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414B1 - 휴대 전화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414B1
KR100682414B1 KR1020050030667A KR20050030667A KR100682414B1 KR 100682414 B1 KR100682414 B1 KR 100682414B1 KR 1020050030667 A KR1020050030667 A KR 1020050030667A KR 20050030667 A KR20050030667 A KR 20050030667A KR 100682414 B1 KR100682414 B1 KR 100682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middle body
hinge assembly
groove
fron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8925A (ko
Inventor
김좌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30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414B1/ko
Publication of KR20060108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 전화 단말기는 여러 종류의 기능을 가지며 디지털 기기의 각 기능에 적절한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는 프론트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의 배면에 그 일측이 연결되는 슬라이딩 힌지 어셈블리, 상기 슬라이딩 힌지 어셈블리의 다른 일측이 그 일측에 연결되는 미들 바디, 상기 미들 바디의 다른 일측에 그 일측이 연결되는 스윙 힌지 어셈블리, 및 상기 스윙 힌지 어셈블리의 다른 일측이 그 일측에 연결되는 리어 바디를 포함한다.
휴대 전화, 슬라이딩 힌지, 스윙 힌지, 프론트 바디, 미들 바디, 리어 바디

Description

휴대 전화 단말기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휴대 전화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프론트 바디를 미들 바디로부터 분리하여 회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라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미들 바디를 리어 바디로부터 분리하여 회전 도시한 분해 사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 선에 따라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C-C 선에 따라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기의 다양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론트 바디 11 : 디스플레이 소자
12 : 언록킹 부재 14, 24, 34 : 탄성부재
20 : 미들 바디 21 : 회전 정지 유도 홈
22, 32 : 파지 홀 23 : 제2 록킹 부재
30 : 리어 바디 31 : 회전 정지 유도 돌기
31i : 내측 라인 33 : 제1 록킹 부재
40 : 슬라이딩 힌지 어셈블리 41 : 가이드 홈
42 : 가이드 레일 43 : 볼
44 : 볼 홈 50 : 스윙 힌지 어셈블리
51 : 힌지 부재 52 : 힌지 홀
53 : 볼 54 : 볼 홈
55 : 탄성부재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종류의 기능을 가지며 디지털 기기의 각 기능에 적절한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 단말기들은 통상적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와 사용자가 필요한 내용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키패드(keypad) 및 이 키패드와 디스플레이 소자를 일체화시키는 바디를 포함한다.
이 휴대 전화 단말기는 전화 통화 기능에 한정되지 않고 인터넷을 이용하거나 이메일의 송수신 및 동영상 감상 등의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형 화면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요구하면서도 또한 편리한 휴대 및 사용 그리고 경량인 휴대 전화 단말기를 원한다.
휴대 전화 단말기의 개발 동향을 보면, 그 형상에 따라 키패드가 노출되는 바(bar)형에서 키패드를 덮개로 덮는 플립(flip)형, 본체가 반으로 접히는 폴더(folder)형, 그리고 본체의 일측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slid)형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 휴대 전화 단말기들은 어떠한 형상을 가지든지 전체적으로 고정된 소정의 형상을 가지거나, 그 종류에 따라, 사용 시 일부 형태가 부분적으로 위치 변화되는 구조를 가진다.
최근에는, 휴대 전화 단말기에 각종 디지털 기기들의 기능을 통합하는 경향이 있다. 즉 휴대 전화 단말기는 본래의 전화 통화 기능에 더하여,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이나 주문형 비디오(VOD, Video On Demand)의 시청 기능은 물론이고, 게임 플레이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휴대 전화 단말기는 디지털 기기의 각 기능으로 작용할 때 그 기기의 사용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변형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휴대 전화 단말기는 단순히 여러 기능을 집합시키고 있으나, 각 기기의 기능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지 못하여 주 기능 이외의 기능으로 사용될 때에는 상당한 불편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종류의 기능을 가지며 디지털 기기의 각 기능에 적절한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는 프론트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의 배면에 그 일측이 연결되는 슬라이딩 힌지 어셈블리, 상기 슬라이딩 힌지 어셈블리의 다른 일측이 그 일측에 연결되는 미들 바디, 상기 미들 바디의 다른 일측에 그 일측이 연결되는 스윙 힌지 어셈블리, 및 상기 스윙 힌지 어셈블리의 다른 일측이 그 일측에 연결되는 리어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프론트 바디의 배면에 구비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의 대향 측 상기 미들 바디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홈에는 탄성부재로 지지되어 그 일측이 가이드 홈 내부로 돌출되는 볼을 구비하고, 상기 볼의 대향 측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볼이 안장되는 볼 홈을 구비한다. 이때 볼은 상기 프론트 바디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홈 상의 상기 볼 홈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프론트 바디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홈 상의 상기 볼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들 바디는 그 일측에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파지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미들 바디 및 상기 리어 바디는 상호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회전 정지 유도 홈과 회전 정지 유도 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전 정지 유도 돌기의 내측 라인은 상기 미들 바디의 회전 정지 유도 홈의 반대 측 선단의 회전 궤적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윙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미들 바디의 일측에 치우쳐 형성되는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부재의 대응 측 리어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 홀을 포함한다. 이때, 힌지 홀에는 탄성부재로 지지되어 그 일측이 힌지 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볼을 구비하고, 상기 볼의 대향 측 상기 힌지 부재에는 상기 볼이 안장되는 볼 홈을 구비한다.
상기 리어 바디는 그 일측에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파지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휴대 전화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프론트 바디를 미들 바디로부터 분리하여 회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라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휴대 전화 단말기는 전화 통화 기능과, 디지털 카메라 기능,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나 주문형 비디오의 시청 기능, 및 게임 플레이 기능 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 기능들은 공지의 기술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들 각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 휴대 전화 단말기는 프론트 바디(10)(front body), 미들 바디(20)(middle body), 리어 바디(30)(rear body), 프론트 바디(10)와 미들 바디(20)를 연결하는 슬라이딩 힌지 어셈블리(40)(sliding hinge assembly), 및 미들 바디와 리어 바디(30)(rear body)를 연결하는 스윙 힌지 어셈블리(50)(swing hinge assembly)를 포 함한다. 이 휴대 전화 어셈블리는 미들 바디(20)에 대하여 슬라이딩 힌지 어셈블리(40)를 기준으로 프론트 바디(10)를 슬라이드 조작으로 인출 및 인입하고, 리어 바디(30)에 대하여 스윙 힌지 어셈블리(50)를 기준으로 프론트 바디(10)와 미들 바디(20)를 스윙 조작으로 회전시켜, 각 디지털 기기의 기능에 적절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변형 시에도 프론트 바디(10)와 미들 바디(20) 및 리어 바디(30) 각각은 슬라이딩 힌지 어셈블리(40)(도 2 및 도 3 참조)와 스윙 힌지 어셈블리(50)(도 4 및 도 5 참조)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론트 바디(10)는 각각의 디지털 기기에 상응하는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소자(11)를 구비한다. 이 디스플레이 소자(11)는 다양한 방식의 표시장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기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나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다. 대중화된 액정표시장치는 유기발광소자에 비하여 가격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 프론트 바디(10)는 전화 통화 기능을 위한 스피커를 구비하며, 특히 그 일측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나 주문형 비디오의 시청 기능, 및 게임 플레이 기능 등을 위한 스테레오 스피커(15) 및 기능 키(16)들을 구비할 수 있다.
미들 바디(20)는 프론트 바디(10)와 리어 바디(30) 사이에 개재되어, 리어 바디(30)를 기준으로 하여 프론트 바디(10)의 슬라이딩 작동 및 회전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미들 바디(20)와 프론트 바디(10) 사이에 슬라이딩 힌지 어셈블리(40)가 개재되고, 미들 바디(30)와 리어 바디(40) 사이에 스윙 힌지 어셈 블리(50)가 개재된다.
이 슬라이딩 힌지 어셈블리(40)는 프론트 바디(10)의 배면에 그 일측이 연결되고 이의 대향 측 미들 바디(20)에 다른 일측이 연결된다. 이 슬라이딩 힌지 어셈블리(40)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슬라이딩 힌지 어셈블리(40)는 가이드 홈(41)과 가이드 레일(42)을 포함한다. 가이드 홈(41)은 프론트 바디(10)의 배면에 이의 길이, 즉 슬라이딩 방향으로 신장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42)은 이 가이드 홈(41)의 대향 측 미들 바디(20)에 이의 길이, 즉 슬라이딩 방향으로 신장 형성된다. 이 가이드 홈(41)과 가이드 레일(42)은 이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고 프론트 바디(10)와 미들 바디(20)의 두께 방향으로 분리가 제한되는 구조로 형성 및 결합된다.
이 가이드 홈(41)과 가이드 레일(42)은 서로 대향하여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41)과 가이드 레일(42)이 프론트 바디(10)와 미들 바디(20)의 양측에 각각 나란히 형성되는 경우, 하나씩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미들 바디(20) 상에서 프론트 바디(10)의 슬라이드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힌지 어셈블리(40)는 볼(43)과 볼 홈(44)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볼(43)은 가이드 홈(41)에 탄성부재(45)로 지지되어 볼(43)의 일측이 가이드 홈(41)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 배치된다. 볼 홈(44)은 돌출 배치되는 볼(43)이 결합되도록 볼(43)의 대향 측 가이드 레일(42)에 형성된다.
볼(43)은 프론트 바디(10)의 슬라이드 이동시 인입되어 가이드 레일(42)을 타고 이동되며, 상기 볼 홈(44)에서는 돌출되어 볼 홈(44)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볼(43)이 볼 홈(44)에 결합됨에 따라, 프론트 바디(10)에 더 이상의 슬라이드 이동력을 가하지 않으면, 프론트 바디(10)는 미들 바디(2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정지하고,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볼(43)은 프론트 바디(10)의 가이드 홈(41)의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프론트 바디(10)가 슬라이드 인출된 상태에서 볼 홈(44)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41) 상의 위치와 인입된 상태에서 볼 홈(44)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41) 상의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프론트 바디(10)는 미들 바디(20) 상에서 인출된 상태와 인입된 상태에서 그 상태를 각각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미들 바디를 리어 바디로부터 분리하여 회전 도시한 분해 사이도이고, 도 5는 도 1의 B-B 선에 따라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스윙 힌지 어셈블리(50)는 상기 미들 바디(20)의 프론트 바디(10) 반대측에 그 일측이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미들 바디(20)에 대향하는 리어 바디(3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리어 바디(30) 상에서 미들 바디(20)와 프론트 바디(30)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이 스윙 힌지 어셈블리(50)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힌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는 힌지 부재(51)와 힌지 홀(52)을 포함하는 구성을 예시한다. 이 힌지 부재(51)와 힌지 홀(52)은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기기의 일측 부품을 이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힌지 부재(51)는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부를 이용하며, 힌지 홀(52)은 이 힌지 부재(51)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 도록 리어 바디(30)에 형성되어 있다.
이 스윙 힌지 어셈블리(50)는 미들 바디(20) 및 리어 바디(30) 상에서 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 및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리어 바디(30) 상에서 미들 바디(20)와 프론트 바디(10)를 회전시키면 최초의 길이(도 1의 길이)보다 더 긴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도 9의 길이). 힌지 부재(51)는 미들 바디(20)의 일측에 치우쳐 형성되고, 힌지 홀(52)은 이 힌지 부재(51)의 대응 측 리어 바디(30)의 일측에 형성된다.
또한, 스윙 힌지 어셈블리(50)는 볼(53)과 볼 홈(54)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볼(53)은 리어 바디(30)의 힌지 홀(52))에 탄성부재(55)로 지지되어 볼(53)의 일측이 힌지 홀(52)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볼 홈(54)은 힌지 홀(52)의 내부로 돌출되는 볼(53)이 결합되도록 볼(53)의 대향 측 힌지 부재(52)에 형성된다.
볼(53)은 미들 바디(20)의 회전 작동시 리어 바디(30)의 힌지 홀(52) 내측으로 인입되며서 힌지 부재(51)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되며, 상기 볼 홈(54)에서는 돌출되어 볼 홈(54)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볼(53)이 볼 홈(54)에 결합됨에 따라, 회전력을 더 이상 작용시키지 않으면 미들 바디(20)는 리어 바디(30) 상에서 회전 작동을 정지하고, 회전 작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볼(53)은 리어 바디(30)의 힌지 홀(52)의 일측에만 형성될 수 있으나, 힌지 홀(52)의 내주면을 따라 90도 각도의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미들 바디(20)는 리어 바디(30) 상에서 회전될 수 있고, 90도 간격으로 회전된 상 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도 8 및 도 9 참조).
또한, 미들 바디(20)와 리어 바디(30)는 상기 스윙 힌지 어셈블리(50)의 작동을 보완하도록 상호 대향면의 각각에, 즉 미들 바디(20)의 일측에 회전 정지 유도 홈(21)을 구비하고, 이의 대향측 리어 바디(30)의 일측에 회전 정지 유도 돌기(31)를 구비한다. 이 회전 정지 유도 홈(21)과 회전 정지 유도 돌기(31)는 각각 미들 바디(20)와 리어 바디(30)에 힌지 부재(51) 및 힌지 홀(52)을 중심으로 하는 곡률을 가지고 형성된다. 또 이 회전 정지 유도 홈(21)과 회전 정지 유도 돌기(31) 각각은 미들 바디(20)와 리어 바디(30)의 폭 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이 폭 방향 전체 길이의 절반 길이로 형성된다. 이 회전 정지 유도 홈(21)과 회전 정지 유도 돌기(31) 각각은 상기의 반대측 바디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회전 정지 유도 돌기(31)의 내측 라인(31i)은 리어 바디(30) 상에서 미들 바디(20)의 회전 작동이 방해받지 않게 한다. 이를 위하여, 리어 바디(30)에 형성되는 내측 라인(31i)은 미들 바디(20)에 형성되는 회전 정지 유도 홈(21) 및 이에서 연장되는 회전 궤적 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즉, 미들 바디(20)가 리어 바디(30)에 포개어질 때, 내측 라인(31i)은 회전 정지 유도 홈(21)에 결합되고, 미들 바디(20)가 리어 바디(30) 상에서 선회될 때, 내측 라인(31i)은 회전 정지 유도 홈(21)을 타고 선회되어 부분적인 결합상태에서 벗어나고 이어서 완전히 벗어난다.
이 미들 바디(20)와 리어 바디(30)는 그 일측에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파지 홀들(22, 32)을 각각 구비한다. 이 파지 홀(22, 32)은 변형된 상태에서 해당 기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한다.
도 6은 도 1의 C-C 선에 따라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전화 단말기는 프론트 바디(10), 미들 바디(20), 및 리어 바디(30)를 도 1과 같이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키거나, 이 결합 된 상태의 리어 바디(30) 상에서 미들 바디(20)와 프론트 바디(10)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바디들(30, 20, 10)을 상호 록킹시키는 제1 록킹 부재(33)와 제2 록킹 부재(23) 및 이들의 록킹을 해제하는 언록킹 부재(12)를 구비한다.
제1 록킹 부재(33)는 리어 바디(30)의 일측에 탄성부재(34)를 개재하여 미들 바디(2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제2 록킹부재(23)는 이 제1 록킹 부재(33)에 대응하는 미들 바디(20)의 일측에 탄성부재(24)를 개재하여 프론트 바디(1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언록킹 부재(12)는 이 제2 록킹 부재(23)에 대응하는 프론트 바디(20)의 일측에 탄성부재(14)를 개재하여 프론트 바디(10)의 외부로 돌출 형성된다.
이 제1 록킹 부재(33)와 제2 록킹 부재(23) 및 언록킹 부재(12)는 프론트 바디(10)와 미들 바디(20) 및 리어 바디(3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개어진 상태에서는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언록킹 부재(12)를 누르면 제2 록킹 부재(23)는 미들 바디(20)와 프론트 바디(10)를 언록킹 시키고, 이 제2 록킹 부재(23)에 의하여 눌려지는 제1 록킹 부재(33)는 미들 바디(20)와 리어 바디(30)를 언록킹 시킨다. 이 상태에서 미들 바디(20)와 프론트 바디(10)는 리어 바디(30) 상에서 스윙 힌지 어셈블리(50)를 회전축으로 하여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리어 바디(30)는 각종 디지털 기기의 조작 및 숫자 입력을 위한 숫자 키(35)를 구비한다. 이 숫자 키(35)는 프론트 바디(10)를 인출한 상태에서 조작될 수 있도록 프론트 바디(10)의 인출 시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윙 힌지 어셈블리(50)에 의하여 숫자 키(35)는 상기 기능 키(16)의 반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는 게임 플레이는 용이하게 한다(도 9 참조). 또한 숫자 키(35)는 게임 버튼으로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특정 키(숫자 5, 7, 9, 0 키 예시)를 다른 키에 비하여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 전화 단말기는 도 1의 상태로 디지털 카메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바디(10)를 밀게 되면(F1), 슬라이딩 힌지 어셈블리(40)를 이용하여 프론트 바디(10)가 미들 바디(2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전화 통화 가능한 상태를 형성한다.
또한, 휴대 전화 단말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의 상태에서 프론트 바디(10)를 90도로 회전시키게 되면(F2), 스윙 힌지 어셈블리(50)를 이용하여 프론트 바디(10)와 미들 바디(20)가 리어 바디(30) 상에서 회전되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및 주문형 비디오를 시청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휴대 전화 단말기는 도 8의 상태에서 프론트 바디(10)를 180도로 회전시키게 되면(F3), 스윙 힌지 어셈블리(50)를 이용하여 프론트 바디(10)와 미들 바디(20)가 리어 바디(30) 상에서 회전되어 모바일 게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전화 단말기에 의하면, 프론트 바디와 미들 바디 및 리어 바디를 구비하며, 이 프론트 바디와 미들 바다 사이에 슬라이딩 힌지 어셈블리를 개재하고, 미들 바디와 리어 바디 사이에 스윙 힌지 어셈블리를 구비하여, 변형 없이 디지털 카메라 기능으로 사용하며, 프론트 바디를 미들 바디로부터 스라이딩 인출하여 전화 통화 기능으로 사용하고, 미들 바디와 프론트 바디를 일체로 리어 바디로부터 회전시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및 주문형 비디오를 시청하며, 미들 바디와 프론트 바디를 일체로 리어 바디로부터 더 회전시켜 모바일 게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등, 각종 디지털 기기의 각 기능에 적절한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는 프론트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의 배면에 그 일측이 연결되는 슬라이딩 힌지 어셈블리;
    상기 슬라이딩 힌지 어셈블리의 다른 일측이 그 일측에 연결되는 미들 바디;
    상기 미들 바디의 다른 일측에 그 일측이 연결되는 스윙 힌지 어셈블리;
    상기 스윙 힌지 어셈블리의 다른 일측이 그 일측에 연결되는 리어 바디; 및
    상기 미들 바디 및 상기 리어 바디의 상호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회전 정지 유도 홈과 회전 정지 유도 돌기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프론트 바디의 배면에 구비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의 대향 측 상기 미들 바디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에는 탄성부재로 지지되어 그 일측이 가이드 홈 내부로 돌출되는 볼을 구비하고,
    상기 볼의 대향 측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볼이 안장되는 볼 홈을 구비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볼은 상기 프론트 바디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홈 상의 상기 볼 홈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프론트 바디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홈 상의 상기 볼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휴대 전화 단말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들 바디는 그 일측에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파지 홀을 구비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정지 유도 돌기의 내측 라인은 상기 미들 바디에 형성되는 회전 정지 유도 홈 및 이 회전 정지 유도 홈에 연장되는 회전 궤적 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휴대 전화 단말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윙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미들 바디의 일측에 치우쳐 형성되는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부재의 대응 측 리어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 홀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힌지 홀에는 탄성부재로 지지되어 그 일측이 힌지 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볼을 구비하고,
    상기 볼의 대향 측 상기 힌지 부재에는 상기 볼이 안장되는 볼 홈을 구비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바디는 그 일측에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파지 홀을 구비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
KR1020050030667A 2005-04-13 2005-04-13 휴대 전화 단말기 KR100682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667A KR100682414B1 (ko) 2005-04-13 2005-04-13 휴대 전화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667A KR100682414B1 (ko) 2005-04-13 2005-04-13 휴대 전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925A KR20060108925A (ko) 2006-10-18
KR100682414B1 true KR100682414B1 (ko) 2007-02-15

Family

ID=3762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667A KR100682414B1 (ko) 2005-04-13 2005-04-13 휴대 전화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4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703A (ko) * 1999-06-04 2003-06-1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그루브보다 깊이가 깊은 프리피트를 구비한 광학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703A (ko) * 1999-06-04 2003-06-1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그루브보다 깊이가 깊은 프리피트를 구비한 광학 기록 매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45703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925A (ko)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9834B2 (en) Mobile terminal
US7194290B2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device
US7440783B2 (en) Dual axis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US7567830B2 (en) Rotating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885693B2 (en) Sliding device for dual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EP1638295B1 (en) Portable apparatus with slidable housing parts and a rotatable housing part
US7711397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and user interfacing device thereof
US8712487B2 (en)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7869840B2 (en) Semi-automatic swing device for swing-type portable terminal
US20070151078A1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EP1755318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JP4210288B2 (ja) 携帯型無線端末機
KR100800711B1 (ko) 휴대 단말기의 프리 스톱 힌지 장치
KR100682414B1 (ko) 휴대 전화 단말기
KR100724919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753061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회전 힌지 모듈
JP5424334B2 (ja) 電子機器及びスライド装置
JP4974079B2 (ja) 折り畳み式通信端末
KR100794301B1 (ko) 네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5360891B2 (ja) アンテナ取付構造及び携帯機器
JP4604548B2 (ja) 携帯端末
KR100780698B1 (ko) 슬라이드형 단말기
KR100648649B1 (ko) 슬라이드형 단말기
KR100548424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줌카메라
KR20060097291A (ko) 엘씨디 모듈의 자동 회전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