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864B1 - 결속밴드 - Google Patents
결속밴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81864B1 KR100681864B1 KR1020050056965A KR20050056965A KR100681864B1 KR 100681864 B1 KR100681864 B1 KR 100681864B1 KR 1020050056965 A KR1020050056965 A KR 1020050056965A KR 20050056965 A KR20050056965 A KR 20050056965A KR 100681864 B1 KR100681864 B1 KR 1006818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d
- binding
- socket
- ratchet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 :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
도 2 : 본 발명 소켓부분 단면도.
도 3 : 본 발명 결속 완료 상태 정면도.
도 4 : 본 발명 결속 상태의 단면도.
도 5 : 본 발명 결속 해제 상태의 정면도.
도 6 : 본 발명 결속 상태의 소켓 부분 단면도.
도 7 : 본 발명 결속 상태의 평면도.
도 8 :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9 :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a)--결속밴드 (4)(4a)--밴드
(6)(6a)--소켓 (8)(8a)--연결부
(10)--수직면 (12)(32)--경사면
(14)(14a)--래칫 (16)(16b)--안내부
(16a)(28a)--미끄럼 방지부 (18)--요입홈
(20)--몸체 (22)(22a)--삽입공
(24)--만곡면 (26)--탄지부
(28)--손잡이 (30)(30a)--래칫 스토퍼
(34)--걸림턱 (36)--공간부
(38)--결속물 (40)--지지부재
(W1)--안내부의 최대 폭 (W2)--밴드의 최소 폭
(W3)--밴드의 최대 폭 (W4)--연결부의 폭
(W5)--삽입공의 폭 (W7)--래칫 스토퍼의 폭
(L1)--걸림턱 간의 이격거리 (L2)--삽입공의 높이
(θ)--래칫 경사면의 기울기 (D)--밴딩 내경
(t)--밴드의 두께
본 발명은 결속상태를 쉽게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결속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ㆍ케이블ㆍ철근 등의 봉상물이나 파이프ㆍ호스 등의 관상물이나 포도ㆍ토마토ㆍ오이 등의 농작물(또는 과일)은 필요에 따라 끈이나 결속밴드를 이용하여 결속시키고 있다.
종래에도 여러 종류의 결속밴드가 제안된 바 있으나, 결속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한 번 결속시키면 결속상태를 해제할 수 없거나, 결속상태를 해제할 수 있더 라도 구성이나 단계가 복잡하여 사용이 불편하고, 나일론등을 사용하여 제조원가가 비싼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의도적으로 결속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구성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으며 간단하고 견고한 구성의 결속밴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으로 압지되는 부분, 이를테면 래칫 스토퍼의 손잡이 표면과, 밴드 끝부분에 형성되는 안내부 표면에 미끄럼 방지부를 각각 형성하여 결속할 때 이들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결속밴드를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밴드의 형상은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이들의 변형 형상으로 구성된 결속밴드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밴드 일측에 소켓(걸림소켓)을 일체로 구성하고, 밴드의 상ㆍ하 양측부에 수직면과 경사면이 연속하는 대칭구조의 래칫을 형성하고, 소켓 부분에는 밴드가 결합되는 삽입공과, 상기 래칫 부분에 분리 결합되는 대칭구조의 래칫 스토퍼를 형성하여 견고한 결속과, 의도적인 분리(결속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봉상물(棒狀物)ㆍ관상물(管狀物)ㆍ농작물(農作物)등의 결속과 결속 해제를 신속 간편하게 달성할 수 있어서 반복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으며, 밴드와 밴드 끝단에 형성되는 안내부 형상은 판 형상이 아닌 원형 또는 타원형상으로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 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로 도시한 합성수지 결속밴드(2)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소켓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 결속밴드(2)는 길쭉한 사각판 형태의 밴드(4)와, 상기 밴드(4)가 결합 및 걸림되는 소켓(6)과, 밴드(4)와 소켓(6)을 연결하는 연결부(8)에 의해 일체화 된 구성이다.
밴드(4)의 상ㆍ하부에는 수직면(10)과 경사면(12)이 연속하여 교대로 형성되는 톱니 형상의 래칫(14)이 대칭구조로 형성되고, 밴드(4)의 끝부분에는 밴드(4)를 소켓(6) 삽입공(22)에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폭이 좁아진 안내부(16)가 형성된다.
상기 밴드(4)는 결속 대상물을 쉽고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질기면서 다소 플렉시블한 상태이며, 길이방향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요입홈(18)이 형성되어 성형할 때 재료 소모량을 줄이면서 보다 플렉시블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안내부(16)의 최대 폭(W1)은 밴드(4)의 최소 폭(W2)보다 좁게 형성함으로서 상기 삽입공(22)에 자연스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안내부(16)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부(16a)를 형성하여 밴드(4)를 잡아당길 때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16a)는 안내부(16) 표면에 요입형으로 구성하여 삽입공(22)으로 삽입할 때 저항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래칫(14)을 구성하는 수직면(10)은 밴드(4)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경사면(12)은 안내부(16) 방향으로 기울어진 구조이며, 그 기울기(θ)는 30°~ 60°정도이다.
상기 기울기(θ)를 30°미만으로 형성하는 경우 래칫(14)간의 간격(피치)이 좁아지므로 결속정도가 향상되기는 하나(즉, 결속반경을 보다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래칫(14) 단면적이 축소되므로 결속력(결속되는 힘)이 약화되며, 60°를 초과하는 경우 래칫(14)의 단면적이 증가하여 결속력이 향상되기는 하나 래칫(14)간의 간격(피치)가 넓어지면서 결속정도가 떨어지므로, 결속정도와 결속력을 감안하여 30°~ 60°정도의 기울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소켓(6)의 몸체(20) 부분에는 밴드(4)를 결합할 수 있게 밴드(4) 길이방향으로 개방되는 사각형상의 삽입공(22)이 형성되며, 삽입공(22)의 선단부에는 안내부(16)의 삽입이 쉽도록 경사면 또는 만곡면(24) 상태의 삽입 유도부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22)의 높이(L2)는 밴드(4)의 두께(t)보다 크게 형성되고, 삽입공(22)의 폭(W5)은 밴드(4)의 최대 폭(W3)보다 크게 형성되어, 밴드(4)의 삽입과 분리가 보다 쉬어진다.
몸체(20)의 후단 외면 상하부에는 외향 탄지부(26)가 형성되고, 상기 탄지부(26) 끝단에는 손잡이(28)를 갖는 래칫 스토퍼(30)가 연결되어 탄지된다.
상기 래칫 스토퍼(30)에는 경사면(32)을 갖는 걸림턱(34)이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경사면(32)은 몸체(20)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며, 그 기울기는 래칫(14)의 경사면(12)과 동일하거나 비슷한 정도이다.
그리고, 탄지되는 손잡이(28)는 도 5와 같이 화살표(F)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경사구조이다. 따라서, 결속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손가락으로 손잡이(28) 부분을 잡고 가압하는 경우, 미끄러짐이 예상되므로 그 표면에 미끄럼 방지부(28a)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28)의 미끄럼 방지부(28a)는 요입형보다는 돌출형으로 구성하여 손잡이(28) 부분이 보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걸림턱(34)이 복수 개인 경우 걸림턱(34) 간의 피치는 래칫(14)간의 피치와 일치하도록 구성하여 결합개소가 복수로 되어 견고한 결속력이 달성된다.
본 발명 도면 상에는 걸림턱(34)을 2개로 도시하고 있으나, 물론 도 7과 같이 밴딩 내경(D)을 감안하여 과도하게 증가시킬 필요는 없으나 1개 내지 5개 범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걸림턱(34)이 복수 개인 경우 걸림턱(34) 끼리 서로 이격시켜 걸림턱(34) 사이에 공간부(36)를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걸림턱(34)에 탄지력이 부여되어 보다 양호한 상태의 결속력이 유지된다.
래칫 스토퍼(30)의 폭(W7)은 도 7과 같이 밴드(4)의 두께(t)보다 3배 내지 5배로 두껍게 구성하여 결속 내경(D)이 변화하거나, 또는 결속에 의해 맞물림되어 있는 래칫(14)과 걸림턱(32)이 좌우로 흔들리더라도 분리 이탈없이 결속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상하 걸림턱(34) 간의 이격거리(L1)는 연결부(8)의 폭(W4)보다 좁게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도 3과 같이 밴드(4)의 결속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걸림턱(32)의 끝선은 밴드(4) 수직면(10)의 최저점 또는 밴드(4) 경사면(12)의 최저점과 같거나 그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래칫(14)과 걸림턱(32)이 서로 밀착되어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지게된다.
본 발명에서 밴드(4)에 형성되는 래칫(14)은 밴드(4)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직면(10)이 형성되고, 안내부(16) 방향으로 경사면(12)이 형성된 직각 삼각형상이므로 래칫 스토퍼(30)와의 협조하에 수직면(10) 방향으로 완고한 걸림이 이루어지고 경사면(12) 방향으로는 밴드(4)의 쉬운 삽입이 유도된다.
본 발명에서 결속밴드(2)(2a)를 성형할 때, 고가의 나일론 소재보다는 성형이 쉽고 원가가 절감되며 내구성이 양호한 P.P 또는 P.E 계열의 합성수지로 성형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 밴드(4a)의 형상을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이들의 변형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즉, 밴드(4a)와 안내부(16b)를 원형으로 형성하고, 밴드(4a) 외주면에 형성되는 래칫(14a)의 수직면(10)과 경사면(12)을 원형으로 각각 형성하고, 밴드(4)가 삽입되는 삽입공(22a) 또한 원형으로 형성하고, 래칫 스토퍼(30a)의 걸림편 및 경사면은 원형 래칫(14a)을 걸림시키거나 또는 걸림해제시킬 수 있도록 원형으로 구성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밴드(4a)가 타원형인 경우 이에 준하여 상기 처럼 구성하면 된 것이다.
본 발명의 결속밴드(2)는 봉상물(棒狀物)ㆍ관상물(管狀物)ㆍ농작물(農作物)등의 각종 결속물을 결속시킬 때 경사면(12)(32)의 상호작용에 의해 밴드(4)를 당기면 당길수록 보다 완고한 걸림이 달성된다.
한편, 봉상물(棒狀物), 관상물(管狀物) 및 농작물(農作物)과 같은 각종 결속물(38), 또는 이들 결속물과 지지부재(40)를 결속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3과 같이 소켓(6) 삽입공(22)에 밴드(4) 안내부(16) 끝단을 삽입시킨 다음 X 방향으로 밀거나 잡아당기면, 탄지되고 있는 걸림턱(34)이 서로 가까워지려는 힘에 의해 랫치 스토퍼(30)의 경사면(32)과 밴드(4)의 경사면(12)이 접하게되고, 걸림턱(34)의 측면은 밴드(4)의 수직면(10)에 접하면서 걸림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견고한 결속이 달성된다.
이 때, 안내부(16)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부(16a)가 형성되어 있어서 미끄럼이 방지되므로 원활한 결속이 이루어진다. 물론 작업자가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16a)는 안내부(16) 표면에 요입되어 있는 구조여서 안내부(16)가 더욱 플렉시블할 뿐 아니라 삽입공(22)으로 삽입할 때 저항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상기에서 걸림턱(34)이 상하로 위치하고, 밴드(4)의 랫치(14) 또한 상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하 결속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복수 개의 걸림턱(34)에 의해 결속 지점이 복수 개소이고, 걸림턱(34)이 각각 탄지하고 있으므로 보다 견고한 결속이 유지된다.
한편, 결속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도 3과 같이 랫치 스토퍼(6)의 손잡이(28)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게 가압력(F)을 인가하면 걸림턱(32)이 서로 벌어지면서 래칫(14)과의 결속상태가 해제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안내부(16)를 도 4의 화살표 반대방향(-X)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안내부(16)가 소켓(6)으로부터 분리되고 결속상태는 완전히 해제되므로 결속밴드(2)를 반복 사용할 수 있게된다.
상기 손잡이(28)는 경사구조여서 가압할 때 미끄러짐이 예상되나 손잡이(28) 표면에 미끄럼 방지부(28a)가 형성되어 있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력(F)을 인가할 때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물론 작업자가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8)의 미끄럼 방지부(28a)는 요입형 보다는 돌출형이 보강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6은 본 발명 결속밴드(2)를 결속시킨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소켓(6) 부분을 절단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9는 결속대상물(38)과 지지부재(40)를 교차시킨 다음 본 발명 결속밴드(2)를 대각선 방향으로 결속시킨 것이다.
농작물 중 포도(GRAPE)의 경우 지주에 횡으로(또는 종으로) 고정되는 지지선에 묶어 줄기나 가지의 쳐짐을 방지하고자 할 때 본 발명의 결속밴드(2)(2a)를 이용하여 결속시키면 작업량과 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것이며, 농작물 뿐 아니라 전선, 케이블, 철근과 같은 봉상물이나 파이프나 호스와 같은 관상물 등도 간편하면서 견고히 결속시킬 수 있으며 또한 결속을 간편히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나일론으로 제조된 종래 결속밴드들은 밴드를 소켓으로부터 분리하기 쉽지 않아 재 사용하기에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고, 일부 분리가능하게 구성한 결속밴드의 경우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가 쉽지않아 가격이 비싼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결속밴드(2)는 고가의 나일론 소재 보다는 P.P 또는 P.E계열의 합성수지로 성형하므로,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성형이 쉽고, 견고하면서 질길 뿐 아니라 탄지상태의 래칫 스토퍼(30)를 벌어지게 동작시키면 결속상태가 쉽게 해제되므로 반복 사용할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고가의 나일론 소재 보다는 P.P 또는 P.E계열의 합성수지로 성형하므로,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성형이 쉽고 사용이 간편하며, 탄지상태의 래칫 스토퍼를 벌어지게 동작시키면 결속상태가 쉽게 해제되므로 반복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밴드의 안내부와 래칫 스토퍼의 손잡이 표면에 미끄럼 방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미끄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래칫 스토퍼와 래칫에 의해 견고한 결속이 유지되므로 봉상물(棒狀物)ㆍ관상물(管狀物) 및 농작물(農作物)등의 결속과 결속 해제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달성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 삭제
- 소켓과 밴드로 구성된 결속밴드에 있어서,길쭉한 형태의 밴드와, 상기 밴드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래칫 스토퍼를 갖는 소켓과, 상기 밴드와 소켓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밴드의 상ㆍ하부에 수직면과 경사면이 연속하여 교대로 형성되는 대칭구조의 래칫으로 구성하되,상기 소켓은, 몸체부에 밴드 길이방향으로 개방 형성되는 밴드 삽입공과, 상기 밴드 삽입공 선단부에 만곡면이 형성되고, 몸체 외면 상하부에 외향 탄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지부 끝단에 손잡이를 갖는 래칫 스토퍼가 연결되고, 래칫 스토퍼에 경사면을 갖는 복수 개의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은 몸체 방향으로 기울어진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밴드.
- 청구항 2에 있어서,밴드와 소켓을 연결하는 연결부의 최대 폭은 밴드의 최소 폭보다 좁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밴드.
- 청구항 2에 있어서,밴드 끝부분에 안내부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부 표면에 미끄럼 방지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밴드.
- 청구항 2에 있어서,밴드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원형, 타원형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밴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6965A KR100681864B1 (ko) | 2005-06-29 | 2005-06-29 | 결속밴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6965A KR100681864B1 (ko) | 2005-06-29 | 2005-06-29 | 결속밴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1463A KR20070001463A (ko) | 2007-01-04 |
KR100681864B1 true KR100681864B1 (ko) | 2007-02-12 |
Family
ID=37868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6965A KR100681864B1 (ko) | 2005-06-29 | 2005-06-29 | 결속밴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81864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28777U (ko) * | 1994-03-22 | 1995-10-20 | 전선고정밴드의 구조 | |
KR950031578U (ko) * | 1994-04-30 | 1995-11-22 | 전선체결용 스트랩 | |
JP2000092664A (ja) * | 1998-09-08 | 2000-03-31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バンドクランプ |
KR20010087951A (ko) * | 2000-03-09 | 2001-09-26 | 이중구 | 광학 장치의 광량 제어 장치 |
KR200255160Y1 (ko) | 2001-07-21 | 2001-12-13 | 박경진 | 케이블 밴드 |
KR200340052Y1 (ko) | 2003-10-29 | 2004-01-28 | 이호섭 | 결속 해제 가능한 케이블타이 |
-
2005
- 2005-06-29 KR KR1020050056965A patent/KR10068186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28777U (ko) * | 1994-03-22 | 1995-10-20 | 전선고정밴드의 구조 | |
KR950031578U (ko) * | 1994-04-30 | 1995-11-22 | 전선체결용 스트랩 | |
JP2000092664A (ja) * | 1998-09-08 | 2000-03-31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バンドクランプ |
KR20010087951A (ko) * | 2000-03-09 | 2001-09-26 | 이중구 | 광학 장치의 광량 제어 장치 |
KR200255160Y1 (ko) | 2001-07-21 | 2001-12-13 | 박경진 | 케이블 밴드 |
KR200340052Y1 (ko) | 2003-10-29 | 2004-01-28 | 이호섭 | 결속 해제 가능한 케이블타이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1020050056965 - 734674 * |
2001879510000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1463A (ko) | 2007-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30014351A1 (en) | Elastic bead and loop fastener | |
US6438802B1 (en) | Locking mechanism and method for securely fastening resilient cords and tubing | |
US11673724B2 (en) | Releasable bundling tie | |
KR100681864B1 (ko) | 결속밴드 | |
US20120186050A1 (en) | Releasable locking clip | |
US20070054538A1 (en) | Releasable Cord Coupler | |
CN212557544U (zh) | 一种可多次利用的尼龙扎带 | |
US20090223019A1 (en) | Apparatus for wrapping around one or more target objects for gripping, as a hanging structure and/or to provide an extension | |
CN107074167B (zh) | 带有可重复使用的插入式紧固元件的紧固件 | |
KR200465576Y1 (ko) | 결속용 타이 | |
US20050161653A1 (en) | Line tensioning systems and methods | |
JP4137742B2 (ja) | ベルト噛合式結束バンド | |
US20050015937A1 (en) | Fastening strap structure | |
CN112498791B (zh) | 铁丝绑扎工具及铁丝绑扎方法 | |
KR200488544Y1 (ko) | 건설용 철사 결속기구 | |
CN212333183U (zh) | 托盘穿绳装置 | |
CN213678044U (zh) | 多用途自锁扣卡接捆扎扣束带 | |
KR19980014543U (ko) | 농작물용 결속밴드 | |
KR200485633Y1 (ko) | 케이블 타이 | |
CN209852908U (zh) | 一种高效捆绑绳 | |
US11618623B2 (en) | Memory fastening device | |
US20170107033A1 (en) | Flexible Tie and Related Methods | |
KR102246271B1 (ko) | 케이블타이 결합형 농수산물 건조용 걸이구 | |
CN207078504U (zh) | 固定束线带用的束扣 | |
CN215254697U (zh) | 一种桥梁施工用钢筋捆扎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