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923B1 - 음악 파일 편집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악 파일 편집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923B1
KR100678923B1 KR1020050111402A KR20050111402A KR100678923B1 KR 100678923 B1 KR100678923 B1 KR 100678923B1 KR 1020050111402 A KR1020050111402 A KR 1020050111402A KR 20050111402 A KR20050111402 A KR 20050111402A KR 100678923 B1 KR100678923 B1 KR 100678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lyrics
music file
divided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화연
조성원
고주현
류영재
최종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1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75DVD-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음악 파일 편집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음악 파일 편집 장치는 음악 파일의 가사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음악 파일의 가사를 분할하는 분할부와 분할된 음악 파일의 가사를 일괄적으로 구별하여 파일로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생성된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음악 파일, 편집, 분할

Description

음악 파일 편집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music files}
도 1은 종래 음악 파일 편집을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파일 편집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파일의 편집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파일의 편집을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음악 파일의 정보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표시부
105: 분할부
110: 산술부
120: 생성부
130: 저장부
400: 음악 파일의 가사 표시 영역
410: 분할 지정 및 실행 영역
420: 음악 파일의 조절 영역
본 발명은 음악 파일 편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음악 파일의 재생없이 화면에 표시된 가사를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개의 가사를 일괄적으로 파일로 생성하는 음악 파일 편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음악 파일 편집을 위한 구성도이다.
사용자가 음악 파일(예를 들어 MP3)의 분할 및 저장 등의 편집 작업을 하기 위해, 음원의 파형을 노출해 주는 영역(10), 파일 일부분의 추출을 위해 시작점(From)과 끝점(To)을 지정해 주는 영역(20), 분리와 저장 등의 파일 편집을 실행하는 영역(30) 및 재생(play), 중단(stop) 등의 음악 파일의 조절 영역(40)으로 구성한다.
사용자가 분할 및 저장 등의 음악 파일의 편집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파일을 재생시켜 들어보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즉 사용자는 파일의 올바른 분할 위치를 찾기 위해 파일을 감상하면서 원하는 구역을 선택해야 한다. 이 때 원하는 구역을 선택하는 방식은 감상 중인 파일의 재생 진행과정을 보면서 분할 시작점과 분할 끝점을 선택하는 방법과 파일 재생 과정을 기억해 둔 후 분할 시작점의 시간과 분할 끝점의 시간을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분할할 파일의 영역을 찾는 작업은 파일 감상이라는 청각을 이용한 부분과 파일 진행 바(bar)에서 분할할 파일의 영역을 지정하는 시각을 이용한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이한 두 감각이 하나의 작업을 위해 동시에 이 용되어야 하는 불편함과 조작상의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곡 감상을 통해 파일 중 분할 위치를 찾아보아야 하기 때문에 파일 감상의 작업 시간이 소요되고, 사용자가 음악 파일의 재생 중인 순간에 맞춰 분할하고자 하는 구역을 선택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작업 실패로 인한 재작업을 요구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악 파일 편집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파일 편집 장치는 음악 파일의 가사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음악 파일의 가사를 분할하는 분할부와 분할된 음악 파일의 가사를 일괄적으로 구별하여 파일로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생성된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파일 편집 방법은 음악 파일의 가사를 표시하는 단계와 음악 파일의 가사를 분할하는 단계와 분할된 음악 파일의 가사를 일괄적으로 구별하여 파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 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파일 편집 장치의 블럭도이다.
음악 파일 편집 장치는 표시부(100), 분할부(105), 산술부(110), 생성부(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표시부(100)는 음악 파일의 가사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음악 파일의 재생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프레임별로 구분하여 배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파일의 재생이 없이 표시된 가사를 통해 파일의 분할 위치를 찾을 수 있어 작업 시간을 간소화 시키고, 정확한 분할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분할부(105)는 표시부(100)를 통해 표시된 음악 파일의 가사 중 분할하고자 하는 가사에 소정의 분할 툴을 위치시킨 후 분할을 실행시켜 해당 가사를 복수개의 구역으로 분할한다. 이 때 분할 툴은 커서, 이미지, 버튼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분할 툴이 위치하는 분할 구역에 바람직하게는 분할 버튼(414)이 생성되어 사용자가 간편히 해당 가사를 분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분할 버튼(414)은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시간 이후 사라질 수 있다.
산술부(110)는 음악 파일의 가사를 분할부(105)를 통해 분할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순차적으로 번호를 증가시켜 그에 따른 인덱스(416) 및 분할 위치(418)에 관한 정보를 형성한다. 분할 위치 정보(418)는 가사를 분할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 프레임의 정보일 수 있다. 인덱스 정보(416) 및 분할 위치 정보(418)는 분할한 가사를 일괄적으로 생성부(120)를 통해 파일 형태로 생성할 경우 해당 파일들을 구별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생성부(120)는 음악 파일의 편집 후 소정의 실행 버튼을 클릭하면 분할된 가사를 일괄적으로 파일 형태로 생성하여 저장부(130)를 통해 저장한다. 이 때 생성된 파일은 산술부(110)를 통해 형성된 인덱스 정보(416) 및 분할 위치 정보(418)를 표제로 이용하여 각 파일이 구별되도록 자동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분할한 파일을 저장할 때 한번에 여러 개의 파일을 일괄적으로 저장할 수 있어 파일 편집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생성부(120)를 통해 생성된 파일들을 하드 디스크 및 메모리 등의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보다 더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 도 4 및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하고, 도 3에서 각 단계별 음악 파일의 편집 순서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파일의 편집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파일 메뉴에서 편집할 음악 파일을 열고, 표시부(100)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세로축을 따라 음악 파일의 재생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프레임별로 배열된 음악 파일의 가사를 확인한 후 분할하고자 하는 위치로 커팅 툴(412)을 이동시켜 분할 구역의 위치를 지정한다(S301, S303).
사용자는 분할 버튼(414)을 클릭하여 해당 분할 구역의 가사를 분할부(105)를 통해 분할한다(S311). 음악 파일의 가사를 복수 개로 분할하고자 할 경우 상기한 과정을 반복한다.
사용자가 음악 파일의 편집 후에는 바람직하게는 파일 메뉴(402)의 실행 버튼을 클릭하여 분할한 가사를 일괄적으로 파일 형태로 생성부(120)를 통해 생성하여 이후 저장부(130)를 통해 저장한다(S321, S33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파일의 편집을 위한 구성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음악파일의 분할 및 저장 등의 편집 작업을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음악 파일의 가사 표시 영역(400), 분할 지정 및 실행 영역(410) 및 음악 파일의 조절 영역(42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일 메뉴에서 편집할 음악 파일을 열고, 바람직하게는 세로축을 따라 배열된 음악 파일의 재생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프레임별로 표시된 음악 파일의 가사를 음악 파일의 가사 표시 영역(400)에서 확인한 후, 분할 지정 및 실행 영역(410)에서 분할하고자 하는 위치로 커팅 툴(412)을 이동시켜 분할 구역을 지정한다. 커팅 툴(412)이 해당 분할 구역에 위치하면 바람직하게는 분할 버튼(414)이 형성되어 분할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분할 버튼(414)을 클릭 하여 해당 구역의 가사를 분할하고 음악 파일을 복수 개로 분할하고자 할 경우, 음악 파일의 조절 영역(420)을 통해 해당 가사의 내용을 조절해 가며 상기한 과정을 반복한다. 음악 파일의 편집 후에는 바람직하게는 파일 메뉴(402)의 실행 버튼을 클릭하여 분할한 파일의 정보를 저장한다. 이 때 사용자가 분할한 파일을 저장할 때 복수개로 분할된 가사를 일괄적으로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분할된 파일의 정보에 대해서는 이하 도 5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파일의 가사를 분할할 때마다 순차적으로 번호를 증가시켜 그에 따른 인덱스 정보(416)와 분할 위치 정보(418)를 형성할 수 있다. 분할 위치 정보(418)는 가사를 분할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 프레임의 정보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음악 파일의 정보를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파일이 편집되어 복수개(N개)의 구역으로 분할되더라도 기본적인 파일의 정보(ID3태그 V1, ID3태그 V2)는 유지되도록 각각의 분할 조각에 기본적인 파일 정보를 기록한다. 파일의 정보 중 ID3태그 V1(502)은 파일 자체에 기록되는 곡의 정보(즉 가수, 곡명, 앨범 명, 발매 년도, 장르, 코멘트, 트랙 넘버 등)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파일의 뒤쪽에 기록된다. 파일의 정보 중 ID3태그 V2(500)는 ID3태그 V1(502)의 확장된 개념으로써 기존의 ID3태그 V1(502)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추가적인 정보(즉 URL, 작곡가, 작사가, 저작권, 인코딩 작업자, 가사 등)를 제공하며, 바람직하게는 파일의 앞부분에 기록된다. 또한 MP3 파일의 파일 자체의 정보(비트 레이트(bit rate), 주파수(frequency), 레이어 (layer)) 등은 모든 파일에 동일하므로, 파일을 편집하여 조각으로 분할하더라도 재생이 가능하다. 이하 도 5(b)는 상기 도 5(a)의 내용을 예시화한 분할된 파일을 나타낸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티스트(artist) 정보(즉 홍길동)는 원본과 동일하게 기록하고, 노래 제목(504a, 504b)은 전체(N개) 분할된 구역의 비율에 대응하여 각각의 분할된 구역의 인덱스(416) 또는 위치 정보(418)를 포함하여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노래 제목(504a, 504b)은 ID3태그 V1(502) 및 ID3태그 V2(500)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홍길동의 AAA란 제목의 곡을 세 구역(조각)으로 분할하였다면 첫번째 분할된 음악 파일의 ID3태그 V1(502) 및 ID3태그 V2(500) 정보에는 AAA1, 두번째는 AAA2, 세번째는 AAA3의 형태로 기록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체 가사 중 분할된 파일 구역에 따라 자동적으로 ID3태그 V1(502) 및 ID3태그 V2(500) 정보를 수정하여 준다.
실제 음악 데이터(504c)는 해당 분할 위치에 따라 파일에 기록되고, 사용자는 파일 메뉴(402)의 실행 버튼을 클릭하여 분할한 가사의 정보를 파일 형태로 저장한다. 이 때 사용자가 분할한 파일을 저장할 때 복수개의 분할된 파일에 자동으로 파일 명을 설정할 수 있는 데, 바람직하게는 노래 제목(504a, 504b)을 표제에 포함하여 일괄적으로 구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ID3태그 V1(502), ID3태그 V2(500)의 기록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ID3 표준규격을 따른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 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음악 파일 편집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사용자가 음악 파일의 재생이 없이 가사를 통해 파일의 분할 위치를 찾을 수 있어 작업 시간을 간소화 시키고, 정확한 분할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사용자가 분할한 음악 파일을 저장할 때 한번에 여러 개의 파일을 일괄적으로 저장할 수 있어 파일 편집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5)

  1. 음악 파일의 가사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음악 파일의 가사를 분할하는 분할부;
    상기 분할된 상기 음악 파일의 가사를 일괄적으로 구별하여 파일로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편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파일의 가사는 상기 음악 파일의 재생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프레임별로 구분되어 배열되고, 상기 음악 파일의 가사를 분할할 경우 분할 위치 정보 및 인덱스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산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편집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위치 정보 및 상기 인덱스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생성되는 파일의 표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편집 장치.
  4. 음악 파일의 가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음악 파일의 가사를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상기 음악 파일의 가사를 일괄적으로 구별하여 파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편집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파일의 가사는 상기 음악 파일의 재생시간에 대응하는 시간 프레임별로 구분되어 배열되고, 상기 음악 파일의 가사를 분할하는 단계는 분할 위치 정보 및 인덱스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할 위치 정보 및 상기 인덱스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생성되는 파일의 표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편집 방법.
KR1020050111402A 2005-11-21 2005-11-21 음악 파일 편집 장치 및 방법 KR100678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402A KR100678923B1 (ko) 2005-11-21 2005-11-21 음악 파일 편집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402A KR100678923B1 (ko) 2005-11-21 2005-11-21 음악 파일 편집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8923B1 true KR100678923B1 (ko) 2007-02-05

Family

ID=3810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402A KR100678923B1 (ko) 2005-11-21 2005-11-21 음악 파일 편집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9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522B1 (ko) * 2008-01-07 2015-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악 저장/검색 장치 및 방법
WO2016015181A1 (zh) * 2014-07-26 2016-02-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音频文件的剪辑方法及装置
WO2020029524A1 (zh) * 2018-08-10 2020-02-13 北京微播视界科技有限公司 音乐编辑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989109A (zh) * 2021-04-14 2021-06-18 腾讯音乐娱乐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音乐结构分析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962A (ko) * 1991-11-27 1993-06-23 강진구 복합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컴팩트 디스크 인덱스 표시장치 및 문자정보 표시기능을 갖는 컴팩트 디스크
KR0160642B1 (ko) * 1993-12-30 1999-01-15 김광호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노래연습방법
KR20000063615A (ko) * 2000-06-01 2000-11-06 최원용 구간 지정된 문자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의 재생방법과이를 위한 재생장치
KR20030043299A (ko) * 2001-11-27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962A (ko) * 1991-11-27 1993-06-23 강진구 복합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컴팩트 디스크 인덱스 표시장치 및 문자정보 표시기능을 갖는 컴팩트 디스크
KR0160642B1 (ko) * 1993-12-30 1999-01-15 김광호 영상반주기 내장형 텔레비젼의 노래연습방법
KR20000063615A (ko) * 2000-06-01 2000-11-06 최원용 구간 지정된 문자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의 재생방법과이를 위한 재생장치
KR20030043299A (ko) * 2001-11-27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오디오 데이터와 부가 데이터간의 동기 기록 관리 및재생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522B1 (ko) * 2008-01-07 2015-03-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악 저장/검색 장치 및 방법
US9012755B2 (en) 2008-01-07 2015-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searching for music
WO2016015181A1 (zh) * 2014-07-26 2016-02-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音频文件的剪辑方法及装置
CN105637586A (zh) * 2014-07-26 2016-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音频文件的剪辑方法及装置
WO2020029524A1 (zh) * 2018-08-10 2020-02-13 北京微播视界科技有限公司 音乐编辑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989109A (zh) * 2021-04-14 2021-06-18 腾讯音乐娱乐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音乐结构分析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41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ed multi-track editing
JP2007248895A (ja) メタデータ付与方法及び装置
JP2005284574A (ja) 車載用情報機器、車載用情報機器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2074911A (ja) オーディオプレーヤ
JPWO2006022148A1 (ja) 情報再生装置
KR100678923B1 (ko) 음악 파일 편집 장치 및 방법
JPH09128943A (ja) 音声による文章情報再生装置
KR20090099233A (ko) 복수의 반복되는 부분들을 가진 음악 데이터의 첫 번째부분만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7025570A (ja) 歌詞文字に基づいて切り貼り編集を行うカラオケ録音編集装置
JP4090941B2 (ja) 電子装置
JP2002343067A (ja) Mp3再生機能搭載装置
JP2009069449A (ja) オーディオ装置及び曲再生プログラム
JP2007226880A (ja) 再生装置、検索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905190B2 (ja) 音声再生装置、音声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8306124A (ja) 記憶媒体の自動識別装置、音楽用cdの自動識別方法、音楽用cdの自動識別装置、記憶媒体の再生方法、及び記憶媒体の再生装置
JP5094442B2 (ja) 再生装置およびプレイリスト更新方法
JP4386896B2 (ja) オーディオ再生方法及びオーディオ装置
JP5441582B2 (ja) オーディオ装置及びイントロスキャン方法
JP4858332B2 (ja) オーディオ装置及び連続再生プログラム
JP5755456B2 (ja) プレイリスト編集装置、プレイリスト編集方法、プレイリスト編集プログラムおよびプレイリスト編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JP2011076485A (ja) コンテンツ情報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WO2009130830A1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570425B2 (ja) 情報再生装置および記憶装置の空き容量増加方法
JP2006114148A (ja) 音声記録媒体、音声再生装置、音声記録媒体作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107678A (ja) 音楽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