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863B1 - 맛사지장치 - Google Patents

맛사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863B1
KR100677863B1 KR1020050053780A KR20050053780A KR100677863B1 KR 100677863 B1 KR100677863 B1 KR 100677863B1 KR 1020050053780 A KR1020050053780 A KR 1020050053780A KR 20050053780 A KR20050053780 A KR 20050053780A KR 100677863 B1 KR100677863 B1 KR 100677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essure
skin
col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4245A (ko
Inventor
이정동
Original Assignee
이정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동 filed Critical 이정동
Priority to KR1020050053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863B1/ko
Publication of KR20060134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57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8Psycholog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4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 A61F2007/005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f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61F2007/0075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using a Peltier element, e.g. near the spot to be heated or coo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압력을 가하여 혈관을 자극시킨 상태에서 냉온 맛사지나 초음파 또는 중,저주파 등 다양한 형태의 맛사지를 가하여 맛사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맛사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신체의 피부에 압력을 가해 피부를 팽창시키기 위한 압력기와, 상기 압력기 내에 설치되어 외압에 의해 팽창된 피부에 냉온맛사지를 가하기 위한 냉온유니트, 상기 압력기 및 냉온유니트와 연결되어 상기 압력기와 냉온유니트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본체를 포함하는 맛사지 장치를 제공한다.
압력기, 냉온유니트, 부압컵, 에어펌프, 열전소자

Description

맛사지장치{Massag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맛사지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맛사지장치의 맛사지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맛사지장치의 본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맛사지장치의 맛사지부 작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맛사지장치의 맛사지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맛사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맛사지부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케이스
12 : 전원부 13 : 스위치부
14 : 컨트롤러 15 : 표시부
16 : 스위치 17 : 모니터
20 : 압력기 21 : 에어호스
22 : 하우징 23 : 부압컵
24 : 스커트관 30 : 냉온유니트
31 : 내부구조물 32,66 : 열전소자
34 : 전달부재 35 ; 온도센서
36 : 히트파이프 37 : 수냉재킷
38 : 수관 39 : 전선
40 : 열전달매체 41 : 케이블
42 : 커넥터 50 : 감압부
51 : 에어펌프 52 : 솔레노이드밸브
60 : 수냉부 61 : 출구
62 : 입구 63 : 수통
65 : 히트싱크 66 : 냉각팬
68 : 순환펌프 70 : 보온재
80 : 저주파유니트 81 : 중주파유니트
82 : 칼라테라피유니트 85 : 발진부
86 : 출력부 87 : 전원공급부
본 발명은 피부 맛사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피부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다양한 피부 맛사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맛사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피부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피부관리를 위한 다양한 기구나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인체에 있어서 피부는 모체에서 뇌와 함께 형성되며, 신체의 가장 겉면에 존재하고 외부의 여러 영향으로부터 내부 기관을 보호하고 생명과 이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데, 통상 피부가 탄력을 잃게 되면 화장이 안 받아지고 부석부석해지면서 처진 인상을 갖게 되므로 평상시의 피부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따라서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탄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부청결과 함께 적당한 맛사지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 피부에 저주파나 중주파를 가하거나 냉열과 온열을 번갈아 가해 모공을 확장하거나 축소하여 찜질효과를 가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의 각 장치들보다 탁월한 피부 맛사지 효능을 얻을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압력을 가하여 혈관을 자극시킨 상태에서 냉온 맛사지나 저주파, 중주파 등 다양한 형태의 맛사지를 가하여 맛사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맛사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맛사지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맛사지장치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맛사지장치는,
신체의 피부에 압력을 가해 피부를 팽창시키기 위한 압력기와, 외압에 의해 팽창된 피부에 맛사지를 가하기 위한 맛사지기를 포함하는 맛사지부와;
상기 맛사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압력기와 맛사지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본체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맛사지기는 냉열과 온열을 피부에 가하기 위한 냉온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냉온유니트는 상기 압력기의 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피부에 냉열과 온열을 가하기 위한 열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맛사지기는 초음파를 피부에 가할 수 있는 초음파유니트 또는 중,저주파를 가할 수 있는 중저주파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유니트로 인가되는 전류는 구형파 또는 톱니파와 같은 변조된 직류 또는 저주파 또는 짧은 펄스를 갖는 2상 전압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맛사지기는 다양한 색상의 빛을 피부에 쬐여줄 수 있도록 된 칼라테라피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칼라테라피유니트는 상기 압력기 내에 설치되고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삼원색의 빛을 내는 빨간색/파란색/녹색 LED 램프를 포함할 수있다.
한편, 상기 압력기는 에어압에 의한 부압 또는 피부에 직접 가해지는 물리력에 의해 피부를 팽창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압력기는 내부에 상기 맛사지기가 설치되고 에어가 유통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설치되고 피부에 밀착되는 부압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기는 하우징과 상기 본체 사이에 에어압을 전달하기 위한 에어호스가 연결설치되어 본체의 제어작동에 의해 부압컵 내에 부압이 걸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력기의 부압컵은 원통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피부를 내부로 충분히 팽창시킬 수 있는 정도면 그 크기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부압컵은 선단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력기는 본체와 에어호스로 연결되어 내부에 부압이 걸리고 중앙에 상기 맛사지기가 설치되며 하단이 개방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개방된 하부 양단에 피부에 접하도록 대향 설치되는 한 쌍의 가압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압에 의해 부압이 프레임 내부에 걸리게 되면 피부가 프레임 내부로 빨려들어오게 되고 이때, 프레임에 설치된 가압롤이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피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해 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에어호스와 연결되어 에어를 흡입하기 위한 에어펌프와 상기 에어호스상에 설치되어 에어호스를 개폐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기는 피부에 직접 물리력을 가할 수 있도록, 중앙에 상기 맛사지기가 설치되고 하단이 개방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개방된 하부 양단에 피부에 접하도록 대향 설치되는 한 쌍의 가압롤, 각 가압롤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가압롤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에어압없이 구동모터가 작동되면 가압롤이 회전되면서 피부에 압력을 가해 가압롤 사이에 위치한 피부를 밀어올려 팽창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맛사지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맛사지장치의 맛사지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맛사지장치의 본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맛사지장치는 에어의 흡입력을 신체의 피부에 압력을 가해 피부를 팽창시키기 위한 압력기(20)와, 상기 압력기(20) 내에 설치되어 외압에 의해 팽창된 피부에 냉온 맛사지를 가하기 위한 냉온유니트(30), 상기 압력기(20) 및 냉온유니트(30)와 연결되어 상기 압력기(20)와 냉온유니트(3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기(20)는 본체(10)와는 별도로 구비되며 에어가 유통되는 에어호스(21)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압력기(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손잡이를 이루고 내부로 공기가 유통되는 하우징(22)과, 이 하우징(2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은 개방되어 피부가 밀려올라가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압컵(23)을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를 이루는 하우징(22)의 선단으로는 상기 하우징(22) 내부와 연통된 에어호스(21)가 연결설치되어 본체(10)의 제어에 따라 에어호스(21)를 통해 부압컵(23) 내의 공기가 빨려나가게 된다.
상기 부압컵(23)은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압컵(23)의 하단에 부압컵(23)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투명재질의 스커트관(24)이 나사결합식으로 조립된다.
상기 스커트관(24)은 실질적으로 피부에 밀착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부압컵(23)의 작용에 의해 피부가 내부로 밀려들어가는 정도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기(20)는 손잡이를 이루는 하우징(22)과 부압컵(23) 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나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부압컵(23)이 하우징(22)의 선단에 직각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가능한 모든 구조 또한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에 속한다 할 것이다.
한편, 도 2는 상기 압력기(20) 내부에 설치되는 맛사지기로서 냉온유니트(30)가 적용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냉온유니트(30)는 상기 압력기(20)의 하우징(22) 내부 중앙에 설치되는 내부구조물(31)과, 이 내부구조물(31)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부압컵(23) 내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피부에 냉기와 온열을 가하기 위한 열전소자(32)를 포함한다.
상기 열전소자(32)는 이극형 반도체를 조합했을 때에 생기는 냉각효과를 이용한 소자로써, 즉, 이종 금속에서는 금속 내의 전자의 퍼텐셜에너지에 차가 있기 때문에 퍼텐셜에너지가 낮은 상태에 있는 금속으로부터 높은 상태에 있는 금속으로 전자를 운반하는 데는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얻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접점에서 열에너지를 빼앗기고, 반대의 경우에는 열에너지가 방출되며, 이 원리에 따라 전류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온도 상승과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열전소자(32)에 대해서는 당업자 수준에서 이미 많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같이 상기 열전소자(32)는 자체적으로 전류의 방향에 따라 발열면에서는 열이 발생되고 냉각면은 냉각되어 피부에 냉기와 온열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열전소자(32)의 설치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내부구조물(31)은 하우징(22)과 사이에 별도의 브라켓(33)을 매개로 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되며, 상기 내부구조물(31)의 부압컵 쪽 선단에는 실질적으로 열전소자(32)의 냉기 또는 열을 피부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재(34)가 설치되고, 상기 전달부재(34) 내측면에 상기 열전소자(32)가 밀착설치된다.
상기 전달부재(34)는 알루미늄 재질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은 열전소자(32)와 접하게 되며 인체의 피부와 접하는 외측면에는 크롬 등이 도금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달부재(34)는 일측에 온도센서(35)가 더욱 설치되어 전달부재(34)에 가해지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냉온유니트(30)는 상기 열전소자(32)의 내측 후면에 접하여 열전소자(32)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하는 히트파이프(36)와, 상기 히트파이프(36)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수냉 재킷(37)을 더욱 포함한다.
수냉재킷(37)으로 냉각수를 유통시키고 열전소자(32)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2)의 선단으로 냉각수 유통을 위한 수관(38)과 전선(39)이 본체(10)와 연결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열전소자(32)의 전달부재(34)와 접하는 면의 반대쪽면에는 전달부재(34)를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발열면에서 발생되는 열을 식혀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전달부재(34)와 접하는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기 열전소자(32) 내측면에는 열전소자(32)에 밀착되는 열전달매체(40)를 매개로 히트파이프(36)의 일단이 접촉설치되어 상기 하우징(22) 내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히트파이프(36)의 외주면 을 따라 냉각수가 유통되는 수냉재킷(37)이 감싸면서 설치된다.
상기 히트파이프(36)는 통상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열을 효과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벽면과, 열수송을 행하는 작동유체(working fluid)를 흐르게 하기 위한 통로와, 이들 사이에 형성된 다공질 조직으로 되어 상기 작동유체의 열유송이 동력 없이 연속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열전달매체(40)는 평면형태의 열전소자(32)에서 발생되는 열을 봉 형태로 된 히트파이프(36)의 선단으로 용이하게 전달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측면은 상기 열전소자(32)의 발열면에 접하고 반대쪽면은 히트파이프(36)의 선단이 삽입되어 접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구리나 알루미늄 등과 같이 열 전달율을 높일 수 있는 재질이면 특별히 그 구조나 재질에 대해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수냉재킷(37)의 양단 즉, 냉각수가 유입되는 입측 선단과 냉각수가 배출되는 출측 선단은 하우징(22) 선단으로 연장되어 수관(38)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32)와 온도센서(35)에 연결되는 전선(39)은 상기 내부구조물(31) 내부를 따라 하우징(22)의 선단으로 연장되어 본체(10)에서 연장된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22) 선단을 통해서는 수관(38)과 전선(39) 및 에어호스(21)가 연결되며 이들은 케이블(41) 상에 내장되어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본체(10)에 연결된다.
여기서 미설명된 도면 부호 (23)은 케이블의 선단에 설치되어 하우징(22)의 손잡이 끝단에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한 커넥터(42)로, 커넥터를 매개로 케이블(41)이 하우징(22)에 고정되며 케이블 내에 설치된 각 수관(38)과 전선(39) 및 에어호스(21)가 하우징(22)의 손잡이 끝단으로 연장된 수냉재킷(37)의 선단과 전선(39) 및 에어호스(21)에 연결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상기 압력기(20)와 냉온유니트(30)를 구동시키고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 내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호스(21)를 통해 에어를 흡입하기 위한 감압부(50)와, 상기 케이스(11)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관(38)을 통해 상기 냉온유니트(30)의 수냉 재킷(37)으로 냉각수를 공급 순환시키기 위한 수냉부(60)와, 상기 열전소자(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열전소자(32)에 필요한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원부(12), 각 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부(13), 상기 스위치부(13)의 조작신호를 연산하여 각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4), 상기 컨트롤러(14)에 연결되어 필요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부(15)를 포함한다.
상기 감압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호스(21)에 연결되고 컨트롤러(14)의 신호에 따라 제어작동되는 에어펌프(51)와, 상기 에어호스(21) 상에 설치되어 컨트롤러(14)의 제어에 따라 에어호스(21)를 개폐작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52)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부(13)의 각종 스위치(16)는 상기 케이스(11)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5)는 전면에 설치되는 모니터(17)를 구비하여 모니터(17)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스위치(16)의 조작 내용이나 열전소자(32)의 온도 등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5)는 컨트롤러(14)와 연결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 예컨대 본 장치의 사용에 대한 데모 동영상을 모니터(17)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부(13)의 조작을 통해 원하는 온도 조건을 셋팅시키게 되면 컨트롤러(14)는 전원부(12)를 통해 열전소자(32)에 전류를 인가하여 열전소자(32)에 접하는 전달부재(34)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게 된다.
한편, 도 3과 도 4을 참조하여 상세 수냉부(6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냉부(60)는 양 측단에 수관(38)과 연결되어 냉각수가 나가는 출구(61)와 냉각수가 유입되는 입구(62)가 설치되고 내부에 냉각수가 담아지는 수통(63)과, 상기 수통(63) 외측면에 접하여 수통(63)을 냉각시키기 위한 열전소자(64), 상기 열전소자(64)의 외측면에 접하여 열전소자(64)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히트싱크(65)와, 이 히트싱크(65)로 냉각용 공기를 유통시키기 분출하여 히트싱크(65)의 방열리브(67)를 식히기 위한 냉각팬(66) 및 상기 수통(63)내의 냉각수를 상기 수냉재킷(37)으로 강제 유통시키기 위한 순환펌프(68)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서와 같이 두 개의 열전소자(64)가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는 데, 상기 열전소자(64)의 설치 개수에 대해서는 냉각수가 담긴 수통(63)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64)를 식혀주기 위한 히트싱크(65)도 상기 각 열전소자(64)에 각각 구비되며, 각 히트싱크(65)에 대해 별도의 냉각팬(66)(46)이 구비되어 열전소자(64)를 방열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된 도면 부호 (69)는 수통(63) 일측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이다.
또한, 상기 수통(63)의 외주면에는 보온재(70)가 덮여져 수통(63)을 외부와 차단시켜 수통(63) 내의 냉각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수통(63) 내부로 온도센서(71)가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71)는 케이스(11) 내부의 컨트롤러(14)로 연결되어 수통(63) 내부의 냉각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수냉부(60)를 통해 냉각수를 냉각시키고 이 냉각수를 순환시켜 히트 파이프(36)를 방열시킴에 따라 냉온유니트(30) 내의 열전소자의 방열면 온도를 최대로 낮출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32)의 냉각면 즉, 이 냉각면과 접하고 있는 전달부재(34)의 온도를 최대로 낮춰 접촉부의 온도를 -20℃에서 60℃범위로 확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조로 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기(20)로 피부(S)를 팽창시킨 상태에서 팽창된 피부(S)에 냉기 또는 온열을 가해 냉온 맛사지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본체(10)의 전원을 인가하고 스위치부(13)의 스위치(16)를 조작하여 감압부(50)의 에어펌프(51)가 작동되고 솔레노이드밸브(52)의 개폐작동에 따라 에어펌프(51)에 연결된 에어호스(21)를 통해 부압컵(23) 내의 공기가 빨려나가게 된다.
상기 에어호스(21)는 하우징(22)의 선단으로 연결되어 내부와 연통된 구조로, 상기와 같이 에어펌프(51)에 의해 에어가 흡입됨에 따라 부압컵(23) 내의 공기는 하우징(22)과 하우징(22) 내부에 설치된 냉온유니트(30)의 내부구조물(31) 사이의 틈새를 통해 에어호스(21)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부압컵(23)의 선단에 설치된 스커트관(24)을 피부(S)에 밀착시키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압컵(23) 내에 걸린 부압에 의해 피부(S)가 부압컵(23) 내로 밀려올라가게 된다.
부압컵(23) 내로 피부(S)가 밀려 올라옴에 따라 부압컵(23) 내의 피부(S)는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팽창되고 이에 따라 피부의 모세혈관과 모공이 확장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부압컵(23) 내부 중앙에는 언급한 바와 같이 냉온유니트(30)의 전달부재(34)가 위치하고 있어서 피부(S)는 부압컵(23) 내로 밀려올라가면서 팽창된 상태로 전달부재(34)에 최대한 근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냉온유니트(30)의 열전소자(32)가 작동되어 팽창된 피부(S)에 냉기나 온열을 가해 피부(S)를 냉온 맛사지하게 된다.
따라서 피부가 팽창되어 피부의 모세혈관과 모공이 확장된 상태에서 냉온맛사지가 이루어짐으로써 맛사지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냉온유니트(30)의 작용을 살펴보면, 작업자의 스위치(16) 조작에 따라 컨트롤러(14)는 상기 조작신호를 연산하여 전원부(12)를 제어함으로써 전원부(12)를 통해 필요한 전류를 본체(10) 내의 열전소자(64)와 냉각팬(66) 및 냉온유니트(30)의 열전소자(32)와 순환펌프(68)로 인가하게 된다.
상기 전류를 인가받은 냉온유니트(30) 내의 열전소자(32)는 전달부재(34)가 부착된 면이 냉각되고 반대쪽의 히트싱크(65)가 부착된 면에서는 열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32)의 냉기는 열전소자에 접하고 있는 전달부재(34)로 전달되어 상기와 같이 부압컵(23) 내로 올라온 피부(도 5의 S)에 냉기를 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32)의 반대쪽 면에서 발생된 열은 열전달부재(34)를 매개로 히트파이프(36)로 전달되고 상기 히트파이프(36)는 열전달부재(34)에서 발생된 열을 신속하게 반대쪽으로 이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수냉부(60)에 설치된 열전소자(64)로 인가된 전류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64)도 작동되어 열전소자가 부착된 수통(63)에 냉기를 가해 수통(63)을 냉각시키게 된다.
그리고 냉각팬(66)이 작동되어 상기 열전소자(64)의 반대쪽 발열면에서 발생되는 열을 식혀주게 된다. 즉, 냉각팬(66)이 작동되면 외기가 히트싱크(65)의 방열리브(67)로 유통되면서 방열리브(67)로 전달된 열전소자(64)의 열을 식혀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냉각팬(66)의 작동을 통해 수냉부(60) 내의 열전소자(64)의 냉각온도는 계속 낮춰지게 되어 수통(63) 내에 담겨져 있는 냉각수의 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냉각된 수통(63)내의 냉각수는 순환펌프(68)의 작동에 따라 출구(61)에 설치된 수관(38)을 통해 강제로 배출되어 수관(38)을 통해 냉온유니트(30) 내부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수관(38)은 냉온유니트(30)의 수냉재킷(37)과 연결되어 있어서 수관(38)을 따라 유통되는 냉각수는 상기 히트파이프(36)를 감싸고 있는 수냉재킷(37)을 따라 흐르면서 히트파이프(36)를 냉각시키게 된다.
히트파이프(36) 주위를 따라 흐르면서 온도가 올라간 냉각수는 다시 냉각재킷(37)에 연결된 수관(38)을 따라 배출되어 수관(38)이 연결된 수통(63)의 입구(62)를 통해 수통(63) 내부로 다시 유입된다.
상기 과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면서 히트파이프(36)는 냉각수에 의해 방열이 이루어지게 되며 히트파이프(36)의 냉각을 통해 히트파이프(36)에 선단에 접하는 냉온유니트(30) 내의 열전소자(32)의 발열면이 계속 식혀지게 된다.
이와같이 냉온유니트(30) 내의 열전소자(32)는 발열면의 열이 히트파이프(36)와 수냉재킷(37) 및 냉각수에 의해 신속하게 방열됨으로써 열전소자의 냉각면 온도를 계속 낮출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의 냉각면 즉, 이 냉각면과 접하고 있는 전달부재(34)의 온도를 최대로 낮춰 전달부재(34)의 온도를 -20℃에서 60℃범위로 확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달부재(34)의 온도는 전달부재(34) 일측에 설치된 온도센서(35)를 통해 검출되어 지속적으로 컨트롤러(14)로 인가되므로, 전달부재(34)의 온 도를 원하는 온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맛사지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기(20)는 롤러를 통해 피부를 밀어내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압력기를 잘 예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상기 압력기(20)는 중앙에 상기 맛사지기를 이루는 냉온유니트(30)가 설치되고 하단이 개방된 프레임(72)과, 이 프레임(72)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지지체(73), 상기 지지체(73)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프레임(72)의 개방된 하부 양단에 대향 배치되고 하부로 노출된 부분이 피부에 접하도록 된 한 쌍의 가압롤(74), 상기 지지체(73)에 설치되고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상기 가압롤(74)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10)의 신호에 따라 가압롤(74)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7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기어나 체인 등과 같이 다양한 기구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75)의 동력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76)와 가압롤(74)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피동기어(77) 상기 구동기어와 피동기어에 치합되는 중간기어(78)의 기어군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군을 이루는 각 기어(76,77,78)는 지지체(73) 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력기(20)를 피부(S)에 올려놓게 되면 프레임(72) 하부로 돌출된 가압롤(74)이 피부에 접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구동모터(75)이 작동되면 기어군을 매개로 동력이 가압롤(74)로 전달되어 각 가압롤(74)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가압롤(74)은 개별적으로 구동모터(75)에 연결되어 있어서 구동모터(75)의 구동방향에 따라 가압롤(74)의 회전방향이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두 개의 가압롤(74)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피부(S)를 팽창시키는 상태가 상이하게 된다.
도 6은 두 개의 가압롤(74)이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로 도면상 우측에 있는 가압롤(74)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좌측에 있는 가압롤(74)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두 가압롤(74) 사이의 피부(S)가 가압롤(74) 사이로 밀려나가 최종적으로 프레임(72) 내부로 밀려올라갈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가압롤(74)이 회전함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S)는 가압롤(74)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밀려나가 가압롤(74) 사이의 프레임(72) 내부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피부(S)는 팽창된 상태로 프레임(72) 중앙에 설치된 냉온유니트(30)의 전달부재(34)에 근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냉온유니트(30)의 작용에 대해서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본 압력기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롤(74)이 설치된 프레임 내에 부압을 가해 피부를 팽창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압력기(20)는 중앙에 상기 맛사지기를 이루는 냉온유니트(30)가 설치되고 하단이 개방된 프레임(72)과, 이 프레임(72)의 양 측면에 설치되 는 지지체(73)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프레임(72)의 개방된 하부 양단에 대향 배치되고 하부로 노출된 부분이 피부에 접하도록 된 한 쌍의 가압롤(74), 본체(10)와 상기 프레임(72) 내부 사이에 연결되어 프레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프레임 내부에 부압을 형성하는 에어호스(21)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호스(21)는 본체의 에어펌프(51)와 연결되어 컨트롤러(14)에 에어펌프가 제어작동됨에 따라 프레임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의 가압롤(74)을 피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에어호스(21)를 통해 공기를 빨아들이게 되면 프레임(72) 내에 부압이 걸려 피부(S)가 프레임(72) 내부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72)에 설치된 가압롤(74)은 프레임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상태로 피부(S)의 움직임에 따라 가압롤(74)이 회전되면서 피부가 유연하게 프레임(72) 내부로 밀려올라가도록 해준다.
프레임(72) 내로 피부(S)가 밀려 올라옴에 따라 피부(S)는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팽창되고 이에 따라 피부의 모세혈관과 모공이 확장된 상태에서 프레임(72) 내에 설치되어 있는 냉온유니트(30)에 의해 냉온 맛사지를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맛사지장치는 상기 맛사지기로서 위에서 언급된 냉온유니트(30)와 더불어 압력기(20) 내에 초음파유니트(80) 또는 중,저주파유니트(81) 또는 칼라테라피유니트(8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유니트(도 3의 80 참조) 또는 중,저주파유니트(도 3의 81 참조)는 하우징(22) 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10)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피부에 초음파 또는 중,저주파를 전달하기 위한 진동자(도시되지 않음) 또는 패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체(10) 내부에는 발진전압을 발생시키는 발진부(85)와 발진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출력신호를 패드에 공급하는 출력부(86)가 구비되며 상기 진동자 또는 패드에 연결되는 전선은 압력기(20)로 연결되는 케이블(41)을 통해 연장되어 본체(10)에 구비된 출력부(86)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본체(10) 상의 스위치(16)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발진부(85)는 컨트롤러(14)의 신호에 따라 변화된 출력 펄스를 발생시키고 이를 출력부(86)를 통해 진동자 또는 패드로 공급하여 일정 시간 사용자의 신체에 초음파나 중,저주파를 가하여 두드림, 주무름, 누름 작용을 가하게 된다.
이때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압력기(20)는 피부에 부압을 가하여 피부를 최대한 팽창시킨 상태로 패드에 접하도록 하여 맛사지 효과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칼라테라피유니트(도 3의 82 참조)는 상기 압력기(20)의 하우징(22) 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삼원색의 빛을 내는 빨간색/파란색/녹색 LED 램프(83)를 포함한다.
상기 LED 램프(83)는 하우징(22) 내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브라켓(84)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빨간색, 파란색, 녹색이 교대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각 색상의 LED 램프(83)가 만들어내는 빛의 조합이 하우징(22)과 내부구조물(31) 사이의 트매를 통해 하부로 비춰져 하우징(22) 내부로 흡입되어 올 라온 피부에 조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LED 램프(83)를 이루는 발광다이오드는 전류가 흐르면 빛을 방출하는 것으로, 반도체의 p-n 접합구조를 이용하여 주입된 수소캐리어(전자 또는 양공)을 만들어내고, 이들의 재결합에 의하여 발광시키는 다이오드의 한가지이다.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대해서는 이미 그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LED 램프는 적색과 녹색 및 청색 세 개가 한쌍으로 구비되는 데, 이는 빛의 삼원색이 적색과 녹색 및 청색이기 때문으로 세 개의 LED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색광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LED램프(83)의 작동을 위해 상기 본체(10) 내에는 컨트롤러(14)의 신호에 따라 각 LED램프(83)에 필요 전원을 공급 또는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전원공급부(87)가 구비되며 상기 각 LED램프와 연결되는 전선(39)은 압력기(20)로 연결되는 케이블(41)을 통해 연장되어 본체(10)에 구비된 상기 전원공급부(87)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16)를 조절하여 원하는 색상에 맞추게 되면 빨간색이나 파란색 및 녹색 뿐만아니라 각 색의 빛의 조화를 통해 원하는 색상의 빛을 합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빨간색의 빛이 필요한 경우에는 파란색 및 녹색 LED램프(83)로 인가되는 전원은 차단하고 빨간색 LED램프로만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빨간색의 빛을 얻 게 되고, 노란색 빛을 원하는 경우에는 녹색 LED램프와 빨간색 LED램프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줌으로써 두 빛의 합성을 통해 노란색 빛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전원공급부(87) 제어를 통해 상기 각 LED램프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게 되면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각 LED램프의 조합 뿐만 아니라 빛의 세기에 따른 빛의 조합도 만들어 낼수 있게 되어 원하는 색상의 빛을 모두 만들 수 있게 된다.
이때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압력기(20)는 피부에 부압을 가하여 피부를 최대한 팽창시킨 상태에서 상기 각 LED램프에서 발하는 빛을 조사함으로서 피부진정이나 피부세포 재생등과 같은 색치료 효과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상당히 획기적인 기능을 갖는 맛사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온 맛사지장치에 의하면, 피부를 최대한 팽창시켜 피부의 혈관 자극을 통해 혈액순환을 촉진시킨 상태에서 다양한 피부 맛사지를 수행함으로써 맛사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신체의 피부에 압력을 가해 피부를 팽창시키기 위한 압력기와,
    상기 압력기 내에 설치되어 외압에 의해 팽창된 피부에 냉온맛사지를 가하기 위한 냉온유니트,
    상기 압력기 및 냉온유니트와 연결되어 상기 압력기와 냉온유니트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본체
    를 포함하는 맛사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기는 길게 연장되어 손잡이를 이루고 내부로 공기가 유통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은 개방되어 피부가 밀려올라가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압컵, 상기 하우징의 선단과 상기 본체를 연결하여 본체의 제어에 따라 부압컵 내의 공기를 유통시키는 에어호스,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호스와 연결되어 에어를 흡입하기 위한 에어펌프, 상기 에어호스상에 설치되어 에어호스를 개폐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컵의 하단에 투명재질의 스커트관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유니트는 상기 압력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구조물과, 상기 내부구조물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부압컵 내에 위치하여 피부에 냉기와 온열을 가하기 위한 열전소자,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열전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열전소자에 필요한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유니트는 상기 내부구조물 선단에 설치되고 내측면에 상기 열전소자가 부착되어 열전소자의 열을 전달하는 전달부재와, 상기 열전소자의 내측면에 접하여 열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하는 히트파이프, 상기 히트파이프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수냉 재킷,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고 상기 수냉 재킷과 수관으로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냉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냉부는 일측에 냉각수가 나가는 출구와 냉각수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된 수통과, 이 냉각수통 외측면에 접하여 수통을 냉각시키기 위한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의 외측면에 접하여 열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히트싱크와, 이 히트싱크로 냉각용 공기를 분출하여 히트싱크의 방열리브를 식히기 위한 냉각팬 및 상기 수관을 통해 수통내의 냉각수를 상기 수냉재킷으로 강제 유통시키기 위한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호스를 통해 에어를 흡입하기 위한 감압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온유니트로 냉각수를 공급 순환시키기 위한 수냉부, 상기 열전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열전소자에 필요한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원부, 각 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의 조작신호를 연산하여 각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필요 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기는 중앙에 상기 냉온유니트가 설치되고 하단이 개방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하부 양단에 대향 배치되고 하부로 노출된 부분이 피부에 접하도록 된 한 쌍의 가압롤,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고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상기 가압롤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신호에 따라 가압롤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기는 중앙에 상기 냉온유니트가 설치되고 하단이 개방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개방된 하부 양단에 피부에 접하도록 대향 설치되는 한 쌍의 가압롤, 상기 하우징의 선단과 상기 본체를 연결하여 본체의 제어에 따라 프레임 내의 공기를 유통시키는 에어호스,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호스와 연결되어 에어를 흡입하기 위한 에어펌프, 상기 에어호스상에 설치되어 에어호스를 개폐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피부에 중,저주파를 전달하기 위한 패드와,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고 발진전압을 발생시키는 발진부, 상기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진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출력신호를 상기 패드에 공급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중,저주파유니트가 더욱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기의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삼원색의 빛을 내는 빨간색/파란색/녹색 LED 램프와, 상기 본체 내에는 구비되고 상기 각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LED램프에 필요 전원을 공급 또는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칼라테라피유니트가 더욱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 장치.
KR1020050053780A 2005-06-22 2005-06-22 맛사지장치 KR100677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780A KR100677863B1 (ko) 2005-06-22 2005-06-22 맛사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780A KR100677863B1 (ko) 2005-06-22 2005-06-22 맛사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014U Division KR200395180Y1 (ko) 2005-06-22 2005-06-22 맛사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245A KR20060134245A (ko) 2006-12-28
KR100677863B1 true KR100677863B1 (ko) 2007-02-02

Family

ID=3781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780A KR100677863B1 (ko) 2005-06-22 2005-06-22 맛사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8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3440A2 (en) * 2008-09-19 2010-03-25 Eilaz Babaev Spider vein treatment apparatus
KR101406275B1 (ko) 2012-06-29 2014-06-12 유니스파테크주식회사 감압 피부 관리 장치
WO2014115962A1 (ko) * 2013-01-22 2014-07-31 유니스파테크주식회사 금속 냉온 감압 피부 관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845B1 (ko) * 2007-04-06 2008-09-23 홍인표 컬러테라피가 가능한 온열 마사지 장치
US20080287839A1 (en) 2007-05-18 2008-11-20 Juniper Medical, Inc. Method of enhanced removal of heat from subcutaneous lipid-rich cells and treatment apparatus having an actuator
US20100017750A1 (en) * 2008-07-16 2010-01-21 Avner Rosenberg User interface
KR101433932B1 (ko) * 2012-12-21 2014-08-29 문명건 이온 및 중주파를 겸비한 온냉열 피부 마사지 장치
KR101534434B1 (ko) * 2014-02-06 2015-07-06 김상식 수냉 시스템을 갖는 초음파 시술용 핸드피스 및 장치
CN107427693B (zh) * 2015-04-13 2019-11-29 株式会社首琳医疗保险 利用等离子体的皮肤治疗装置
KR101684938B1 (ko) * 2016-07-07 2016-12-09 주식회사 시내코스 피부관리장치
KR101827139B1 (ko) * 2016-08-18 2018-02-08 장태순 냉열 및 온열 시스템을 구비한 근육 통증 및 염증 치료용 마사지 장치
KR101719459B1 (ko) * 2016-08-19 2017-03-23 정관석 쿨러 핸드피스를 갖는 오토 인젝션 시스템
KR102146691B1 (ko) * 2019-06-10 2020-08-24 주식회사 비에이치지 열전소자를 이용한 마사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960U (ko) * 1999-05-18 1999-10-05 김고정 저주파가발생되게한부항기
KR200370161Y1 (ko) 2004-09-13 2004-12-16 이정동 냉온 맛사지장치
KR200379443Y1 (ko) 2004-12-29 2005-03-21 박상일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960U (ko) * 1999-05-18 1999-10-05 김고정 저주파가발생되게한부항기
KR200370161Y1 (ko) 2004-09-13 2004-12-16 이정동 냉온 맛사지장치
KR200379443Y1 (ko) 2004-12-29 2005-03-21 박상일 의료용 부압 발생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3440A2 (en) * 2008-09-19 2010-03-25 Eilaz Babaev Spider vein treatment apparatus
WO2010033440A3 (en) * 2008-09-19 2010-06-17 Eilaz Babaev Spider vein treatment apparatus
KR101406275B1 (ko) 2012-06-29 2014-06-12 유니스파테크주식회사 감압 피부 관리 장치
WO2014115962A1 (ko) * 2013-01-22 2014-07-31 유니스파테크주식회사 금속 냉온 감압 피부 관리 장치
KR101451891B1 (ko) * 2013-01-22 2014-10-16 유니스파테크주식회사 금속 냉온 감압 피부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245A (ko) 200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863B1 (ko) 맛사지장치
KR101451891B1 (ko) 금속 냉온 감압 피부 관리 장치
KR101406275B1 (ko) 감압 피부 관리 장치
TWM575333U (zh) 多功能護膚美容儀
CA2201504A1 (en) Method and devices for producing somatosensory stimulation using temperature
CN109498410B (zh) 一种多功能面膜仪
KR200395180Y1 (ko) 맛사지장치
KR102123667B1 (ko) 열전도성과 방열성이 개선된 피부미용기기
KR101907107B1 (ko) 지방 분해 장치
CN219713700U (zh) 一种半导体制冷件以及美容或理疗仪
KR20210010715A (ko) 그래핀 코팅 열전도 패드가 구비된 냉온열기
KR200391196Y1 (ko) 은을 이용한 얼굴 마사지기
CN209770846U (zh) 多功能美容仪
CN209884483U (zh) 一种冷热发生器及美容仪
KR200370161Y1 (ko) 냉온 맛사지장치
CN106178290A (zh) 超声波理疗仪
KR20140092979A (ko) 피부 맛사지장치
CN211213469U (zh) 一种探头及采用该探头的治疗装置
KR20140042239A (ko) 회동 가능한 고주파 전극을 구비하는 지방 분해 장치
KR101603040B1 (ko) 중/저주파 자극 수반 냉동 지방 분해장치
JP2002336288A (ja) 温冷交互刺激装置
KR101683701B1 (ko) 안면홍조 치료기
CN113180514A (zh) 一种具有按摩功能的脚盆
KR20140134122A (ko) 지방 분해 장치
KR20120047064A (ko) 광조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