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318B1 -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 - Google Patents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318B1
KR100680318B1 KR1020050124253A KR20050124253A KR100680318B1 KR 100680318 B1 KR100680318 B1 KR 100680318B1 KR 1020050124253 A KR1020050124253 A KR 1020050124253A KR 20050124253 A KR20050124253 A KR 20050124253A KR 100680318 B1 KR100680318 B1 KR 100680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natant
weight
parts
enzyme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현
조갑연
이종수
염동길
Original Assignee
최성현
청미바이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현, 청미바이오(주) filed Critical 최성현
Priority to KR1020050124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38Chemical stimulation of growth or activity by addition of chemical compounds which are not essential growth factors; Stimulation of growth by removal of a chemical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70Undefined extracts
    • C12N2500/74Undefined extracts from fungi, e.g. yea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에 관한 것으로, (a) 카제인을 정화수에 현탁하고, 상기 현탁액에 강염기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면서 가열하는 가수분해 단계; (b) 상기 가수분해물을 중화 단계; (c) 상기 중화물을 판크레아틴 효소와 반응시켜 분해하는 효소처리 단계; (d) 상기 효소처리액의 효소 반응을 중지시키고, 이를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분리하는 상징액 수득 단계; 및 (e) 상기 상징액을 냉동 건조시키고, 이를 분쇄하는 분말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 트립톤; 및
(a) 정제 콩 단백질을 정화수에 현탁하고, 상기 현탁액을 교반하여 점성화시키는 점성화 단계; (b) 상기 점성액을 파파인 효소로 분해하는 1차 효소처리 단계; (c) 상기 1차 효소처리액을 판크레아틴 효소로 분해하는 2차 효소처리 단계; (d) 상기 2차 효소처리액의 효소 반응을 중지시키고, 이를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분리하는 상징액 수득 단계; 및 (e) 상기 상징액을 냉동건조시키고, 이를 분쇄하는 분말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 소이톤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영양성분과
(a) 돼지고기를 용기에 물과 함께 넣고 삶아 고기 국물을 우려내는 육수제조 단계; (b) 상기 제조된 육수에 프로테아제로 처리하는 효소처리 단계; (c) 상기 효소 처리액을 식히고 여과하여 오일성분을 제거하고, 이를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분리하는 상징액 수득 단계; (d) 상기 상징액을 냉동건조시키고, 이를 분쇄하는 분말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 육수 펩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를 제공하여, 우수한 품질과 가격 경쟁력으로 독점에 가까운 외국 제품을 대체하고, 외화절감은 물론 수출로 인한 외화 획득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영양배지, 트립톤, 소이톤, 펩톤

Description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Nutrient broth for culturing of microorganism}
도 1은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검은색)과 종래 영양배지(흰색)에 대하여, 균주별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S 62(동그라미),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세모),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KCTC 1621(네모)의 생육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균주별로 본 발명의 영양 고체 배지(Medium Ⅱ)와 종래 고체 배지(Medium Ⅰ)에서 생장한 콜로니 상태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S 62(A),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KCTC 1621(C), 대장균 O157(a), 크렙시엘라 뉴모니아 NGRI G-1(b),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TISTR 292(c) 및 대장균 TISTR 527(d)로 나타낸 배지 사진이다.
본 발명은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트립톤, 소이톤 및 펩톤을 사용함으로써, 종래 제품과 비교하여 가격은 저렴하면서 매우 우수한 품질을 가지는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에 관한 것이다.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CGUG 42687(Lactobacillus sakei CGUG 42687)의 pH 조건별 배양에서 박테리오신 사카신 P(bacteriocin Sakacin P)의 생산에 미치는 공정상 조건과 생육활동에 관해 연구되었는데,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의 첨가농도를 높임에 따라 생육은 증가되었고, 사카신 P의 비생산성은 증가되었다. 그리고, 트립톤(Tryptone)의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서도 사카신 P의 생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Asen, I. M., T. Moretro, T. Katla, L. Axelsson, I. Storro. Influence of complex nutrients, temperature and pH on bacteriocin production by Lactobacillus sakei CCUG 42687. Appl. Microbiol. Biotechnol. 53, 159-166 (2000)).
그리고 수은을 포함한 금속의 독성을 여러 가지 배지에서 조사하였는데, 배지 중에 용해성 유기물의 첨가는 바이오어세이(bioassay)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금속의 독작용에 관한 배지 조성의 영향이 금속이온에 따라 다르지만, 개별 금속 리간드(ligand) 종류의 영향은 아직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그리고, 기초 무기이온과 0.1% 글리세롤(glycerol)이 함유된 배지에 여러 가지 단백질 분해물, Difco 소고기 추출물(beef extract), 카사미노산(Casamino acids), 펩톤(peptone), 소이톤(soytone), 트립톤(tryptone) 및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를 첨가시키고 이들 배지의 양이온, 음이온, 아미노산 종류가 분석하였는 데, 이 결과들은 Hg(Ⅱ)의 배지 중 농도와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Pseudomonas fluorescens)의 생육도를 조사하기 위한 요소(factor)로 사용하고 있다(Farrell, R. E., J. J. Germida, H. P. Ming. Effects of chemical speciation in growth media on the toxicity of mercury(Ⅱ). Appl. Environ. Microbiol. 59, 1507-1514 (1993)).
또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에 의한 젖산의 경제적 생산을 위해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의 대체성분으로 대두콩(soybean)의 영향이 연구하였는데, 적당한 비타민 보충제로서 대두의 효소분해물인 소이톤(soytone)은 포도당 또는 젖당으로부터 젖산(lactic acid) 생산에 크게 효과가 있었음이 증명되었다(Kwon, S., P. C. Lee, E. G. Lee, Y. K. Chang, N. Chang. Production of lactic acid by Lactobacillus rhamnosus with vitamin-supplemented soybean hydrolysate. Enzyme & Microbial Technol., 26, 209-215 (2000)).
이와 같이, 미생물의 배양에 있어서, 배지의 성분의 조성에 따라 미생물의 생육은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이로부터 미생물의 생산 물질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산업에 이용하는 미생물일 경우에는 배지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새로운 배지의 개발은 그 부가가치 또한 높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미생물 배양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상업적 배지는 대부분이 외국에서 수입되고 있어, 국내 기술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미생물의 배양용 영양배지(nutrient broth)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새로운 배지의 개발을 위해서는 그 조성과 농도 등이 고려되어야 하 며 기존 배지의 특성에 버금가는 생육효과가 검증되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외국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미생물들이 영양성분을 잘 이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제조방법으로 생산한 트립톤, 소이톤 및 펩톤을 영양배지의 영양성분으로 사용하고, 이의 영양배지가 종래 영양배지와 비교하여 생육도가 우수함을 증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트립톤, 소이톤 및 펩톤을 사용한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카제인을 정화수에 현탁하고, 상기 현탁액에 강염기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면서 가열하는 가수분해 단계; (b) 상기 가수분해물을 중화 단계; (c) 상기 중화물을 판크레아틴 효소와 반응시켜 분해하는 효소처리 단계; (d) 상기 효소처리액의 효소 반응을 중지시키고, 이를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분리하는 상징액 수득 단계; 및 (e) 상기 상징액을 냉동 건조시키고, 이를 분쇄하는 분말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 트립톤; 및
(a) 정제 콩 단백질을 정화수에 현탁하고, 상기 현탁액을 교반하여 점성화시 키는 점성화 단계; (b) 상기 점성액을 파파인 효소로 분해하는 1차 효소처리 단계; (c) 상기 1차 효소처리액을 판크레아틴 효소로 분해하는 2차 효소처리 단계; (d) 상기 2차 효소처리액의 효소 반응을 중지시키고, 이를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분리하는 상징액 수득 단계; 및 (e) 상기 상징액을 냉동건조시키고, 이를 분쇄하는 분말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 소이톤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영양성분과
(a) 돼지고기를 용기에 물과 함께 넣고 삶아 고기 국물을 우려내는 육수제조 단계; (b) 상기 제조된 육수에 프로테아제로 처리하는 효소처리 단계; (c) 상기 효소 처리액을 식히고 여과하여 오일성분을 제거하고, 이를 원심분리 하여 상징액을 분리하는 상징액 수득 단계; (d) 상기 상징액을 냉동건조시키고, 이를 분쇄하는 분말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 육수 펩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여기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규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육수 펩톤, 트립톤 및 소이톤을 배양액의 영양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종래 외국기업에서 거의 독점적으로 국내에 판매되고 있는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nutrient broth)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영양배지를 개발하고 이를 상품화하여 외화낭비를 억제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성장에 있어서, 종래 외국 기업의 제품과 비교하여 생육 효과가 우수하여 미생물 배양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트립톤, 소이톤 및 펩톤의 제조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트립톤(trypton)
트립톤은 일반적으로 카제인을 판크레아틴 효소로 분해한 분해물을 총칭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먼저 강염기로 가수분해를 한 다음, 이를 중화한 후, 판크레아틴 효소로 처리함으로써, 미생물이 보다 영양분을 잘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a) 카제인을 정화수에 현탁하고, 상기 현탁액에 6N NaOH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면서 가열하는 가수분해 단계; (b) 상기 가수분해물을 pH 7.0으로 하는 중화 단계; (c) 상기 중화물에 카제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의 판크레아틴 효소를 첨가하여 30~45℃에서 교반하면서 4~5시간 동안 분해하는 효소처리 단계; (d) 상기 효소처리액을 90~100℃에서 5~15분간 처리하여 반응을 중지시키고, 이를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분리하는 상징액 수득 단계; 및 (e) 상기 상징액을 냉동건조시키고, 이를 분쇄하는 분말화 단계를 거쳐 제조한 것을 사용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카제인을 6N NaOH(수산화나트륨)의 강염기로 먼저 가수분해함으로써, 판크레아틴이 보다 잘 분해할 수 있는 상태로 존재하게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100g의 카제인 기준으로 5g의 판크레아틴이 카제인 가수분해 산물의 대부분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최적 반응 온도 범위인 30~45℃에서 교반하면서 4~5시간 동안 분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소이톤(Soyton)
소이톤은 일반적으로 콩을 파파인(papain) 효소로 분해한 산물을 총칭하는 데, 본 발명에서는 미생물이 보다 영양분을 잘 이용할 수 있도록 파파인으로 1차 효소 분해하고 상기 1차 효소 분해물을 다시 판크레아틴으로 분해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a) 정제 콩 단백질을 정화수에 현탁하고, 상기 현탁액을 50~70℃에서 20~40 분간 교반하여 현탁액을 점성화시키는 점성화 단계; (b) 상기 점성액에 정제 콩 단백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의 파파인 효소를 첨가하고 30~45℃에서 교반하면서 2~3시간 동안 분해하는 1차 효소처리 단계; (c) 상기 1차 효소처리액에 정제 콩 단백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의 판크레아틴 효소를 첨가하고 30~45℃에서 교반하면서 6~8시간 동안 분해하는 2차 효소처리 단계; (d) 상기 2차 효소처리액을 90~100℃에서 5~15분간 처리하여 반응을 중지시키고, 이를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분리하는 상징액 수득 단계; 및 (e) 상기 상징액을 냉동건 조시키고, 이를 분쇄하는 분말화 단계; 를 거쳐 제조한 소이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100g의 정제 콩 단백질 기준으로 5g의 파파인이 콩 단백질을 충분히 분해하기 위해서 최적 반응 온도 범위인 30~45℃에서 교반하면서 2~3시간 동안 분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파파인 효소처리액을 2g의 판크레아틴이 충분히 분해하기 위해서는 6~8시간 동안 분해하여 1, 2차 효소 처리에 의해 미생물이 보다 영양성분을 잘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육수 펩톤(Meat peptone)
펩톤은 일반적으로 고기에 산이나 염기 또는 효소를 적절히 사용하여 분해함으로써, 박테리아가 생장하는 데 매우 유용한 아미노산과 질소화합물을 제공하는 영양성분을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돼지고기를 사용하였으며, 고기 분말을 사용하는 대신에 고기를 삶아서 우려낸 육수를 프로테아제(바실러스 유래의 단백질 분해효소)로 처리하여 트립톤이나 소이톤에는 없거나 많이 필요한 영양분을 미생물에 보강하기 위해 사용한다.
즉, (a) 돼지고기를 용기에 물과 함께 넣고 4~6 시간동안 삶아 육수제조 단계; (b) 상기 제조된 육수에 돼지고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1중량부의 바실러스균 유래의 프로테아제를 첨가하고 40~50℃에서 3~5시간 동안 교반하여 처리하는 효소처리 단계; (c) 상기 효소 처리액을 식히고 여과하여 오일성분을 제거하고, 이를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분리하는 상징액 수득 단계; (d) 상기 상징액을 냉동건 조시키고, 이를 분쇄하는 분말화 단계;를 거쳐 제조한 육수 펩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트립톤, 소이톤 및 펩톤은 증류수 1,000㎖ 기준으로 트립톤 2~15g과 수육 펩톤 1~10g를 사용하거나 소이톤 2~15g과 수육 펩톤 1~10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트립톤 또는 소이톤의 사용범위와 이를 지지하는 수육 펩톤의 사용 범위가 최적의 미생물 생육도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제조예] 재료 공시
소이톤 제조용 원료는 정제 콩 단백질(Isolated Soy Protein, ISP; Supro 1500)을, 트립톤의 제조용 원료는 카제인(casein, 덕산화학 주식회사)을 각각 사용하였으며, 펩톤은 시중 정육점에서 파는 지방 부분을 제거한 제주산 돼지고기 등심부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사용 효소로 프로테아제는 프로타멕스(Protamex, Novo nordisk, Denmark), 파파인(papain, from papaya latex, Sigma P-3375), 판크레아틴(pancreatin, from porcine pancreas, Sigma P-7545)를 사용하였다.
[제조예 1] 트립톤
카제인 100g을 700㎖의 정화수에 현탁하고, 상기 현탁액에 25㎖의 6N NaOH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면서 가열하여 가수분해하고, 상기 가수분해물을 6N의 염산을 사용하여 pH 7.0로 중화한 후, 상기 중화물을 5g의 판크레아틴 효소에 40℃에서 200rpm으로 교반하면서 4시간 동안 분해시키고, 상기 효소처리액을 90℃에서 10분간 처리하여 반응을 중지시키고, 이를 원심분리(6,000rpm, 10분)하여 930㎖의 상징액을 수득하고, 수득된 상징액을 냉동건조시키고 이를 분쇄하여 트립톤 분말 105.2g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소이톤
100g 기준인 정제 콩 단백질을 900㎖의 정화수에 현탁하고, 상기 현탁액을 60℃에서 30분간 핫 플레이트에서 마그네틱 바로 교반하여 현탁액을 점성화시키고, 상기 점성액을 5g의 파파인 효소에 40℃에서 200rpm으로 교반하면서 3시간 동안 분해하고, 상기 효소처리액을 2g의 판크레아틴 효소에 40℃에서 200rpm으로 교반하면서 7.5시간 동안 분해한 후, 상기 판크레아틴 효소처리액을 90℃에서 10분간 처리하여 반응을 중지시키고, 이를 원심분리하여 상징액 700㎖을 수득하고, 상기 상징액을 냉동건조시키고, 이를 분쇄하여 소이톤 분말 63.6g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펩톤
1.2 kg 기준인 돼지고기 살코기를 용기에 물과 함께 넣고 5.5시간 동안 삶아 1.5 ℓ의 육수를 제조하고, 상기 육수에 10.6 g의 바실러스균 유래의 프로테아제를 50℃에서 4시간 동안 150rpm으로 교반하여 효소처리하고, 상기 효소 처리액을 4℃에서 식혀서 기름성분을 분리하고, 이를 여과하여 오일성분을 제거한 후, 이를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분리 및 냉동건조시키고 분쇄하여 펩톤 40.5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트립톤, 소이톤, 육수 펩톤의 성질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트립톤, 소이톤, 육수 펩톤의 성질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5073570775-pat00001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제조예 1 내지 3에서 제작된 트립톤, 소이톤, 육수 펩톤은 모두 용해성이 좋았으며 수분함량은 육수 펩톤을 제외하고는 2.0% 내외였으나 육수 펩톤은 흡습성이 커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수분함량이 증가 하였다. 총당함량은 트립톤, 소이톤, 육수 펩톤이 각각 1.68, 1.56, 2.25%로 낮은 값을 보였다. 트립톤, 소이톤, 육수 펩톤의 색상은 각각 흰색, 옅은 회색, 갈색을 띄었다.
[실시예 2] 트립톤, 소이톤의 아미노산 분석
한국 기초과학 지원 연구원에 의뢰하여 상기 제조예 1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트립톤과 소이톤의 아미노산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05073570775-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트립톤과 소이톤의 아미노산 분석 결과는 트립톤의 경우 프롤린(proline)의 함량이 가장 많고 글루탐산(glutamic acid), 트레오닌(threonine), 발린(valine) 등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소이톤의 경우는 글루탐산, 프롤린,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글리신(glycine) 순의 함량을 보였는데, 이중, 트립토판(tryptophan)의 함량은 특히 0.04%로 적게 나타나 배지의 영양성분으로 사용하여 미생물을 배양 시, 트립토판을 별도로 보충해 주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되었다.
[실시예 3, 비교예 1]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트립톤과 육수 펩톤을 사용하여 실시예 3의 시험제품 영양배지(nutrient broth)를 만들고, 비교예 1로는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Nutrient broth, DIFCO 사)와 비교실험을 하여, 미생물의 배양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 3의 배지의 조성은 하기 표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육수펩톤, 트립톤, 증류수를 포함하였다.
또한 실험대상 미생물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S 62( Bacillus subtilis BS 62),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 amyloliquefaciens),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KCTC 1621(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를 사용하였으며, 32℃에서 진탕 배양하며 시간별로 균체의 생육도를 측정하여 도 1에 도시하였다.
[표 3]
Figure 112005073570775-pat00003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Difco 영양배지(이하 NB라 함)와 실시 예 3의 NB를 사용하여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S 62,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KCTC 1621의 배양액을 660 nm에서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배양 초기(배양 10 시간 이내)에서는 이들 세 종류 균주의 생육이 비교 예 1의 Difco NB에서 약간 우세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실시 예 3의 NB에서 생육이 우세하였다.
또한 도 2에 상기 실시 예 3과 비교 예 1의 고체배지에서 콜로니의 형태를 관찰한 사진을 도시하였으며,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체배지에서 콜로니의 형태관찰 결과로서 실험에 사용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S 62, 바실러스 아밀리퀘파시엔,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KCTC 1621, 크렙시엘라 뉴모니아 NGRI G-1(Klebsiella pneumonia NGRI G-1), 대장균 0157(E. coli O157),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TISTR 292(Salmonella typhimurium TISTR 292), 대장균 TISTR 527(E. coli TISTR 527) 균주 모두가 실시예 3의 NB와 비교예 1의 Difco NB에서 양호한 생육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NB가 실제 상업용 배지로 제품화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는 종래 외국 제품과 비교하여 가격은 저렴하면서 생육도가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우수한 품질과 가격 경쟁력으로 독점에 가까운 외국 제품을 대체할 수 있어 외화절감은 물론 수출로 인한 외화 획득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Claims (3)

  1. (a) 카제인을 정화수에 현탁하고, 상기 현탁액에 6N NaOH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면서 가열하는 가수분해 단계; (b) 상기 가수분해물을 pH 7.0으로 하는 중화 단계; (c) 상기 중화물에 카제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의 판크레아틴 효소를 첨가하여 30~45℃에서 교반하면서 4~5시간 동안 분해하는 효소처리 단계; (d) 상기 효소처리액을 90~100℃에서 5~15분간 처리하여 반응을 중지시키고, 이를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분리하는 상징액 수득 단계; 및 (e) 상기 상징액을 냉동건조시키고, 이를 분쇄하는 분말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 트립톤; 및
    (a) 정제 콩 단백질을 정화수에 현탁하고, 상기 현탁액을 50~70℃에서 20~40 분간 교반하여 현탁액을 점성화시키는 점성화 단계; (b) 상기 점성액에 정제 콩 단백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의 파파인 효소를 첨가하고 30~45℃에서 교반하면서 2~3시간 동안 분해하는 1차 효소처리 단계; (c) 상기 1차 효소처리액에 정제 콩 단백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의 판크레아틴 효소를 첨가하고 30~45℃에서 교반하면서 6~8시간 동안 분해하는 2차 효소처리 단계; (d) 상기 2차 효소처리액을 90~100℃에서 5~15분간 처리하여 반응을 중지시키고, 이를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분리하는 상징액 수득 단계; 및 (e) 상기 상징액을 냉동건조시키고, 이를 분쇄하는 분말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 소이톤; 및
    (a) 돼지고기를 용기에 물과 함께 넣고 4~6 시간동안 삶아 육수제조 단계; (b) 상기 제조된 육수에 돼지고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1중량부의 바실러스균 유래의 프로테아제를 첨가하고 40~50℃에서 3~5시간 동안 교반하여 처리하는 효소처리 단계; (c) 상기 효소 처리액을 식히고 여과하여 오일성분을 제거하고, 이를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분리하는 상징액 수득 단계; (d) 상기 상징액을 냉동건조시키고, 이를 분쇄하는 분말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 육수 펩톤을 포함한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톤 2~15g과 수육 펩톤 1~10g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이톤 2~15g과 수육 펩톤 1~10g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
KR1020050124253A 2005-12-16 2005-12-16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 KR100680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253A KR100680318B1 (ko) 2005-12-16 2005-12-16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253A KR100680318B1 (ko) 2005-12-16 2005-12-16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318B1 true KR100680318B1 (ko) 2007-02-08

Family

ID=38105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253A KR100680318B1 (ko) 2005-12-16 2005-12-16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3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467B1 (ko) 2010-10-28 2011-05-12 이미성 밀기울과 곤약의 효소가수 분해물 함유 미생물 배양용 배지
KR20160127999A (ko) * 2015-04-28 2016-11-07 주식회사 대웅 보툴리눔 독소의 제조를 위한 배지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802A (ko) * 1996-10-05 1998-07-15 김광양 에리스로박터(Erythrobacter)속 신규 미생물
KR20000030381A (ko) * 2000-02-25 2000-06-05 박희용 현장에서 측정 가능한 미생물 검사 기구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75049A (ko) * 2001-03-23 2002-10-04 주식회사 제은 콘드로이틴 황산을 함유하는 신규 해양미생물 슈도모나스속(Pseudomons sp.) 에스파이-3(Sπ-3)의배양방법 및 이로부터 콘드로이틴 황산을 추출하는 방법
US20050186661A1 (en) 2004-02-20 2005-08-25 Rahman Raja Noor Zaliha A. Production of protease from Bacillus stearothermophilus F1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802A (ko) * 1996-10-05 1998-07-15 김광양 에리스로박터(Erythrobacter)속 신규 미생물
KR20000030381A (ko) * 2000-02-25 2000-06-05 박희용 현장에서 측정 가능한 미생물 검사 기구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75049A (ko) * 2001-03-23 2002-10-04 주식회사 제은 콘드로이틴 황산을 함유하는 신규 해양미생물 슈도모나스속(Pseudomons sp.) 에스파이-3(Sπ-3)의배양방법 및 이로부터 콘드로이틴 황산을 추출하는 방법
US20050186661A1 (en) 2004-02-20 2005-08-25 Rahman Raja Noor Zaliha A. Production of protease from Bacillus stearothermophilus F1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467B1 (ko) 2010-10-28 2011-05-12 이미성 밀기울과 곤약의 효소가수 분해물 함유 미생물 배양용 배지
KR20160127999A (ko) * 2015-04-28 2016-11-07 주식회사 대웅 보툴리눔 독소의 제조를 위한 배지 조성물
KR101723168B1 (ko) * 2015-04-28 2017-04-05 주식회사 대웅 보툴리눔 독소의 제조를 위한 배지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9545B2 (en) Bacillus sp. strain with improved productivity of fermented soybean meal and method for producing fermented soybean meal using the same
Singh et al. Growth and bioactive peptides production potential of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 C2 in soy milk: A LC-MS/MS based revelation for peptides biofunctionality
Gao et al. Acid-hydrolysis of fish wastes for lactic acid fermentation
US3932671A (en) Process for producing protein hydrolyzate
Lo et al. Production of keratinolytic enzyme by an indigenous feather–degrading strain Bacillus cereus Wu2
Visessanguan et al. Accelerated proteolysis of soy proteins during fermentation of thua‐nao inoculated with Bacillus subtilis
Yamashita et al. Plastein reaction for food protein improvement
Amadou et al. Optimized Lactobacillus plantarum Lp6 solid‐state fermentation and proteolytic hydrolysis improve some nutritional attributes of soybean protein meal
IL139809A (en) Production of hydrolyzate seasoning
JP2019054786A (ja) 細菌発酵羽毛粉末を調製するためのバチルス・サブティリス株及びその使用
US20160316786A1 (en) Method for Producing a Wheat Protein Hydrolysate
Triki-Ellouz et al. Biosynthesis of protease by Pseudomonas aeruginosa MN7 grown on fish substrate
Tuysuz et al. Bioconversion of waste sheep wool to microbial peptone by Bacillus licheniformis EY2
Sellami-Kamoun et al. Enhanced Bacillus cereus BG1 protease production by the use of sardinelle (Sardinella aurita) powder
KR100680318B1 (ko)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
Romero et al. Bioconversion of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CDDGS) to extracellular proteases and peptones
Lei et al. Evaluation of the hydrolysis specificity of protease from marine Exiguobacterium sp. SWJS2 via free amino acid analysis
US6589574B2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protein-hydrolysate from milk protein
US6767729B1 (en) Enzyme liquo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nzyme preparation protease preparations and protease-producing bacterium
Jain et al. Feather degradation by Streptomyces exfoliatus CFS 1068
US6495342B2 (en) Nitrogenous composition resulting from the hydrolysis of maize gluten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WO2018058801A1 (zh) 一种高分散性植物蛋白及其制备方法
Wang et al. Preparation of peptone from chicken bone residue by using natural pancreas as catalyst
Jeyasanta et al. Enhancement of alkaline protease production by Bacillus species through random mutagenesis
Baurin et al. Sunflower Protein Enzymatic Hydrolysates as a Medium for Vitamin B2 and B12 Biosynthe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