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032B1 -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장치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장치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032B1
KR100679032B1 KR1020050003705A KR20050003705A KR100679032B1 KR 100679032 B1 KR100679032 B1 KR 100679032B1 KR 1020050003705 A KR1020050003705 A KR 1020050003705A KR 20050003705 A KR20050003705 A KR 20050003705A KR 100679032 B1 KR100679032 B1 KR 100679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ignal
broadcast
passive optical
signal
subscriber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3025A (ko
Inventor
김건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3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03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3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 신호 재 전송 장치에서 위성/지상파/케이블/IP 방송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여 수동형 광 가입자망을 통해 재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방송 서비스별 셋탑박스를 구입하지 않고도 다양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수신 대역에 동조하고, 수신한 신호를 소정 대역의 주파수로 튜닝하여 출력하는 튜너와, 상기 튜너에서 제공된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된 방송 신호에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역다중화부와, 상기 추출된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패킷 형식으로 패킷화하는 패킷 생성부를 포함한다.
수동형 광 가입자 망, 방송 신호, IP 패킷, 방송 신호 재 전송 장치

Description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nsmting broadcast signal at passive optical network}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통상적인 수동형 광 가입자 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장치의 내부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방송 신호 재전송 장치 110 : 튜너
120 : 복조부 130 : 해독부
140 : 역다중화부 150 : 패킷 생성부
160 : 전송부
본 발명은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 신호 재 전송 장치에서 위성/지상파/케이블/IP 방송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여 수동형 광 가입자망을 통해 재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방송 서비스별 셋탑박스를 구입하지 않고도 다양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방송과 통신의 경계를 허무는 신규 융합형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방송과 통신의 융합은 방송망과 가입자 망의 구분이 불명확해지는 망의 융합과 함께 양자의 고유 서비스의 양태가 유사해지는 서비스 융합을 의미하며, 장기적으로는 양자의 구분이 없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과 브로드밴드의 보급 확산에 따라 초고속 광 가입자 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이 상용화될 추세이다. 그러나, 이와 연계된 다양한 방송 컨텐츠와 서비스의 보급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가입자 액세스 망은 음성과 저속 데이터 위주의 협대역(Narrow Band) 서비스를 위한 교환기와 단말기 간의 동선을 이용한 단순한 음성급 서비스가 주였으나, 최근 VOD(주문형 비디오), HDTV(디지털 TV), 라이브 스트리밍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광대역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광대역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로서 광 가입자 액세스 망과 시스템의 구축이 필수적 이며, 비용과 설비 측면에서 효율적인 수동형 광 가입자 망(Passive Optical Network: 이하, PON이라 한다)이 상용화 추세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통상적인 수동형 광 가입자 망의 구성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형 광 가입자 망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의 구성은, 위성/지상파/CATV/IP 방송 컨텐츠의 소스(10), Central Office(이하, CO라고 한다) 내의 Optical Line Terminal(이하, OLT라고 한다)(11), 분기가 이루어지는 스필터(Splitter)(12), 댁내의 Optical Network Terminator (이하, ONT라고 한다)(13), 가입자인 고객의 셋탑박스 및 TV 수신카드(14)와 출력용 디바이스(예를 들어, TV, PC 등)(15)를 포함한다.
위성/지상파/CATV/IP 방송 컨텐츠의 소스(10)는 각각의 방송사업자가 방송 컨텐츠를 제작/편집/편성하여 송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방송 컨텐츠를 위해 제작한 비디오/오디오/데이터 파일을 인코딩하는 수단, 비디오/오디오/데이터 파일을 한 덩어리의 신호로 합치는 수단(Multiplexer), 신호를 디지털 암호화하는 수단(Scrambler), 및 비트를 파형으로 바꾸는 수단(Modulator)을 포함한다.
그리고, 송출된 신호는 CO의 OLT(11)를 거쳐 스필터(12)에 의해 분기되어, 댁내의 ONT(13)까지 광 케이블을 통해 전송된다. 여기서, CO는 망 사업자의 지역별 통신중계소의 내부나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또한 멀리 떨어져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댁내의 ONT(13)에 도달한 광 신호는 셋탑박스(14)를 통하여 TV(15) 로 출력되거나, TV 수신카드(14)를 통하여 개인용 컴퓨터(15)로 출력된다. 여기서, 셋탑박스(14)는 방송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종류에 따라 위성 방송용 셋탑박스, 지상파 디지털 방송용 셋탑박스, CATV 방송용 셋탑박스, 및 IP 방송용 셋탑박스로 분류되며, 두 개 이상의 방송용 셋탑박스가 합쳐진 복합용 셋탑박스도 있다.
셋탑박스나 TV 수신카드(14)는 실시간으로 신호를 받아 특정 채널을 분류해주는 수단(Tuner), 채널의 신호를 '0'과 '1'로 표현되는 바이너리 형식으로 변환해주는 수단(Demodulator), 유료방송 채널일 경우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인증하여 암호에 걸린 신호를 해제하는 수단(Descrambler), 한 덩어리의 신호를 비디오/오디오/데이터의 세 덩어리 신호로 분류하는 수단(Demultiplexer), 및 비디오/오디오/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수단(Decoder)을 포함한다.
그리고, 셋탑박스와 TV 수신카드(14)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는 가입자의 디바이스(15)를 통하여 출력된다.
이러한 시스템 구성 개념을 기반으로 한 종래의 PON에서의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방송 사업자와 통신 인프라 및 서비스 제공자, 서비스 가입자 간에 이루어진다.
서비스 가입자인 고객은 자신이 선택한 방송 사업자(예를 들어, 위성방송-스카이라이프, 지상파방송-MBC, KBS 등의 지상파방송, 케이블방송-지역케이블 방송, IP방송-인터넷 TV 등)의 방송 컨텐츠를 통신 인프라 및 서비스 제공자(예를 들어, KT, 하나로통신 등)의 통신 인프라를 통하여 제공 받으며, 댁내에 설치한 방송 사업자별 셋탑박스나 TV 수신카드(14)를 통하여 서비스를 선택하고, 선택한 방송과 서비스를 TV나 PC(15)를 통해 제공받는다.
그리고, 방송 사업자와 통신 인프라 및 서비스 제공자가 별도 존재하여 가입자는 신규가입 시 새로운 셋탑박스를 구매하여 신규 방송 서비스를 제공 받는다. 그리고, 가입자의 디바이스에 연결된 셋탑박스에서 개별적으로 컨텐츠와 서비스를 조회하여 선택 및 구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 PON에서의 방송 및 통신 서비스의 한계점은, 방송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는 주파수 대역폭(Bandwidth)이 보장되지 않는 베이스밴드로 저화질의 방송을 서비스하는 경우와 네트워크의 끊김 현상으로 지속적인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방송 서비스와 함께 통신 서비스의 제공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수신 디바이스 측면에서의 문제점으로는 방송 사업자별 해당 셋탑박스를 통하여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접속방식이 상이하여 각기 다른 조작 방식을 적용해야 하고, 서비스 신규가입 시 또는 지역이동 시 신규의 셋탑박스를 구입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셋탑박스나 TV 수신카드가 불량일 경우 개별 유지보수 서비스를 받아야 하고, 출력 디바이스별 별도의 수신장비를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디바이스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측면에서는 컨텐트 제공자들의 난립으로 업체의 영세화와 컨텐츠 중복 및 질의 저하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방송 신호 재 전송 장치에서 위성/지상파/케이블/IP 방송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여 수동형 광 가입자망을 통해 재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방송 서비스별 셋탑박스를 구입하지 않고도 다양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수신 대역에 동조하고, 수신한 신호를 소정 대역의 주파수로 튜닝하여 출력하는 튜너와, 상기 튜너에서 제공된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된 방송 신호에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역다중화부와, 상기 추출된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패킷 형식으로 패킷화하는 패킷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방법은, 방송 신호 재전송 장치가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와, 상기 복조된 방송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패킷화하고, 수동형 광 가입자 망을 통해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 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위성/지상파/CATV/IP 방송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자와 방송/통신 서비스 사업자 간의 디지털 컨텐츠 거래를 거쳐 방송 컨텐츠 소스를 방송 신호 재전송 장치(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방송 컨텐츠 소스는 영화, 음악, 뉴스, 건강 프로그램, 교육 프로그램, 생활 편의 서비스 및 정보, 금융정보 및 서비스, 웰빙 서비스, 오락 프로그램, 쇼핑정보 및 서비스 등으로 고객이 필요로 하는 모든 방송 컨텐츠와 서비스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자가 방송 컨텐츠 소스를 제작/편집/편성하여 방송/통신 서비스 사업자에게 제공하면, 방송/통신 서비스 사업자는 컨텐츠 제공자로부 터 제공받은 방송 컨텐츠 소스를 방송 신호 재전송 장치(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방송 컨텐츠 소스를 전송하는 방법은 재전송하는 방법과 저장 후 전송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방송 재전송 방법을 이용한다.
그 다음, 방송 신호 재전송 장치(100)는 방송 컨텐츠 소스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은 디지털 방송 방식 또는 IP 패킷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방식이 디지털 방송(즉, 위성/지상파/CATV 방송) 방식인 경우, 방송 신호 재전송 장치(100)는 튜너(Tuner)를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부(Demodulator)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복조한다.
그 다음, 복조된 신호가 유료방송 신호인 경우, 해독부(Descrambler)를 통해 인증 확인을 수행하여 암호를 해독하고, 역다중화부(Demultiplexer)를 통해 방송 신호를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부가정보 데이터로 분리한다. 여기서, 부가정보 데이터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와 같은 프로그램에 대한 소정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그 다음, 분리된 데이터는 데이터의 전송 방식에 따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과 멀티캐스팅(Multicasting) 방식으로 나누어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역다중화부에서 추출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패킷 생성부에서 소정의 패킷 형식으로 패킷화하여 전송부를 통해 광 신호로 전송한다.
한편, 수신 방식이 IP 패킷 방식(즉, IP 방송)인 경우에는 방송 신호의 처리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바로 광 신호로 전송한다.
그 다음, 광 신호는 스필터(Splitter)를 통해 분기되며, 분기된 광 신호는 사용자 댁내의 ONT까지 광 케이블을 통해 전송된다. 여기서, ONT는 전송된 광신호를 제거한 후,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다.
그 다음, 사용자 댁내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송된 방송 데이터를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채널 분류에 따라 저장 또는 디코딩(Decoding)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택과 같은 개별 사용자인 경우, 유효한 사용자인지를 처리하는 사용자 인증 수단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채널 분류가 수신 채널인 경우에는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채널 분류가 예약 채널인 경우에는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신호 재전송 장치(100)는 튜너(110), 복조부(120), 해독부(130), 역다중화부(140), 패킷 생성부(150), 및 전송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방송 신호 재전송 장치(100)는 수동형 광 가입자 망 사업자의 지역별 통신 중계소의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다른 곳에 위치할 수도 있다.
튜너(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수신 대역에 동조하고, 수신한 신호를 소정 대역의 주파수로 튜닝하여 출력한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출력한 방송 신호를 원래 신호로 복조한다.
해독부(Descrambler)(130)는 복조부(120)로부터 복조된 방송 신호가 유료방송 신호인 경우, 암호화된 신호를 해독한다. 여기서, 해독부(130)는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인증을 통하여 암호를 해독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140)는 복조부(120)로부터 복조된 방송 신호에서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부가정보 데이터를 추출한다. 여기서, 부가정보 데이터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와 같은 프로그램에 대한 소정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패킷 생성부(150) 역다중화부(140)에서 추출한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부가정보 데이터를 소정의 패킷 형식으로 패킷화한다. 여기서, 패킷 생성부(150)는 IP 패킷 형식으로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부가정보 데이터를 패킷화한다.
예를 들어, IP 패킷은 헤더부와 데이터부로 구성되며, 여기서 IP 패킷의 헤더부에는 IP 패킷이 전송되는 목적지 주소가 기록되어 있고, IP 패킷의 데이터부에는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부가정보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한, IP 패킷에는 실시간 통신 프로토콜(Real Time Protocol: RTP)인 타임 스탬프(time stamp)가 포함된다. 여기서, 타임 스탬프는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가 언제 실행되어야 하는지 기록되어 있어,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가 동기화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전송부(160)는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부가정보 데이터가 포함된 IP 패킷을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부(160)는 IP 패킷을 수동형 광 가입자 망을 통해 광 신호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a) 과정(단계 S100 내지 단계 S150)은 방송 신호 재전송 장치(100)가 수행하는 과정이고, (b) 과정(단계 S160 내지 단계 S180)은 사용자의 댁내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행하는 과정이다.
먼저, 방송 신호 재전송 장치(100)가 방송 컨텐츠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 방식을 체크한다(S110). 여기서, 수신 방식은 디지털 방송 방식 및 IP 방송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체크 결과 수신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즉, 위성/지상파/CATV 방송)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복조하고, 역다중화부(140)를 통해 복조된 신호에서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부가정보 데이터를 추출한다(S120, S130).
한편, 복조부(120)로부터 복조된 방송 신호가 유료방송 신호인 경우, 해독부(130)를 통해 암호화된 방송 신호를 해독하고, 암호가 해독된 방송 신호를 역다중화부(140)로 전송한다. 여기서, 해독부(130)는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인증을 통하여 암호를 해독할 수 있다.
그 다음, 패킷 생성부(150)는 역다중화부(140)가 추출한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부가정보 데이터를 패킷화하고, 전송부(160)를 통해 패킷을 수동형 광 가입자 망을 통해 광 신호로 전송한다(S140,S150). 여기서, 패킷 생성부(150)는 IP 패킷 형식으로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부가정보 데이터를 패킷화한다.
또한, 패킷 전송 시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과 멀티캐스팅(Multicasting) 방식으로 나누어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팅 방식인 경우 IP 클래스가 (255.255.255.255)인 모든 단말에 방송 신호를 전송하고, 멀티캐스팅 방식인 경우에는 특정 그룹의 IP 주소로 방송 신호로 전송한다.
한편, 체크 결과 수신된 방송 신호가 IP 방송인 경우는 상기 단계 S120 내지 단계 S140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수동형 광 가입자 망을 통해 바로 광 신호로 전송한다.
그 다음, 광 신호는 스필터에 의해 분기되어 수동형 광 가입자 망을 통해 각각의 사용자 댁내의 ONT까지 전송된다. 여기서, ONT는 광 신호를 제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방송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 다음, 댁내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ONT로부터 전송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S160). 그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채널 분류를 체크하고, 체크된 채널 분류에 따라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저장 또는 디코딩하여 출력한다(S170,S180).
예를 들어, 채널 분류가 수신 채널인 경우에는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출력하고, 채널 분류가 예약 채널인 경우에는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사용자가 주택과 같은 개별 가입자인 경우, 유효한 사용자인지를 체크 하는 사용자 인증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는, 개별 가입자인 경우 주변에 가입되지 않은 사용자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적합한 사용자만이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따라서, 방송 신호 재전송 장치(100)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한 후, 복조, 역다중화 및 방송 데이터들을 IP 패킷화하여 광 신호로 전송해 줌으로써, 사용자는 방송 서비스별로 셋탑박스(지상파, 위성, 케이블 등)를 구비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다양한 방송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방송 신호 재 전송 장치에서 위성/지상파/케이블/IP 방송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여 수동형 광 가입자망을 통해 재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방송 서비스별 셋탑박스를 구입하지 않고도 다양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가입자인 사용자는 셋탑박스나 TV 수신카드 등의 부가장비를 구매하여 방송 데이터를 서비스 받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디지털 TV나 PC)를 통해 수신된 방송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바로 서비스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방송 컨텐츠 제공자의 측면에서는 통신 인프라에 대한 서비스 부분을 방송/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전담함으로써, 방송 컨텐츠 제공자는 방송 컨텐츠의 개발 및 저작에 집중함으로써 컨텐츠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위성/지상파/케이블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수신 대역에 동조하고, 수신한 신호를 소정 대역의 주파수로 튜닝하여 출력하는 튜너;
    상기 튜너에서 제공된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
    상기 복조된 방송 신호에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역다중화부; 및
    상기 추출된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패킷 형식으로 패킷화하는 패킷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부로부터 복조된 방송 신호가 유료방송 신호인 경우, 암호화된 신호를 해독하는 해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장치.
  3. 방송 신호 재전송 장치가 위성/지상파/케이블/IP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신 방식을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 결과 디지털 방송 방식인 경우,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
    상기 복조된 방송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패킷화하고, 수동형 광 가입자 망을 통해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된 방송 신호가 유료방송 신호인 경우, 암호화된 신호를 해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방법.
KR1020050003705A 2005-01-14 2005-01-14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장치및 그 방법 KR100679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705A KR100679032B1 (ko) 2005-01-14 2005-01-14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장치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705A KR100679032B1 (ko) 2005-01-14 2005-01-14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장치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025A KR20060083025A (ko) 2006-07-20
KR100679032B1 true KR100679032B1 (ko) 2007-02-05

Family

ID=37173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705A KR100679032B1 (ko) 2005-01-14 2005-01-14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장치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0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025A (ko)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0371B2 (ja) デジタル放送信号配信システムおよび加入者端末
Simpson Video Over IP: IPTV, Internet Video, H. 264, P2P, Web TV, and Streaming: A complete guide to understanding the technology
CA2778121C (en) Asymmetric data communications system permitting subscriber interaction
JP4354080B2 (ja) 限定受信システム
CN101359969B (zh) 广播接收机和确定广播接收机的操作模式的方法
CN104270679A (zh) 一种dvb直播和网络点播相结合的方法及装置
US7383562B2 (en) Restricted reception device for digital cable broadcasting system, and recep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341518B1 (ko) 방송 수신기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N100373941C (zh) 基于mpeg-1的数字电视广播系统
KR101341519B1 (ko) 방송 수신기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N101360232A (zh) 与部署点(pod)对接的主机设备及处理广播数据的方法
EP3211908A1 (en) Tuning behavior enhancement
US8429278B2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of interfacing resource information between a host device and a pod, sending host device resource information and obtaining host device resource information
JP2008131340A (ja) 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
US7779442B1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KR100679032B1 (ko)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방송 신호를 재 전송하는 장치및 그 방법
CN101360218A (zh) 主机设备、部署点(pod)、和识别操作模式的方法
KR101461935B1 (ko) 방송 수신기, 방송 신호 처리 방법
KR100621214B1 (ko)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서비스수준협약에 의한 멀티미디어서비스 제공방법
KR20100043890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디스크램블링 방법 및 장치
KR101296927B1 (ko)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RU2163420C2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и передачи двухканальных, в том числе стереофонических, сигналов звукового сопровождения, радиовещания, данных и команд управления в сетях эфирного и кабельного вещания (варианты),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ов многоканального звукового сопровождения, радиовещания, данных и команд управления в сетях эфирного и кабельного вещания
CN101461186A (zh) 用于电缆的本地数字视频分发系统
KR101366278B1 (ko) 방송 수신기 및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
JP2002010229A (ja) Catv放送システム及びそのcatv放送送出システム並びに放送番組鍵開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