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271B1 - ‘황토복합천연염색’의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염색한면직물 - Google Patents

‘황토복합천연염색’의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염색한면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271B1
KR100681271B1 KR1020050046245A KR20050046245A KR100681271B1 KR 100681271 B1 KR100681271 B1 KR 100681271B1 KR 1020050046245 A KR1020050046245 A KR 1020050046245A KR 20050046245 A KR20050046245 A KR 20050046245A KR 100681271 B1 KR100681271 B1 KR 100681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natural
dyeing
color
co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2777A (ko
Inventor
황승국
Original Assignee
황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승국 filed Critical 황승국
Publication of KR20060082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27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lo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Abstract

현대에 들어와서는 웰빙(Well-Being)이라는 유행에 부응하여 환경 친화적인 관심이 널리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환경과 자연이 점점 중요시되고 있는 현대 생활의 의식주 중에서 '식'에 있어서는 토양에 대한 오염을 줄이고자 유기농법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주'에서는 새집 증후군으로 인한 피부에 대한 아토피, 피부 건조증, 피부 간지럼증 등으로 많은 현대인들은 고생을 하고 있어 주거 환경에 대한 개선이 심각하게 요구되고 개선되고 있지만 '의'에 대해서는 아직은 관대한 편에 속한다. 하지만 현대에서는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입는 의류, 덮고 자는 침장류 등의 직물 염색에 대한 화학염료는 염색 공정에서 배출되는 폐수로 인한 수질오염 등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환경 친화적인 천연염색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커지고 있다.
천연식물을 이용하는 천연염료는 화학염료보다 유해성이 인체에 전혀 해가 없으며, 천연 염색된 직물의 색채는 아름다움에 있어서도 다양한 명도와 함께 대부분 중간 채도의 깊이 있고 우아한 색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퇴색해 가는 색에서도 천연의 색을 맛볼 수 있어 요즈음에 현대인들이 더 정감 있게 천연 염색을 찾게 되는 이유가 있는 것 같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면직물 수건은 기능성보다는 디자인과 색채의 아름다움만이 앞서고 있다. 한 여름철에 더운 날씨로 인해서 흐르는 땀을 일반적인 면직물 수건으로 닦고 난 후에 일정 시간이 지나고 나면 심한 악취로 재사용하기에는 심한 불쾌감을 주는 경험들을 많이 겪었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면직물 수건에 황토천연염색을 하여서 사용을 하면 오랜 시간을 사용하여도 악취로 인한 불쾌감은 없다. 이는 황토가 가지고 있는 강력한 탈취의 기능 작용이다. 또한 우리가 사용하는 면직물 침장류인 누비이불, 패드, 스프레드, 매트리스커버, 모포, 베갯잇, 요, 요홑이불, 이불, 차렵이불, 이불커버, 침대모포, 침대커버, 쿠션커버, 포대기에 황토나 숯을 이용하여 천연 염색을 한 면직물 침장류를 많이 볼 수 있다. 황토나 숯이 가지는 순기능적인 탈취의 효과나 원적외선 발산으로 인한 생체에 유익한 약리 작용을 하는 반면에 황토의 한가지 황토색이나 숯의 검은색인 단편적인 색만 표현하였다. 이는 소비자의 다양한 색채 요구에 부응하기가 어려운 현실이다.
본 발명은 광물성 염료로 분류할 수 있는 황토를 이용해 황토염색을 하면서 다양한 색을 내는 천연염색에 관한 발명이다. 황토천연염색을 한 면직물 의류나 천은 땀을 잘 흡수할 뿐 아니라 탈취성도 좋아 냄새도 잘 빨아들여 속옷으로 활용하며, 이불이나 요에 황토천연염색을 하면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다. 또한 피부에도 좋아 아토피성 피부염, 피부 가려움증, 건조증으로 고생하는 이들에게 효과가 있다. 황토천연염색 한 면직물이 좋은 기능을 가졌다고는 하나 황토천연염색으로 표현할 수 있는 색채에는 한계가 있다. 즉 황토천연염색은 누런 황토색으로만 표현해오던 오랜 습관과 한계성으로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색채의 요구에는 부응하기가 힘들었다.
이에 본 발명은 환경 친화적인 천연식물을 이용하여 황토천연염색의 단점인 색의 단조로움을 극복하고, 황토천연염색을 하면서 천연의 다양한 색을 내는 우수한 발명이며, 황토와 천연식물이 가지고 있는 각각의 한방 기능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순수한 천연의 소재로 염색을 함으로 상당히 우수한 환경 친화적인 발명이다.
Figure 112005506848796-pat00001
황토복합천연염색, 무분쇄 황토, 황토천연염색.

Description

‘황토복합천연염색’의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염색한 면직물{omitted}
도1는 '황토복합천연염색' 방법에 대한 흐름을 도식화시킨 흐름도이다.
도2은 '황토복합천연염색' 방법으로 염색하여 다양한 천연색이 표현된 면직물 원단에 대한 실시 예이다.
도3은 '황토복합천연염색' 방법으로 염색한 면직물 수건에 대한 실시 예이다.
도4는 '황토복합천연염색' 방법으로 염색한 면직물 침장류 중에 한가지인 면직물 패드에 대한 실시 예이다.
수천 년 전부터 인간은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옷이나 천에 천연염색을 하여 왔다. 그러나 수천 년 동안 천연염색을 한 천연염료의 원료는 채집이 제한적이고 천연염료의 추출 과정이 복잡하며 염색 방법도 반복 공정이 많아서 노동력이 많이 들 뿐 아니라 고도의 숙련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결점을 가진 천연염료는 화학염료가 개발되자 빠른 속도로 사라졌다. 화려하고 산뜻하며 다양한 색을 손쉽게 낼 수 있을 뿐 아니라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색의 재현성이 높은 화학염료에 밀려서 천연염료에 관한 지식과 기술도 많은 부분 잊혀져 버렸다. 그러나 환경과 자연이 중요시되고 있는 현대에서 화학염색은 염색 공정에서의 수질 오염 등이 크게 부각되게 되었고, 보다 환경 친화적인 천연염료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커지고 있다.
화학염색의 단점은 염색 공정에서 사용하는 염료로부터 오는 수질의 오염이 심각하여 염색 공정에서 배출되는 폐수에 대한 처리를 위해서 폐수 처리 시설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옷이나 천에 화학염색을 한 후에 철저한 수세를 하여야만 화학염색 후에 잔류할 수 있는 유해 원소인 비소, 납, 카드뮴, 수은, 구리, 크롬, 코발트, 니켈, 안티몬 등을 요구하는 기준치 이하로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현대에서는 환경 친화적인 천연염색에 대해서 관심이 커지고 있고 요즘에 유행하는 천연염색 중에 하나인 황토를 이용한 황토천연염색이 유행하고 있다.
종래의 황토천연염색은 좋은 황토 흙을 채취하여 수비라는 과정을 통해서 황토천연염색이 가능한 황토 물을 만들어 염색을 하였으나 수비 공정은 침전이라는 과정을 여러 번 거침으로 시간이 오래 걸린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근래에는 채취한 황토 흙을 분쇄기에 넣어 황토 가루를 분쇄하여 사용함으로 황토천연염색에서 수비의 과정이 생략됨과 동시에 황토천연염색 공정이 많이 단축되기는 하였으나 분쇄한 황토 흙을 사용함으로 옷이나 천에 황토의 염착률이 현저히 떨어져 수 차례의 반복 염색으로 원하는 황토색을 표현할 수가 있다.
황토천연염색을 한 면직물 의류나 천은 수분을 잘 흡수하고, 탈취의 효과도 뛰어나 냄새도 잘 빨아들여 속 옷에도 활용하고 있으며, 또한 면직물 침장류인 이불이나 요, 베개에 황토천연염색을 하면 여름에는 시원하고 쾌적한 느낌을 주며, 겨울에는 보온성이 좋아 따뜻하다. 이러한 효과에 반해서 종래의 황토천연염색은 색채의 표현에서 한가지 색인 황토색만을 고집스럽게 표현을 해오고 황토천연염색을 하면서 색을 표현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겨왔으며, 또한 황토색을 더욱 강조하고자 화학적인 색소를 첨가하여 더욱 진한 황토색을 표현을 해왔다. 이는 황토천연염색을 한 옷이나 천을 이용하여 만든 침장류 등의 제품은 기능적으로 상당히 우수하나 황토천연염색은 황토색 한가지로만 염색이 됨으로 다양한 제품의 디자인이 어려우며, 소비자는 색상을 선택하는 범위가 극히 제한적이다.
또한 천연염료를 가공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전통적인 방법은 천연식물을 채집한 상태인 열매나 나무 줄기, 잎사귀, 뿌리, 꽃 등을 그대로 이용하여 물에 불려서 색소를 추출하여 사용하여 왔다. 이는 충분한 색소의 양을 얻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천연식물 재료가 필요하고 색소를 추출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경제적으로 시간적으로 손실이 큼으로 대량 생산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현대에서는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색소를 고농축 하여 분말이나 액체의 상태로 가공하여 이용하고 있으나 과도한 시설로 인한 경비로 상당한 고가로 판매하고 있어서 경제적인 부담이 큰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황토천연염색은 황토색만을 표현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 친화적인 천연식물을 이용하여 황토천연염색의 단점인 색의 단조로움을 극복하고자 발명한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천연식물 중에는 소목, 꼭두서니, 자초, 홍화, 백련초, 쪽, 청대, 쑥, 치자, 황벽, 울금, 황련, 괴화, 정향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천연식물을 이용하여 황토와의 천연염색으로 다양한 색을 표현할 수 있는 '황토복합천연염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우선은 황토를 채취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황토천연염색을 하기 위해서는 질이 좋은 황토를 채취하기 위해 많은 공을 들이게 된다. 좋은 황토란 황토의 점질이 그대로 살아 있는 황토이다. 황토는 지층으로부터 60㎝정도 이하의 지하에 있는 오염이 안된 황토를 채취하여 자연 건조 시킨다. 자연 건조된 황토를 고운 체로 1차적으로 체를 쳐서 불순물과 입도가 굵은 황토를 걸러낸다. 이와 같이 선별한 고운 황토를 일정한 공간에서 송풍기의 바람을 이용해서 날리면 입도가 굵고 무거운 황토는 송풍기에서 가까운 곳에 떨어지고, 입도가 곱고 가벼운 황토는 송풍기로부터 멀리 날아가 모이게 된다. 이때 멀리 날아간 곱고 가벼운 황토만을 채취하면 황토 본연의 점질을 유지하고 있는 양질의 염색용 황토를 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쇄기를 이용하여 황토를 분쇄하여 염색용으로 황토 가루를 만든 것은 광물성인 황토의 입자를 곱게 부순 결과로 점질이 현저히 격감한다. 또한 전통적인 방법에 의한 수비과정을 통해서 얻어지는 황토는 황토의 점성이 물에 의해서 씻기어 나감으로 점질이 많이 떨어지게 되어서 많은 양의 황토와 물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무분쇄로 채취한 황토는 황토 본연의 점질을 유지함으로 적은 양으로도 충분히 황토천연염색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천연식물 염료를 가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통적인 방법은 천연식물을 채집 한 상태로 잘 말린 열매나 나무 줄기, 잎사귀, 뿌리 등을 그대로 물에 불려서 색소를 추출하여 사용하여 왔다. 이는 충분한 색소의 양을 얻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천연식물 염료 재료가 필요하고 색소를 추출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경제적인 손실도 크다. 본 발명은 채집하여 잘 말린 천연식물의 열매, 뿌리, 줄기, 잎사귀, 꽃을 미세하게 분쇄하여 사용하면 천연식물의 열매, 뿌리, 줄기, 잎사귀, 꽃을 그대로 큰 덩어리에서 색소를 추출하는 양보다 같은 양의 미세한 분말 가루인 천연식물 염료에서는 빠른 시간 내에 색소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천연색소의 양이 많아짐으로 염액의 농도가 높아진다. 미세하게 분쇄한 분말 천연식물 염료는 적은 양을 가지고 염색에 필요한 색소의 양을 얻을 수 있다. 천연식물에는 적색 계열의 소목, 꼭두서니(신경초, 천근), 자초, 홍화, 백련초 청색 계열의 쪽, 시금치, 쑥, 청대 황색 계열의 치자, 황벽, 울금, 황련, 괴화, 정향 중에 택일 된 것을 채집하여 사용한다.
기존의 복합천연염색은 염료를 섞어 쓰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는 음양오행의 순서에 따라 천연염색을 해야 제대로 된 색이 나오지만 본 발명인 '황토복합천연염색'은 무분쇄 황토와 분쇄한 천연식물 염료를 함께 일정한 비율로 함께 혼합하여 천연염색을 하는 것이다. '황토복합천연염색' 방법으로 면직물에 염색을 할 수 있는 것은 황토는 광물성 천연염료로 면직물의 올 사이에 부착을 시키는 것이며, 가공된 천연식물 소재는 식물성 염료로서 색소를 추출하여 면직물에 흡수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기 천연염료 들의 침투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한번의 작업 공정으로도 복합천연염색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황토복합천연염색'의 방법에 의하여 천연염색 된 다양한 천연색을 가진 면직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새로운 특징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나 본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인 '황토복합천연염색'의 염료 재료 구성, 채취 및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러한 재료를 이용하여 '황토복합천연염색'을 하는 과정과 실시예에 대해서 언급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인 '황토복합천연염색'을 잘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질 좋은 황토를 채취하는 것과 천연식물을 채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질 좋은 황토란 색이 선명하고 황토의 점질이 그대로 살아 있어 점도가 높은 것이다. 황토는 표층으로부터 60㎝이상의 지하에 있는 오염이 안된 곳에서 채취하여 자연 건조 시킨다. 자연 건조된 황토는 고운 체로 일차적으로 고운 황토를 선별하며, 고운 체로 선별한 고운 황토를 일정한 공간에서 송풍기의 풍력을 이용해서 날리면 입도가 굵고 무거운 황토는 송풍기에서 가까운 곳에 떨어지고, 입도가 곱고 가벼운 황토는 송풍기로부터 멀리 날아가 모이게 된다. 이때 멀리 날아간 미세한 황토의 입도는 300∼3,000메시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채취한 것을 무분쇄 황토라 하며, 채취한 황토 흙을 분쇄나 수비 과정이 없이 황토 자체가 가지고 있는 점질을 유지시키면서 질 좋은 염색용 무분쇄 황토를 채취 가공하는 단계;
상기에서 채취된 황토와 복합염색을 하면서 다양한 색의 표현을 위해서 사용하는 천연식물로는 적색 계열의 소목, 꼭두서니, 자초, 홍화, 백련초 청색 계열의 쑥, 시금치, 쪽, 청대 황색 계열의 치자, 황벽, 울금, 황련, 괴화, 정향이 있으며 이 중에 택일하여 '황토복합천연염색'에서 색을 내기 위한 천연 식물의 소재를 50∼500메시 정도로 미세하게 분쇄 가공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채취한 무분쇄 황토와 천연식물 중에 택일된 재료를 미세하게 분쇄 가공한 천연식물 염료를 혼합하여 황토천연염색 위에 천연의 다양한 색을 내기 위한 '황토복합천연염색' 염료를 만든다. '황토복합천연염색' 염료는 무분쇄 황토 5%∼ 50%o.w.f(o.w.f: on the weight of fiber, '섬유 중량에 대한'이라는 뜻이다. %o.w.f라고 하면 피염물 즉 섬유의 중량에 대한 백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중량백분율과는 다르다.)에 분말 처리한 천연식물 염료를 원하는 색의 농암에 따라 5%∼50%o.w.f를 함께 혼합하여 '황토복합천연염색' 염료를 제조하는 단계;
동시에 '황토복합천연염색'을 하고자 하는 면직물은 1시간 이상의 정련 처리하는 과정을 통해서 면직물에 있는 불순물이나 오염 물질을 제거한다. 면직물에는 깨끗하게 보이더라도 여러 가지 불순물이 들어 있는데 염착률을 높이기 위해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한 것이다. 불순물에는 1차 적으로 펙틴, 지방, 납질, 단백질, 색소 등이 있고 2차적인 불순물에는 실을 지을 때 사용한 기름과 직조할 때 들어간 전분 등이 있다. 이것들을 충분히 제거하지 않으면 색이 잘 배어 들지 않거나 얼룩이 생기기 쉽다. 정련 과정을 거치면 얼룩이 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섬 유에 염료가 잘 달라붙어서 깨끗하고 짙은 색을 얻을 수 있으며 견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면직물 제직 단계 및 면직물을 이용한 봉제의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에 대한 오염을 제거하는 염색용 면직물의 정련 단계;
상기와 같이 제조된 '황토복합천연염색' 염료를 면직물 무게의 5%∼70%o.w.f를 물에 잘 풀어 염액을 만든다. 한꺼번에 '황토복합천연염색' 염료를 푼 염액에 정련이 잘 된 면직물을 담가 충분히 가열하여 60∼100℃ 상태에서 1시간∼3시간 정도를 삶듯이 염색을 하는 '황토복합천연염색'의 단계;
'황토복합천연염색'을 한 후에는 면직물에 여분의 염료를 없애는 충분한 수세과정을 하여야 한다. 언뜻 대수롭지 않은 작업처럼 보이지만 대충하게 되면 얼룩이나 탈색, 변색의 원인이 되므로 충분한 수세 과정과 건조 과정을 하는 '황토복합천연염색'을 한 면직물의 후처리 단계;
로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1>로 면직물 원단에 노란색의 황토복합천연색을 표현하고자 할 때에는 천연식물인 치자, 황벽, 울금, 황련, 괴화, 정향 중 택일하여 노란색(12, 22, 44)의 '황토복합천연염색'을 할 수 있다. 잘 말린 햇치자나 1년 정도 된 치자 열매를 선택하여 미세하게 분쇄 가공한다. 미세하게 분쇄한 치자 열매 가루를 20%o.w.f에 해당하는 양과 무분쇄 황토 20%o.w.f를 함께 혼합한다. 이와 같이 함께 혼합한 염료를 면직물 무게의 40%o.w.f에 해당하는 양을 물에 풀어 염액을 만든다. 염료를 푼 염액에 정련이 잘 된 면직물 원단을 담가 충분히 가열하여 95℃ 상태에서 1시간 30분 동안 삶으면서 염색한다. 염색된 면직물 원단은 색이 안 빠질 때까지 충분히 수세하고 건조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황토복합천연염색'을 한 면직물 원단은 황토의 고착과 천연식물염료의 색소 흡수로 인하여 황토천연염색의 바탕에 천연식물인 치자의 노란색(12, 22, 44)으로 염색이 된다.
<실시예2>는 천연식물인 청색 계열의 쪽, 시금치, 쑥, 청대 중에 쑥을 택일하여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황토복합천연염색'을 하면 황토천연염색의 바탕에 천연식물인 쑥의 쑥색(13, 33, 45)으로 염색이 된다.
<실시예3>은 적색 계열의 천연 식물인 소목, 꼭두서니(신경초, 천근), 자초, 홍화, 백련초 중에 꼭두서니를 택일하여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황토복합천연염색'을 하면 황토천연염색의 바탕에 천연식물인 꼭두서니의 붉은 색인 자색이 도는 적벽돌색(34, 42)으로 염색이 된다.
<실시예4>는 적색 계열의 천연 식물인 소목, 꼭두서니(신경초, 천근), 자초, 홍화, 백련초 중에 소목을 택일하여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황토복합천연염색'을 하면 황토천연염색의 바탕에 천연식물인 소목의 붉은 색인 밝은 분홍색(43)으로 염색이 된다.
<실시예5>는 적색 계열의 천연 식물인 소목, 꼭두서니(신경초, 천근), 자초, 홍화, 백련초 중에 소목을 택일하여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황토복합천연염색'과 천연염색의 기법인 녹반을 매염 처리하면 황토천연염색의 바탕에 천연식물인 소목의 붉은 색이 검붉은 자색(14, 35, 41)으로 염색이 된다.
<실시예6>는 흑색 계열의 천연 숯을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황토복합천연염색'을 하면 황토천연염색의 바탕에 천연 숯의 검은 색인 쥐색(36, 46)으로 염색이 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2에서 '황토복합천연염색'에서의 색의 비교를 위해서 첨부하였다. 도2에서 (11)은 순 무분쇄 황토만으로 천연염색을 한 면직물 원단이며, 도2의 (12)는 무분쇄 황토와 치자를 선택하여 노란색, (13)은 무분쇄 황토와 쑥을 선택하여 카키색, (14)는 무분쇄 황토와 꼭두서니를 이용하여 적벽돌색으로 '황토복합천연염색'을 한 면직물 원단으로서 좋은 보기가 되고 있다.
도3에서 (31)은 순 무분쇄 황토만으로 염색을 한 면직물 수건이며, 도3의 (32)는 무분쇄 황토와 치자를 선택하여 노란색, (33)은 무분쇄 황토와 쑥을 선택하여 카키색, (34)는 무분쇄 황토와 꼭두서니를 이용하여 적벽돌색, (35)는 무분쇄황토와 소목을 녹반으로 매염 처리하여 검붉은 자색, (36)은 무분쇄 황토와 숯을 선택하여 쥐색으로 '황토복합천연염색'을 한 면직물 수건으로서 좋은 보기가 되고 있다.
도4에서 (41)은 무분쇄 황토와 소목을 녹반으로 매염 처리하여 검붉은 자색, (42)는 무분쇄 황토와 꼭두서니를 선택하여 적벽돌색, (43)은 무분쇄 황토와 소목을 선택하여 밝은 분홍색, (44)는 무분쇄 황토와 치자를 선택하여 노란색, (45)는 무분쇄 황토와 쑥을 선택하여 카키색, (46)은 무분쇄 황토와 숯을 선택하여 쥐색으로 '황토복합천연염색'을 한 면직물 패드로서 좋은 보기가 되고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언급된 천연식물 염료 이외의 화학색소를 선택하여 황토와의 복 합염색을 하여 색을 내는 것은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것으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토복합천연염색' 방법으로 염색을 할 경우에는
첫째로 천연식물로 사용한 천연식물 염료는 약재로도 사용되는 것으로 민간 치료 요법에 자연염색이 활용되어 전해져 오고 있는 것들이다. 피부에 부스럼이 생겼을 때 화학섬유에 화학염색을 한 소재로 한 옷을 입으면 부스럼이 커지지만, 천연섬유에 천연염료로 천연염색 한 것을 입으면 어느 정도 약효가 있다. 황토로 천연염색을 하면 피부병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생체 활동을 촉진시키는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건강에 좋다. 치자는 열을 내리는 성질이 있어 민간에서는 멍이 들거나 삔 곳에 밀가루로 반죽하여 붙였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소목으로 천연 염색한 이불을 만들어 덮고 자면 좋다. 이와 같은 효과를 황토와의 복합천연염색으로 황토의 순 기능적인 효과에 천연식물의 약재 효과도 함께 복합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우수한 소재의 기능성 면직물을 얻을 수 있다.
둘째로 황토와 천연식물인 천연식물 염료를 이용하여 복합천연염색을 함으로 황토 만으로 염색할 때의 단순한 황토색의 일변도에서 탈피하여 여러 가지 색을 표현함으로 다양한 디자인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며 도2, 도3, 도4의 '황토복합천연염색'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보인 것과 같이 노란색, 쑥색, 적별돌색 등의 다양한 색 연출로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기회 제공의 효과가 있다.
셋째로 일반적인 화학염색 공장에서는 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폐수에 황토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중금속을 흡착시키는 방법으로 황토를 살포하기도 한다. 이는 황토의 흡착력으로 중금속을 흡착하여 가라 앉혀서 케이크 상태가 된 황토를 제거하면 어느 정도의 중금속을 폐수에서 제거할 수 있는 친 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이는 면직물에 황토와 천연식물 염료를 이용하여 '황토복합천연염색'을 함으로 인체에는 전혀 무해한 기능을 기대할 수 있고 환경에는 어떠한 영향도 없는 상당한 환경 친화적인 염색의 방법이다.
넷째로 염색에 이용하는 황토를 분쇄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자연 건조시킨 후 송풍기를 통해 미세한 황토만을 채취함으로 황토 본연의 염색에 필요한 점질을 충분히 유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천연식물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것은 미세한 천연식물 염료의 입자에서 색소를 축출하는데 시간의 단축을 가져옴으로 한번의 염색 과정으로도 '황토복합천연염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천연식물 염료가 가지고 있는 색소 성분을 천연식물 염료의 입자가 작음으로 색소를 완전하게 축출하여 원하는 색상과 시간의 단축으로 작업 공정의 수월성을 보장할 수 있다. 천연염색은 오랜 시간과 까다로운 작업 공정을 거침으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의 보상으로 천연염색의 제품이 비싸질 수 밖에 없는 요인이 있으나 본 발명은 시간의 단축과 수월한 작업 공정으로 대량 생산에 의한 원가의 절감으로 보다 값이 저렴하며 질이 좋은 환경 친화적인 천연염색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우수한 발명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 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3)

  1. 자연에서 채취한 황토를 자연 건조 후 바람을 이용해 날려 멀리 날아간 300∼3,000메시 정도의 미세한 입자를 채취한 무분쇄 황토 5%∼50%o.w.f와 50∼500메시 정도로 미세하게 분쇄시킨 천연 식물 염료 5%∼50% o.w.f을 함께 혼합한 황토복합천연염재를 제조하여 면직물 무게의 5%∼70%o.w.f를 물에 풀어 염액으로 만들어 일욕하면 면직물에 황토의 고착과 천연식물 염료의 색소 흡수가 동시에 이루어짐으로 한번에 황토천연염색의 바탕에 천연식물 염료로 여러 가지 천연색을 표현할 수 있는 '황토복합천연염색' 방법.
  2. 청구항 1항에 의하여 '황토복합천연염색' 방법으로 염색한 면직물.
  3. 삭제
KR1020050046245A 2005-01-13 2005-05-31 ‘황토복합천연염색’의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염색한면직물 KR1006812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03511 2005-01-13
KR1020050003511 2005-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777A KR20060082777A (ko) 2006-07-19
KR100681271B1 true KR100681271B1 (ko) 2007-02-12

Family

ID=3717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245A KR100681271B1 (ko) 2005-01-13 2005-05-31 ‘황토복합천연염색’의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염색한면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2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62501C (zh) * 2006-09-22 2009-02-18 大连轻工业学院 天然植物染料的黄(红)土媒染剂及其使用方法
CN101851868B (zh) * 2010-03-09 2011-11-09 常州耀春格瑞纺织品有限公司 桑椹红天然染料染棉织物的生态染色方法
KR101312940B1 (ko) * 2011-04-28 2013-10-01 영농조합법인 산새미 천연 염료로 염색된 마피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마피
KR101332255B1 (ko) * 2012-02-16 2013-11-25 주식회사영신물산 강황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974B1 (ko) * 1994-09-28 1997-11-10 김준웅 복합직물의 일욕 염색방법
KR20010106287A (ko) * 2001-07-23 2001-11-29 김현덕 색토염색과 식물염색을 결합한 천연 염색방법 및 그염색된 천연직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974B1 (ko) * 1994-09-28 1997-11-10 김준웅 복합직물의 일욕 염색방법
KR20010106287A (ko) * 2001-07-23 2001-11-29 김현덕 색토염색과 식물염색을 결합한 천연 염색방법 및 그염색된 천연직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1219740000 *
102001010628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777A (ko)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ravanan et al. Dyeing of silk with ecofriendly natural dye obtained from barks of Ficus Religiosa. L
KR100681271B1 (ko) ‘황토복합천연염색’의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염색한면직물
CN102986995A (zh) 一种黄秋葵养生保健茶及其制备方法
US20150000050A1 (en) Tobacco Plant Derived Dye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CN105017800A (zh) 一种天然艾草植物染料的制备方法、其染料及应用
CN106906674A (zh) 一种天然植物提取液染色马海毛纤维的方法
CN102493219A (zh) 一种基于橘子皮的抗紫外羊毛、蚕丝纺织品的生态制备方法
Duerr Natural color: vibrant plant dye projects for your home and wardrobe
CN106752028A (zh) 一种抗菌咖啡渣保健铅笔笔杆及其制备方法
KR100930885B1 (ko) 보리잎 분말 천연염료의 제조방법
JP2015519434A (ja) タバコ植物由来の染料及びその作製方法
KR100496498B1 (ko) 대나무 숯을 이용한 염료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CN106752025A (zh) 一种清香咖啡渣保健铅笔笔杆及其制备方法
CN101880468A (zh) 韭莲蒴果天然染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6147289A (zh) 荔枝枝叶液体植物染液的制备方法及作为染色剂的应用
KR102438707B1 (ko) 기능성 쪽염색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기능성 쪽염색 마스크
CN106752030A (zh) 一种海藻碳改性咖啡渣保健铅笔笔杆及其制备方法
CN103215151B (zh) 矢车菊低刺激护肤香皂
KR200394283Y1 (ko) 쑥으로 염색한 주방용타올
Nithya et al. Extraction and application of natural dye and fragrance finish on fabric
CN106752023A (zh) 一种防辐射咖啡渣保健铅笔笔杆及其制备方法
CN106859164A (zh) 一种止痒保健草席的制备方法
JP2004238771A (ja) 繊維の染色方法および染色物並びに肌着
CN106700586A (zh) 一种防臭咖啡渣保健铅笔笔杆及其制备方法
Sharma Herbal Textile: A boon to textile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