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899B1 -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899B1
KR100680899B1 KR20050088267A KR20050088267A KR100680899B1 KR 100680899 B1 KR100680899 B1 KR 100680899B1 KR 20050088267 A KR20050088267 A KR 20050088267A KR 20050088267 A KR20050088267 A KR 20050088267A KR 100680899 B1 KR100680899 B1 KR 100680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microbial
microbial carriers
sludge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88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백금
조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Priority to KR20050088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장치 및 방법은 하폐수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된 담체본체의 외측면에는 하폐수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접촉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내측의 중공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접촉돌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미생물 담체가 충전되고 배출구에는 담체유실방지망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공기공급관이 설치된 호기조와, 상기 호기조에서 배출되는 처리수가 유입되며 하부에는 침전된 슬러지를 수거하는 슬러지수거기가 설치된 침전조로 구성되어,대단히 높은 비표면적을 가지게 되므로서 고농도의 미생물을 담체에 서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서 활성슬러지와 동일한 부유미생물 농도조건하에서도 F/M비를 크게 낮출수 있게 되며 고부하시에도 안정적으로 BOD제거가 가능하게 되고, 슬러지의 팽화현상이 없게 되며 고효율의 질산화를 유지할 수 있으며 동절기에도 질산화율이 뛰어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장치 및 방법{Filte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polluted water and sewage using Microbial Carriers}
도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생물 담체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미생물 담체의 미생물 서식상태를 도시한 미생물 담체의 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를 하기 위한 하폐수처리장치의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를 하기 위한 하폐수처리장치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담체본체 2. 호기조
3. 침전조 11. 중공부
12. 접촉부 13. 접촉돌조
13' 지지간 21. 담체유실방지망
22. 공기공급관
본 발명은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생물반응조는 호기조로 구성되며 호기조에 비표면적이 넓은 미생물 담체를 충진하므로서 미생물량을 증가시켜 고부하 및 충격부하에서도 슬러지의 팽화현상이 없이 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우수한 제거효율을 가지며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짧게 유지하면서도 안정되게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유기성 하폐수처리(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하폐수'라는 용어는 하수, 오수, 폐수 등의 정화가 필요한 오염물질이 내포된 오염수를 총칭하는 의미로 이하에 사용된다)로서 생물학적 처리가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활성오니법이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활성오니법은 침전층에 있어서 고형물의 침전성이 좋아지는 반면, 사상균의 번식 등으로 인하여 오니발생얄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오니처리비용이 커지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 방법의 경우에는 폐수량, 부하변동 및 독성물질 등의 유입에 의하여 충격부하현상이 일어나서 처리효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철수여상법 및 회전원판접촉법 등의 오수처리법이 시험되었지만 이러한 방법 모두 미생물이 이탈되거나 동절기에 동결되는 불편뿐만이 아니라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활성오니법에서 사용되는 미생물 담체는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있으나 거의 공통적으로 여러 방향의 평면을 교차시켜 대단히 복잡한 형태를 갖게 하여 미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미생물 담체는 그 형태가 대단히 복잡하여 제조가 어려워 제조가가 높으며 여러 방향의 평면이 교차하므로 오폐수처리수조내의 오폐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미생물이 번식할 공간이 적게 되어 미생물이 처리수와 함께 유실되어 수처리효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호기조에 비표면적이 넓은 미생물 담체를 충진함으로써 미생물량을 증가시켜 고부하의 유기물 유입시에도 슬러지 팽화현상이 없이 뛰어나 제거효율을 높이고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짧게 유지하면서 안정되게 처리효율을 얻을 수 있는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하폐수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된 담체본체의 외측면에는 하폐수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접촉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내측의 중공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접촉돌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미생물 담체가 충전되고 배출구에는 담체유실방지망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공기공급관이 설치된 호기조와, 상기 호기조에서 배출되는 처리수가 유입되며 하부에는 침전된 슬러지를 수거하는 슬러지수거기가 설치된 침전조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의 장치 및 방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보다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생물 담체(A)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폐수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개방된 중공부(11)가 형성된 담체본체(1)의 외측면에는 하폐수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접촉홈(12)이 연속적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중공부(11)의 내측에는 내향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접촉돌조(1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홈(12)은 14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그 수는 필요에 따라서 증감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접촉홈(12)은 하폐수의 원활한 흐름을 위하여 반원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삼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다는 형상으로 성형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생물 담체(A)의 중공부(11)의 내측에는 4개의 접촉돌조(13)가 형성되고, 미생물 담체(A)의 구조를 보강하면서 미생물의 접촉면적이 최대로 되도록 중공부(11)의 내측에 직각으로 교차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지지간(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미생물 담체(A)의 직경은 20mm이고, 길이는 16mm로 제조되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미생물 담체(A)의 비표면적은 640㎡/㎡으로 대단히 높은 비표면적을 가지게 되므로서 단위체적당 미생물의 양을 상당히 높일 수 있게 되어 호기조의 크기를 크게 줄일 수 있데 되는 것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생물(4)이 곡선으로 둘러싸인 다수의 서식공간에서 서식하게 되므로 단위면적당의 미생물서식량이 대단히 높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장치(B)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폐수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개방된 중공부(11)가 형성된 담체본체(1)의 외측면에는 하폐수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접촉홈(12)이 연속적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중공부(11)의 내측에는 내향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접촉돌조(13)가 형성 미생물 담체(A)가 충진율이 15~20%가 되도록 충전되고 배출구에는 담체유실방지망(21)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공기공급관(22)이 설치된 호기조(2)와, 상기 호기조(2)에서 배출되는 처리수가 유입되며 하부에는 침전된 슬러지를 수거하는 슬러지수거기(31)가 설치된 침전조(3)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장치(C)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기조(2)와, 침전조(3)이외에 호기조(2)에 선행되는 위치에 혐기조(5)와 무산소조(6)가 설치되어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 하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장치 및 방법의 작용효과를 이하에 상세히 기술한다.
하폐수가 호기조(2)내로 유입되고 미생물 담체(A)가 호기조(2)내에 호기조용적의 15~20%가 충진되어 있으며 호기조내의 하폐수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2~4시간이며 운전 MLSS농도가 3,500~4,500mg/l이고 F/M 비는 0.15~0.3 kg-BOD/kg.MLSS 이고 침전조(3)에서는 수리학적 체류시간은 3~4시간으로 하고 슬러지 반송비는 50~100%로하고 수면적 부하는 15~20m³/㎡ 하여 운전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생물 담체(A)는 비표면적은 640㎡/㎡으로 대단히 높은 비표면적을 가지게 되므로서 호기조내에 15~20%정도만을 충진시키더라도 그 효과를 충분하게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호기조(2)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서 필요한 소요부지면적도 줄어들게 되고 시설비도 절감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담체(A)는 비표면적은 640㎡/㎡으로 대단히 높은 비표면적을 가지게 되므로서 고농도의 미생물을 담체에 서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서 활성슬러지와 동일한 부유미생물 농도조건하에서도 F/M비를 크게 낮출수 있게 되며 고부하시에도 안정적으로 BOD제거가 가능하게 되고, 슬러지의 팽화현상이 없게 되며 고효율의 질산화를 유지할 수 있으며 동절기에도 질산화율이 뛰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장치 및 방법은 하폐수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된 담체본체의 외측면에는 하폐수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접촉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내측의 중공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접촉돌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미생물 담체가 충전되고 배출구에는 담체유실방지망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공기공급관이 설치된 호기조와, 상기 호기조에서 배출되는 처리수가 유입되며 하부에는 침전된 슬러지를 수거하는 슬러지수거기가 설치된 침전조로 구성되어,대단히 높은 비표면적을 가지게 되므로서 고 농도의 미생물을 담체에 서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서 활성슬러지와 동일한 부유미생물 농도조건하에서도 F/M비를 크게 낮출수 있게 되며 고부하시에도 안정적으로 BOD제거가 가능하게 되고, 슬러지의 팽화현상이 없게 되며 고효율의 질산화를 유지할 수 있으며 동절기에도 질산화율이 뛰어나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하폐수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개방된 중공부(11)가 형성된 담체본체(1)의 외측면에는 하폐수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접촉홈(12)이 연속적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중공부(11)의 내측에는 내향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접촉돌조(13)가 형성 미생물 담체(A)가 충진율이 15~20%가 되도록 충전되고 배출구에는 담체유실방지망(21)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공기공급관(22)이 설치된 호기조(2)와, 상기 호기조(2)에서 배출되는 처리수가 유입되며 하부에는 침전된 슬러지를 수거하는 슬러지수거기(31)가 설치된 침전조(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장치
  2. 삭제
KR20050088267A 2005-09-22 2005-09-22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680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88267A KR100680899B1 (ko) 2005-09-22 2005-09-22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88267A KR100680899B1 (ko) 2005-09-22 2005-09-22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899B1 true KR100680899B1 (ko) 2007-02-08

Family

ID=38105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88267A KR100680899B1 (ko) 2005-09-22 2005-09-22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8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130B1 (ko) * 2010-04-07 2010-10-11 (주)상록이티씨 유동상 담체 및 유동상 담체와 바이오리액터를 이용한 악취 저감 수처리공법
CZ305100B6 (cs) * 2007-09-17 2015-05-06 Pro-Aqua Cz, S. R. O. Způsob potlačování vláknitého bytnění aktivovaného kalu u aktivačního procesu biologického čištění odpadních vod
KR20170016126A (ko) 2015-08-03 2017-02-13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하폐수 처리용 미생물 담체 제조방법
CN108059243A (zh) * 2017-12-22 2018-05-22 安徽工业大学 一种含有圆管填料的水处理装置及使用方法
CN117125812A (zh) * 2023-09-13 2023-11-28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无污泥好氧池微生物生态修复发生系统及其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271A (ko) * 2002-02-05 2003-08-09 강용태 하수고도처리 asam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271A (ko) * 2002-02-05 2003-08-09 강용태 하수고도처리 asam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66271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5100B6 (cs) * 2007-09-17 2015-05-06 Pro-Aqua Cz, S. R. O. Způsob potlačování vláknitého bytnění aktivovaného kalu u aktivačního procesu biologického čištění odpadních vod
KR100987130B1 (ko) * 2010-04-07 2010-10-11 (주)상록이티씨 유동상 담체 및 유동상 담체와 바이오리액터를 이용한 악취 저감 수처리공법
KR20170016126A (ko) 2015-08-03 2017-02-13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하폐수 처리용 미생물 담체 제조방법
CN108059243A (zh) * 2017-12-22 2018-05-22 安徽工业大学 一种含有圆管填料的水处理装置及使用方法
CN117125812A (zh) * 2023-09-13 2023-11-28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无污泥好氧池微生物生态修复发生系统及其制作方法
CN117125812B (zh) * 2023-09-13 2024-05-17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无污泥好氧池微生物发生系统及其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19893C1 (ru) Несу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качестве носителя микробиологической пленки и реактор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US7582211B2 (en) Bacteria growth devic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associated thereto
KR100680899B1 (ko)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장치 및 방법
JP2000246283A (ja) 有用植物を用いた水質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CN210505976U (zh) 一种生活污水处理系统
US20100326904A1 (en) Wastewater treatment
CN111056700A (zh) 用于微污染水体修复的新型复合湿地系统
CN105439286B (zh) 一种垂直流污水生态处理系统
JP2005074407A (ja) 水質浄化施設
CN105236687A (zh) 自清式微曝气竖向折流湿地污水处理装置及方法
CN109879536B (zh) 一种农村生活污水净化系统及净化方法
KR100873052B1 (ko) 개방형 오폐수 및 하수 처리장치
Awuah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UASB sewage treatment plant at James Town (Mudor), Accra
KR100424289B1 (ko) 정화처리용 자연평형 수직흐름형 인공습지 설비
JP2004276011A (ja) 浮島型水質浄化処理装置
KR100381901B1 (ko) 접촉산화방법을 이용한 오염심화 하천수 및 하수, 오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처리시스템
KR20070033757A (ko) 미생물 담체
CN205635077U (zh) 一种人造生态净水装置
CN206494823U (zh) 一种污水处理设备
KR200357625Y1 (ko) 자연친화형 접촉순환 하수처리장치
CN214936420U (zh) 厌氧-滴滤曝气-潜流湿地结合的污水处理系统
CN215049492U (zh) 一种利用菖蒲的土壤覆盖式微生物处理污水装置
KR101372569B1 (ko) 분기가능한 분배장치를 가진 침출수 처리장치
CN210711184U (zh) 一种村庄建筑灰水收集与处理设施
CN210150906U (zh) 一种改良型生活污水净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