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326B1 - 휴대폰의 메시지 전달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메시지 전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326B1
KR100677326B1 KR20040042272A KR20040042272A KR100677326B1 KR 100677326 B1 KR100677326 B1 KR 100677326B1 KR 20040042272 A KR20040042272 A KR 20040042272A KR 20040042272 A KR20040042272 A KR 20040042272A KR 100677326 B1 KR100677326 B1 KR 100677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obile phone
type
sms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42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7083A (ko
Inventor
최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42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326B1/ko
Priority to CN 200410095590 priority patent/CN100490565C/zh
Publication of KR20050117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32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방의 휴대폰에서 착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다양한 종류의 메시지를 통해 그 사실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음성 발신호에 대하여 교환국으로부터 수신측이 통화 불능 상태이므로, 남길 메시지에 대한 종류를 선택하라는 질의를 받으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시지의 종류를 선택받아 상기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제1과정과; 상기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메시지의 종류에 따른 특정 포맷의 SMS를 수신하는 제2과정과; 상기 SMS의 수신에 응답하여, 휴대폰에서 상기 선택한 종류의 메시지를 위한 모듈을 구동하고,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남길 메시지를 입력받아 상기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제3과정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휴대폰의 메시지 전달 방법{MESSAGE SENDING METHOD FOR MOBILE PHON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메시지 전달 방법의 처리과정에 대한 신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메시지 전달 방법이 적용되는 CDMA 망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메시지 전달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4는 도 3에서 제7,8단계에 대한 상세 신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SMS 메시지의 프로토콜의 포맷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SMS 메시지의 포맷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C : 휴대폰 2A-2C : 기지국
3A-3C : 기지국 제어기 4 : VMS 서버
5 : 교환기 6 : 단문메시지센터
본 발명은 상대방의 휴대폰에서 착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다양한 종류의 메시지를 통해 그 사실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 티미디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에 음성 메시지 이외의 비디오 메시지, MMS(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 SMS(SMS: 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등을 통해 메시지가 남겨진 사실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의 메시지 전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휴대폰의 보급률이 급속히 증가되어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매김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와 같은 휴대폰은 고유의 음성통화 서비스는 물론,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므로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휴대폰에 있어서는 상대방 휴대폰에 전화를 걸었을 때 수신자가 착신호를 수신할 수 없어 음성메시지가 남겨진 경우, 그 사실을 수신자에게 전달할 때 음성메시지로 전달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메시지 전달 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임의의 발신자로부터 착신호가 발생하였을 때 수신자가 통화 가능한 상태이면 통화로를 연결하여 음성통화 서비스를 실시한다.(SA1-SA3)
하지만, 해당 휴대폰이 통화중이거나 파워가 오프되어 있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통화가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 교환기측에서는 수신자가 현재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 있다는 사실을 발신자에게 안내함과 아울러 전화번호나 음성메시지를 남길 것인지에 대해 음성안내를 실시한다.(SA4)
이때, 발신자가 음성메시지를 남기면 그 음성메시지가 VMS(VMS: Voice Mail Server) 서버에 저장되고, SMSC(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를 통해 단문 메시지 형태로 음성메시지가 남겨져 있다는 사실이 수신자에게 전달된다.(SA5,SA6)
따라서, 추후에 상기 수신자는 특정 번호로 상기 VMS 서버에 접속하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음성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SA7)
이와 같이 종래의 휴대폰에 있어서는 착신호가 발생하였을 때 통화 불능 상태인 경우 발신자의 전달 내용을 수신자에게 전달할 때 오직 음성 메시지로만 전달할 수 밖에 없으므로, 메시지의 내용을 전달하는데 많은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에 통화 불능에 따른 메시지를 전달할 때, 음성메시지 이외의 비디오 메시지, MMS 메시지, SMS 메시지 등을 통해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메시지 전달 방법은, 음성 발신호에 대하여 교환국으로부터 수신측이 통화 불능 상태이므로, 남길 메시지에 대한 종류를 선택하라는 질의를 받으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시지의 종류를 선택받아 상기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제1과정과; 상기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메시지의 종류에 따른 특정 포맷의 SMS를 수신하는 제2과정과; 상기 SMS의 수신에 응답하여, 휴대폰에서 상기 선택한 종류의 메시지를 위한 모듈을 구동하고,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남길 메시지를 입력받아 상기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메시지 전달 과정을 첨부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신자가 휴대폰(1A)을 사용하여, 상대방 휴대폰(1B)에 전화를 걸었을 때, 그 휴대폰(1B)이 이미 통화중이거나 다른 이유로 인하여 통화 불능 상태인 경우를 예로하여 설명한다.(SB1,SB2)
이와 같은 경우, 교환기(MSC)(5)에서는 상기 수신자측 휴대폰(1B)이 통화 불능 상태라는 사실을 음성 안내 메시지로 발신자에게 통보하고,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전화번호 또는 음성메시지 또는 비디오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 또는 SMS 메시지 중에서 어느 메시지를 통해 남길 것인지에 대해 발신자의 의사를 타진한다.(SB3)
이때, 발신자가 임의의 메시지 예를 들어, 비디오 메시지를 선택하기 위한 해당 번호를 선택하면, VMS(VMS: Voice Maile Service) 서버(4)에서 상기 교환기(5)를 통해 단문메시지센터(6)에 수신자 및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발신자가 선택한 비디오 메시지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SB4,SB5)
이에 따라, 상기 단문메시지센터(6)에서는 전달받은 정보를 도 5와 같은 SMS 포맷으로 가공하여 상기 발신자측 단말기(1A)에 전송한다.(SB6)
상기 발신자측 단말기(1A)는 전달받은 상기 SMS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특정 텔리서비스 아이디(Teleservice ID)가 검출되면, 해당 메시지(예: 비디오 메시지) 를 작성하기 위한 모듈(예: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킨다.(SB7)
상기 발신자측 단말기(1A)에서 비디오 메시지의 작성이 완료되면 그 메시지를 상기 단문메시지센터(6)의 주변에 구축되어 있는 서버에 전송하고, 이때 그 서버에서는 비디오 메시지가 도착하였다는 사실을 SMS 메시지 형태(예: WAP Push 형태)로 수신자측 휴대폰(1B)에 통보한다.(SB8)
따라서, 수신자는 휴대폰(1B)으로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발신자로부터 전송되어 온 비디오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SB9)
한편, 상기 도 3의 제7,8단계(SB7,SB8)를 도 4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발신자측 단말기(1A)에서 수신한 SMS 메시지의 텔리서비스 ID가 특정 텔리서비스 ID인지 확인하여 특정 텔리서비스 ID인 것으로 판명되면, 그 메시지를 상기 도 5의 포맷에 따라 디코딩하여 메시지 정보를 획득한 후 발신자가 선택한 특정 메시지(예: 비디오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모듈(예: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킨다.(SC1-SC3)
상기 발신자측 단말기(1A)에서 비디오 메시지의 작성이 완료되면 그 메시지를 상기 단문메시지센터(6)의 주변에 구축되어 있는 서버에 전송하고, 이때 그 서버에서는 단문메시지센터(6)를 이용하여 수신자측 단말기(1B)에 비디오 메시지가 도착하였다는 사실을 SMS 메시지 형태로 통보한다.(SC4-SC6)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SMS 메시지의 프로토콜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SMS 프로토콜의 텔리서비스 레이어(Teleservice Layer)에서, 특히 유저 데 이터(user data) 부분에서 특정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SMS 메시지의 포맷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6에서 "메시지 ID"는 현재 발신자측에서 작성된 메시지의 종류를 의미한다. "메시지 종류"는 발신자가 남기고자 하는 메시지의 종류(예: 비디오 메시지, SMS 메시지, MMS 메시지 등)를 의미하는데, 이 정보는 메시지 작성을 위해 구동할 모듈을 결정할 때 이용된다. "발신자 번호"는 수신자 휴대폰(1B)의 전화번호를 의미하며, 이는 차후에 메시지가 상기 서버에 전달될 때 같이 전달되어 수신자에게 확인할 메시지가 서버에 저장되었다는 사실을 통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에 통화 불능에 따른 메시지를 전달할 때, 음성메시지 이외의 비디오 메시지, MMS 메시지, SMS 메시지 등을 통해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시지의 내용을 전달할 때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메시지를 선택하여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음성 발신호에 대하여 교환국으로부터 수신측이 통화 불능 상태이므로, 남길 메시지에 대한 종류를 선택하라는 질의를 받으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시지의 종류를 선택받아 상기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제1과정과;
    상기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선택된 메시지의 종류에 따른 특정 포맷의 SMS를 수신하는 제2과정과;
    상기 SMS의 수신에 응답하여, 휴대폰에서 상기 선택한 종류의 메시지를 위한 모듈을 구동하고,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남길 메시지를 입력받아 상기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메시지 전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과정의 메시지 종류는
    음성메시지, 비디오 메시지, MMS 메시지, SMS 메시지 중에서 적어도 2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메시지 전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2과정의 특정 SMS 포맷은
    상기 선택한 메시지의 종류를 의미하는 "메시지 ID", 발신자가 남기고자 하는 "메시지 종류", 수신자 휴대폰의 전화번호인 "발신자 번호", "기타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메시지 전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ID"는
    발신자측 휴대폰에서 메시지 작성을 위해 구동할 모듈을 결정할 때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메시지 전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번호"는
    차후에 메시지가 서버에 전달될 때 같이 전달되어 수신자에게 확인할 메시지가 서버에 저장되었다는 사실을 통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메시지 전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제3과정은:
    상기 수신한 SMS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특정 텔리서비스 아이디가 검출되면, 해당 종류의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 모듈을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남길 메시지의 작성이 완료되면, 상기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에서는 메시지가 도착하였다는 사실을 SMS 메시지 형태로 수신자측 휴대폰에 통보하는 단계와;
    수신자측 휴대폰에서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발신자로부터 전송되어 온 메시지를 확인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메시지 전달 방법.
KR20040042272A 2004-06-09 2004-06-09 휴대폰의 메시지 전달 방법 KR100677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42272A KR100677326B1 (ko) 2004-06-09 2004-06-09 휴대폰의 메시지 전달 방법
CN 200410095590 CN100490565C (zh) 2004-06-09 2004-12-02 一种手机的消息传递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42272A KR100677326B1 (ko) 2004-06-09 2004-06-09 휴대폰의 메시지 전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083A KR20050117083A (ko) 2005-12-14
KR100677326B1 true KR100677326B1 (ko) 2007-02-02

Family

ID=35581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42272A KR100677326B1 (ko) 2004-06-09 2004-06-09 휴대폰의 메시지 전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77326B1 (ko)
CN (1) CN10049056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4427B (zh) * 2020-11-24 2023-10-17 中国移动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5g消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90565C (zh) 2009-05-20
CN1708145A (zh) 2005-12-14
KR20050117083A (ko)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320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stant voice messaging and instant voice message retrieval
US7317929B1 (en) Delivery of voice data from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essages
US20070165790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accessing multimedia messages
KR101226299B1 (ko) 오디오 및/또는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방법 및 통신 시스템
CN101132581A (zh) 一种自动回复来电的手机及方法
US20100172483A1 (en) Conversation of a phone call into a smart pushed voice message
RU2350033C2 (ru) Способ посылки сообщений уведомления при доставке мультимедийных сообщений в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ыполненное в виде приемника мультимедийных сообщений
US89896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ptions when a dispatch destination is not available
KR100677326B1 (ko) 휴대폰의 메시지 전달 방법
GB2363938A (en) SMS messaging using a fixed line telephone
KR100830823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sms를 이용한 실시간 착신전환방법
US8571584B1 (en) Delivery of voice data from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essages
KR101065672B1 (ko) 멀티미디어 자동응답 시스템
KR2004007636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처리방법
KR20060002258A (ko) 부재중 전화가 왔을 때 자동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방법
GB2404301A (en) Message download from remote location
KR100661829B1 (ko) 이동통신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 및 그의 프로파일 sms전송 서비스 제공 방법
CN100407733C (zh) 利用移动通信终端远程控制的自动应答方法
JP2009194464A (ja) 通知システム、通知方法、メッセージサーバ、及び通信端末
CN1781325B (zh) 即时语音消息传输及即时语音消息检索的方法及系统
KR100766235B1 (ko) 착신불가 정보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및 방법
KR100615363B1 (ko) 인터넷과 통신망을 연동하여 유선 전화, 휴대 전화 또는 인터넷 전화를 통해 녹음한 음성 메시지를 웹에서 선택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함께 휴대 전화로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10047655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우편 답장 서비스 방법
KR100765971B1 (ko) 수신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수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10062329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 연결 중 음성 메시지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