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736B1 - 규산염을 이용한 화훼원예작물의 생장촉진제 제조제법 - Google Patents

규산염을 이용한 화훼원예작물의 생장촉진제 제조제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736B1
KR100681736B1 KR1020050100100A KR20050100100A KR100681736B1 KR 100681736 B1 KR100681736 B1 KR 100681736B1 KR 1020050100100 A KR1020050100100 A KR 1020050100100A KR 20050100100 A KR20050100100 A KR 20050100100A KR 100681736 B1 KR100681736 B1 KR 100681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odium
sio
flori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만
Original Assignee
장정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정만 filed Critical 장정만
Priority to KR1020050100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6Aluminium; Calcium; Magnes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4Bor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26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규산염을 이용한 화훼원예작물 생장촉진제의 제조제법으로서, 규산염의 알칼리성분과 탁월한 규산의 효능으로 화훼작물의 집약재배로 인한 산성화 토양과 오염된 토양을 중성으로 개량시켜 뿌리를 튼튼하게 하고, 옆면 시비를 통한 관엽식물(觀葉植物)과 관화식물(觀花植物)의 잎과 꽃에 영양을 주고, 내병성을 높여 수확증대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그 조성물의 구성은 규산소다(Na2SiO3)의 기조물인 저렴한 커렛트(Cullet), 무수탄산나트륨(Na2CO3), 붕산나트륨(Na2B4O7), 인산((H3PO4), 탄산카리(K2CO3), 피로인산나트륨(Na4P2O7), 탄산칼슘(CaCO3), 이산화망간(MnO), 몰리브덴산소오다(Na2MoO4)로 이루어지며, 이를 고루 혼합하여 연속제조 용해로에 스크류식 투입기(FEED MACHINE)로 연속 투입, 연속적으로 로 내에서 자동온도 센서(SENSER)를 통한 용해점인 1,250℃∼1,350℃ 온도의 축합용융으로 유리상으로 제조된다. 이를 분쇄하여 입상, 분상으로 하고, 액화처리공정으로 액상 제조하는 저렴한 화훼원예작물 생장촉진제 제조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5512751112-pat00001
규산소다, 화훼작물, 커렛트, 규사, 입상, 분상, 액상

Description

규산염을 이용한 화훼원예작물의 생장촉진제 제조제법{Sodium Silicate use floriculture promoted forcing culture a product manufacture.}
도1은 본 발명의 제조 시 커렛트(Cullet)규격 도표
도2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도
본 발명은 규산소다(Na2SiO3)를 기조물인 커렛트를 이용한 화훼원예(花卉園藝) 작물의 생장촉진제 제조제법에 관한 것이다.
화훼원예(花卉園藝 : floriculture)란 관상용으로 심어지는 화초(花草)와 화목(花木)을 집약적이고 기술적으로 재배하는 것을 말한다. 화훼는 일반적으로 야채와 과수와는 달리 종류와 품종이 약 8,000종에 달하고 재배조건에 따라서 생육차가 심하며, 한정된 장소에서 집약재배를 하기 때문에 식물의 영양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규산(Si)은 기초 광물을 형성하는 요소로서 산소에 이어 지각의 28%를 차지하는 성분이다. 규산은 기상, 토양 물리·화학성의 상호작용으로 용해되며, 토양의 pH에 따라서 분자상(H4SiO4, H3SiO4 -, H2SiO4 2-, HSO4 3- 및 SiO4 4-)으로 변화되는 monosilicic acid와 이들의 복합체인 polysilicic acid(n(SiOH4)), Al, Fe, Ca, Na, MgSO4 등과 무기화합물로 된 복합물, 그리고 유기 규산 복합체로서 존재한다. 식물에는 주로 H4SiO4 형이 잘 흡수되고 이온형은 다른 무기이온과 길항으로 흡수가 억제된다. 식물이 주로 흡수하는 monosilicic acid와 polysilicic acid는 양자의 상호작용으로 토양 pH에 영향을 준다.
화훼원예(花卉園藝)의 관엽식물류(觀葉植物類)는 잎을 잘 길러야하고, 관화식물류(觀花植物類)는 꽃을 잘 길러야 하므로 생육기간 중에 토양영양이 중요하다. 한정된 토지에서 배양하고 또 매일 관수를 하게 됨으로 양분의 유실이 많고, 토양의 연작(連作)으로 인한 양분의 결핍이 작물의 성장을 저해한다.
본 발명은 화훼류에 엽면시비 시 충해방지 효과도 겸하고 있으며, 토양영양이 다른 양분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미량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고, 활성산소의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식물성장에 필수적이며, 그리고 줄기와 잎에 규산이 축적되면 조직이 강건하여 도복저항성은 물론 병해충에 대한 내성을 갖게 되므로 양호한 화엽(花葉)의 품질 향상으로 증산에 기여하게 된다.
가용성의 규산소다(Na2SiO3)는 토양주입한 뿌리에서 흡수되어 식물체내에 상승하며, 엽면에서의 증발에 따라 규소는 그의 표피세포막 중에 침적하여 규질화세포로 되며 식물체를 강인하게 한다. 이러므로 본 발명의 화훼생장촉진제는 식물의 세포에 규산을 축적시켜 잎의 물리적 강도를 높이고 식물의 줄기와 잎을 굳세게 하여 직립 하도록 하여 잎과 꽃의 광합성 효율을 높여 병충해에 강건하게 하여 살포되는 살균 살충제의 양을 확실히 줄일 수 있다.
근래에 이르러 살포 또는 토양주입의 생장촉진제로 Gibberellin, Cycocel, Phosfon, B-9(SADH), Ancymidol, Ethephon 등의 수입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가격 또한 엄청난 고가이기 때문에 화훼농가에 실용성을 주지 못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구성 및 제조방법은 조성물로는 규산소다(Na2SiO3)의 기조물인 커렛트(Cullet) 55∼75중량부, 무수탄산나트륨(Na2CO3) 25∼38중량부, 붕산나트륨(Na2B4O7) 1∼4중량부, 인산((H3PO4) 3∼6중량부, 탄산카리(K2CO3) 1∼3중량부, 피로인산나트륨(Na4P2O7) 2∼5중량부, 탄산칼슘(CaCO3) 0.5∼3중량부, 이산화망간(MnO) 0.1∼0.5중량부, 몰리브덴산소오다(Na2MoO4) 0.1∼0.5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이를 고루혼합하여 전기 용융로에 스크류식 투입기(FEED MACHINE)로 연속 투입, 연속적으로 로 내에서 자동온도 센서(SENSER)를 통한 용융점인 1,250℃∼1,350℃ 온도의 축합용융으로 유리상으로 제조된다. 다시 이것을 입상, 분상으로 분쇄하여 포장하고, 고온반응장치(AUTOCLAVE)에 넣어 5∼6기압의 가압증기로 용해하여 액상으로 분류, 저렴한 화훼원예작물의 생장촉진제로 화훼농가에 생산 공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규산염을 이용한 화훼원예작물의 생장촉진제를 저렴하게 화훼농가에 공급함으로서 산성의 토양을 개량하여 주며, 화훼작물의 뿌리를 강하게 신장시켜 작물을 강건하게 하며, 식물의 줄기와 잎을 튼튼히 하며 질소과잉흡수를 억제하고, 도열병, 냉해 등 병균저항성으로 수확증대에 기여하는 입상, 분상, 액상의 화훼원예작물의 생장촉진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식물체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을 분석해 보면 많은 광물질이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탄소(C), 수소(H), 산소(O), 질소(N), 인산(P), 칼륨(K), 칼슘(Ca), 마그네슘(Mg), 유황(S), 철(Fe), 붕소(B), 아연(Zn), 망간(Mn), 몰리브덴(Mo), 염소(Cl), 구리(Cu) 등과 같이 기능과 양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16종을 필수원소라 한다. 식물이 직접 광물질을 합성하지는 않으므로 어떠한 형태로든 외부로부터 흡수하여야 한다. 탄소(C)는 대기의 이산화탄소에서 수소(H)와 산소(O)는 물에서 얻을 수 있으므로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13가지 원소들은 토양, 빗물, 비료를 통하여 직·간접적으로 얻어야 함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계기가 된다.
규산소다(Na2SiO3)는 Na2O와 SiO2의 결합비율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존재하나 여러 가지 용도에 따라서 상품화 되고 있는 규산소다는 40종 이상이 된다. Na2O : SiO2의 비가 1 : 1.6 ∼ 1 : 4까지의 규산염을 Colloidal Silicate라 부르고, Na2O : SiO2의 비가 1 : 1인 것을 Sodium metasilicate라 부르고, Na2O : SiO2의 비가 1.5 : 1의 것을 Sesqui Silicate라 부르고 있다. 본 발명에 쓰이는 커렛트(Cullet)는 SiO2 74∼77%, Na2O 23∼25%, WEIGHT RATIO 3.10∼3.35, MOLAR RATIO 3.10∼3.50 규격을 사용함에 SiO2, Na2O의 %는 중량%이며 WEIGHT RATIO는 SiO2, Na2O의 중량비이고, MOLAR RATIO는 중량비를 몰비로 환산한 값이 된다.
MOLAR RATIO = WEIGHT RATIO × 1.033
※ 1.033 = Na2O분자량 / SiO2분자량
통상의 커렛트(cullet)제품은 상기 규격으로 출고되고 있어 제품균일성을 확보하였고, 규사(SiO2)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과정에서 생기는 공해적인 분진의 우려도 없어 작업의 난제가 없는 작업공정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규사(SiO2)와 탄산나트륨(Na2CO3)의 혼합물로 용융 냉각된 컬리트(Cullet)를 규산소다(Na2SiO3)로 사용함으로서 규사(SiO2)를 용융 하는 것 보다 더 많은 에너지 절감효과 및 원가절감과 함께 시장성의 확보도 유리해 졌다.
본 발명의 규산염 생장촉진제는 광합성 알칼리 성분으로 수분과 접촉하여 산성토양을 개량하며 중화시키며 작물의 뿌리발육성장을 촉진 시키고 토양의 산토(酸土)를 식물생육에 알맞은 pH로 조절시키고, 동식물 생체에 가장 유익한 5∼20미크론 대의 파장대 방사율이 93%영역의 원적외선의 방사효과로 작물의 대사작용을 원활하게 하며 화훼작물의 생장을 촉진 시킨다.
(표 1)
Figure 112005512751112-pat00002
이하 본 발명의 첨부된 도표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조 시 커렛트(Cullet)규격 도표이다.
본 발명의 주재인 커렛트(cullet)는 SiO2 74∼77%, Na2O 23∼25%, WEIGHT RATIO 3.10∼3.35, MOLAR RATIO 3.10-3.50의 정확한 규격을 사용하여 시판되고 있음으로서 제품의 균일성을 확보 및 저렴한 단가로 공급조달이 용이하다.
도1의 커렛트(cullet)는 규사와 소다회를 분쇄 혼합하여 용융로에 넣어서 가열하여 완전 용해한 후, 투명체가 되었을 때 쏟아내어 냉각고화 시키는데 이것을 커렛트(Cullet)라 부르며 이것을 진공증발로 농축한 진한 수용액을 물유리(Water glass :Na2SiO3)라고 한다.
Na2CO3 + nSiO2 = Na2O·nSiO2 + CO2
본 발명의 제조 원료로 SiO2규격이 74∼77%의 기조물인 커렛트(Cullet)는 적정 배합된 무수탄산소다(Na2CO3)와 축합 용융되므로 Na함량이 높을수록 용해온도가 1,250℃∼1,350℃로 낮아지고 축합 용융됨으로서 물에 잘 녹는 성질을 가지므로 토양에 뿌려질 시에는 녹아서 산성토양을 중화 시키고 뿌리에서 흡수된 가용성 규산은 식물체 내를 상승하여 엽면에서의 표피세포막 중에 침적하며 식물체를 강인하게 한다. 질소과잉흡수를 억제하고 병충해에 강건하게 하며 방지한다. 붕사(Na2B4O7)는 작물의 초기 발육에는 절대로 필요한 원소(B)를 함유하고 있으며, 토양에는 최소량의 적은 함량이 적재되어 있어 화훼식물의 재배에는 중요한 원소이다. 붕소가 결핍되면 잎, 줄기, 꽃 및 과실의 모양이 기형이 되고, 생장이 억제되며, 비정상의 무늬(장미, 국화 등)가 발생하기도 하며, 쌍자엽식물(雙子葉植物)은 단자엽식물(單子葉植物)보다 많은 양을 요구한다. 인산(H3PO4)는 탄수화물과 화합물을 형성하여 쉽게 다른 물질(燐化糖)로 변화하며, 꽃, 열매 및 종자의 결실을 맺게 하므로 장미, 카네이션 등과 같은 관화식물(觀花植物)에는 많은 양이 소요되며, 음이온 형태로 흡수된다. 탄산카리(K2CO3)는 탄수화물과 일부 질소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에 붙어 이들 물질의 이동과 저장에 도움을 주고, 줄기를 견고하게 하며, 특히 구근식물(球根植物)의 섬유소를 만드는데 기여하며, 식물의 세포조성을 증진 시킨다. 피로인산소다(Na4P2O7)은 영양제로서 발아를 왕성하게 하며 식물의 성숙을 촉진시키고 생육개화(生育開花)가 눈에 뜨이게 좋아진다. 탄산칼슘(CaCO3)은 식물의 세포막의 구성요소이고, 특히 체내에 축적되는 수산(蓚酸)과 같은 유기산을 제거한다. 산성토양을 중화시켜 토양반응을 교정시켜 줌으로서 토양미생물의 활동을 촉진시키고 식물성장에 알맞은 토양환경개량에 지대한 역할을 한다. 질소동화, 마그네슘, 가리, 나트륨의 과잉흡수를 억제하는 길항작용 역할을 하며 토양중의 공기와 수분의 유통을 좋게 한다. 이산화망간(MnO)은 녹색식물에 있어서는 없어서는 안 될 원소이고 특히 인산대사나 광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을 높이며 많은 효소시스템과 관계가 있고 인지화(燐脂化) 효소의 성분이다. 몰리브덴산 소오다(Na2MoO4)는 식물의 아미노산과 단백질 생성에 중요한 미량원소역할을 하며 질산태질소 환원효소의 필수성분으로 몰리브덴 원소가 있어야만 아미노산과 단백질을 순조롭게 합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품질에 대한 영향이 매우 크다.
본 발명의 생장촉진제는 인체 및 동식물에 전혀 무해, 무독, 무취하며 폐수 시 강이나 바다로 흘러갔을 시 공해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독성의 염려가 없고 환경적 측면에서 볼 때 환경친화적 생장촉진제이다.
본 발명의 저렴한 규산소다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장촉진제는 산성의 토양을 개량하며 엽면시비를 통하여 병충해, 풍수해 및 기상장애 등으로 작물체가 쇠약해 졌을 때와 미량요소의 결핍 증세에 속히 회복시킬 수 있으며, 화훼원예의 관화, 관엽식물이 빠른 성장과 함께 증수효과를 가져온다.
도2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도이며 제품의 완성단계까지의 공정은 연속적인 자동화 공정으로 이루어져 대량생산에 따른 국제경쟁력으로 생산원가에 반영될 수 있다.
도2의 제조공정은 카렛트(cullet))와 탄산소다(Na2CO3)및 조성물의 적정배합으로 믹서기로 고루 혼합하여 스크류식 투입기(FEED MACHINE)로 전기로나 가스용해로에 연속 투입되며, 용해온도는 상기의 1,350℃이하의 온도로 4∼5시간에 충분히 용해되며, 로 내에서 자동온도 센서(SENSER)를 통한 용해점인 1,250℃∼1,350℃ 온도의 축합용융으로 출탕된 용융물을 주물밧드에 담아 서냉장치를 통하여 냉각시켜 유리상의 결정물을 얻는데, 이를 입상, 분상으로 분쇄하여 포장하고, 고온반응장치(AUTOCLAVE)에 넣어 5∼6기압의 가압증기로 용해하여 액상으로 분류되어 계량, 포장, 검사과정을 거쳐 출고되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1)
규산소다(Na2SiO3)의 기조물인 커렛트(Cullet) 55중량부, 무수탄산나트륨(Na2CO3) 35중량부, 붕산나트륨(Na2B4O7) 1중량부, 인산((H3PO4) 3중량부, 탄산카리(K2CO3) 1.5중량부, 피로인산나트륨(Na4P2O7) 2.9중량부, 탄산칼슘(CaCO3) 1중량부, 이산화망간(MnO) 05중량부, 몰리브덴산소오다(Na2MoO4) 0.1중량부를 믹서기로 혼합하여 전기로에 투입하고 1,300℃의 온도로 4시간 용융하여 출탕, 냉각시킨 후, 분쇄기로 3∼5mm의 굵은 입자로 분쇄하여 생장촉진제를 10kg용 PP 2중 지대포장 한다.
(실시 예2)
규산소다(Na2SiO3)의 기조물인 커렛트(Cullet) 58중량부, 무수탄산나트륨(Na2CO3) 33중량부, 붕산나트륨(Na2B4O7) 1중량부, 인산((H3PO4) 4중량부, 탄산카리(K2CO3) 1.4중량부, 피로인산나트륨(Na4P2O7) 2중량부, 탄산칼슘(CaCO3) 1중량부, 이산화망간(MnO) 0.5중량부, 몰리브덴산소오다(Na2MoO4) 0.1중량부를 믹서기로 혼합하여 전기로에 투입하고 1,300℃의 온도로 4시간 용융하여 출탕, 냉각시킨 후, 분쇄기로 3∼5mm의 굵은 입자로 분쇄하여 고온반응장치(AUTOCLAVE)에 넣어 5∼6기압의 가압증기로 용해하여 액상 생장촉진제로 제조한다.
(실시 예3)
규산소다(Na2SiO3)의 기조물인 커렛트(Cullet) 60중량부, 무수탄산나트륨(Na2CO3) 28중량부, 붕산나트륨(Na2B4O7) 1.5중량부, 인산((H3PO4) 5중량부, 탄산카리(K2CO3) 1.5중량부, 피로인산나트륨(Na4P2O7) 2.9중량부, 탄산칼슘(CaCO3) 0.5중량부, 이산화망간(MnO) 0.5중량부, 몰리브덴산소오다(Na2MoO4) 0.1중량부를 믹서기로 혼합하여 전기로에 투입하고 1,300℃의 온도로 4시간 용융하여 출탕, 냉각시킨 후, 분쇄기로 3∼5mm의 굵은 입자로 분쇄하여 입상 생장촉진제를 제조한다.
(실시 예4)
규산소다(Na2SiO3)의 기조물인 커렛트(Cullet) 62중량부, 무수탄산나트륨(Na2CO3) 28중량부, 붕산나트륨(Na2B4O7) 1.5중량부, 인산((H3PO4) 4중량부, 탄산카리(K2CO3) 1.4중량부, 피로인산나트륨(Na4P2O7) 2중량부, 탄산칼슘(CaCO3) 0.5중량부, 이산화망간(MnO) 0.5중량부, 몰리브덴산소오다(Na2MoO4) 0.1중량부를 믹서기로 혼합하여 전기로에 투입하고 1,300℃의 온도로 4시간 용융하여 출탕, 냉각시킨 후, 분쇄기로 120∼150 멧쉬로 분쇄하여 분상 생장촉진제로 제조한다.
(실시 예5)
규산소다(Na2SiO3)의 기조물인 커렛트(Cullet) 65중량부, 무수탄산나트륨(Na2CO3) 26중량부, 붕산나트륨(Na2B4O7) 1.5중량부, 인산((H3PO4) 3중량부, 탄산카리(K2CO3) 1.4중량부, 피로인산나트륨(Na4P2O7) 2중량부, 탄산칼슘(CaCO3) 0.5중량부, 이산화망간(MnO) 0.5중량부, 몰리브덴산소오다(Na2MoO4) 0.1중량부를 믹서기로 혼합하여 전기로에 투입하고 1,300℃의 온도로 4시간 용융하여 출탕, 냉각시킨 후, 분쇄기로 3∼5mm의 굵은 입자로 분쇄하여 입상 생장촉진제를 제조한다.
(실시 예6)
규산소다(Na2SiO3)의 기조물인 커렛트(Cullet) 67중량부, 무수탄산나트륨(Na2CO3) 25중량부, 붕산나트륨(Na2B4O7) 1중량부, 인산((H3PO4) 3중량부, 탄산카리(K2CO3) 1중량부, 피로인산나트륨(Na4P2O7) 2중량부, 탄산칼슘(CaCO3) 0.5중량부, 이산화망간(MnO) 0.4중량부, 몰리브덴산소오다(Na2MoO4) 0.1중량부를 믹서기로 혼합하여 전기로에 투입하고 1,300℃의 온도로 4시간 용융하여 출탕, 냉각시킨 후, 분쇄기로 3∼5mm의 굵은 입자로 분쇄하여 고온반응장치(AUTOCLAVE)에 넣어 5∼6기압의 가압증기로 용해하여 액상 생장촉진제로 제조한다.
제조된 액상에 MgSO4, ZnSO4, KNO3, NH4NO3, CuSO4, Fe EDTA, KH2PO4, H3BO3, 자당, 증류수를 조합 제조하여 화훼의 종별에 따라 첨가하면 우수한 재배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농작물에 대하여 (실시 예3)을 통하여 제조된, 입상과 분상 규산염 화훼성장촉진제 1kg을 적당량의 비료와 함께 섞어서 화훼생산의 수요의 상위를 차지하는 다년초(多年草)인 국화재배용 200평의 비닐하우스에 산포 하여 pH 6.7의 개량된 토양효과를 얻어 재배한 결과, 병충해에 쓰이는 약제의 반감효과로도 생 육후기에 보편적 발생되는 검은무늬병(黑斑病: Phyllosticta chrysanthemi Ell.)과 갈색무늬병(褐斑病:Septoria obesa Sydow), 진딧물과 총채벌레의 발생이 없었고 품종의 다수확이 확인되었다. 또한 액상의 생장촉진제 100cc를 물 100ℓ에 희석하여 옆면시비용으로 국화재배하우스200평에 살포하여 개화(開花)출하된 품질이 꽃의 중심이 되는 화반(花盤)이 크고 품종의 상위를 인정받는 효과를 보았으며, 관상(觀賞)의 기간이 2배 증가 되었다.
본 발명의 화훼용 생장촉진제는 규사나 규석분(SiO2)을 용융할시, 높은 고온(1,600℃이상)이 필요하여 높은 제조원가가 형성되나, 규산소다(Na2SiO3)의 커렛트(Cullet)를 사용함으로서 많은 에너지 절감효과 및 원가절감과 함께 저렴한 제품경쟁력을 갖게 되어 시장성의 확보도 유리해 졌다.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고, 본 발명은 규산소다의 알칼리성분과 규산의 효능을 이용하여 화훼용(花卉用)원예작물의 병충해 및 내도복성을 강화시키고 화학비료의 과다시비로 산성화된 토양과 오염된 토양을 중성으로 개량시키며, 화훼류에 엽면시비 시 병충해방지 효과도 겸하고 있으며, 토양영양이 다른 양분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미량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고, 활성산소의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식물성장에 필수적이며, 이러므로 본 발명의 화훼용 생장촉진제는 식물의 세포에 규산을 축적시켜 잎의 물리적 강도를 높이고 식물의 줄기와 잎을 굳세게 하여 직립하도록 하여 잎의 병균의 감염이 방지되고 충해에 대한 내병성을 높이게 해준다.
우아한 꽃의 관상성(觀賞性)과 내병성을 높여 우수품질과 수확증대로 친환경적이며, 규산소다를 이용한 저렴한 화훼용 생장촉진제를 개발함으로서 양호한 화엽(花葉)의 품질 향상으로 증산에 기여하게 된다.

Claims (3)

  1. 본 발명의 조성물로는 규산소다(Na2SiO3)의 기조물인 커렛트(Cullet)는 SiO2 74∼77%, Na2O 23∼25%, WEIGHT RATIO 3.10∼3.35, MOLAR RATIO 3.10∼3.50 규격의 커렛트(cullet) 55∼75중량부, 무수탄산나트륨(Na2CO3) 25∼38중량부, 붕산나트륨(Na2B4O7) 1∼4중량부, 인산((H3PO4) 3∼6중량부, 탄산카리(K2CO3) 1∼3중량부, 피로인산나트륨(Na4P2O7) 2∼5중량부, 탄산칼슘(CaCO3) 0.5∼3중량부, 이산화망간(MnO) 0.1∼0.5중량부, 몰리브덴산소오다(Na2MoO4) 0.1∼0.5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이를 고루 혼합하여 용융로 내에서 1,250℃∼1,350℃ 온도의 축합용융으로 출탕, 서냉, 냉각 과정을 거쳐 유리상으로 제조되고, 이를 분쇄하여 입상, 분상으로 분류 제조하는 화훼원예작물 생장촉진제의 제조제법.
  2. 제1항에 있어서 유리상의 냉각된 화합물을 고온반응장치(AUTOCLAVE)에 넣어 5∼6기압의 가압증기로 용해하여 액상으로 분류 제조되는 화훼원예작물 생장촉진제의 제조제법.
  3. 삭제
KR1020050100100A 2005-10-24 2005-10-24 규산염을 이용한 화훼원예작물의 생장촉진제 제조제법 KR100681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100A KR100681736B1 (ko) 2005-10-24 2005-10-24 규산염을 이용한 화훼원예작물의 생장촉진제 제조제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100A KR100681736B1 (ko) 2005-10-24 2005-10-24 규산염을 이용한 화훼원예작물의 생장촉진제 제조제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1736B1 true KR100681736B1 (ko) 2007-02-12

Family

ID=38106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100A KR100681736B1 (ko) 2005-10-24 2005-10-24 규산염을 이용한 화훼원예작물의 생장촉진제 제조제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7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755B1 (ko) 2018-11-29 2019-07-11 (주)참그로 뿌리 내림이 우수한 화훼용 상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618A (ko) * 1999-04-30 2000-11-25 김태한 식물생장촉진 및 저장성개선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60116636A (ko) * 2005-05-09 2006-11-15 장정만 규산소다를 이용한 식물성장제의 조성물 및 제조제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618A (ko) * 1999-04-30 2000-11-25 김태한 식물생장촉진 및 저장성개선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60116636A (ko) * 2005-05-09 2006-11-15 장정만 규산소다를 이용한 식물성장제의 조성물 및 제조제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67618
102006011663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755B1 (ko) 2018-11-29 2019-07-11 (주)참그로 뿌리 내림이 우수한 화훼용 상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99341A (zh) 一种花卉栽培营养基质及其制备方法
CN102976849A (zh) 用于种植蓝莓的复合土壤及其制备方法
BR112020016975A2 (pt) Aditivo para condicionamento do solo e composição agrícola contendo o aditivo para o crescimento de plantas
JP5205588B2 (ja) 人工ゼオライトを含む培養土改良材及び培養土
CN107244976A (zh) 一种花卉基质及其制备方法
KR100637289B1 (ko) 규산소다를 이용한 규산비료 조성물 및 제조제법
CN106380346A (zh) 一种富硒有机水溶肥料及其制备方法
KR100681736B1 (ko) 규산염을 이용한 화훼원예작물의 생장촉진제 제조제법
KR100756185B1 (ko) 폐유리를 이용한 농업용 식물생육성장제의 제조제법
KR100739347B1 (ko) 규산소다를 이용한 식물성장제의 조성물 및 제조제법
KR101826261B1 (ko) 상용 다액형 양액 비료 대체형 비침전 1액형 양액 비료용 수용성 분말의 제조방법
CN109534904A (zh) 一种中量元素液体肥料及其制备方法
CN107827658A (zh) 一种黑水虻虫砂复配螯合硼的红壤调理剂
KR101376192B1 (ko) 일라이트를 활용한 원예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
KR102358075B1 (ko) 규소와 천일염을 이용한 수용성비료 조성물 및 제조제법
CN106105860A (zh) 一种育苗基质及其配制方法
JP2004208601A (ja) 植物の栽培方法
CN105693428A (zh) 一种改善土壤种植环境的肥料辅助剂
KR19980025259A (ko) 게르마늄 명반석 복합비료 조성물 및 그 비료의 제조방법
KR20090079318A (ko) 농업용 토양개량제
KR20080050656A (ko) 입상(粒狀) 토질개량제 조성물 및 제조제법
KR20040078781A (ko) 바이오 미네랄 복합체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콩나물, 숙주나물, 싹기름 또는 수경식물의 재배방법
KR101721545B1 (ko) 지효성 고형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CN108046889A (zh) 一种腐植酸液体水溶肥的制备及其应用
CN103484126A (zh) 一种改良盐渍化土壤的专用增效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