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927B1 -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 - Google Patents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927B1
KR100681927B1 KR1020060013085A KR20060013085A KR100681927B1 KR 100681927 B1 KR100681927 B1 KR 100681927B1 KR 1020060013085 A KR1020060013085 A KR 1020060013085A KR 20060013085 A KR20060013085 A KR 20060013085A KR 100681927 B1 KR100681927 B1 KR 100681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local time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time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미
이은복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3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04M3/42051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where the notification is included in the ringing t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 H04M3/42263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where the same subscriber uses different terminals, i.e. nomadism
    • H04M3/42272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where the same subscriber uses different terminals, i.e. nomadism whereby the subscriber registers to the terminals for personalised service pro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872Non-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 H04M3/4876Time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0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 and extern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현지와 시간대가 다른 국외로 이동할 때, 호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 발신측으로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과 이를 이용한 현지 시각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로 호 연결이 시도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로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을 요청 및 수신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기준으로 지역별 현지 시각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현지 시각 파악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이 국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국외 이동 통신망의 통신 영역으로 위치 변경을 수행하였고 기 설정된 시간인 경우 자동으로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 및 모드 전환부로부터 전송되는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 신호를 수신한 이후, 이동통신 단말로 호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현지 시각 파악부로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여 해당 발신 단말로 전송하거나 또는 홈 위치 등록기로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를 요청 및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현지 시각 알림부를 포함하여, 출장, 여행 등을 이유로 사용자가 해외로 이동한 경우, 사용자에게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자에게 현지 시각을 알려 주기 때문에, 발신자와 착신자 모두에게 서로의 상황을 배려할 수 있는 양질의 통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of Local Tim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에서의 현지 시각 알림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에서의 현지 시각 알림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현지 시각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 : 이동통신 단말 110, 650 : 제어부
120 : 입력부 130 : 메모리
140 : 무선 통신부 150 : 표시부
160 : 출력부 170 : 현지 시각 파악부
180, 620 : 모드 전환부 190, 640 : 자동 응답부
210, 410 : BTS/BSC 220, 420 : MSC
230, 430 : STP 240, 440 : HLR
450 : GLR 500 : 국제 로밍 서비스 서버
600 :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 610 : 현지 시각 파악부
630 : 현지 시각 알림부 660 : 데이터베이스
661 : 현지 시각 정보 DB 663 : 메시지 DB
본 발명은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외 로밍한 사용자 또는 발신지와 시간대가 다른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호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 발신측으로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국외로 이동하는 경우,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을 국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국제 자동 로밍 서비스의 편리성이 부각되면서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국제 자동 로밍 사용자가 자동 로밍 서비스 이용 안내 메시지를 신 청하지 않았을 경우, 발신자측에서는 사용자가 국내에 위치하는지 또는 국외에 위치하는지를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착신측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국제 자동 로밍 사용자가 자동 로밍 서비스 사용 안내 메시지를 신청하였을 경우에라도 발신자측에서는 착신측 사용자가 위치하는 현지의 시각을 알수 없기 때문에, 통화 연결을 시도하기에 적절한 시기인지를 사전에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국외로 이동한 사용자는 늦은밤 시간, 새벽 시간, 회의 시간과 같이 통화 연결이 불가능한 시간대에 시도되는 통화 연결 때문에 현지 생활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역별 현지 시각을 미리 파악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가 이동하는 지역에 따라 호 연결을 시도하는 발신측으로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 정보를 안내하는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해당 지역의 기지국과 동기화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현지 시각을 파악하여 저장하고, 호 연결을 시도하는 발신측으로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을 안내하는 이동통신 단말과 이를 이용한 현지 시각 알림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지국, 교환기, 홈 위치 등록기 및 글로벌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이 국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국외 이동 통신망으로 로밍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발신을 시도하는 단말로 현지 시각을 알리기 위한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으로서,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과 관련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이동통신 단말로 호 연결이 시도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을 요청 및 수신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기준으로 지역별 현지 시각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현지 시각 파악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국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국외 이동 통신망의 통신 영역으로 위치 변경을 수행하였고 기 설정된 시간인 경우 자동으로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 및 상기 모드 전환부로부터 전송되는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 신호를 수신한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호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현지 시각 파악부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여 해당 발신 단말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를 요청 및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현지 시각 알림부를 포함한다.
다른 본 발명은 제어부, 이동통신 단말의 입력 제어를 위한 입력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상태나 사용자가 요청한 이벤트 처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 음성 통화 서비스나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 필요한 데이터를 청각으로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고, 기지국 및 교환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국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국외 이동 통신망으로 로밍한 후, 발신을 시도하는 단말로 현지 시각을 알리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로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해당 지역의 기지국 중 가장 강한 세기의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특정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여 동기를 수행할 기지국을 확보하고, 확보된 기지국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동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현재 시각을 파악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현지 시각 파악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국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국외 이동 통신망의 통신 영역으로 위치 변경을 수행하였고 기 설정된 시간인 경우 자동으로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 및 상기 모드 전환부로부터 전송되는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 신호를 수신한 이후,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로부터 현지 시각을 추출하여 발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자동 응답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기지국, 교환기, 홈 위치 등록기 및 글로벌 위치 등록기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이 국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국외 이동 통신망으로 로밍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발신을 시도하는 단말로 현지 시각을 알리는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을 이용한 현지 시각 알림 방법으로서,
a)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은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한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호 연결이 시도되면,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을 요청 및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수신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을 해당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기지국, 교환기, 홈 위치 등록기 및 글로벌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이 국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국외 이동 통신망으로 로밍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발신을 시도하는 단말로 현지 시각을 알리는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을 이용한 현지 시각 알림 방법으로서,
a)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이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지역별 현지 시각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b)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한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호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 상기 a) 단계에서 파악된 현지 시각으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제어부, 이동통신 단말의 입력 제어를 위한 입력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상태나 사용자가 요청한 이벤트 처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 부, 음성 통화 서비스나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 필요한 데이터를 청각으로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고, 기지국 및 교환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국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국외 이동 통신망으로 로밍한 후, 발신을 시도하는 단말로 현지 시각을 알리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현지 시각 알림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해당 지역의 기지국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동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현재 시각을 파악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b)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한 이후,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을 추출하여 호 연결을 시도하는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참조번호 100을 국제 로밍을 수행한 착신측 단말로 하고, 참조번호 300을 발신측 단말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100, 300)은 국제 로밍을 위한 신호망 기능 및 국제 로밍에 따른 과금 정산 기능과 같이 국제 로밍 서비스와 관련되는 전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제 로밍 서비스 서버(500)를 통해 국내 이동 통신망(410, 420, 430, 440, 450) 또는 국외 이동 통신망(210, 220, 230, 240)으로의 로 밍 절차를 수행한다.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600)은 지역별 현지 시각 정보를 저장하고, 호 연결을 시도하는 이동통신 단말(300)이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이 국제 로밍 상태인 경우, 이를 글로벌 위치 등록기(GLR; Global Location Register)(450),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430), 교환기(MSC)(420) 및 기지국(BTS/BSC;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Base Satation Controller)(410) 등을 통해 수신하고,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의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인지 여부에 따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을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300)로 안내한다.
여기에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이 위치하는 현지의 시각을 파악하는 방법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300)로부터 호 연결이 시도된 이후, 홈 위치 등록기(430)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이 국제 로밍 상태임을 파악한 후, 글로벌 위치 등록기(450)에 저장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에 따른 시간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430)를 통해 수신하여 파악하는 방법과 기 설정된 기준(나라별, 주요 도시별 등)에 따라 수집된 시각 정보로부터 글로벌 위치 등록기(450)를 통해 파악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와 매칭된 시각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상기 글로벌 위치 등록기(450)는 국외 이동 통신망 영역에 위치한 국내 이동 통신망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100) 위치 및 해당 지역의 시각 정보를 관리한다.
발신측 단말은 이동통신 단말 및 유선 단말이 모두 가능하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600)은 제어부(650), 데이터베이스(660), 현지 시각 파악부(610), 모드 전환부(620), 현지 시각 알림부(630) 및 자동 응답부(64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데이터베이스(660)는 제어부(650)의 제어에 따라 지역별 현지 시각 정보를 저장하는 현지 시각 정보 DB(661), 발신측 사용자가 남기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DB(663)를 포함한다.
현지 시각 파악부(610)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300)로부터 호 연결이 시도되면, 제어부(650)의 제어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430)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한다. 여기에서, 홈 위치 등록기(430)는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600)으로부터 전송된 이동통신 단말(1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현지 시각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단말의 위치를 조회하고, 조회 결과 국제 로밍 상태임을 파악하면, 글로벌 위치 등록기(450)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에 따른 시간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여 현지 시각 파악부(610)로 전송한다.
또한, 현지 시각 파악부(610)는 제어부(650)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기준으로 지역별 현지 시각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현지 시각 정보 DB(661)에 저 장한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기준은 나라별, 주요 도시별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이다.
모드 전환부(620)는 제어부(65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100)이 국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국외 이동 통신망의 통신 영역으로 위치 변경을 수행하였고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늦은 밤시간, 새벽시간, 통화가 불가능한 시간 등)인 경우, 자동으로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고, 이를 현지 시각 알림부(630)로 전달한다.
현지 시각 알림부(630)는 모드 전환부(620)로부터 전송되는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 신호를 수신한 이후, 이동통신 단말(100)로 호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 제어부(650)의 제어에 따라 현지 시각 파악부(610)로 이동통신 단말(100)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 정보를 요청한다.
또한, 현지 시각 알림부(630)는 모드 전환부(620)로부터 전송되는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 신호를 수신한 이후, 현지 시각 정보 DB(661)로부터 이동통신 단말(100)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발신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현지 시각 알림부(630)는 이동통신 단말(100)로 호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 홈 위치 등록기(440)를 통해 글로벌 위치 등록기(45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Zone Base 단위)정보를 제공받는다.
자동 응답부(640)는 제어부(650)의 제어에 따라 현지 시각 알림부(630)로부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300)로 현지 시각이 송출된 이후,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 (300)로 음성 메시지 또는 발신측 번호를 남길 것인지 여부를 묻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고, 발신측 사용자가 남기는 음성 메시지 또는 발신측 번호를 메시지 DB(663)에 저장하여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 해제 후 착신측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에서의 현지 시각 알림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600)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이 국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국외 이동 통신망의 통신 영역으로 위치 변경을 수행하였고 기 설정된 시간인 경우 자동으로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한 이후, 이동통신 단말(100)로 호 연결이 시도되면(S101), 홈 위치 등록기(440)로 이동통신 단말(100)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한다(S103).
여기에서, 홈 위치 등록기(430)는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600)으로부터 전송된 이동통신 단말(1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현지 시각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단말의 위치를 조회하고, 조회 결과 국제 로밍 상태임을 파악하면, 글로벌 위치 등록기(450)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에 따른 시간정보를 요청 및 수신한다.
이후,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600)의 현지 시각 알림부(630)는 단계 S103에서 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100)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 정보를 해당 발신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한다(S105).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600)의 자동 응답부(640)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300)로 음성 메시지 또는 발신측 번호를 남길 것인지 여부를 묻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다(S107).
자동 응답부(640)는 발신측 사용자가 남기는 음성 메시지 또는 발신측 번호를 메시지 DB(663)에 저장하여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 해제 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109).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에서의 현지 시각 알림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600)의 현지 시각 파악부(610)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지역별 현지 시각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저장한다(S201).
여기에서, 기 설정된 기준은 나라별, 주요 도시별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이다.
이어서,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600)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국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국외 이동 통신망의 통신 영역으로 위치 변경을 수행하였고 기 설정된 시간인 경우 자동으로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한 이후, 이동통신 단말(100)로 호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S203), 단계 S201에서 파악된 현지 시각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100)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발신 이동통신 단말 (300)로 전송한다(S205).
여기에서, 현지 시각 알림부(630)는 이동통신 단말(100)로 호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 홈 위치 등록기(440)를 통해 글로벌 위치 등록기(45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Zone Base 단위)정보를 제공받는다.
이후,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600)의 자동 응답부(640)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300)로 음성 메시지 또는 발신측 번호를 남길 것인지 여부를 묻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다(S207).
자동 응답부(640)는 발신측 사용자가 남기는 음성 메시지 또는 발신측 번호를 메시지 DB(663)에 저장하여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 해제 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209).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100, 300)은 국제 로밍을 위한 신호망 기능 및 국제 로밍에 따른 과금 정산 기능과 같이 국제 로밍 서비스와 관련되는 전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제 로밍 서비스 서버(500)를 통해 국내 이동 통신망(410, 420, 430, 440) 또는 국외 이동 통신망(210, 220, 230, 240)으로의 로밍 절차를 수행한다.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100)은 교환기(220)로부터 전송되는 호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기지국(210)과의 동기화를 통해 파악한 현지 시각을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하여 발신측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100)은 제어부(110), 입력부(120), 메모리(130), 무선 통신부(140), 표시부(150), 출력부(160), 현지 시각 파악부(170), 모드 전환부(180) 및 자동 응답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 이동통신 단말(100)의 입력 제어를 위한 입력부(120),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30),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140),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상태나 사용자가 요청한 이벤트 처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150) 및 음성 통화 서비스나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 필요한 데이터를 청각으로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160)는 이동통신 단말의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현지 시각 파악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100)이 위치하는 해당 지역의 기지국 중 가장 강한 세기의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특정 기지국(210)과 통신을 수행하여 동기를 수행할 기지국을 확보하고, 확보된 기지국(21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동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현재 시각을 파악하고, 이를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모드 전환부(180)는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자 동 응답부(190)로 전달하여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 전환에 따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모드 전환부(18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100)이 국내 이동 통신망이 아닌 국제 이동 통신망의 통신 영역으로 위치 변경을 수행하였고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통화가 어려운 늦은밤 시간, 새벽시간, 통화가 불가능한 시간 등)인 경우 자동으로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한다.
자동 응답부(190)는 상기 모드 전환부(180)로부터 전송되는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 신호를 수신한 이후, 교환기(220)로부터 전송되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130)로부터 현지 시각을 추출하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한다.
또한, 자동 응답부(190)는 현지 시각을 전송한 이후,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300)로 음성 메시지 또는 발신측 번호를 남길 것인지 여부를 묻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고, 발신측 사용자가 남기는 음성 메시지 또는 발신측 번호를 메모리(130)에 저장하여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 해제 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현지 시각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동통신 단말(100)은 자신이 위치하는 해당 지역의 기지국(21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동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현재 시각을 파악하고, 이 를 메모리(130)에 저장한다(S301).
단계 S201에서 현재 시각을 파악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통신 단말(100)의 현지 시각 파악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100)이 위치하는 해당 지역의 기지국 중 가장 강한 세기의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특정 기지국(210)과 통신을 수행하여 동기를 수행할 기지국을 확보하고, 확보된 기지국(21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동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현재 시각을 파악한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100)이 국내 이동 통신망이 아닌 국제 이동 통신망의 통신 영역으로 위치 변경을 수행하였고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통화가 어려운 늦은밤 시간, 새벽시간, 통화가 불가능한 시간 등)인 경우 자동으로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한 이후, 자동 응답부(190)는 교환기(220)로부터 전송되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모리(13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100)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을 추출하여 호 연결을 시도하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300)로 전송한다(S303).
단계 S203에서 발신 이동통신 단말(300)로 현지 시각을 송출한 이후, 자동 응답부(190)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300)로 음성 메시지 또는 발신측 번호를 남길 것인지 여부를 묻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한다(S305).
이어서, 자동 응답부(190)는 발신측 사용자가 남기는 음성 메시지 또는 발신측 번호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300)로부터 수신하고 메모리(130)에 저장하여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 해제 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307).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발신측 단말을 이동통신 단말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발신측 단말이 유선 단말일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과 이를 이용한 현지 시각 알림 방법은 출장, 여행 등을 이유로 사용자가 해외로 이동한 경우, 사용자에게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자에게 현지 시각을 알려주기 때문에, 발신자와 착신자 모두에게 서로의 상황을 배려할 수 있는 양질의 통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 통신사는 출장, 여행 등으로 외국 방문이 잦은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들에게 현지 시각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자사의 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부가 서비스 사용에 따른 수익을 창출할 수 있 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6)

  1. 기지국, 교환기, 홈 위치 등록기 및 글로벌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이 국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국외 이동 통신망으로 로밍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발신을 시도하는 단말로 현지 시각을 알리기 위한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으로서,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과 관련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이동통신 단말로 호 연결이 시도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을 요청 및 수신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기준으로 지역별 현지 시각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현지 시각 파악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국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국외 이동 통신망의 통신 영역으로 위치 변경을 수행하였고 기 설정된 시간인 경우 자동으로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 및
    상기 모드 전환부로부터 전송되는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 신호를 수신한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호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현지 시각 파악부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여 해당 발신 단말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를 요청 및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현지 시각 알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현지 시각 알림부로부터 발신측 단말로 현지 시각이 송출된 이후, 상기 발신측 단말로 음성 메시지 또는 발신측 번호를 남길 것인지 여부를 묻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고, 발신측 사용자가 남기는 음성 메시지 또는 발신측 번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 해제 후 착신측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응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상기 현지 시각 파악부로부터 전송된 이동통신 단말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현지 시각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단말의 위치를 조회하고, 조회 결과 국제 로밍 상태임을 파악하면, 글로벌 위치 등록기로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에 따른 시간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여, 상기 현지 시각 파악부로 전송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는 상기 현지 시각 알림부로부터 전송된 이동통신 단말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단말의 위치를 조회하고, 조회 결과 국제 로밍 상태임을 파악하면, 글로벌 위치 등록기로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를 요청 및 수신하여, 상기 현지 시각 알림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나라별, 주요 도시별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
  6. 제어부, 이동통신 단말의 입력 제어를 위한 입력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상태나 사용자가 요청한 이벤트 처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 음성 통화 서비스나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 필요한 데이터를 청각으로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고, 기지국 및 교환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국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국외 이동 통신망으로 로밍한 후, 발신을 시도하는 단말로 현지 시각을 알리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로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해당 지역의 기지국 중 가장 강한 세기의 파일럿 신호를 송출하는 특정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여 동기를 수행할 기지국을 확보하고, 확보된 기지국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동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현재 시각을 파악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현지 시각 파악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국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국외 이동 통신망의 통신 영역으로 위치 변경을 수행하였고 기 설정된 시간인 경우 자동으로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 및
    상기 모드 전환부로부터 전송되는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 신호를 수신한 이후,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로부터 현지 시각을 추출하여 발신측 단말로 전송하는 자동 응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응답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신측 단말로 현지 시각을 전송한 이후, 상기 발신측 단말로 음성 메시지 또는 발신측 번호를 남길 것인지 여부를 묻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고, 발신측 사용자가 남기는 음성 메시지 또는 발신측 번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여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 해제 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
  8. 기지국, 교환기, 홈 위치 등록기 및 글로벌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이 국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국외 이동 통신망으로 로밍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발신을 시도하는 단말로 현지 시각을 알리는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을 이용한 현지 시각 알림 방법으로서,
    a)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은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한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호 연결이 시도되면,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을 요청 및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수신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을 해당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 시각 알림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c) 상기 b) 단계에서 발신 단말로 현지 시각이 송출된 이후, 상기 발신 단말로 음성 메시지 또는 발신측 번호를 남길 것인지 여부를 묻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및
    d) 발신측 사용자가 남기는 음성 메시지 또는 발신측 번호를 저장하여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 해제 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 시각 알림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국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국외 이동 통신망의 통신 영역으로 위치 변경을 수행하였고 기 설정된 시간인 경우 자동으로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 시각 알림 방법.
  11. 기지국, 교환기, 홈 위치 등록기 및 글로벌 위치 등록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이 국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국외 이동 통신망으로 로밍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발신을 시도하는 단말로 현지 시각을 알리는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을 이용한 현지 시각 알림 방법으로서,
    a)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이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지역별 현지 시각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b)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한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호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 상기 a) 단계에서 파악된 현지 시각으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 시각 알림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c) 상기 b) 단계에서 발신 단말로 현지 시각이 송출된 이후, 상기 발신 단말로 음성 메시지 또는 발신측 번호를 남길 것인지 여부를 묻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및
    d) 발신측 사용자가 남기는 음성 메시지 또는 발신측 번호를 저장하여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 해제 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 시각 알림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국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국외 이동 통신망의 통신 영역으로 위치 변경을 수행하였고 기 설정된 시간인 경우 자동으로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 시각 알림 방법.
  14. 제어부, 이동통신 단말의 입력 제어를 위한 입력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상태나 사용자가 요청한 이벤트 처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 음성 통화 서비스나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 필요한 데이터를 청각으로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 하고, 기지국 및 교환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어, 국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국외 이동 통신망으로 로밍한 후, 발신을 시도하는 단말로 현지 시각을 알리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현지 시각 알림 방법으로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해당 지역의 기지국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동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현재 시각을 파악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b)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한 이후,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위치하는 지역의 현지 시각을 추출하여 호 연결을 시도하는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 시각 알림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c) 상기 b) 단계에서 발신 단말로 현지 시각을 송출한 이후, 상기 발신 단말로 음성 메시지 또는 발신측 번호를 남길 것인지 여부를 묻는 안내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및
    d) 발신측 사용자가 남기는 음성 메시지 또는 발신측 번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여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 해제 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 시각 알림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국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국외 이동 통신망의 통신 영역으로 위치 변경을 수행하였고 기 설정된 시간인 경우 자동으로 국제 로밍 시각 알림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 시각 알림 방법.
KR1020060013085A 2006-02-10 2006-02-10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 KR100681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085A KR100681927B1 (ko) 2006-02-10 2006-02-10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085A KR100681927B1 (ko) 2006-02-10 2006-02-10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1927B1 true KR100681927B1 (ko) 2007-02-12

Family

ID=3810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085A KR100681927B1 (ko) 2006-02-10 2006-02-10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9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803B1 (ko) 2008-09-03 2013-01-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국제 로밍 서비스에서의 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1456779B1 (ko) * 2013-04-05 2014-10-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화 중 위젯 표시 장치 및 통화 중 위젯 표시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413A (ko) * 1998-07-13 2000-02-07 서평원 국제 이동 전화 서비스의 착신 지역 시각 안내 방법
KR20000044264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시간 자동 설정 방법
KR20050089278A (ko) * 2004-03-04 2005-09-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국제전화 착신지 현지 시각 안내와 연결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413A (ko) * 1998-07-13 2000-02-07 서평원 국제 이동 전화 서비스의 착신 지역 시각 안내 방법
KR20000044264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시간 자동 설정 방법
KR20050089278A (ko) * 2004-03-04 2005-09-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국제전화 착신지 현지 시각 안내와 연결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803B1 (ko) 2008-09-03 2013-01-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국제 로밍 서비스에서의 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1456779B1 (ko) * 2013-04-05 2014-10-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화 중 위젯 표시 장치 및 통화 중 위젯 표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05400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station therefor
KR1004381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못한 호 정보 제공 방법
KR20020039501A (ko) 이동전화망에서의 광고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KR100681927B1 (ko) 현지 시각 알림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
KR100668388B1 (ko) 국제로밍 사용자에 대한 불법 이동통신 단말기 추적 시스템및 방법
KR101069039B1 (ko) 유선단말로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565827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우선순위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 방법
KR20070091719A (ko) 국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4237087B2 (ja) 着信端末の時刻場所識別方法、および、着信端末の時刻場所通知通信装置
JP4087799B2 (ja) 移動通信端末自動呼び出しサービス装置および移動通信端末装置
KR100661706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페이징 방법 및 이를 위한 교환기
KR100554780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지정에 따른 통화중 대기서비스방법
KR100508973B1 (ko) 음성사서함 모드 전환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착신호 확인 방법
KR20050071945A (ko) 호 연결 실패 원인 통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554373B1 (ko) 음성문자 통합 자동응답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565822B1 (ko)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음성 안내 링백톤 제공 방법
KR20020015869A (ko) 지능망을 이용한 음성전화광고방법
KR100822855B1 (ko) 국제 로밍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
KR101510300B1 (ko) 전화번호 변경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07912A (ko) 불완료호 발신번호 통보 방법 및 시스템
KR100549685B1 (ko) 발신번호 메모 기능을 구비한 비동기 imt-2000 시스템및 발신번호 메모 서비스 방법
KR10065019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40025350A (ko) 미착신 유선전화 호의 발신자 표시 방법
KR100670544B1 (ko) 번호선택장치, 이동전화시스템 및 호처리 방법
KR101154456B1 (ko) 해외 도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