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529B1 - 사용 완료된 배터리의 재생 및 복원방법 - Google Patents

사용 완료된 배터리의 재생 및 복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529B1
KR100681529B1 KR1020050100450A KR20050100450A KR100681529B1 KR 100681529 B1 KR100681529 B1 KR 100681529B1 KR 1020050100450 A KR1020050100450 A KR 1020050100450A KR 20050100450 A KR20050100450 A KR 20050100450A KR 100681529 B1 KR100681529 B1 KR 100681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recycling
regeneration solution
acid
batte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명현
Original Assignee
신한국에너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국에너지(주) filed Critical 신한국에너지(주)
Priority to KR102005010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42Regeneration of electrolyte or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완료된 배터리(battery)의 재생 및 복원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산업폐기물로 처리되는 노후 및 사용 완료된 배터리를 수거하여 신제품과 같은 성능을 가지도록 재생 및 복원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재생 및 복원방법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사용한 배터리를 수거하는 배터리 수거단계와, 수거된 배터리 중 외관이 파손되었거나 액이 흐르는 것을 선별하여 교체 보수하며 또한 비중 및 전압을 측정하여 사용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진단단계와, 배터리 진단단계에서 선별된 사용가능한 배터리의 각 셀에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10%, 소루빈산(sorbic acid)10%, 안식향산 혹은 벤조산(benzoic acid)0.1%, 살리실산(salicylic acid)0.1%,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0.1%, 증류수(water)79.7%를 혼합한 재생액을 주입하는 재생액 주입단계와, 재생전용 충전기와 방전기를 사용하여 재생액이 보충된 배터리를 충전 및 방전하는 단계와, 충전된 배터리의 외관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산업폐기물로 버려지는 노후 및 사용 완료된 배터리를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배터리 구매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노후 및 사용 완료된 배터리, 재생, 재생액, 유산아연 결정, 코팅

Description

사용 완료된 배터리의 재생 및 복원방법{Method for recycling discharged battery}
도 1은 본 발명 사용 완료된 배터리 재생 및 복원방법의 블록도
본 발명은 사용 완료된 배터리(battery) 재생 및 복원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업폐기물로 처리되는 노후 및 사용 완료된 배터리를 수거하여 신제품과 같은 성능을 가지도록 재생 및 복원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재생 및 복원방법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각종 전동차 및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케이스 내측에 격리판 및 글라스매트에 의해 보호되며, 외부로 노출된 전극과 연결된 이산화납으로 만든 양극판 및 음극판을 설치하고, 케이스 내측의 빈 공간에 무색, 무취의 진한 황산을 정제수와 혼합한 전해액을 채운 구성이다.
이러한 배터리의 경우 이산화납으로 만든 극판과 전해액에 포함되어 있는 황 산(h2so4)이 황산화납과 물로 변화하는 화학작용을 할 때 전기가 방출되고, 반대로 치환될 때 충전되는 작용을 반복하게 된다. (pbo2 + h2so4 = pbso4 + 2h2o)
이러한 화학작용과 치환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전해액이 오손되고 이산화납으로 된 극판의 표면에 유산아연의 결정이 달라붙어 화학작용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배터리를 교환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교환되는 노후 및 사용 완료된 배터리의 경우 현재까지는 재생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없어 전량 수거하여 산업폐기물로 처리하고 있는 실정으로 막대한 처리비용이 소요되고, 그로 인한 환경오염도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산업폐기물로 전량 폐기되는 노후 및 사용 완료된 배터리를 재생, 복원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해액에 유기폴리머(polymer)계 원료를 주성분으로 한 재생액을 주입한 후 충전과 방전을 반복 실시하여 극판에 달라붙어 있는 유산아연의 결정을 제거함과 동시에 피막코팅 처리되게 함으로 해서 배터리의 능력을 원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산업폐기물처리 비용 감소와 신규 배터리 구매에 따른 비용 절약 등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사용 완료된 배터리 재생 및 복원방법의 블록도로서, 본 발명은 사용한 배터리를 수거하는 배터리 수거단계와, 수거된 배터리 중 외관이 파손되었거나 액이 흐르는 것을 선별하여 교체 보수하며 또한 비중 및 전압을 측정하여 사용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진단단계와, 배터리 진단단계에서 선별된 사용가능한 배터리의 각 셀에 재생액을 주입하는 재생액 주입단계와, 재생전용 충전기와 방전기를 사용하여 재생액이 보충된 배터리를 충전 및 방전하는 단계와, 충전된 배터리의 외관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 상기 각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배터리 수거단계
차량 등에서 분리한 노후 및 사용 완료된 배터리를 수거한다.
2) 배터리 진단단계
배터리 진단단계는 배터리의 재생 유무를 판단하는 작업으로 상기 수거된 배터리에서 육안으로 확인하여 케이스가 파손된 것이나 액이 흘러나오는 것 등을 1차 선별하여 보수하고, 전압측정과 비중측정을 행한다.
이때 극판이 탈락되었거나 심하게 부식된 배터리, 전류 및 전압측정이 불가능한 배터리, 비중측정에서 1.25이하이거나 충전 시 70도 이상 열이 발생하는 배터리는 별도 분류하여 폐기한다.
3) 재생액 주입단계
배터리 진단단계에서 사용가능한 배터리의 각 셀에 재생액을 주입한다. 재생액 주입기준은 배터리 진단단계에서 얻어진 비중값에 따라 12V 배터리는 각 셀에 5~30cc, 48V 배터리는 각 셀에 40~90cc가 적당하다.
상기 재생액은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10%, 소루빈산(sorbic acid)10%, 안식향산 혹은 벤조산(benzoic acid)0.1%, 살리실산(salicylic acid)0.1%,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0.1%, 증류수(water)79.7%를 혼합한 용액이다.
4) 충전 및 방전하는 단계
재생액이 주입된 배터리에 먼저 재생전용 충전기를 연결하여 20Ah에서 8시간 충전한다. 이때 각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충전시간은 변경될 수 있다.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기를 분리하고 재생전용 방전기를 연결한 상태에서 12Ah에서 8시간 연속 방전한다.
방전된 배터리에 충전작업을 행한 후 비중이 1.27이하이고, 전압이 12V 이하인 배터리는 상기와 같은 충전 및 방전을 다시 하여 비중 및 전압을 점검한다.
충전 및 방전을 행할 때 각 셀에 주입된 재생액은 전해액과 혼합되면서 유산아연 결정을 분해하여 제거하고, 또한 이산화납으로 만든 극판을 코팅 처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충전 및 방전이 이루어진 배터리 중 비중이 1.28이상이고, 전압이 13V 이상인 배터리는 사용 가능하므로 이들을 분류한 후 각 셀의 전해액 량을 확인하고, 부족한 경우 기준치에 맞게 보충한다.
5) 포장단계
배터리를 충전 및 방전하는 단계를 행하는 중 배터리의 케이스에 묻어 있는 오물이나 전해액 찌꺼기 등을 세척수로 세수한다. 이때 감전의 우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고무장갑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해야 한다.
상기에서는 12V 연축전지 배터리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배터리 재생방법을 통해 노후 및 사용 완료된 배터리를 재생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산업폐기물로 버려지는 노후 배터리를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배터리 구매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사용한 배터리를 수거하는 배터리 수거단계와,
    수거된 배터리 중 외관이 파손되었거나 액이 흐르는 것을 선별하여 교체 보수하며 또한 비중 및 전압을 측정하여 사용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진단단계와,
    배터리 진단단계에서 선별된 사용가능한 배터리의 각 셀에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10%, 소루빈산(sorbic acid)10%, 안식향산 혹은 벤조산(benzoic acid)0.1%, 살리실산(salicylic acid)0.1%,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0.1%, 증류수(water)79.7%를 혼합한 재생액을 주입하는 재생액 주입단계와,
    재생전용 충전기와 방전기를 사용하여 재생액이 보충된 배터리를 충전 및 방전하는 단계와,
    충전된 배터리의 외관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후 및 사용 완료된 배터리 재생방법.
KR1020050100450A 2005-10-24 2005-10-24 사용 완료된 배터리의 재생 및 복원방법 KR100681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450A KR100681529B1 (ko) 2005-10-24 2005-10-24 사용 완료된 배터리의 재생 및 복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450A KR100681529B1 (ko) 2005-10-24 2005-10-24 사용 완료된 배터리의 재생 및 복원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1529B1 true KR100681529B1 (ko) 2007-02-12

Family

ID=3810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450A KR100681529B1 (ko) 2005-10-24 2005-10-24 사용 완료된 배터리의 재생 및 복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5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641B1 (ko) * 2007-09-19 2009-06-25 주식회사 한건시스템 폐 축전지 재생방법
WO2011049262A1 (ko) * 2009-10-19 2011-04-28 주식회사 배터리닥터 폐배터리 재생방법
WO2017034052A1 (ko) * 2015-08-26 2017-03-02 (주)턴투 배터리 복원 방법
KR102035451B1 (ko) 2019-04-04 2019-10-22 임형진 대용량으로 생산된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보일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641B1 (ko) * 2007-09-19 2009-06-25 주식회사 한건시스템 폐 축전지 재생방법
WO2011049262A1 (ko) * 2009-10-19 2011-04-28 주식회사 배터리닥터 폐배터리 재생방법
WO2017034052A1 (ko) * 2015-08-26 2017-03-02 (주)턴투 배터리 복원 방법
KR102035451B1 (ko) 2019-04-04 2019-10-22 임형진 대용량으로 생산된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보일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a et al. Sustainable value chain of retired lithium-ion batteries for electric vehicles
Zhu et al. End-of-life or second-life options for retired electric vehicle batteries
Cusenza et al. Energy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of a traction lithium-ion battery pack f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JP3510795B2 (ja) 鉛蓄電池の再生方法
KR100681529B1 (ko) 사용 완료된 배터리의 재생 및 복원방법
US89076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egradation of rechargeable lithium ion battery
CN105024103B (zh) 废旧铅酸蓄电池的修复方法
CN105006589B (zh) 一种锂离子电池的回收方法
CN104466278A (zh) 一种电池在线检测、修复及评估的方法
KR20090036680A (ko) 폐축전지 재생 방법
CN103311588B (zh) 一种电池修复方法
Zhang et al. A generic framework for recycling of battery module for electric vehicle by combining the mechanical and chemical procedures
KR102025988B1 (ko) 산업용 납 축전지 복원 관리 방법
KR101482517B1 (ko) 배터리 복원 방법.
KR100984556B1 (ko) 황산화된 배터리를 복원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1049262A1 (ko) 폐배터리 재생방법
CN108598606A (zh) 一种废旧动力锂电池模组检测与节能修复阶梯回收系统
US107778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enerating battery containing fluid electrolyte
CN105158696A (zh) 一种电池使用寿命的评估方法
CN110492189B (zh) 一种阀控式蓄电池修复方法
CN110071343B (zh) 一种废铅蓄电池完整性快速识别方法
Díaz-Pilpe et al. Methodology for the third-party reconditioning process of automotive vented lead-acid (VLA) batteries
JP4293587B2 (ja) 鉛蓄電池再生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
EP1184928A1 (en) Method of regenerating lead storage batteries
CN104900933A (zh) 蓄电池废极板上的铅膏回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