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439B1 -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과 그방법 - Google Patents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과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439B1
KR100678439B1 KR1020040093788A KR20040093788A KR100678439B1 KR 100678439 B1 KR100678439 B1 KR 100678439B1 KR 1020040093788 A KR1020040093788 A KR 1020040093788A KR 20040093788 A KR20040093788 A KR 20040093788A KR 100678439 B1 KR100678439 B1 KR 100678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ervice
user
designated
call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4920A (ko
Inventor
조규철
Original Assignee
조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철 filed Critical 조규철
Priority to KR1020040093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439B1/ko
Publication of KR20060054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1Conversation record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8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received calls from one subscriber to another; Arrangements affording interim conversations between either the calling or the called party and a third par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비스 사용자가 자신의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요청번호로부터 통화요청이 있으면 지정연결번호로 동시에 통화를 요청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 서비스와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녹취서비스를 신청하는 서비스신청단계와, 상기 서비스 신청을 승인한 통신사업자장치에서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입력한 통화요청번호와 지정연결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사용자에게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그 번호가 통화요청번호인지 확인하는 번호확인단계와, 상기 번호확인단계의 판단결과 통화요청번호가 아니면 일대일 통화가 되도록 호를 연결하는 일대일 통화단계와, 상기 번호확인단계의 판단결과 통화요청번호이면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지정한 지정연결번호에 통화요청을 하며, 이를 승인한 경우 상기 서비스 사용자, 통화요청번호 사용자, 지정연결번호 사용자가 동시에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호를 연결하는 다자간 통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시스템 및 통화방법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다자간의 통화를 여러 응용분야에 응용할 수 있고, 통화내용을 기록/보존하며, 통화내용을 이메일을 통해 수신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 녹취내용을 받아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reservation telephone call between a several person and store the telephone call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신청과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의 일실시예인 일대일 통화 중 녹취과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자간 예약통화 및 통화내용 녹취 서비스의 다른 실시예인 다자간 통화 및 그 녹취과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체적인 일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통화요청번호를 설정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다자간 예약 통화 방법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4 : 이동통신 단말기 5,6:일반전화 단말기
10,20 : 이동통신 사업자장치 11,21 :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30 : 공중전화망 사업자 40 : 녹취 메일 발송서버
본 발명은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 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간에 관계없이 미리 예약된 다자간 통화가 가능하며, 다자간 통화 또는 일대일 통화의 내용을 저장하여 이를 사용자가 지정한 장치로 전송하여 이를 녹취록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 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전화를 통한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통화를 할 수 있는 다자간 통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다자간의 동시 통화방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4-0090655호의 '휴대전화에서의 회의통화 연결방법'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공보 10-2004-0090655호의 내용을 요약하면 회의 주제자가 자신의 휴대전화에 회의에 참석해야 할 사람들의 전화번호를 모두 저장하고, 그 사람들의 전화로 동시에 통화요청을 하며, 이를 승인한 사람들과 통화가 가능한 기술이다.
상기의 기술은 다자간 통화가 가능하며, 전화번호의 관리가 용이하고 다수의 사용자들 각각에게 통화 요청을 직접 하지 않아도 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회의 시간을 대략적으로 정하여 모든 회의 참여자가 그 시간대에 회의가 있을 것을 미리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 회의 주제자는 미리 모 든 회의 참여자에게 회의 시간과 주제 등을 주지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다중통화를 요청하는 주제자가 특정한 1인으로 한정되어 있다.
즉, 주제자가 자신의 휴대전화에 저장된 번호들을 이용하여, 그 번호들에 동시에 통화요청을 하며, 이에 응답한 사람들이 동시통화가 가능한 구성이기 때문에 주제자가 아닌 회의 참석자가 필요에 의하여 회의를 원하는 경우 주제자에게 전화를 하여 회의 소집을 요청하고, 다시 주제자가 휴대전화를 이용한 회의를 각 참석자들에게 요청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일방향성에 의하여 상기 종래 기술은 회의가 아닌 다른 응용분야로 확대 적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다중통화의 개념 외에 통화내용을 녹취하는 하드웨어구성 또는 그 방법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이러한 통화내용 저장의 기술은 크게 서비스 사업자를 이용하거나, 휴대전화에 직접 저장하는 방법이 있었다.
휴대전화에 직접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방법은 별도의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휴대전화 자체 메모리에 통화내용을 저장하고 이를 응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휴대전화의 메모리 용량에는 한계가 있으며, 통화내용이 많은 경우 또는 이전에 저장된 통화내용이 많은 경우에는 꼭 필요한 통화내용을 저장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휴대전화의 메모리에 저장된 통화내용을 다른 장치로 이동 또는 복사 하는 과정이 번거로워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또 다른 방법은 서비스 사업자를 이용하는 것이다.
서비스 사업자를 통해 통화내용을 녹취하는 방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4-0076942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 기술적 구성을 요약하면 통화내용의 녹취를 원하는 서비스 가입자가 서비스 사업자에게 전화를 걸어 서비스를 요청함과 아울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서비스 사업자는 그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어 서비스 가입자와 상대방이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내용을 저장하여 증거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통화내용 녹취 서비스 사업자를 이용하는 경우 상대방이 통화를 요청한 경우에는 통화내용 녹취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설명과 같이 종래에도 다자간 동시 통화시스템 및 방법과, 통화내용의 녹취 시스템 및 방법이 있었으나, 응용분야가 한정되며 시스템의 성능 및 서비스의 가입조건에 따라 다자간 통화, 녹취 등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시간에 관계없이 다자간 통화 요청이 가능하며, 다자간 통화의 주제자가 아닌 참석자의 요청에 의해서도 다자간 통화가 가능하여 응용분야에 대한 유연성을 가지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 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자간 통화 내용 및 일대일 통화 내용을 저장하며, 그 저 장된 통화 내용을 지정된 방식으로 전달받을 수 있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 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녹취기능을 가지지 않는 일반전화를 이용한 통화시 그 통화내용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 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장된 통화 내용에 대한 위조가 불가능하도록 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 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비스 사용자가 자신의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요청번호로부터 통화요청이 있으면 지정연결번호로 동시에 통화를 요청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 서비스와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녹취서비스를 신청하는 서비스신청단계와, 상기 서비스 신청을 승인한 통신사업자장치에서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입력한 통화요청번호와 지정연결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사용자에게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그 번호가 통화요청번호인지 확인하는 번호확인단계와, 상기 번호확인단계의 판단결과 통화요청번호가 아니면 일대일 통화가 되도록 호를 연결하는 일대일 통화단계와, 상기 번호확인단계의 판단결과 통화요청번호이면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지정한 지정연결번호에 통화요청을 하며, 이를 승인한 경우 상기 서비스 사용자, 통화요청번호 사용자, 지정연결번호 사용자가 동시에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호를 연결하는 다자간 통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 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1,21)에 가입자의 예약 통화 정보 및 녹취서비스 이용 상태를 저장하여, 가입자가 지정한 통화요청번호로부터 해당 가입자의 전화로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가입자가 지정한 지정연결번호로 예약 통화신청이 있음을 알리고, 예약 통화에 대한 수락의사가 있는 경우 다자간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연결하며, 녹취 서비스를 사용하는 가입자가 통화중에 녹취 서비스 지정 키를 입력하였는지 판단하여 녹취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사업자장치(10,20)와,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장치(10,20)에 가입되며, 가입시 또는 서비스 신청시 다자간 예약 통화 및 녹취서비스를 신청여부를 결정하고, 녹취된 통화내용을 전달받을 이메일 주소를 이동통신 사업자장치(10,20)에 등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2,3,4)와, 상기 다자간 예약 통화 및 녹취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중전화망 사업자장치(30)와, 녹취기능을 가지지 않으며 공중전화망 사업자장치(30)에 다자간 예약 통화 및 녹취서비스의 이용을 선택하고, 이메일 주소를 공중전화망 사업자장치(30)에 등록한 일반전화단말기(5,6)와,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장치(10,20)와 공중전화망 사업자장치(30)에서 녹취된 통화내용을 디지털 암호화된 상태로 이메일에 첨부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1,2,3,4) 또는 일반전화단말기(5,6)의 사용자가 지정한 이메일 주소로 전송하는 녹취 메일 발송서버(40)를 포함 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 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각기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장치(10,20)에 가입된 가입자는 가입시 또는 기 가입된 상태에서 다자간 예약 통화와 녹취 서비스의 이용을 청약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장치(10,20)와 공중전화망 사업자장치(30)에 예약 통화 및 녹취 서비스를 신청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먼저, S210단계에서는 통화요청번호를 입력한다.
상기 통화요청번호는 그 통화요청번호로부터 서비스 이용자에게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지정된 다른 전화번호로도 통지를 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번호이다.
상기 통화요청번호는 하나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S220단계에서 통화요청번호의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여 더 입력할 통화요청번호가 있으면 S210단계로 귀환하여 다른 통화요청번호를 입력한다.
그 다음, S230단계에서는 상기 S220단계에서 통화요청번호의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통화요청번호에서 서비스 사용자에게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함께 통화를 할 지정연결번호를 입력한다.
상기 지정연결번호 역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번호일 수 있으며, 상기 통화요청번호가 지정연결번호로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한다.
S240단계는 상기 지정연결번호의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여 지정연결번 호의 입력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 한해 S230단계를 재수행하도록 귀환한다.
그 다음, S250단계에서는 상기 지정연결번호의 입력이 완료된 상태에서 녹취서비스에 가입할 것인지 판단한다.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장치(10,20) 또는 공중전화망 사업자장치(30)에서 제공하는 녹취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한해 S260단계와 같이 가입자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한다.
그 다음, S270단계에서 서비스 지정이 완료되었음을 선택하여 서비스 청약과정을 완료한다.
이와 같은 자동화된 서비스 청약 이외에 상담원과 통화하거나 팩스를 이용하여 청약도 가능하다.
이는 이메일 주소의 입력 등이 용이하지 않은 일반전화단말기(5,6)를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입자가 서비스를 신청한 후, 그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양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 일대일 통화에서의 녹취서비스 이용>
도 3은 일대일 통화에서 녹취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먼저, S310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로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이동통신가입자장치(10)는 이동통신 단말기(1)로 이동통신 단말기(2)에서 통화요청이 있음을 알리고, 이를 승인하는 경우(S320) 이동통신 단말기(1)와 이동통신 단말기(2)간에 통화(S330)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는 다자간 예약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거나, 이동통신 단말기(2)의 전화번호가 통화요청번호로 지정되지 않았으며, 녹취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이다.
그 다음, S340단계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와 이동통신 단말기(2)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의 녹취 서비스 시작을 알리는 키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그 다음, S350단계에서는 상기 S340의 판단결과 녹취서비스 이용의 키가 입력되면 이동통신 사업자장치(10)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2) 간에 이루어지는 통화내용을 녹취한다.
이와 같이 녹취되는 통화내용은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장치(10)의 임시저장소에 저장된다.
그 다음, S360단계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에서 녹취중에 녹취를 중단하는 키의 입력이 있는 지 판단한다.
그 다음, S370단계에서는 상기 녹취중단 키의 입력이 있으면 이동통신 사업자장치(10)는 임시 저장소에 저장된 통화내용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가 지정한 이메일 주소로 전송한다.
이때 그 통화내용은 암호화 될 수 있으며, 특히 재생시 들리지 않는 숨은 데이터 패턴을 삽입하여 그 통화내용을 위변조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메일의 전송은 별도의 녹취 메일 발송서버(40)를 통해 발송한다.
그 다음, S380단계와 같이 통화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여 통화종료 또는 통 화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는 통화중 키의 입력을 통해 통화내용을 녹취할 수 있으며, 그 내용을 지정한 이메일을 통해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자의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1) 등의 이메일을 수신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수단으로의 이동/복사 및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장치(10)는 녹취 내용을 이메일로 발송한 이후 바로 내용을 삭제하거나 계약된 시간 또는 일자까지만 보관한 후 삭제하여, 녹취 내용을 항시 저장하고 있어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2) 간의 일대일 통화과정에서의 녹취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일반전화 단말기(5,6)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는 통화내용의 저장 기능이 없는 일반전화 단말기(5,6)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통화내용을 녹취하여 이메일을 통해 수신 받을 수 있어, 그 사용의 범위가 확대된다.
상기 이메일은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받아 저장할 수 있으며, 휴대전화 또는 PDA 등의 정보단말기를 이용하여 받을 수 있다.
상기 이메일로 전송받은 통화내용의 녹취는 다른 사람의 이메일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자신의 다른 저장장치로의 복사 및 이동이 용이하여, 녹취된 내용을 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일반전화 단말기(5,6)의 사용자들도 자신의 일반전화 단말기(5,6)에 특별한 녹취장치가 부가되지 않아도, 통화내용을 저장하고 자신의 이메일 주소로 저장된 통화내용을 받을 수 있게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일반전화 단말기 모두에 적용할 수 있어 그 활용도와 범용성에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실시예2 - 다자간 예약 통화를 통한 회의방법>
도 4는 다자간 예약 통화를 이용한 회의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먼저 S401단계에서 상기 도 2에 도시한 서비스 이용절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에서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3,4)에도 동시에 통화요청을 하도록 예약 설정을 한다.
그 다음, S402단계와 같이 특정한 번호의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와의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이동통신 사업자장치(10)는 S403단계와 같이 그 이동통신 단말기(1) 가입자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1)를 조회하여 그 통화요청이 통화요청번호로 지정된 이동통신 단말기(2)의 통화요청인지 판단한다.
상기 S403의 판단결과 통화요청번호로 지정된 것이 아니면 S404단계의 일대일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 다음, S405단계에서는 상기 통화요청번호로 지정된 이동통신 단말기(2)의 통화요청인 경우 그 통화요청을 대기상태로 두고, S406단계와 같이 그 통화요청번호에 대하여 지정된 지정연결번호의 이동통신 단말기(3,4) 또는 일반전화단말기(5,6)로 콜을 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 다음, S407단계에서 상기 지정연결번호로부터 응답이 있는 경우 예약된 번호간의 다중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호를 연결한다.
그 다음, S408단계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와 통화요청번 호인 이동통신 단말기(2)의 사용자 및 지정연결번호인 이동통신 단말기(3,4)의 사용자 모두가 동시에 통화를 하게 된다.
종래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의 사용자는 회의의 주제자일 수 있으며, 그 이동통신 단말기(1)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3,4)에 동시에 통화요청을 하여 회의를 주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는 다르게 주제자가 아닌 회의 참석자인 이동통신 단말기(2)의 사용자가 회의를 소집하기 위해서 별도의 회의 요청을 할 필요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1)에 통화요청을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3,4)의 사용자와 동시에 통화를 할 수 있다.
이는 보다 빠르고 간단하게 누구나 회의 소집을 요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다음, S409단계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장치(10)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2,3)에서 녹취의 요청이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가입된 이동통신 사업자장치(20)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4)의 사용자의 녹취 요청은 이동통신 사업자장치(20)에서 확인한다.
상기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1~4)의 사용자는 각각 가입한 이동통신 사업자장치(10,20)에 녹취서비스를 신청한 경우로 가정한다.
그 다음, S410단계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의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4)의 녹취 실행 키를 입력하면 이를 감지한 이동통신 사업자장치(10,20)는 상기 다자간의 통화내용을 임시저장소에 저장하며, 녹취 또는 통화가 종 료된 후에 이를 해당 가입자의 이메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녹취과정과 그 녹취된 통화내용을 이메일 형식으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1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그 다음, S411단계에서는 통화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하여 통화상태를 유지하거나 통화를 종료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회의에 참석할 사람들의 전화번호를 모두 저장하고 있는 회의 주제자 뿐만 아니라 회의 참석자도 용이하게 회의를 소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양방향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의 실시예3과 실시예4에서는 본 발명의 보다 다양한 응용분야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3 - 다자간 예약 통화를 통한 응급환자의 구호>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응용 예의 일실시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지/구호단체(50)에 등록된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장, 장애인의 일반전화 단말기(51)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52)의 전화번호를 그 복지/구호단체(50)의 담당의 개인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일반전화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요청번호로 등록하고, 그 통화요청번호로부터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함께 통화할 병원(53), 보건소(54)의 전화번호를 지정연결번호로 등록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장, 장애인 등 복지/구호단체(50)에 등록된 사람들이 몸이 불편하거나 기타 사고를 당한 경우 복지/구호단체(50)의 일반전화 단말기 또는 담당자의 개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를 하면 그 복지/구호 단체(50)의 담당자와 병원(53) 및(또는) 보건소(54)의 의사가 함께 통화를 할 수 있다.
이는 복지/구호단체(50)의 담당자는 의학적인 지식이 부족하여 필요한 응급처치를 하도록 유도할 수 없으며, 또한 병원(53) 또는 보건소(54)의 의사는 복지/구호단체(50)에 등록된 독거노인, 소년소녀가장 또는 장애인의 주소, 나이 등의 일반적인 사항들을 알 수 없는 점을 고려하여 다자간의 통화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동시에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응급구호가 필요한 독거노인 등은 병원(53), 복지/구호단체(50)에 각각 전화를 할 필요 없이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52)나 일반전화 단말기(51)를 이용하여 복지/구호단체(50)에만 전화하여 응급구호에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병원(53), 보건소(54)의 의사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긴급이송을 지시할 수 있으며, 현재 상태에서 가장 적합한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4 - 다자간 예약 통화를 통한 배송확인>
도 6은 본 발명의 다자간 예약 통화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된 응용 예의 다른 실시 구성도로서, 제품을 구매한 고객이 실시간으로 배송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한 예이다.
최근 소규모 인터넷 쇼핑몰에서 고객의 주문정보가 유출되어 배송자에게 전화하여 배송을 다른 곳으로 해 줄 것을 요구하여, 배송 중에 상품을 가로채는 사건 등이 발생하여 소비자는 배송과정에서 주문한 상품이 분실될까 불안하다.
또한, 급한 사정으로 인해 구매자가 배송지의 주소를 이탈해야 하는 경우 배송사의 배송자는 배송을 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방문을 하며, 방문 후 구매자에게 전화를 하여 확인을 하거나, 다음날 배송을 하는 등 시간과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한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다수의 상품 구매 고객(61)에게 상품을 판매한 인터넷 쇼핑몰, 홈쇼핑 등의 쇼핑몰(60)은 상품을 배송한 후 고객(61)의 전화번호를 쇼핑몰(60)의 일반전화에 통화요청번호로 등록한다.
또한, 배송사(62)는 배송지별로 구분된 전화회선을 마련하며, 각 회선마다 해당 배송지의 담당 배송자(63)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로 자동 절환되도록 설정한다.
상기 쇼핑몰(60)에서는 상품 구매 고객(61)의 배송지에 따라 서로 다른 상기 배송사(62)의 전화번호를 해당 상품 구매 고객(61)의 전화번호에 대한 지정연결번호로 예약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품 구매 고객(61)이 배송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쇼핑몰(60)에 전화를 하면, 상기 쇼핑몰(60)이 가입된 공중전화망 사업자장치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여 상기 상품 구매 고객(61)이 통화요청번호로 등록되었는지 확인하며 등록된 것일 때에는 지정연결번호인 배송사(62)의 해당 회선으로 통화요청을 하며 이는 자동으로 절환되어 해당 상품을 배송하는 배송자(63)에게 요청된다.
상기 배송자(63)가 통화를 승인하면 배송자(63)와 상품 구매 고객(61)이 직접 통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배송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상품 구매자는 배송자의 연락처를 알 수 없는 경우에도 배송자와 직접 통화가 가능하여 정확한 배송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배송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 배송자를 가장한 범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송자의 입장에서는 구매자가 배송지를 이탈한 경우 이를 쉽게 연락받을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소핑몰은 배송확인을 문의하는 구매자들을 직접 배송자와 통화하도록 하여 서비스시간을 단축하고, 구매자들에 대한 쇼핑몰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실시예5 - 통화요청번호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의 다자간 예약 통화>
상기 실시예3과 실시예4에서는 다자간 예약 통화를 위하여 사용자가 통화요청번호를 설정해 두었으나, 통화요청번호를 설정하지 않고 지정연결번호만을 설정하여 다자간에 통화를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통화요청번호를 설정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다자간 예약 통화 방법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먼저 S710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지정연결번호를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일반전화 단말기를 이용하여 등록한다.
이때 그 지정연결번호에 대한 통화요청번호를 등록하지 않는다.
그 다음, 사용자는 S720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등록된 지정연결번호를 호출하 는 핫 키를 지정한다.
상기 핫 키는 단말기에 별도로 마련된 것일 수 있으며, 기존의 키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 S730단계와 같이 특정한 번호로부터 사용자의 단말기에 통화요청이 있으면 S740단계와 같이 통화가 되도록 한다.
그 다음, S750단계에서 이동통신 사업자장치(10,20) 또는 공중전화망 사업자장치(30)는 상기 통화 중에 핫 키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
상기 핫 키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S740단계의 통화가 유지되도록 하며, 핫 키의 입력이 있는 경우 S760단계와 같이 상기 설정된 지정연결번호로 통화요청을 한다.
그 다음, S770단계와 같이 응답이 있는지 판단하여 응답이 없으면 상기 S740단계의 통화상태를 유지하며, 응답이 있는 경우 S780단계의 다자간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호를 연결한다.
상기의 과정 중 녹취의 명령이 있으면 녹취하고 이메일로 발송하는 과정은 상기의 실시 예들에 기재한 것과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5는 전화번호를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온 전화를 전화번호를 아는 사람에게 연결하여 동시에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전화번호를 알 수 없는 범죄자의 협박전화 등을 경찰서 등에 직접 연결하여 경찰에서도 그 통화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범죄 발생에 대한 처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일반전화 단말기에 관계없이 통화 중에 녹취 요청이 있으면 이를 감지하여 통화내용을 녹취하고, 그 녹취된 통화내용을 이메일을 통해 서비스 이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는 통화내용의 기록/보존이 필요한 경우 단말기의 종류나 저장 용량에 관계없이 통화내용을 기록/보존할 수 있으며, 특히 그 통화내용을 이메일을 통해 수신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 이메일 확인이 가능한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통화내용을 받아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사업자장치 또는 공중전화망 사업자장치는 통화기록을 장기간 보존하지 않음으로써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고, 서비스의 다양화를 통해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서비스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에 특정 번호의 단말기로부터 통화요청이 있으면 다른 번호의 단말기에도 통화요청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하여, 예약된 사람들이 동시에 통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일방향성의 다자간 통화에서 탈피하여 다양하고 유연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관찰과 보호가 필요한 사람들을 관리하는 복지/구호단체에서 다자간 예약 통화를 통해 의사와 동시에 통화함으로써, 관찰, 보호 대상자들의 응급구호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품의 구매자가 배송자의 연락처를 모르는 경우에도 상품을 주문한 쇼핑몰에 전화하는 것으로 직접 배송자와 통화를 할 수 있어, 배송사고를 포함하는 범죄행위의 발생을 방지하고, 쇼핑몰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가입자들에 대한 서비스의 일환으로 가입자가 지정한 통화요청번호로부터 가입자에게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가입자가 지정한 지정연결번호로 동시에 통화요청을 하여 수락하는 경우 예약된 다자간의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가입자 또는 참석자가 통화중 가입자 단말기 또는 참석자 단말기의 지정된 키를 입력하면 통화내용을 저장하여 후에 사용자 또는 참석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녹취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업자장치와,
    상기 통신사업자장치에 가입하여 통화요청번호로부터 가입자에게 통화요청이 있으면 동시에 가입자가 지정한 지정연결번호로 통화요청이 되도록 통화요청번호와 지정연결번호를 예약할 수 있으며, 녹취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경우 이메일주소를 통신사업자장치에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통화중에 지정된 키를 눌러 상기 통신사업자장치에서 통화 내용이 녹취되도록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통신사업자장치에서 녹취한 통화내용을 암호화하고,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숨겨진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이메일주소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녹취 데이터를 판독할 수 없는 것일 경우에도, 정보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녹취 이메일 발송서버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통신사업자장치는 이동통신 사업자장치 또는 공중전화망 사업자장치이거나, 이동통신 사업자장치 및 공중전화망 사업자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통화요청번호와 지정연결번호는 각각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통신사업자 사업자장치는 임시 저장소에 녹취된 통화내용을 저장하며, 그 저장된 통화내용을 녹취 이메일 발송서버로 전송한 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
  5. 가입자가 지정한 보호/관찰이 필요한 사람들의 전화번호를 통화요청번호로 설정하고, 그 통화요청번호로부터 가입자에게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가입자가 지정한 병원/보건소의 전화번호인 지정연결번호로 동시에 통화요청을 하여 수락하는 경우 예약된 다자간의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가입자 또는 보호/관찰이 필요한 사람들이 통화중 가입자 단말기 또는 통화요청번호 단말기의 지정된 키를 입력하면 통화내용을 저장하여 후에 사용자 또는 보호/관찰이 필요한 사람들이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녹취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업자장치와,
    상기 통신사업자장치에 가입하여 통화요청번호로부터 가입자에게 통화요청이 있으면 동시에 가입자가 지정한 지정연결번호로 통화요청이 되도록 통화요청번호와 지정연결번호를 예약할 수 있으며, 녹취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경우 이메일주소를 통신사업자장치에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통화중에 지정된 키를 눌러 상기 통신사업자장치에서 통화 내용이 녹취되도록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통신사업자장치에서 녹취한 통화내용을 암호화하고,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숨겨진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이메일주소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녹취 데이터를 판독할 수 없는 것일 경우에도, 정보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녹취 이메일 발송서버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
  6. 상품 판매자인 가입자가 지정한 상품 주문자의 전화번호를 통화요청번호로 설정하고, 그 통화요청번호로부터 가입자에게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가입자가 지정한 배송자의 전화번호인 지정연결번호로 동시에 통화요청을 하여 수락하는 경우 예약된 다자간의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가입자 또는 상품 주문자가 통화중 가입자 단말기 또는 통화요청번호 단말기의 지정된 키를 입력하면 통화내용을 저장하여 후에 사용자 또는 상품 주문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녹취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업자장치와,
    상기 통신사업자장치에 가입하여 통화요청번호로부터 가입자에게 통화요청이 있으면 동시에 가입자가 지정한 지정연결번호로 통화요청이 되도록 통화요청번호와 지정연결번호를 예약할 수 있으며, 녹취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경우 이메일주소를 통신사업자장치에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통화중에 지정된 키를 눌러 상기 통신사업자장치에서 통화 내용이 녹취되도록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통신사업자장치에서 녹취한 통화내용을 암호화하고,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숨겨진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사용자의 이메일주소 및 상품 주문자의 이메일주소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녹취 데이터를 판독할 수 없는 것일 경우에도 정보단말기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녹취 이메일 발송서버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
  7. 서비스 사용자가 자신의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요청번호로부터 사용자의 전화번호로 통화요청이 있으면 지정연결번호로 동시에 통화를 요청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 서비스와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녹취서비스를 신청하는 서비스신청단계와,
    상기 서비스 신청을 승인한 통신사업자장치에서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입력한 통화요청번호와 지정연결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사용자에게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그 사용자 단말기로 통화를 요청한 번호가 상기 지정된 통화요청번호인지 확인하는 번호확인단계와,
    상기 번호확인단계의 판단결과 통화요청번호가 아니면 일대일 통화가 되도록 호를 연결하는 일대일 통화단계와,
    상기 번호확인단계의 판단결과 통화요청번호이면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지정한 지정연결번호에 통화요청을 하며, 이를 승인한 경우 상기 서비스 사용자, 통화요청번호 사용자, 지정연결번호 사용자가 동시에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호를 연결하는 다자간 통화단계와,
    상기 일대일 통화단계 또는 다자간 통화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서비스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지정된 키가 입력되면 이를 감지한 통신사업자장치에서 일대일 통화내용 또는 다자간 통화내용을 저장하고, 사용자가 지정한 이메일 주소로 그 통화내용을 전송하는 녹취서비스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요청번호와 지정연결번호는 상호 중복되지 않으며, 각각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방법.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녹취서비스단계는 일대일 또는 다자간 통화내용을 통신사업자장치의 임시저장소에 저장하며, 그 통화내용을 이메일을 통해 전송할 때 통화내용에 숨은 데이터를 삽입하여 전송하고, 그 임시저장소에 저장된 통화내용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방법.
  11. 서비스 사용자가 자신의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호/관찰이 필요한 사람들의 전화번호인 통화요청번호로부터 사용자의 전화번호로 통화요청이 있으면 병원/보건소의 전화번호인 지정연결번호로 동시에 통화를 요청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 서비스와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녹취서비스를 신청하는 서비스신청단계와,
    상기 서비스 신청을 승인한 통신사업자장치에서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입력한 보호/관찰이 필요한 사람들의 전화번호인 통화요청번호와 병원/보건소의 전화번호인 지정연결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서비스 사용자에게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그 사용자 단말기로 통화를 요청한 번호가 상기 지정된 통화요청번호인지 확인하는 번호확인단계와,
    상기 번호확인단계의 판단결과 통화요청번호가 아니면 상기 통화를 요청한 번호와 사용자 사이에 일대일 통화가 되도록 호를 연결하는 일대일 통화단계와,
    상기 번호확인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통화요청번호이면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지정한 지정연결번호에 통화요청을 하며, 이를 승인한 경우 상기 서비스 사용자, 통화요청번호 사용자인 보호/관찰이 필요한 사람들, 지정연결번호 사용자인 병원/보건소의 의사가 동시에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호를 연결하는 다자간 통화단계와,
    상기 일대일 통화단계 또는 다자간 통화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서비스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지정된 키가 입력되면 이를 감지한 통신사업자장치에서 일대일 통화내용 또는 다자간 통화내용을 저장하고, 사용자가 지정한 이메일 주소로 그 통화내용을 전송하는 녹취서비스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방법.
  12. 상품 판매자인 서비스 사용자가 자신의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품 주문자의 전화번호인 통화요청번호로부터 사용자의 전화번호로 통화요청이 있으면 상품 배송자의 전화번호인 지정연결번호로 동시에 통화를 요청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 서비스와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녹취서비스를 신청하는 서비스신청단계와,
    상기 서비스 신청을 승인한 통신사업자장치에서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 구매자의 전화번호인 통화요청번호와 상품 배송자의 전화번호인 지정연결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서비스 사용자에게 통화요청이 있는 경우 그 사용자 단말기로 통화를 요청한 번호가 상기 지정된 통화요청번호인지 확인하는 번호확인단계와,
    상기 번호확인단계의 판단결과 통화요청번호가 아니면 상기 통화를 요청한 번호와 사용자 사이에 일대일 통화가 되도록 호를 연결하는 일대일 통화단계와,
    상기 번호확인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통화요청번호이면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지정한 지정연결번호에 통화요청을 하며, 이를 승인한 경우 상기 서비스 사용자인 상품 판매자, 통화요청번호 사용자인 상품 구매자, 지정연결번호 사용자인 상품 배송자가 동시에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호를 연결하는 다자간 통화단계와,
    상기 일대일 통화단계 또는 다자간 통화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서비스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지정된 키가 입력되면 이를 감지한 통신사업자장치에서 일대일 통화내용 또는 다자간 통화내용을 저장하고, 사용자가 지정한 이메일 주소로 그 통화내용을 전송하는 녹취서비스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40093788A 2004-11-17 2004-11-17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과 그방법 KR100678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788A KR100678439B1 (ko) 2004-11-17 2004-11-17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과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788A KR100678439B1 (ko) 2004-11-17 2004-11-17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과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920A KR20060054920A (ko) 2006-05-23
KR100678439B1 true KR100678439B1 (ko) 2007-02-02

Family

ID=37151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788A KR100678439B1 (ko) 2004-11-17 2004-11-17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과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4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534A (ko) * 2001-12-11 2003-06-18 주식회사 텔레프리 회의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040004972A (ko) * 2002-07-08 2004-0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회의통화 기능을 위한 셀룰러 통신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KR20040090655A (ko) * 2003-04-18 2004-10-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에서의 회의통화 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534A (ko) * 2001-12-11 2003-06-18 주식회사 텔레프리 회의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040004972A (ko) * 2002-07-08 2004-0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회의통화 기능을 위한 셀룰러 통신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KR20040090655A (ko) * 2003-04-18 2004-10-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에서의 회의통화 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920A (ko) 200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4221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риема заказов
US7748617B2 (en)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US4878239A (en) Anonymous interactive telephone system with expanded outward calling features
US4847890A (en) Anonymous interactive telephone system
US67887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ponsored or universal telecommunications service and third party payer services
US8002178B2 (en) Virtual membership card system and providing method, and virtual membership card reading method
US20100153249A1 (en) Making Payment Using Communication Client
US20060274724A1 (en) Method of providing a parallel voice and data connection with a call center and a device for the same
Bidwell et al. Please call ME. NU 4EVER: designing for ‘callback’in rural Africa
CN100514996C (zh) 通话系统及其使用的服务器和接收中继装置
TW502187B (en) Personal information verification method in electronic-commerce system
JPH0896034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オンライン決済方法
KR100678439B1 (ko) 다자간 예약 통화 및 통화내용의 녹취 서비스 시스템과 그방법
CN203761458U (zh) 一种交互式自动语音应答系统
AU2004302427A1 (en) Method of proving service for telephone call recording and system thereof
US20010027444A1 (en) Member card administration system using a rewritable card,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program therefor
KR20060089792A (ko) 통화연결음 및 문자메세지를 이용한 광고서비스제공장치와 방법
JP3749772B2 (ja) 取引に際して顧客電話番号の有効性を調べる取引処理システム
US10278036B1 (en) Telephone with card-reader
KR100738208B1 (ko) 통화중인 상대방과의 통신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서비스제공서버
US6880011B1 (en)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KR100475666B1 (ko) 전화 통화 내용 증명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32472B1 (ko) 만남 주선 서비스에서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Platform Technical Overview
KR100776031B1 (ko) 통화중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