의 선단부를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제1 띠와 제2 띠에 의해 우선 고리를 형성하고, 그 상태에서 제1 띠의 제1 구멍에 제3 띠의 선단부를 빠져나가게 한 후 제3 띠의 선단부를 인장함으로써 제1 띠와 제2 띠에 의해 형성된 상술한 고리의 직경을 축소하고, 그리고 되접은 제3 띠를 제1 띠에 고정함으로써 가압 부위의 주위에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띠와 제2 띠에 의해 형성된 고리의 크기(길이)를 가압 부위의 주위 직경보다도 약간 큰 정도로 해 둠으로써, 제1 띠와 제2 띠에 의해 형성된 고리에 가압 부위를 통과시켰을 때에 제1 띠와 제2 띠에 의해 형성된 고리를 가압 부위에 대해 회전하기 어렵게 할 수 있고, 그 상태에서 제3 띠를 한 손으로 인장하는 것만으로 근력 증강 기구의 가압 부위에 대한 고정을 할 수 있다. 즉, 이 근력 증강 기구는 제1 띠와 제2 띠에 의해 형성된 상술한 고리가 가압 부위의 주위에서 회전하기 어려우므로, 가압 부위에 대한 고정을 혼자서도 간단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근력 증강 기구는 또 다른 이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일어나지 못하는 사람의 다리에 근력 증강 기구를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앞에서 만든 제1 띠와 제2 띠에 의한 상술한 바와 같은 고리에 가압 부위를 갖는 다리를 통과시키는 것은 어렵다. 이 근력 증강 기구는 당초부터 고리로 되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예를 들어 제1 띠를 가압 부위의 하부로 통과시키는 등하여, 계속해서 상술한 순서로 고리를 형성하고, 제3 띠를 인장함으로써 가압 부위에 대한 고정을 행할 수 있다. 즉, 이 근력 증강 기구는 일어나지 못하는 등의 하반신이 자유롭지 못한 사람에 대해 가압 근력 트레이닝을 행하는 경우에도 가압 부위에 대한 고정을 행하기 쉽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근력 증강 기구는 가압 부위에 대해 고정을 행한 상태에서 튜브에 기체를 송입하여 튜브를 팽창시킴으로써 가압 부위에 대해 가압을 행한다. 또, 튜브는 상기 제1 띠로부터 상기 제2 띠에 걸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1 띠, 제2 띠, 제3 띠는 각각 상술한 바와 같은 것으로, 그 상세한 것은 문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그들 소재는 신축성이 있는 것이든, 없는 것이든 상관없다. 또한, 제1 띠, 제2 띠, 제3 띠는 그들 모두가 동일 소재로 되어 있어도 좋고, 다른 소재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그들 폭, 길이는 가압 부위를 갖는 사지별(팔이나 다리별)이나, 가압 근력 트레이닝을 행하는 사람의 사지의 굵기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하면 된다.
이 근력 증강 기구의 제1 띠, 제2 띠, 제3 띠는 모두 별개 부재로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이들 중 2개의 띠, 예를 들어 상기 제1 띠와, 상기 제2 띠가 일련의 일체물로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특히, 제1 띠와 제2 띠는 상술한 고리를 만드는 동일한 역할을 갖고 있으므로, 이들을 일체화함으로써 근력 증강 기구 전체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띠는 속이 빈 주머니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튜브는 상기 제1 띠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띠, 상기 제2 띠가 일련의 일체물인 경우, 상기 제1 띠, 상기 제2 띠는 모두 속이 빈 주머니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튜브는 상기 제1 띠, 상기 제2 띠 중 적어도 상기 제1 띠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제1 띠의 내부로부터 상기 제2 띠의 내부에 걸치도록 하여 튜브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제1 구멍, 제2 구멍은 어떻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제1 구멍, 제2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제1 띠, 제2 띠의 선단부(혹은, 선단부 부근)에 예를 들어 금속제의 링을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 링의 내측이 제1 구멍, 또는 제2 구멍이 된다.
그런데, 제2 구멍은 가압 부위에 바로 면하는 부분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2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딱딱한 소재를 이용하면, 가압 근력 트레이닝을 행하는 사람에게 통증을 줄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제2 구멍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는, 딱딱한 소재를 이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구멍은 상기 제2 띠의 선단부에 유연한 끈형 내지 벨트형의 소재로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소재가 갖는 유연성은 가압 근력 트레이닝을 행하는 사람이 통증을 느끼지 못할 정도의 것이면 된다. 혹은, 제2 띠의 선단부에 절입을 넣는 등하여 구멍을 마련함으로써 제2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띠를 가압 근력 트레이닝을 행하는 사람의 피부에 그것이 접촉해도 가압 근력 트레이닝을 행하는 사람에게 통증을 주지 않는 것으로 할 필요가 있다. 원래, 제2 띠는 가압 근력 트레이닝을 행하는 사람의 피부에 접촉하는 것이 당초부터 예정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조건은 일반적으로는 충족되어 있다.
튜브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것이면 그 자세한 내용은 상관없다. 예를 들어, 기밀성이 유지되는 한,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되어 있어도 좋고, 신축성이 없는 소재로 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근력 증강 기구에 있어서의 튜브는 상기 제3 띠가 상기 제1 띠의 외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기체를 받아들인 경우에, 상기 가압 부위에 면하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팽창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튜브가 가압 부위를 향해 팽창하도록 함으로써 가압 부위에 대한 적절한 가압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에 의한 근력 증강 기구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근력 증강 기구가 갖는 메인 벨트의 단면도.
도3a는 도1에 도시한 근력 증강 기구가 갖는 메인 벨트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3b는 도1에 도시한 근력 증강 기구가 갖는 메인 벨트의 선단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4a는 도1에 도시한 근력 증강 기구에 포함되는 클립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4b는 도4a에 도시한 클립의 부착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5a는 도1에 도시한 근력 증강 기구의 규제 부재 대신에 선형 부재를 이용한 변형예에 관한 메인 벨트의 외측 기초 재료를 메인 벨트의 길이 방향의 면과 평행한 면에 따라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5b는 상기 메인 벨트의 외측 기초 재료를 메인 벨트의 길이 방향의 면과 수직인 면에 따라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
도6은 도1에 도시한 근력 증강 기구로 규제 부재 대신에 선형 부재를 이용한 변형예의 또 다른 예에 관한 메인 벨트의 단면도.
도7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메인 벨트의 단면도.
도8은 다른 변형예에 관한 메인 벨트의 단면도.
도9는 다른 변형예에 관한 메인 벨트의 단면도.
도10a 내지 도10e는 도1에 도시한 근력 증강 기구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근력 증강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상기 근력 증강 기구의 메인 벨트의 단면도이다.
근력 증강 기구는 메인 벨트(10)와, 이에 고정된 고정용 벨트(20)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벨트(10)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띠와, 제2 띠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1 띠와, 제2 띠를 일련으로 일체로 한 것에 상당한다. 또, 이 메인 벨트(10) 중, 고정용 벨트(20)로 고정된 부분을 경계로 하여 긴 쪽(11)이 본 발명의 제1 띠에, 고정용 벨트(20)로 고정된 부분을 경계로 하여 짧은 쪽(12)이 본 발명의 제2 띠에 각각 상당한다.
메인 벨트(10)는 띠형이고,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속이 빈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매의 긴 띠형 천의 폭 방향의 양단부 부분을 봉합 및 접착 등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속이 빈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메인 벨트(10)는 또한 소정의 신축성을 갖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긴 띠형 천은 메인 벨트(10)의 신축을 가능하게 하는 소재로 되어 있다. 메인 벨트(10)의 길이는 이 근력 증강 기구에 의해 가압이 행해지는 가압 부위의 주위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도 약간 긴 정도의 길이로 되어 있다. 가압 부위가 팔인지, 다리인지에 따라, 혹은 가압 근력 트레이닝을 실행하는 사람의 체형에 따라 메인 벨트(10)의 길이는 적절하게 결정된다. 한편, 메인 벨트(10)의 폭은 그 근력 증강 기구로 가압을 행하는 가압 부위별에 따라, 즉 가압 부위가 팔인지, 다리인지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가압 부위가 다리인 경우에는, 메인 벨트(10)의 폭은 가압 부위가 팔인 경우보다도 굵어진다. 전자의 경우이면 메인 벨트(10)의 폭은 5 내지 6 ㎝ 정도, 후자의 경우이면 메인 벨트(10)의 폭은 3 내지 4 ㎝ 정도로 할 수 있다.
이 메인 벨트(10) 중 고정용 벨트(20)로 고정된 부분을 경계로 하여 긴 쪽 (11)의 단부에는 각형의 링(11A)이 설치되어 있다. 이 링(11A)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제로 되어 있다. 이 링(11A)은 메인 벨트(10)의 상술한 단부를, 링(11A)의 내측을 통과시켜 되접은 후 메인 벨트(10)의 약간 타단부측으로 봉합 등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메인 벨트(10)에 부착되어 있다. 이 링(11A)의 내측 구멍은 본 발명의 제1 구멍에 상당하는 것이고, 그곳으로 고정용 벨트(20)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메인 벨트(10) 중 고정용 벨트(20)로 고정된 부분을 경계로 하여 짧은 쪽(12)의 단부에는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폭이 좁은(본 실시 형태에서는 1 ㎝ 정도) 벨트(12A)가 부착되어 있다. 이 벨트(12A)는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소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벨트(12A)는 그 양단부를 메인 벨트(10) 중 고정용 벨트(20)로 고정된 부분을 경계로 하여 짧은 쪽(12) 단부에 봉합하는 등함으로써, 메인 벨트(10)의 단부에 루프형으로 성형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벨트(12A)의 내측에 형성되는 구멍은 본 발명의 제2 구멍에 상당하는 것이고, 그곳에 이 메인 벨트(10) 중 고정용 벨트(20)로 고정된 부분을 경계로 하여 긴 쪽(11)의 단부를 빠져나가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벨트(12A)의 단면은 도시한 바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원형이라도 좋다. 이 경우, 벨트(12A)는 끈형이라 불리게 된다.
또, 이와 같은 벨트(12A)를 이용하는 대신에, 메인 벨트(10) 중 고정용 벨트(20)로 고정된 부분을 경계로 하여 짧은 쪽(12) 단부에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절입형 구멍(12B)을 마련해 두어도 좋다. 이 경우, 이 구멍(12B)은 메인 벨트(10) 중 고정용 벨트(20)로 고정된 부분을 경계로 하여 긴 쪽(11)의 단부를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구멍(12B)은 벨트(12A)의 루프 내측 부분과 동일하도록 본 발명의 제2 구멍에 상당하는 것이 된다.
속이 비게 된 메인 벨트(10)의 내부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13)가 배치되어 있다. 이 튜브(13)는 기밀하고, 외부로부터 기체를 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튜브(13)는 메인 벨트(10)의 길이와 대략 일치하고 있어, 메인 벨트(10)의 길이 방향의 대략 전체에 걸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튜브(13)는, 예를 들어 고무제로, 300 ㎜Hg 정도의 공기압에 견딜 수 있는 것이 되어 신축성이 부여되어 있다. 튜브(13)에는 접속구(13A)가 설치되어 있고, 이에 예를 들어 고무관인 기체 송입용 접속관(30)의 일단부를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접속관(30)은 그 타단부를 도시하지 않은 펌프 등에 접속되어 튜브(13)에 기체를 송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즉, 튜브(13)에는 접속관(30)을 거쳐서 기체를 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튜브(13)에 송입되는 기체는 공기이다.
또, 반드시 이렇게 되어 있을 필요는 없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속관(30) 도중에는 접속구(31)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관(30)은 이 접속구(31)의 부분에서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접속구(31)에는 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접속구(31)의 부분에서 접속관(30)을 분리해도 튜브(13) 내의 기체는 빠져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접속구(31)의 부분에서 접속관(30)이 접속된 경우에는 상술한 밸브는 자동적으로 개방되고, 튜브(13) 내에 상술한 펌프 등으로부터 기체를 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튜브(13)는 메인 벨트(10)에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접속구(13A)를 노출시키기 위해 메인 벨트(10)에 마련된 구멍으로부터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는 튜브(13)가 파손되었을 때 등에 튜브(13)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도4a에 도시하는 클립(14)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클립(14)은 튜브(13) 내의 공기가 들어가는 부분(길이)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 클립(14)은 2개의 평행한 직선 부분과, 이 2개의 직선 부분에 대응하는 일단부를 연결하는 부분을 갖고, 헤어핀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클립(14)의 직선 부분의 길이는 튜브(13)의 폭보다도 약간 길게 되어 있고, 직선 부분과 직선 부분 사이의 거리는 튜브(13)의 두께보다도 약간 좁게 되어 있다. 이 클립(14)은 도4b와 같이 튜브(13)를 협입하도록 하여 튜브(13)의 폭 방향으로 부착하여 이용한다. 이에 의해, 튜브(13)의 길이 방향에서 기체가 송입되는 범위(공기가 송입되어 팽창하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클립(14)을 이용하면, 튜브(13) 중 접속구(13A)를 포함하지 않는 부분[도4b의 경우이면, 튜브(13)의 좌단부가 되접힌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기체가 송입되는 범위가 제한되게 된다.
이 클립(14)은 이하와 같은 이점을 만들어 낸다. 튜브(13)의 길이가 사지에 있어서의 체결 부위의 외주보다도 긴 경우에는, 튜브(13)의 일단부측으로부터 메인 벨트(10)를 팔에 권취하였을 때에 튜브(13)의 타단부측이 일단부측 상에 올라와 버린다. 이와 같이 튜브(13)가 포개어지면 , 튜브(13)와 근육 사이에 간극이 생기므로, 메인 벨트(10)에 의해 근육에 부여되는 가압력이 적절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지도 모른다. 그래서, 튜브(13)의 길이 방향 임의의 위치에 클립(14)을 부착하여 튜브(13) 내의 공기가 들어가는 부분의 길이를 규제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는 것이다.
메인 벨트(10)의 외측[메인 벨트(10)가 가압 부위에 고정되었을 때에 가압 부위에 면하지 않는 측] 부분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13)의 외측면에 따르도록 하여 규제 부재(15A)가 배치되어 있다. 규제 부재(15A)는 튜브(13)보다도 약간 폭이 좁아져 튜브(13)와 대략 동일한 길이로 된 판형체이고, 폴리프로필렌 수지제로 되어 있다.
이 규제 부재(15A)는 튜브(13)의 팽창 방향을 메인 벨트(10)의 내측[메인 벨트(10)가 가압 부위에 고정되었을 때에 가압 부위에 면하는 측] 방향으로 규제하는 것이다. 규제 부재(15A)가 강제적으로 튜브(13)를 내측 방향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이 근력 증강 기구는 가압 부위에 대해 적절한 가압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메인 벨트(10)의 규제 부재(15A) 대신에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선형 부재(15B)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메인 벨트(10)의 기초 재료의 내부에 도5a,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벨트(10)의 폭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일정한 경도를 갖는 선형 부재(15B)가 메인 벨트(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해도, 근력 증강 기구는 가압 부위에 대해 적절한 가압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선형 부재(15B)는 금속제나, 수지제로 할 수 있다. 또한, 선형 부재(15B)의 간격은, 예를 들어 5 ㎜ 내지 1 ㎝로 할 수 있다. 또, 도5에 도시한 복수 의 선형 부재(15B)는 메인 벨트(10)의 폭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선형 부재(15B)는 메인 벨트(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또, 이들 복수의 선형 부재(15B)는 메인 벨트(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메인 벨트(10)의 내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선형 부재(15B)는 튜브(13)의 외측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외측에 위치하는 메인 벨트(10)의 내측면에 메인 벨트(10)의 폭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나열된 복수의 선형 부재(15B)를 한 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신축성을 갖는 테이프 등에 의해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점착제가 도포된 테이프를 이용하여 튜브(13)의 외측면에 복수의 선형 부재(15B)를 부착할 수도 있다.
선형 부재(15B)를 이용한 경우에는 규제 부재(15A)를 이용하는 경우와는 달리 인접하는 선형 부재(15B) 사이에 유연한 부분이 생기므로, 메인 벨트(10)를 가압 부위에 권취하였을 때에 메인 벨트(10)가 근육의 요철에 잘 추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규제 부재(15A) 대신에 메인 벨트(10)에 이용하는 선형 부재(15B)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6은 메인 벨트(10)의 외측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선형 부재(15B)는 1개의 선형 부재를 절곡하여 성형되어 있다. 즉, 이 경우의 선형 부재(15B)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메인 벨트(10)의 폭 방향과 대략 평행한 부분이 되도록 1개의 선형 부재를 절곡하여 구 성되어 있다. 또, 선형 부재(15B)는 메인 벨트(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부분을 갖도록 절곡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V자형이 이어지는 형상으로 연속해서 절곡되어 있어도 좋다. 또, 선형 부재(15B)는 메인 벨트(10)의 외측 부분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 외에, 메인 벨트(10)의 내측이며, 또한 튜브(13)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1개의 선형 부재를 절곡한 선형 부재(15B)를 이용하면, 선형 부재(15B)의 메인 벨트(10)에의 부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규제 부재(15A), 선형 부재(15B)를 이용하는 대신에, 메인 벨트(10)의 튜브(13) 자체를 도7,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팽창 방향이 내측을 향하는 방향이 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튜브(13)는 내측 부분의 신축률이 외측 부분의 신축률보다도 커져 있고, 메인 벨트(10)를 근육의 가압 부위에 권취한 상태에서 튜브(13)에 공기를 넣으면, 내측 방향에 의해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7에 도시한 튜브(13)는 튜브(13)의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튜브(13)의 내측 부분과 외측 부분의 신축률에 변화를 준 예이다. 튜브(13)는 고무로 되어 있고, 내측 부분의 두께가 외측 부분의 두께보다도 얇아지도록 성형되어 있다.
또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벨트(10)의 튜브(13)를 다른 소재를 조합한 것으로 함으로써, 튜브(13)의 내측 부분과 외측 부분의 신축률에 변화를 갖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튜브(13)는 다른 신축률을 갖는 2장의 띠형의 탄성 부재(13a, 13b)의 주연부를 대립시켜 성형되어 있고, 내측 부분의 신축률이 외측 부분의 신축률보다도 커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메인 벨트(10)를 근육 의 가압 부위에 권취한 상태에서 튜브(13)에 공기를 넣으면, 튜브(13)는 내측 방향에 의해 팽창하게 된다.
또한, 도9와 같이 튜브(13)에 튜브(13)보다도 신축률이 작은 소재를 조합함으로써 튜브(13)의 내측 부분과 외측 부분의 신축률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 이 경우의 튜브(13)는 그 자체로 말하면 모든 부분에서 동일한 신축률을 갖고 있지만, 그 외측에 튜브(13)보다도 작은 신축성을 갖는 심 테이프(13c)가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메인 벨트(10)를 근육의 가압 부위에 권취한 상태에서 튜브(13)에 공기를 넣으면, 튜브(13)는 내측 방향에 의해 팽창하게 된다.
메인 벨트(10)의 외측면에는, 예를 들어 면 파스너(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면 파스너(16)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벨로크로 테이프이다. 이 면 파스너(16)는 후술하는 고정용 벨트(20)의 메인 벨트(10)에의 고정을 행하기 위한 것으로, 그것이 가능한 한 다른 수단으로 치환할 수 있다.
고정용 벨트(20)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3 띠에 상당하는 것으로, 그 기단부가 메인 벨트(10)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봉합하는 것으로 고정용 벨트(20)는 메인 벨트(10)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용 벨트(20)의 한 쪽 면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면 파스너(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면 파스너(2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벨로크로 테이프이다. 이 면 파스너(21)는 메인 벨트(10)에 설치된 상술한 면 파스너(16)와의 고정을 행하기 위한 것으로, 그것을 가능한 한 다른 수단으로 치환할 수 있다.
고정용 벨트(20)의 폭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벨트(10)의 폭보다도 약간 좁게 되어 있다. 고정용 벨트(20)의 길이는 고정용 벨트(20)를 링(11A)으로 빠져나가게 하여 되접어, 고정용 벨트(20)에 소정의 텐션이 가해진 상태에서 면 파스너(21)의 메인 벨트(10)의 면 파스너(16)에의 고정을 행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이 근력 증강 기구의 사용 방법을 도10a 내지 도10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근력 증강 기구를 가압 부위에 권취하여 고정하는 데 앞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튜브(13)의 길이 방향의 적당한 위치에 클립(14)을 부착한다. 가압 부위의 주위 길이를 우선 계측하고, 튜브(13) 중 가압 부위의 주위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만큼 기체가 들어가는 위치에 클립(14)을 부착한다. 클립(14)을 부착하면, 튜브(13)를 메인 벨트(10) 내로 복귀시킨다. 이 상태의 근력 증강 기구를 도10a에 도시한다.
계속해서, 메인 벨트(10) 중 고정용 벨트(20)로 고정된 부분을 경계로 하여 긴 쪽(11)의 단부를 벨트(12A)의 내측 구멍으로 빠져나가게 한다. 이 상태의 근력 증강 기구를 도10b에 도시한다. 이 때, 메인 벨트(10)에 의해 고리가 형성된다. 이 고리의 주위 길이는 근력 증강 기구의 고정이 행해지는 가압 부위의 주위 길이보다도 약간 큰 정도로 해 둔다.
계속해서, 고정용 벨트(20)의 단부를 링(11A)의 내측 구멍으로 빠져나가게 하여 되접는다. 이 상태의 근력 증강 기구를 도10c에 도시한다.
또, 도10b 또는 도10c에 도시한 상태에서 메인 벨트(10)에 의해 형성된 고리 의 내측에 가압 부위가 위치하도록 가압 근력 트레이닝을 행하는 사람의 팔, 또는 다리를 통과시킨다.
그 상태에서 고정용 벨트(20)의 선단부를 인장하면 , 벨트(12A)가 이동하여 메인 벨트(10)가 만드는 고리 주위의 길이가 수축하고, 메인 벨트(10)가 가압 부위의 주위에 간극 없이 배치된다. 이 상태의 근력 증강 기구를 도10d에 도시한다.
그 상태에서 고정용 벨트(20)를 인장하고, 고정용 벨트(20)의 면 파스너(21)를 메인 벨트(10)의 면 파스너(16)에 고정함으로써 근력 증강 기구는 가압 부위에 고정되게 된다. 이 상태의 근력 증강 기구를 도10e에 도시한다.
이 근력 증강 기구는 메인 벨트(10)에 의해 형성된 고리의 내측에 가압 부위가 위치하도록 가압 근력 트레이닝을 행하는 사람의 팔, 또는 다리를 통과시킨 후에 필요해지는 작업은 고정용 벨트(20)를 인장하여 고정할 뿐이므로, 한 손으로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근력 증강 기구가 가압 부위의 주위에서 회전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이 근력 증강 기구는 가압 부위에의 고정이 용이하다.
이 상태에서 튜브(13) 내에 도시하지 않은 펌프 등을 이용하여 기체를 송입하면, 튜브(13)가 팽창하여 가압 부위에 적절한 가압이 이루어지게 된다.
가압 근력 트레이닝을 행하는 사람은 그 상태에서 운동하거나, 혹은 안정을 유지함으로써 가압 근력 트레이닝을 행할 수 있다.
또, 일어나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혼자서 근력 증강 기구의 가압 부위에의 고정을 할 수 없는 사람에게 이 근력 증강 기구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도10a 상태의 근력 증강 기구의 메인 벨트(10)를 직접 가압 부위의 주위에 권취한 후,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를 실행함으로써 가압 부위에의 근력 증강 기구의 고정을 행할 수 있다.

Claims (7)

  1. 소정의 가압력을 사용자의 사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정된 소정의 가압 부위에 부여해 상기 사지에 흐르는 혈류를 저해함으로써 근육을 증강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근력 증강 기구이며,
    그 선단부에 제1 구멍을 갖고 있는 띠형의 제1 띠와,
    상기 제1 띠의 기단부와 그 기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띠의 선단부를 빠져나가게 할 수 있는 제2 구멍을 그 선단부 근방에 갖고 있는 띠형의 제2 띠와,
    상기 제2 구멍에 상기 제1 띠의 선단부를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상기 제1 띠와 상기 제2 띠에 의해 형성된 고리에 상기 가압 부위를 통과시켰을 때에 상기 가압 부위에 면하지 않는 측인 상기 제1 띠의 기단부의 외측면에 그 기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구멍에 그 선단부가 빠져나가게 되어 있는 띠형의 제3 띠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제1 띠 및 상기 제2 띠 중 적어도 상기 제1 띠에는 그 길이 방향에 따르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그 내부로 기체를 송입하게 된 기밀한 속이 빈 튜브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띠와 상기 제3 띠는 그 선단부를 상기 제1 구멍으로 빠져나가게 한 후 되접은 상기 제3 띠를 상기 제1 띠의 외측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근력 증강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띠와, 상기 제2 띠는 일련의 일체물로 되어 있는 근력 증강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띠는 속이 빈 주머니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튜브는 상기 제1 띠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근력 증강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띠, 상기 제2 띠는 모두 속이 빈 주머니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튜브는 상기 제1 띠, 상기 제2 띠 중 적어도 상기 제1 띠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근력 증강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멍은 상기 제2 띠의 선단부에 유연한 끈형 내지 벨트형의 소재로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근력 증강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멍은 상기 제2 띠의 선단부에 구멍을 개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근력 증강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제3 띠가 상기 제1 띠의 외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기체를 받아들인 경우에 상기 가압 부위에 면하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팽창하도록 되어 있는 근력 증강 기구.
KR1020047018833A 2003-08-21 2004-08-19 근력 증강 기구 KR100683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97979 2003-08-21
JP2003297979A JP4283065B2 (ja) 2003-08-21 2003-08-21 筋力増強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399A KR20060026399A (ko) 2006-03-23
KR100683606B1 true KR100683606B1 (ko) 2007-02-20

Family

ID=34213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833A KR100683606B1 (ko) 2003-08-21 2004-08-19 근력 증강 기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413527B2 (ko)
EP (1) EP1661605B1 (ko)
JP (1) JP4283065B2 (ko)
KR (1) KR100683606B1 (ko)
CN (1) CN100434128C (ko)
AT (1) ATE485082T1 (ko)
AU (1) AU2004266529B2 (ko)
CA (1) CA2535950C (ko)
DE (1) DE602004029689D1 (ko)
HK (1) HK1098088A1 (ko)
RU (1) RU2341310C2 (ko)
WO (1) WO20050187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285A (ko) 2018-01-22 2019-07-31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문화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80183A4 (en) 2005-11-07 2012-08-01 Vasper Systems Llc COOLING BY PRESSURE AND ROOTING
JP4921983B2 (ja) * 2007-01-09 2012-04-25 株式会社 サトウスポーツプラザ トレーニング装置、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並びに制御方法
KR20100055507A (ko) * 2007-08-24 2010-05-26 가부시키가이샤 사토 스포츠 플라자 가압 근력 트레이닝 장치 및 가압 근력 트레이닝용 벨트
KR101154664B1 (ko) * 2007-08-24 2012-06-11 가부시키가이샤 사토 스포츠 플라자 가압 근력 트레이닝 장치 및 가압 근력 트레이닝용 벨트
CA2697707A1 (en) * 2007-08-29 2009-03-05 Zimmer Orthopaedic Surgical Products, Inc. Tourniquet cuff with a tightness indicator
US10357421B2 (en) 2011-04-26 2019-07-23 Vasper System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ed HGH generation in humans
JP4919366B1 (ja) * 2011-11-17 2012-04-18 義昭 佐藤 筋肉増強器具及びその制御方法
JP5255722B1 (ja) * 2012-06-28 2013-08-07 Kaatsu Japan株式会社 加除圧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血管強化方法
JP6066481B2 (ja) * 2013-02-26 2017-01-25 独立行政法人国立高等専門学校機構 バンド
WO2015048668A1 (en) * 2013-09-27 2015-04-02 Kosiorek Christopher B A pneumatic tournique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11504135B2 (en) 2013-09-27 2022-11-22 Alphapointe Mechanical tournique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A2929223C (en) 2013-09-27 2023-10-31 Dexter C. DRAYTON A mechanical tournique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WO2016006055A1 (ja) * 2014-07-09 2016-01-14 Kaatsu Japan株式会社 筋肉増強方法
JP5716224B1 (ja) * 2014-08-24 2015-05-13 有限会社金野縫製 空気袋、加圧ベルト及びそれらを備えた加圧器具
US20170224357A1 (en) * 2016-02-10 2017-08-10 Robert Tremaine Whalen Barrel Inflatable Belt
US20190111298A1 (en) * 2017-04-14 2019-04-18 Robert Tremaine Whalen Belt pre-tensioning and positioning system for training a muscle
US20200360027A1 (en) * 2017-10-06 2020-11-19 Vald Performance Pty Ltd Blood occlusion or restriction cuff
CN108922313B (zh) * 2018-06-19 2020-10-09 湖州师范学院 用于歌唱声音训练的收腹带
USD903792S1 (en) * 2018-06-22 2020-12-01 Ken Belveal Stretching device
US20230140282A1 (en) * 2019-01-18 2023-05-04 Chett B. Paulsen Blood flow restriction device
USD930092S1 (en) * 2019-02-27 2021-09-07 Roy Lee Everett Door mounted exercise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5361A (ja) * 1996-09-19 1998-04-07 Yoshiaki Sato 筋肉増強器具
KR20030025725A (ko) * 2001-09-22 2003-03-29 김수원 운동용 벨트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0174A (en) * 1951-11-09 1953-11-24 Franklin I Saemann Pneumatic tourniquet
DE1935108U (de) * 1965-10-25 1966-03-24 Erich Otto Dr Med Bauer Blutdruckmessgeraet.
US4465076A (en) 1982-07-06 1984-08-14 Sturgeon Harvey H Self-applying accessory for blood pressure cuff
JPS6485362A (en) * 1987-01-29 1989-03-30 Takeshi Kunimatsu Loop like embroidering method by sewing machine
JPS6458361A (en) * 1987-08-28 1989-03-06 Nikorusu Kk Cyclone-type centrifugal separator fitted with perspective device
US4991573A (en) * 1990-03-26 1991-02-12 Miller Donald L Orthopedic support belt
US5316022A (en) * 1992-08-28 1994-05-31 Schiek Sr James W Sports belt with cinchable fastener system
US5413582A (en) * 1993-11-03 1995-05-09 Electromedics, Inc. Inflatable tourniquet cuff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670421B2 (ja) 1993-11-22 1997-10-29 株式会社ベストライフ 筋力トレーニング方法
US5464136A (en) * 1994-09-28 1995-11-07 Eddy; Tillman L. Support belt for competitive shooters
JP2796277B2 (ja) 1996-09-19 1998-09-10 義昭 佐藤 筋肉増強器具
US6237602B1 (en) * 1997-01-31 2001-05-29 Kinesis Medical, Inc. Flexible fluidic force generator
US6427697B1 (en) * 1998-06-22 2002-08-06 Mary Annette Pearcey Belt and method for increasing comfort and reducing back pain while lying down
CA2308154C (en) * 1998-08-21 2009-10-13 Kabushikikaisha Sato Sports Plaza Muscle strengthening tool
US6746470B2 (en) * 2002-01-18 2004-06-08 Mcewen James Allen Emergency and military tourniquet for pre-hospital use
US7070572B2 (en) * 2002-10-17 2006-07-04 Amei Technologies Inc. Dynamically adjustable stabilization bra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5361A (ja) * 1996-09-19 1998-04-07 Yoshiaki Sato 筋肉増強器具
KR20030025725A (ko) * 2001-09-22 2003-03-29 김수원 운동용 벨트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85361
102003002572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285A (ko) 2018-01-22 2019-07-31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문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18752A1 (ja) 2005-03-03
RU2006107575A (ru) 2007-10-10
US7413527B2 (en) 2008-08-19
RU2341310C2 (ru) 2008-12-20
US20060281611A1 (en) 2006-12-14
AU2004266529A1 (en) 2005-03-03
EP1661605B1 (en) 2010-10-20
DE602004029689D1 (de) 2010-12-02
KR20060026399A (ko) 2006-03-23
EP1661605A4 (en) 2009-02-18
CN1852751A (zh) 2006-10-25
CA2535950A1 (en) 2005-03-03
ATE485082T1 (de) 2010-11-15
CA2535950C (en) 2009-12-08
CN100434128C (zh) 2008-11-19
JP4283065B2 (ja) 2009-06-24
EP1661605A1 (en) 2006-05-31
AU2004266529B2 (en) 2008-10-02
HK1098088A1 (en) 2007-07-13
JP2005065874A (ja) 200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606B1 (ko) 근력 증강 기구
KR101154664B1 (ko) 가압 근력 트레이닝 장치 및 가압 근력 트레이닝용 벨트
US20070260162A1 (en) Compression apparatus
US20070282233A1 (en) Compression apparatus
CA2528184A1 (en) Polycrystalline germanium-based waveguide detector integrated on a thin silicon-on-insulator (soi) platform
US20080306420A1 (en) Compression device with independently moveable inflatable member
KR20100055507A (ko) 가압 근력 트레이닝 장치 및 가압 근력 트레이닝용 벨트
US7455630B2 (en) Muscle development device
EP1614451B1 (en) Device for building up muscle
WO1992005741A1 (en) A wrap-around fastener
JPWO2018092202A1 (ja) 水中筋力トレーニング用ベルト
JP4688947B2 (ja) 筋肉増強器具
KR20060056882A (ko) 버클이 달린 의복
CN118139676A (zh) 加压器具及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