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962B1 -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962B1
KR100681962B1 KR1020040042783A KR20040042783A KR100681962B1 KR 100681962 B1 KR100681962 B1 KR 100681962B1 KR 1020040042783 A KR1020040042783 A KR 1020040042783A KR 20040042783 A KR20040042783 A KR 20040042783A KR 100681962 B1 KR100681962 B1 KR 100681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guide
display
lighting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6576A (ko
Inventor
고미네야스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50076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전자 기기의 동작 상황을 표시광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조명 장치를 대상으로 하여, 광표시의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투광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로드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횡단면이 연속된 곡선에 의해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외면부에 설치된 도광 및 조명 부재와 도광 및 조명 부재에 있어서의 적어도 한 쪽 단부를 향해 설치되고, 도광 및 조명 부재에 표시광을 입사시키기 위한 광원과 전자 기기의 하우징에 있어서의 도광 및 조명 부재의 설치부에 설치되고, 도광 및 조명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누설된 표시광을 전자 기기의 외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표시광 반사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휴대 전화기, LED, 표시광 반사 수단, 도광 및 조명 부재, 외장 패널

Description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 {ILLUMINATING DEVICE OF ELECTRONIC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조명 장치를 탑재한 전자 기기의 일실시예인 절첩식 휴대 전화기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로부터 외장 패널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3은 도1에 있어서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로부터 외장 패널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4는 도1에 있어서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외부 케이스, 도광 및 조명 부재와 외장 패널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5는 도1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탑재된 조명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6은 도3 중의 VI - VI선 단면도.
도7은 도3 중의 VII - VII선 단면도.
도8은 도3 중의 VIII - VIII선 단면도.
도9는 도1에 있어서의 절첩식 휴대 전화기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10은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탑재된 본 발명에 관한 조명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11은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탑재된 본 발명에 관한 조명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12의 (a) 및 도12의 (b)는 종래의 조명 장치를 탑재한 전자 기기의 일형태인 절첩식 휴대 전화기를 도시하는 외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휴대 전화기(전자 기기)
5, 5', 5" : 외부 케이스(하우징)
5G : 부착 홈
5H : 부착 구멍
6 : 외장 패널
10, 10', 10" : 도광 및 조명 부재
10A : 본체
10H : 홀더
10a : 한 쪽 단부
10b : 다른 쪽 단부
10c, 10c" : 만곡 부위
10u : 표시면
10l : 배면
10r : 주름(요철부)
21 : LED(제1 광원)
21', 21" : LED(광원)
22 : LED(제2 광원)
30 : 표시광 반사 수단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로 전자 기기의 동작 상황을 표시광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의 일예인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착신 등의 동작 상황을 표시광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조명 장치가 탑재되어 있고, 도12의 (a)에 도시한 절첩식 휴대 전화기(A)에 있어서는 상부 하우징(Aa)의 내부에 설치된 광원인 LED(발광 다이오드)의 동작에 의해, 상부 하우징(Aa)의 외면에 부착된 소형 렌즈(Ar)를 점면 발광시킴으로써 착신 등의 동작 상황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소형 렌즈(Ar)를 점면 발광시키는 구성에서는, 광표시되는 부위(면적)가 매우 작으므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장해물에 의해 소형 렌즈(Ar)가 덮인 경우 사용자가 표시광을 간과해 버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12의 (b)에 도시한 절첩식 휴대 전화기(B)에서는 상부 하우징(Ba)의 내부에 액정 패널의 백 라이트와 동일하게 구성된 조명 수단을 마련하고, 이 조명 수단에 의해 투광체로 이루어지는 외장 패널(Bp)을 넓은 면적에 걸쳐 발광시켜 광표시를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 수단은 투광성을 갖는 도광판의 이면에 반사 시트를 부착하여,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근접하여 설치된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내부 반사시켜 도광판의 전역을 조명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조명 수단의 기초가 되는 백 라이트의 구조는 종래부터 수많은 문헌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0-104619호 공보
그런데 도12의 (b)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B)에서는, 상부 하우징(Ba)의 내부에 마련한 조명 수단에 의해 외장 패널(Bp)의 전체가 조명됨으로써 광표시의 부위(면적)가 작은 것에 기인하는 시인성의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반면, 휴대 전화기(B)의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조명 수단은 한정된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내부 반사시켜 도광판이 넓은 범위를 조광하고 있으므로, 빛의 감쇠 등에 의해 전체적인 조도가 저하되거나, 또는 부분적인 조도의「불균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어 이에 의해 광표시의 시인성이 현저히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상기 실상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광표시의 시인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4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는, 투광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로드(rod)형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만곡 부위를 갖는 대략 U자 형상으로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횡단면이 연속 곡선에 의해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된, 전자 기기의 하우징의 외면부에 설치되는 도광 및 조명 부재와,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한 쪽 단부를 향해 설치되고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에 표시광을 입사시키기 위한 제1 광원과,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다른 쪽 단부를 향해 설치되고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에 상기 제1 광원의 발광색과는 다른 발광색의 표시광을 입사시키기 위한 제2 광원과, 전자 기기의 하우징에서의 도광 및 조명 부재의 설치부에 설치되고 도광 및 조명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누설된 표시광을 전자 기기의 외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표시광 반사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삭제
청구항 6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는, 청구항 4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에 있어서 도광 및 조명 부재에 있어서의 배면에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내부에서 표시광을 난반사시키기 위한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는, 투광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횡단면이 연속 곡선에 의해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인, 전자 기기의 하우징의 외면부에 설치되는 도광 및 조명 부재와,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한 쪽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길이 방향을 향해 제1 표시광을 조명하는 제1 광원과,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다른 쪽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길이 방향을 향해 상기 제1 표시광과는 다른 제2 표시광을 조명하는 제2 광원과, 상기 전자 기기의 하우징의 외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형상을 갖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의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누설된 표시광을 상기 전자 기기의 하우징의 외측으로 반사시키는 표시광 반사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는, 청구항 7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설치부 측에 있는 배면에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내부에 있어서 표시광을 난반사시키기 위한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를 전자 기기의 일형태인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식 휴대 전화기(1)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덮개(3)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2)에는 송화부나 키 조작부 등(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덮개(3)에는 수화부나 액정 표시부 등(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덮개(3)는 서로 부착된 내부 케이스(4) 및 외부 케이스(5)와 상기 외부 케이스(5)의 외면에 부착된 외장 패널(6)을 갖고 있고, 상기 덮개(3)에는 후술하는 도광 및 조명 부재(10), LED(21, 22) 및 표시광 반사 수단(30)을 구성 요소로 하는 조명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도광 및 조명 부재(10)는,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형을 나타내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만곡 부위(10c)를 갖고 대략 U자 형상으로 연장 설치된 본체(10A)와, 상기 본체(10A)의 한 쪽 단부(10a) 및 다른 쪽 단부(10b)에 설치된 상자형의 홀더(10H, 10H)로 이루어지고, 투광성을 갖는 재료 중 하나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대략 U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본체(10A)의 평면형은 상기 덮개(3)의 평면 형상을 본떠 형성된 것은 물론이다. 환언하면, 만곡 부위(10c)를 설치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도광 및 조명 부재(10)를 휴대 전화기(1)의 형상에 맞추어 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10)는 덮개(3)에 있어서의 외부 케이스(5)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외부 케이스(5)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 및 조명 부재(10)의 본체(10A)에 대응한 대략 U자 형상의 부착 홈(5G)과 도광 및 조명 부재(10)의 홀더(10H, 10H)에 대응한 직사각형의 부착 구멍(5H, 5H)이 형성되어 있다.
도광 및 조명 부재(10)의 본체(10A)를 외부 케이스(5)의 부착 홈(5G)에 수용 하고, 도광 및 조명 부재(10)의 홀더(10H, 10H)를 외부 케이스(5)의 부착 구멍(5H, 5H)에 끼워 맞추는 동시에, 도광 및 조명 부재(10)의 본체(10A)에 설치한 핀(10p)을 외부 케이스(5)의 핀 구멍(5o)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10)는 외부 케이스(5)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게 된다.
여기서, 도광 및 조명 부재(10)에 있어서의 본체(10A)의 횡단면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된 곡선에 의해 폐쇄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본체(10A)의 표시면(10u)은 외부 케이스(5)의 외면 형상을 본떠 완만하게 경사져 있는 동시에, 상기 본체(10A)의 배면(10l)은 하측을 향해 반타원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대해, 외부 케이스(5)에 있어서의 부착 홈(5G)의 단면 형상은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10)에 있어서의 본체(10A)의 횡단면 형상을 본뜬 완만한 U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광 및 조명 부재(10)에 있어서의 본체(10A)의 횡단면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타원 형상이나 원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또한 외형에 부분적인 직선 부분을 포함하는 횡단면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외부 케이스(5)에 있어서의 부착 홈(5G)의 단면 형상은 도광 및 조명 부재에 있어서의 본체의 횡단면을 본뜬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3)의 내부에 수용 설치된 배선 기판(7)에는, 제1 광원으로서의 LED(21)와 제2 광원으로서의 LED(22)가 실장되어 있고, 이들 LED(21) 및 LED(22)는 외부 케이스(5)에 설치된 도광 및 조명 부재(10) 의 홀더(10H, 10H)에 수용되어, 그 조사 방향은 각각 본체(10A)에 있어서의 한 쪽 단부(10a) 및 다른 쪽 단부(10b)를 향하고 있다.
또한, 상기 LED(21) 및 LED(22)는 도광 및 조명 부재(10)의 본체(10A)에 표시광을 입사시키는 것으로, 모두 횡방향 발광(라이트 앵글) 타입의 LED이고 또한 서로 발광색이 다른 LE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 및 조명 부재(10)에 있어서의 본체(10A)의 배면(10l)에는 상기 LED(21) 및 LED(22)로부터 입사된 표시광을 본체(10A)의 내부에 있어서 난반사시키기 위한 미소한 주름(요철부)(10r)이 상기 본체(10A)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외부 케이스(5)에 있어서 도광 및 조명 부재(10)의 설치부를 구성하는 부착 홈(5G)의 표면에는, 외부 케이스(5)의 전체가 백색으로 착색된 수지 재료로 성형되어 있음으로써 이 백색의 성형색에 의해 도광 및 조명 부재(10)의 배면(10l)으로부터 누설된 표시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표시광 반사 수단(30)(도4 및 도9)이 구성되어 있다.
또, 표시광 반사 수단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5)의 성형색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도, 부착 홈(5G)의 표면에 반사율이 높은 색을 도장 또는 인쇄하거나, 혹은 부착 홈(5G)에 반사율이 높은 색의 시일을 부착하는 등 다양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부 케이스(5)의 외면에 부착된 외장 패널(6)은 외부 케이스(5)에 설치된 도광 및 조명 부재(10)를 덮는 동시에, 덮개(3)의 외관을 구성하는 부재이며 폴리 카보네이트 등의 투광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고,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백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조명 장치를 탑재한 휴대 전화기(1)에서는, 착신 등의 동작을 기초로 하여 LED(21) 및 LED(22)가 점등되면 도광 및 조명 부재(10)에 있어서의 본체(10A)의 한 쪽 단부(10a)로부터 제1 광원인 LED(21)의 빛이 본체(10A)에 입사되는 동시에, 도광 및 조명 부재(10)에 있어서의 본체(10A)의 다른 쪽 단부(10b)로부터 제2 광원인 LED(22)의 빛이 본체(10A)에 입사되고, 각각의 표시광은 내면 반사를 반복하여 본체(10A)의 내부를 진행해 간다.
여기서, 도광 및 조명 부재(10)에 있어서의 본체(10A)의 횡단면이 상술한 바와 같이 연속된 곡선에 의해 폐쇄된 형상(도6 참조)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LED(21) 및 LED(22)로부터 입사된 표시광은 도광 및 조명 부재(10)의 내부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내면 반사를 반복하게 된다.
즉, 도광 및 조명 부재의 횡단면이 사각형이었던 경우, 표시광이 도광 및 조명 부재의 모서리부(구석부)에 집중하여 이곳으로부터 외부로 누설되는 광량이 증가하는 등의 이유로 표시광의 진행에 손실이 생기는 데 반해, 상술한 도광 및 조명 부재(10)에 있어서의 본체(10A)의 횡단면에는 모서리부(구석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입사된 표시광이 손실없이 내면 반사를 반복함으로써 긴 거리에 걸쳐 전달된다.
또한,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10)에 있어서의 본체(10A)의 평면 형상도 만곡부(10c)를 설치하여 대략 U자 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환언하면 모서리부를 설 치하는 일 없이 소정의 평면 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입사된 표시광이 손실없이 내면 반사를 반복하여, 본체(10A)의 내부를 긴 거리에 걸쳐 전달되게 된다.
덧붙여, 도광 및 조명 부재(10)의 본체(10A)에 있어서의 만곡부(10c)의 곡률은 도광 및 조명 부재(10)를 구성하는 재료의 광투과율이나 반사율, 또는 LED(21) 및 LED(22)의 발광색의 파장 등에 비추어 하우징(3)의 형상 등에 의해 제약되는 설계 조건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으로 표시광을 전달시킬 수 있는 값(곡률)으로 설정되는 것은 물론이다.
여기서, 본체(10A)의 한 쪽 단부(10a)로부터 입사한 LED(21)의 빛 및 본체(10A)의 다른 쪽 단부(10b)로부터 입사한 LED(22)의 빛은 각각 만곡부(10c)를 넘은 부위에까지 도달하므로, LED(21) 및 LED(21)에 의해 본체(10A)의 전역이 유효하게 조광되게 된다.
또한, 본체(10A)에 입사한 LED(21) 및 LED(22)로부터의 표시광은 배면(10l)에 설치된 주름(요철부)(10r)에 의해 난반사되므로, 본체(10A)의 내부에 있어서 확산되게 되어 이에 의해 본체(10A)의 전역이 유효하게 조광되게 된다.
또한, 외부 케이스(5)의 부착 홈(5G)에 마련한 표시광 반사 수단(30)에 의해 본체(10A)의 배면(10l)으로부터 누설된 표시광이 반사되고, 이 표시광이 다시 본체(10A)에 입사됨으로써 본체(10A)에 있어서의 조광의 휘도가 대폭 향상되게 된다.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10)에 있어서의 본체(10A)의 조광은, 외부 케이스(5)에 부착된 외장 패널(6)을 투과하고, 이 표시광에 의해 휴대 전화기(1)의 동작 상황(착신)이 사용자에게 통지되게 된다. 또, 외장 패널(6)이 유백색으로 착색되어 있음으로써, 표시광은 외장 패널(6) 상에 있어서 확산되어 시인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조명 장치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덮개(3)의 외형을 본떠 연장되는 도광 및 조명 부재(10)의 전체가 광원인 LED(21, 22)에 의해 균등하고 또한 밝게 조광되게 되어, 휴대 전화기(1)의 동작 상황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광표시의 시인성이 대폭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조명 장치의 실시예에서는 LED(21) 및 LED(22)를 서로 발광색이 다른 LED에 의해 구성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제1 광원인 LED(21)의 발광색을 적색으로 하고 제2 광원인 LED(22)의 발광색을 청색으로 한 경우, 도광 및 조명 부재(10)에 있어서의 본체(10A)의 만곡부(10c)는 적색과 청색이 혼색된 보라색의 표시광으로 조광되게 되어, 본체(10A)의 길이 방향에 따라 표시광이 적색으로부터 보라색으로 변화하고, 또한 보라색으로부터 청색으로 변화함으로써 표시광의 시인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미감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덧붙여, LED(21) 및 LED(22)의 발광색은 상술한 적색과 청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하는 조광의 색채를 기초로 하여 임의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광 및 조명 부재(10)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의해 형성하고 있지만,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이외의 투광성을 갖는 다양한 재료,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등에 의해 도광 및 조명 부재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광 및 조명 부재(10)로부터의 조광을 확산시키기 위해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10)를 덮는 외장 패널(6)을 유백색으로 하였지만, 임의의 채색으로 착색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조광을 뛰어나게 하기 위해 다이아몬드 컷트 등의 가공을 실시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는 외부 케이스(5)에 부착한 외장 패널(6)에 의해 도광 및 조명 부재(10)를 덮고 있지만, 외부 케이스에 외장 패널을 부착하는 일 없이 구성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외부 케이스의 외면부에 장착한 도광 및 조명 부재를 직접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조명 장치를 탑재한 다른 휴대 전화기를 도시하고 있고, 이 휴대 전화기(1')에 탑재된 조명 장치는 직선의 로드형을 나타내는 도광 및 조명 부재(10')와, 이 도광 및 조명 부재(10')에 있어서의 한 쪽 단부(10a')를 향해 설치된 광원으로서의 LED(21')를 갖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조명 장치의 구성은 도광 및 조명 부재(10')의 평면 형상 이외에, 도1 내지 도9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1)의 조명 장치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예를 들어 도광 및 조명 부재(10')의 횡단면이 연속된 곡선에 의해 폐쇄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점이나, 덮개(3')의 외부 케이스(5')에 표시광 반사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점, 또는 도광 및 조명 부재(10')의 배면에 주름(요철부)이 설치되어 있는 점 등은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조명 장치와 조금도 다를 바가 없다.
이리하여, 도10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1')에 탑재된 조명 장치에 따르면 도1 내지 도9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1)의 조명 장치와 마찬가지로, 도광 및 조명 부재(10')의 전체가 LED(21')에 의해 균등하고 또한 밝게 조광되게 되어, 휴대 전화기(1')의 동작 상황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광표시의 시인성이 대폭 향상되게 된다.
도11은 본 발명에 관한 조명 장치를 탑재한 또 다른 휴대 전화기를 도시하고 있고, 이 휴대 전화기(1")에 탑재된 조명 장치는 로드형을 나타내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만곡 부위(10c")를 갖고 대략 J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도광 및 조명 부재(10")와, 이 도광 및 조명 부재(10")에 있어서의 한 쪽 단부(10a')를 향해 설치된 광원으로서의 LED(21")를 갖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조명 장치의 구성은 도광 및 조명 부재(10")의 평면 형상 이외에, 도1 내지 도9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1)의 조명 장치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예를 들어 도광 및 조명 부재(10")의 횡단면이 연속된 곡선에 의해 폐쇄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점이나, 덮개(3")의 외부 케이스(5")에 표시광 반사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점, 또는 도광 및 조명 부재(10")의 배면에 주름(요철부)이 설치되어 있는 점 등은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조명 장치와 조금도 다를 바가 없다.
이리하여, 도11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1")에 탑재된 조명 장치에 따르면 도1 내지 도9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1)의 조명 장치와 마찬가지로, 도광 및 조명 부재(10")의 전체가 LED(21")에 의해 균등하고 또한 밝게 조광되게 되어, 휴대 전 화기(1")의 동작 상황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광표시의 시인성이 대폭 향상되게 된다.
또한, 만곡 부위(10c")에 의해 대략 J자 형상을 나타내는 도광 및 조명 부재(10")의 평면형은 휴대 전화기(1")의 평면 형상을 본떠 형성된 것으로, 환언하면 만곡 부위(10c")를 설치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도광 및 조명 부재(10")를 휴대 전화기(1")의 형상에 맞추어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덧붙여, 도10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1')의 조명 장치에서는 도면 중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 및 조명 부재(10')에 있어서의 다른 쪽 단부(10b')를 향해 LED(22')를 추가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에 의해 도광 및 조명 부재(10')에 있어서의 조광의 휘도가 향상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11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1")의 조명 장치에 있어서도 도면 중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 및 조명 부재(10")에 있어서의 다른 쪽 단부(10b")를 향해 LED(22")를 추가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에 의해 도광 및 조명 부재(10")에 있어서의 조광의 휘도가 향상되게 된다.
또한, 도11 중에 있어서의 LED(21')와 LED(22')와의 발광색을 서로 다르게 하거나, 혹은 도12 중에 있어서의 LED(21")와 LED(22")와의 발광색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도광 및 조명 부재(10') 혹은 도광 및 조명 부재(10")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표시광의 색채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이에 의해 표시광의 시인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미감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관한 조명 장치를 전자 기기의 일형태인 절첩식 휴대 전화기에 탑재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휴대 전화기나 PDA(퍼스널 · 데이터 · 어시스턴스) 등의 휴대 정보 단말뿐만 아니라, 가정 전화 제품 등의 다양한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로서도 본 발명을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자 기기의 동작 상황을 표시광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조명 장치를 예시하였지만, 표시광을 전자 기기의 외관을 장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하는 조명 장치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에 따르면, 도광 및 조명 부재에 있어서의 횡단면을 연속된 곡선에 의해 폐쇄된 형상으로 한 것으로,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표시광이 도광 및 조명 부재의 내부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내면 반사하므로, 로드형을 나타내는 도광 및 조명 부재의 전역에 걸쳐 조광할 수 있고, 아울러 전자 기기의 하우징에 표시광 반사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도광 및 조명 부재의 전체가 균등하고 또한 밝게 조광되게 되어, 광표시의 시인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2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에 따르면, 청구항 1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와 마찬가지로 광표시의 시인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도광 및 조명 부재에 만곡 부위를 설치하고 있음으로써 전자 기기의 형상에 맞추어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3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에 따르면, 청구항 1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와 마찬가지로 광표시의 시인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도광 및 조명 부재의 배면에 요철부를 형성한 것으로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내부에서 표시광이 난반사함으로써, 광표시의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4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에 따르면, 도광 및 조명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만곡 부위를 갖는 대략 U자 형상으로 연장 설치하는 동시에, 도광 및 조명 부재에 있어서의 횡단면을 연속된 곡선에 의해 폐쇄된 형상으로 한 것으로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표시광이 도광 및 조명 부재의 내부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내면 반사하는 동시에, 도광 및 조명 부재에 있어서의 한 쪽 단부와 다른 쪽 단부를 향해 각각 제1 광원과 제2 광원을 설치함으로써, 로드형을 나타내는 도광 및 조명 부재의 전역에 걸쳐 조명할 수 있고, 아울러 전자 기기의 하우징에 표시광 반사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도광 및 조명 부재의 전체가 균등하고 또한 밝게 조광되게 되어, 광표시의 시인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청구항 4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에 따르면 광표시의 시인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도광 및 조명 부재에 만곡 부위를 설치하고 있음으로써 전자 기기의 형상에 맞추어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5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에 따르면, 청구항 4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와 마찬가지로 광표시의 시인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1 광원과 제2 광원을 서로 발광색이 다른 광원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각 광원에 있어서의 발광색을 혼합한 임의의 색채의 빛에 의해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위를 조광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에 따르면, 청구항 4의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와 마찬가지로 광표시의 시인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도광 및 조명 부재의 배면에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내부에 있어서 표시광이 난반사함으로써 광표시의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투광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로드형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만곡 부위를 갖는 대략 U자 형상으로 연장 설치되는 동시에, 횡단면이 연속 곡선에 의해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된, 전자 기기의 하우징의 외면부에 설치되는 도광 및 조명 부재와,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한 쪽 단부를 향해 설치되고,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에 표시광을 입사시키기 위한 제1 광원과,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다른 쪽 단부를 향해 설치되고,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에 상기 제1 광원의 발광색과는 다른 발광색의 표시광을 입사시키기 위한 제2 광원과,
    상기 전자 기기의 하우징에서의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누설된 표시광을 상기 전자 기기의 외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표시광 반사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배면에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내부에 있어서 표시광을 난반사시키기 위한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
  7. 투광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횡단면이 연속 곡선에 의해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인, 전자 기기의 하우징의 외면부에 설치되는 도광 및 조명 부재와,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한 쪽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길이 방향을 향해 제1 표시광을 조명하는 제1 광원과,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다른 쪽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길이 방향을 향해 상기 제1 표시광과는 다른 제2 표시광을 조명하는 제2 광원과,
    상기 전자 기기의 하우징의 외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형상을 갖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의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누설된 표시광을 상기 전자 기기의 하우징의 외측으로 반사시키는 표시광 반사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설치부 측에 있는 배면에 상기 도광 및 조명 부재의 내부에 있어서 표시광을 난반사시키기 위한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
KR1020040042783A 2004-01-19 2004-06-11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 KR100681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10916 2004-01-19
JP2004010916A JP2005202318A (ja) 2004-01-19 2004-01-19 電子機器の照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576A KR20050076576A (ko) 2005-07-26
KR100681962B1 true KR100681962B1 (ko) 2007-02-15

Family

ID=3482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783A KR100681962B1 (ko) 2004-01-19 2004-06-11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5202318A (ko)
KR (1) KR1006819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4240B2 (ja) * 2006-10-30 2013-03-21 日本電気株式会社 装飾パネルの固定構造及び携帯型電子機器
JP2008199231A (ja) * 2007-02-13 2008-08-28 Fujitsu Ltd 端末装置
KR100908127B1 (ko) * 2007-10-05 2009-07-16 주식회사 유뎀 발광장치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부재
KR200451672Y1 (ko) * 2008-09-19 2011-01-05 한국성전(주) 측면에 발광 패널을 가지는 휴대용 전자기기
JP5101556B2 (ja) * 2009-04-02 2012-12-1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電子機器
WO2010113535A1 (ja) * 2009-04-02 2010-10-0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電子機器
JP5101555B2 (ja) * 2009-04-02 2012-12-1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電子機器
JP2012199015A (ja) * 2011-03-18 2012-10-18 Fujikura Ltd 電子機器及び導光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637B1 (ko) 1995-03-22 1999-11-01 미다라이 후지오 도광 부재, 이를 갖는 조명 장치, 및 이 조명 장치를 갖는 정보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637B1 (ko) 1995-03-22 1999-11-01 미다라이 후지오 도광 부재, 이를 갖는 조명 장치, 및 이 조명 장치를 갖는 정보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576A (ko) 2005-07-26
JP2005202318A (ja) 200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3008B2 (en) Backlighting device for an information display element of a portable object
US8496361B2 (en) Illumination device including light source, light diffuser and light shiel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045755B2 (ja) キー操作部の照光構造、電子装置、携帯装置、及びキー操作部の照光方法
US20050185422A1 (en) Backlighting device for an information display element of a portable object
WO2010035230A1 (en) Light-emitting device
CN101427332B (zh) 电气设备的照亮
KR100681962B1 (ko) 전자 기기의 조명 장치
US7793448B1 (en) Display module and illumination sign device using the same
US7555321B2 (en) Communication portable terminal device
JP2005251687A (ja) 面状照明装置
KR101767873B1 (ko) 이층 구조의 도광 패널을 구비한 핸드폰 스킨
JP2008185604A (ja) 電子装置
JP5247500B2 (ja) 照明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915137B1 (ko) 라이트 가이드 및 조광 표시 장치
JP2009152022A (ja) シート状導光体及び操作キー照明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3182109U (ja) 照光表示装置
JP4954054B2 (ja) 表示装置及び操作スイッチ
CN218626584U (zh) 一种发光装置
JP2006236589A (ja) 操作キーの照光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話機
JP4482876B2 (ja) 面状照明装置
JP5950320B2 (ja) 電子機器
JP4944817B2 (ja) エッジライト式照明装置
JP2005085678A (ja) 面発光体
KR100548608B1 (ko) 라이트 가이드 발광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1040517B1 (ko) 광도파로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