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800B1 - 재잠금가능한 흡수 용품 - Google Patents

재잠금가능한 흡수 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800B1
KR100676800B1 KR1020027002306A KR20027002306A KR100676800B1 KR 100676800 B1 KR100676800 B1 KR 100676800B1 KR 1020027002306 A KR1020027002306 A KR 1020027002306A KR 20027002306 A KR20027002306 A KR 20027002306A KR 100676800 B1 KR100676800 B1 KR 100676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side edge
absorbent article
parallel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0826A (ko
Inventor
사라제인 마리 프라이버거
메리 앤 브루엠머-프레스틀리
네페타리 에드리스 보다인
수잔 마리 쉬모커
러쎌 에반 토슨
케이쓰 조셉 레나드
데이비드 아더 펠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8475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7680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US09/637,431 external-priority patent/US6497696B1/en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20020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2013/4906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shape of the outline
    • A61F2013/4907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shape of the outline as "I"-shap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전방부, 후방부 및 서혜부를 갖는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이 기재되어 있다. 서혜부는 전방부를 후방부와 연결시킨다. 전방부는 제1 말단부, 제2 말단부, 및 제1 측변 에지 및 제2 측변 에지를 포함하는 중앙 구역을 가진다. 제1 측면 구역 및 제2 측면 구역이 중앙 구역에 탈부착가능하게 부착되며 외향 에지를 갖는다. 또한, 전방부는 제1 말단부 및 제2 말단부를 갖는다. 서혜부는 제1 측변 에지, 제2 측변 에지, 및 이 제1 및 제2 측변 에지에 인접하게 놓인 제1 및 제2 서혜부 탄성체를 갖는다. 후방부는 제1 말단부, 제2 말단부, 제1 측변 에지 및 제2 측변 에지를 가진다. 후방부는 제1 구역 및 제2 구역으로 나뉜다. 제1 구역은 상기 후방부의 제1 말단부에서부터 그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까지 수직으로 측정한 길이 L2를 가진다. 제2 구역은 상기 후방부의 제2 말단부에서부터 상기 후방부의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까지 수직으로 측정한 길이 L3를 가진다. 제2 구역은 제1 측변 에지, 제2 측변 에지, 제1 영역 A3 및 제2 영역 A4를 갖는다. 흡수용품의 A1/A2비가 약 1.5 내지 약 5.0의 범위이다.
일회용 흡수용품

Description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Refastenable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개선된 신체 맞음새(body fit)를 나타내는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본 발명은 신체 맞음새를 개선하고 체액 누출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특정 구역간에 특정 비를 갖도록 크기를 맞춘 재잠금가능한 일회용 흡수용품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체액 및(또는) 배설물을 흡수 및 보유하도록 설계된 다양한 일회용 흡수용품이 현존한다. 이러한 흡수용품의 예는 팬티, 브리프 및 언더가먼트와 같은 실금용품, 유아용 기저귀, 여성용 생리 팬티, 용변연습용 속팬츠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흡수용품들 중 대부분은 그들의 예정된 목적에 만족스럽게 그 기능을 해내지만, 일부는 착용자 몸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 다수가 흡수용품을 사용중 쉽게 조정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영구 폐기 전 흡수용품을 착용자 몸으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하면서 언더웨어와 같은 맞음새를 유지시키는 재잠금가능한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지 않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제품들 중 일부는 인체에 잘 맞게 동형화되지 않으며, 이처럼 불량한 맞음새는 그 제품을 착용하고 있을 때 체액 누출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인체에 대해 개선된 맞음새를 제공하고 체액 누출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재잠금가능한 일회용 흡수용품에 대한 필요가 남아있다.
이제, 본원 발명자들은 신체 맞음새를 개선하고 체액 누출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특정 구역간에 예정된 비를 갖도록 크기를 맞춘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을 발명하였다.
<발명의 요약>
간단히 말하자면, 본 발명은 전방부, 후방부 및 서혜부를 갖는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에 관한 것이다. 서혜부는 전방부를 후방부와 연결시킨다. 전방부는 제1 말단부, 제2 말단부, 및 제1 측변 에지 및 제2 측변 에지를 포함하는 중앙 구역을 갖는다. 제1 및 제2 측면 구역이 중앙 구역에 탈부착가능하게 부착되고, 각 측면 구역은 외향 에지를 갖는다. 또, 전방부는 제1 말단부 및 제2 말단부를 갖는다. 서혜부는 제1 측변 에지 및 제2 측변 에지를 가지고, 제1 및 제2 서혜부 탄성체가 제1 및 제2 측변 에지에 인접하게 놓인다. 후방부는 제1 말단부, 제2 말단부, 제1 측변 에지 및 제2 측변 에지를 가진다. 후방부는 제1 구역 및 제2 구역으로 나뉜다. 제1 구역은 상기 후방부의 제1 말단부에서부터 그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까지 수직으로 측정한 길이 L2를 가진다. 제2 구역은 상기 후방부의 제2 말단부에서부터 상기 후방부의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까지 수직으로 측정한 길이 L3를 가진다. 제2 구역은 제1 측변 에지, 제2 측변 에지, 제1 영역 A3 및 제2 영역 A4를 갖는다. 제1 영역 A3는 제1 측변 에지, 제2 측변 에지, 제2 말단부, 및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영역을 나타낸다. 제2 영역 A4는 제1 선, 제2 선, 제2 말단부, 및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영역을 나타낸다. 제1 및 제2 선은 제1 및 제2 서혜부 탄성체가 서로 가장 가까운 간격을 두고 떨어져있는 지점에서 제1 및 제2 서혜부 탄성체에 대한 접선 방향으로 긋는다. 제1 및 제2 선은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과 교차하고, 제2 구역의 A1/A2비는 약 1.5 내지 약 5.0의 범위이다. 또한, 흡수용품은 전방부, 후방부 또는 서혜부 중 하나 이상에 고착된 흡수체를 포함한다. 전방부의 제1 및 제2 측면 구역의 외향 에지들이 각각 후방부의 제1 및 제2 측변 에지 중 하나에 고착되어 허리 개구부 및 1쌍의 다리 개구부를 갖는 팬티형 흡수용품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신체 맞음새를 나타내는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 맞음새를 개선하고 체액 누출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특정 비를 갖도록 크기를 맞춘 재잠금가능한 일회용 흡수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하기가 쉽고 비교적 저렴하며 사용하기가 쉬운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착용자에게 흡수용품을 착용 및(또는)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선택권(즉, 착용자 몸통 둘레에서 흡수용품을 잡아당기는 것 대 착용자 몸통 둘레에서 흡수용품을 다시 잠그는 것)을 제공하는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을 제 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착용자 몸에 맞게 동형화되도록 쉽게 조정할 수 있는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잇점은 당업계 숙련자에게는 다음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 비추어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1은 조립전 평평하게 펼친 형태로 도시한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의 평면도.
도2는 도1의 선2-2를 따라 절취한 횡단면도.
도3은 도1의 선3-3을 따라 절취한 횡단면도.
도4는 도1의 선4-4를 따라 절취한 횡단면도.
도5는 다른 흡수체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6은 도5의 선6-6을 따라 절취한 횡단면도.
도7은 전방부와 후방부가 서로 고착된, 도1에 도시한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의 사용중 형태의 투시도.
도8은 개선된 신체 맞음새를 얻기 위한 제2 구역의 A1/A2비를 측정하는 한가지 방법을 보여주는 도1의 흡수용품의 후방부의 평면도(여기서는 명료성을 위해 탄성체를 제거함).
도9는 개선된 신체 맞음새를 얻기 위한 제2 구역의 A3/A4비를 측정하는 다른 방법을 보여주는 흡수용품의 후방부 및 서혜부의 평면도(여기서는 명료성을 위해 탄성체를 제거함).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대한 상세한 설명>
도1 및 도2에는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10)이 도시되어 있다. 흡수용품(10)은 바람직하게는 일회용이고, 세로방향 중심축 X-X, 가로방향 중심축 Y-Y 및 수직방향 중심축 Z-Z를 갖는다. 흡수용품(10)은 전방부(12), 후방부(14) 및 서혜부(16)을 포함한다. 서혜부(16)은 전방부(12)를 후방부(14)와 연결시킨다. 전방부(12), 후방부(14) 및 서혜부(16)은 1 피스의 재료로부터 형성하거나 또는 2 피스 이상의 재료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전방부(12), 후방부(14) 및 서혜부(16)은 각각 단일층의 재료일 수 있거나 또는 각각 2개 이상의 층을 갖는 라미네이트로 형성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12), 후방부(14) 및 서혜부(16)은 상층(18) 및 하층(20)을 갖는 라미네이트로 도시되어 있다. 착용자의 몸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상층은 액체 침투성 또는 액체 불침투성일 수 있다. 상층(18)이 액체 불침투성이도록 하는 데는 열가소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층(20)도 액체 침투성 또는 액체 불침투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층(20)은 액체 침투성이고, 부직포와 같은 부드러운 재료로 형성한다. 스펀본드는 킴벌리 클라크 코포레이션(Kimberly-Clark Corporation)에서 제조한 부드럽고 유연하며 하층(20)으로서의 기능을 잘 해내는 부직재료이다.
사용중 착용자 몸통의 앞쪽과 접촉하게 되는 전방부(12)는 제1 측변 에지(24) 및 제2 측변 에지(26)을 갖는 중앙 구역(22)를 포함한다. 또한, 전방부(12)는 제1 측면 구역(28) 및 제2 측면 구역(30)을 가지고, 이들 구역은 각각 제1 측변 에지(24) 및 제2 측변 에지(26) 중 하나에 인접하게 놓인다. 제1 및 제2 측면 구역(28) 및 (30)은 각각 외향 에지(32) 및 (34)를 갖는다. 제1 측면 구역(28) 및 제2 측면 구역(30)은 각각 패스너(36) 및 (38)에 의해 중앙 구역(22)에 탈부착가능하게 부착된다. 각각의 패스너(36) 및 (38)은 각 측면 구역 (28) 및 (30)을 중앙 구역(22)와 접합시키는 별개 피스의 재료로 도시되어 있다. 패스너(36) 및 (38)은 루프 재료로 형성된 상층(18)에 탈부착가능하게 부착되는 후크 재료일 수 있다. 별법으로, 패스너(36) 및 (38)은 후크 재료인 상층(18)에 탈부착가능하게 부착되는 루프 재료일 수 있다. 또한, 패스너(36) 및 (38)이 부착되는 상층(18)에 별도 피스의 후크 또는 루프 재료를 고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패스너(36) 및 (38)은 1 이상의 파열성 결합, 간헐성 결합, 파괴성 결합 또는 다른 유사한 유형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이 존재하는 경우,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별개 피스의 재료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아교, 접착제, 보조 접착제, 뿐만 아니라 단추와 대응하는 단추구멍 등과 같은 기계적 패스너를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패스너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패스너는 당업계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측면 구역(28) 및 (30)은 그곳에 늘어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하는 탄성체(40)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별법으로, 측면 구역(28) 및 (30)은 엘라스토머성 특성을 나타내는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개별 탄성 부재가 사용되는 경우, 탄성체(40)은 신장된 스트랜드, 스트립, 밴드, 테이프 등의 형태일 수 있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체(40)은 고무, 폴리우레탄 또는 다른 엘라스토머성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적당한 재료는 이. 아이. 듀폰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라이크라(LYCRA,등록상표)이다. 라이크라(등록상표)는 이. 아이. 듀폰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에 사무소를 둠)의 상표이다.
탄성체(40)은 상층(18)과 하층(20) 사이에 놓여서 아교, 접착제 또는 몇가지 다른 종류의 결합제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되는 2 개 이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체(40)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스트랜드 형태이다. 또한, 탄성체(40)에 대해 다른 배열도 이용할 수 있다.
도1 및 도2를 다시 보면, 전방부(12)는 또한 제1 말단부(42) 및 제2 말단부(44)를 갖는다. 길이 L1은 제1 말단부(42)와 제2 말단부(44) 사이의 실제 거리를 나타낸다. 길이 L1은 약 5 ㎝(약 2 인치) 이상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성인용 크기의 가먼트인 경우, 길이 L1은 약 7.6 ㎝ 내지 약 18 ㎝ (약 3 인치 내지 약 7 인치)의 범위이어야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성인용 크기의 가먼트인 경우, 길이 L1은 약 15 ㎝ 내지 약 18 ㎝ (약 6 인치 내지 약 7 인치)의 범위이어야 한다. 치수 L1의 중요성은 곧 설명될 것이다.
도1 및 도3에서, 흡수용품(10)은 또한 사용중 착용자 몸통의 뒤쪽 부분과 접촉하는 후방부(14)를 포함한다. 후방부(14)는 제1 측변 에지(46), 제2 측변 에지(48), 제1 말단부(50) 및 제2 말단부(52)를 갖는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방부(14)는 상층(18) 및 하층(20)을 갖는 라미네이트로 도시되어 있다. 착용자 몸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상층은 액체 침투성 또는 액체 불침투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것은 액체 침투성이다. 후방부(14)는 제1 구역(54) 및 제2 구역(56)으로 나뉜다. 제1 구역(54)는 제1 말단부(50)에서부터 그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58)까지 수직으로 측정한 길이 L2를 갖는다. 길이 L2는 약 5 ㎝(약 2 인치) 이상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성인용 크기의 가먼트인 경우, 길이 L2는 약 7.6 ㎝ 내지 약 18 ㎝ (약 3 인치 내지 약 7 인치)의 범위이어야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성인용 크기의 가먼트인 경우, 길이 L2는 약 15 ㎝ 내지 약 18 ㎝ (약 6 인치 내지 약 7 인치)의 범위이어야 한다.
제1 구역(54)는 탄성 재료 또는 탄성 복합재로 형성하거나 또는 탄성체(60)을 함유할 수 있다.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가 제1 구역(54)를 형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탄성 재료이다.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는 킴벌리 클라크 코포레이션(미국 54956 위스콘신주 니나 노쓰 레이크 스트리트 401에 사무소를 둠)에서 제조한다. 탄성체(60)은 제1 측변 에지(46)에서부터 가로방향으로 제1 구역(54)를 가로질러 제2 측변 에지(48)까지에 걸쳐 존재하는 신장된 탄성 스트랜드, 리본, 밴드, 스트립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구역(54)에는 6개 이상의 탄성 스트랜드(60)이 존재한다. 탄성 스트랜드(60)의 수는 2개에서부터 약 50개까지 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10개 내지 약 40개의 탄성 스트랜드(60)이 존 재한다. 탄성 스트랜드 (60)은 흡수용품(10)의 후방부(14)가 착용자 몸통의 뒤쪽에 단단하게 접촉하게 해서 허리 개구부 및 그 주변에서 체액 누출이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할 것이다.
후방부(14)의 제2 구역(56)은 제2 말단부(52)에서부터 그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58)까지 수직으로 측정한 길이 L3를 갖는다. 길이 L3는 약 2.5 ㎝(약 1 인치) 이상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성인용 크기의 가먼트인 경우, 길이 L3는 약 8 ㎝ 내지 약 25 ㎝ (약 3 인치 내지 약 10 인치)의 범위이어야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성인용 크기의 가먼트인 경우, 길이 L3는 약 10 ㎝ 내지 약 20 ㎝ (약 4 인치 내지 약 8 인치)의 범위이어야 한다.
제2 구역(56)은 그를 가로질러 가로방향으로 존재하는 탄성체(60)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흡수용품(10)이 약 0.1 내지 약 2의 범위의 L2/L3비를 갖도록 설계하고 제조함으로써, 흡수용품(10)의 신체 맞음새를 개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2/L3비는 약 0.2 내지 약 1.6의 범위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L2/L3비는 약 0.3 내지 약 1.5의 범위이다. 후방부(14)를 이러한 소정의 비에 맞춰서 제조함으로써 일회용 흡수용품(10)의 신체 맞음새를 개선하고 체액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구역(56)은 제1 에지(66) 및 제2 에지(68)에 인접하게 정렬된 제1 다리 탄성체(62) 및 제2 다리 탄성체(64)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선(58)은 제1 에지(66) 및 제2 에지(68)이 각각 제1 에지(46) 및 제2 에지(48)과 만나는 지점에서 교차할 것이다. 다리 탄성체(62) 및 (64)는 각각 제1 에지(66) 및 제2 에지(68)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배열되는 1 개 이상의 탄성 스트랜드, 리본, 밴드 또는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1개 내지 약 6 개의 신장된 탄성 스트랜드가 각각의 다리 탄성체(62) 및 (64)을 이룬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다리 탄성체(62) 및 (64)는 각각 3 개의 탄성 스트랜드를 함유한다. 탄성 스트랜드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할 수 있다. 우수한 결과를 얻기 위해, 다리 탄성체(62) 및 (64)는 각각 제1 에지(66) 및 제2 에지(68)로부터 약 2.5 ㎝ (약 1 인치) 안쪽에 놓여야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다리 탄성체(62) 및 (64)는 각각 제1 에지(66) 및 제2 에지(68)로부터 약 2 ㎝(0.75 인치) 안쪽에 놓여야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다리 탄성체(62) 및 (64)는 제1 에지(66) 및 제2 에지(68)로부터 약 1.3 ㎝ (약 0.5 인치) 안쪽에 놓여야 한다.
다리 탄성체(62) 및 (64)는 제1 구역(54)의 측변 에지(46) 및 (48)에서부터 후방부(14)의 제2 말단부(52)까지에 걸쳐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선(58)의 정확한 위치가 다리 탄성체(62) 및 (64)가 제2 구역(56)에 완전히 포함되는지 또는 제1 구역(54) 내로 연장하는지를 지시할 것이라는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다리 탄성체(62) 및 (64)는 전방부(12) 및 후방부(14)가 서로 고착되어 팬티형 흡수용품을 형성할 때 형성되는 다리 개구부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후방부(14)를 형성한 재료에 개더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다리 탄성체(62) 및 (64)를 형성하는 데는 다양한 종류의 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다. 다리 탄성체(62) 및 (64)는 약 10 g 내 지 약 400 g의 장력을 가져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리 탄성체 (62) 및 (64)는 약 50 g 내지 약 220 g의 장력을 가져야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다리 탄성체(62) 및 (64)는 약 80 g 내지 약 200 g의 장력을 가져야 한다.
도1 및 도4에서, 흡수용품(10)은 또한 서혜부(16)을 포함한다. 서혜부(16)은 전방부(12)를 후방부(14)와 연결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부, 후방부 및 서혜부는 모두 단일 시트 재료의 일부분일 수 있다. 서혜부(16)은 제1 측변 에지(70) 및 제2 측변 에지(72)를 가지고, 모래시계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또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측변 에지(70) 및 (72)는 직선일 수 있고, 서로 평행 또는 비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측변 에지(70) 및 (72)는 곡선형, 아치형, 불규칙형, 볼록형 또는 오목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변 에지(70) 및 (72)는 아치형이고, 측변 에지(70)과 (72) 사이의 거리가 가장 좁은 곳은 가로방향 중심축 Y-Y를 따라 위치한다. 서혜부(16)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단일층 또는 라미네이트일 수 있다. 서혜부(16)이 흡수용품(10)에 의해 흡수된 체액에 대해 배플(baffle)로 작용하기 때문에, 그것은 액체 불침투성이어야 한다. 서혜부(16)이 라미네이트라면,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층들 중 1개 이상의 층이 액체 불침투성이어야 한다.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다른 모든 열가소성 재료가 액체 불침투성 층으로서의 기능을 잘 해낸다. 바람직하게는, 서혜부(16)은 1 개의 열가소성 필름층 및 1 개의 부직재료층으로 형성된 라미네이트이다. 부직재료는 스펀본드일 수 있다. 스펀본드는 킴벌리 클라크 코포레이션(미국 54956 위스콘신주 니나 노쓰 레이크 스트리트 401에 사무소를 둠)에서 제조하고 시판하는 부직재료이다.
또한, 서혜부(16)은 제1 서혜부 탄성체(74) 및 제2 서혜부 탄성체(76)을 포함한다. 서혜부 탄성체(74) 및 (76)는 각각 제1 측변 에지(70) 및 제2 측변 에지(72)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서혜부 탄성체(74) 및 (76)은 측변 에지(70) 및 (72)의 윤곽과 매칭(matching)을 이루는 윤곽을 나타낸다. 서혜부 탄성체(74) 및 (76)은 각각 제1 측변 에지(70) 및 제2 측변 에지(72)에서부터 약 2.5 ㎝ (약 1 인치) 안쪽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서혜부 탄성체(74) 및 (76)은 각각 제1 측변 에지(70) 및 제2 측변 에지(72)에서부터 약 2 ㎝ (약 0.75 인치) 안쪽에 위치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서혜부 탄성체(74) 및 (76)은 각각 제1 측변 에지(70) 및 제2 측변 에지(72)에서부터 약 1.3 ㎝ (약 0.5 인치) 안쪽에 위치한다.
서혜부 탄성체(74) 및 (76)은 약 10 g 내지 약 400 g의 장력을 가져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서혜부 탄성체(74) 및 (76)은 약 50 g 내지 약 220 g의 장력을 가져야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서혜부 탄성체(74) 및 (76)은 약 80 g 내지 약 200 g의 장력을 가져야 한다.
서혜부 탄성체(74) 및 (76)은 1 개 이상의 신장된 탄성 스트랜드, 리본 또는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서혜부 탄성체(74) 및 제2 서혜부 탄성체(76)은 각각 2 개 이상의 탄성체 스트랜드, 더 바람직하게는 3 개 이상의 탄성체 스트랜드를 포함한다. 서혜부 탄성체(74) 및 (76) 각각의 스트랜드들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할 수 있거나, 또는 비평행 정렬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비평행하게 정렬할 수 있다. 평행 정렬이 바람직하다. 서혜부 탄성체(74) 및 (76) 각각의 스트랜드들은 서로 아주 가까운 간격, 예를 들면 서로 1 ㎜ 이내의 간격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정확한 간격은 흡수용품의 크기, 서혜부(16)의 폭, 서혜부 탄성체(74) 및 (76)의 강도, 흡수용품(10)의 구성 재료 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서혜부 탄성체(74) 및 (76)을 층(18)과 (20) 사이에 놓고 고착시켜 라미네이트를 형성하고, 이것으로부터 서혜부(16)을 형성할 수 있다. 별법으로, 서혜부 탄성체(74) 및 (76)을 라미네이트의 상층(18)의 상면(78)에 붙일 수 있다(도4 참조). 바람직하게는, 제1 서혜부 탄성체(74) 및 제2 서혜부 탄성체(76)을 접착제로 상층(18)의 상면(78)에 결합시킨다.
도1 내지 도4에서, 흡수용품(10)은 액체 침투성 라이너(8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침투성 라이너(80)은 몸쪽 커버라고도 부른다. 라이너(80)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흡수용품(10)은 라이너(80)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될 것이다. 액체 침투성 라이너(80)이 존재할 때, 액체 침투성 라이너(80)은 액체 침투성의 모든 천연 또는 합성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침투성 라이너(80)은 부직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스펀본드는 액체 침투성 라이너(80)을 구성하기에 좋은 재료이다.
액체 침투성 라이너(80)은 전방부(12), 후방부(14) 또는 서혜부(16) 중 하나 이상에 고착시킬 수 있다. 액체 침투성 라이너(80)을 서혜부(16)에 직접 부착시킨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별법으로, 액체 침투성 라이너(80)은 1개 이상의 층을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서혜부(16)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중간층을 전방부(12), 후방부(14) 또는 서혜부(16) 중 하나 이상에 고착시킬 것이다. 예를 들면, 액체 침투성 라이너(80)을 액체 불침투성 배플에 고착시키고, 그 다음에 서혜부(16)에 접착제로 고착시킬 수 있다.
도1에는 액체 침투성 라이너(80)의 둘레 및 서혜부(16)의 둘레가 동일 치수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서혜부 탄성체(74) 및 (76)이 라미네이트의 상면(78)에 놓일 때, 이들은 서혜부(16)의 측변 에지(70) 및 (72)에 인접하게 배열되도록 액체 침투성 라이너(80)에 접착제로 고착시킬 수 있다.
또한, 흡수용품(10)은 액체 침투성 라이너(80) 아래에 놓인 흡수체(82)를 포함한다. 흡수체(82)는 서혜부(16)의 상층(18)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흡수체(82)는 체액, 특히 뇨를 흡수하도록 설계되고, 1개 이상의 흡수재료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층들은 유사 또는 상이한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흡수체(82)에 적당한 재료는 셀룰로오스, 목재 펄프 플러프, 레이온, 면,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또는 코폼과 같은 멜트블로운 폴리머를 포함한다. 코폼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멜트블로운 폴리머, 및 셀룰로오스와 같은 흡수성 스테이플 섬유의 멜트블로운 에어폼드(air-formed) 조합물이다. 바람직한 재료는 목재 펄프 플러프인데, 그 이유는 이것이 비용이 저렴하고, 제조하기가 비교적 쉽고, 큰 흡수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2개 이상의 층이 이용되는 경우, 모든 층들을 동일 재료로 형성해야 하거나 또는 모든 층들이 동일 밀도를 가져야 할 필요는 없다는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흡수체(82)는 다양한 천연 또는 합성 섬유, 목재 펄프 섬유, 재생 셀 룰로오스 또는 면 섬유, 또는 펄프와 다른 섬유와의 블렌드로부터 형성할 수 있는 친수성 재료로 이루어진 복합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재료는 에어레이드(airlaid) 티슈이다.
또한, 자체 중량에 비해 상당히 많은 양의 체액을 흡수하는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초흡수성 물질을 흡수체(82)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따금 유리하다. 실금용 가먼트 및 기저귀와 같은 흡수용품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초흡수제는 체액을 자체 중량의 10 배보다 더 많이 흡수할 수 있다. 초흡수성 물질은 입자, 섬유, 또는 시트 형태로 삽입할 수 있다. 일회용 흡수용품에 좋은 초흡수제는 히드록시 관능성 폴리머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초흡수제는 더 다우 케미칼 컴파니(The Dow Chemical Company), 스톡하우젠, 인크.(Stockhausen, Inc.) 뿐만 아니라 다른 회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이러한 초흡수제 중 두가지는 드라이테크(등록상표)(DRYTECH,등록상표) 2035 M 및 페이버(FAVOR,등록상표) SXM 880이다. 드라이테크(등록상표)는 더 다우 케미칼 컴파니(미국 48642 미시간주 미들랜드 다우 센터 2030에 사무소를 둠)의 등록 상표이다. 페이버(등록상표)는 스톡하우젠 인크.(미국 27406 노쓰 캐롤라이나주 그린스보로 도일 스트리트 2401에 사무소를 둠)의 등록상표이다. 초흡수제는 폴리아크릴산의 가교결합된 코폴리머의 부분 중화된 염일 수 있다. 또한, 당업계 숙련자에게 공지된 다른 종류의 초흡수성 물질도 사용할 수 있다.
도5 및 도6에는, 위부터 아래까지 액체 침투성 몸쪽 라이너(80), 1 개 이상의 흡수체(82)층 및 액체 불침투성 배플(86)을 포함하는 흡수체 어셈블리(84)가 도 시되어 있다. 액체 불침투성 배플(86)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다른 종류의 액체 불침투성 재료와 같은 열가소성 재료 박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플(86)은 액체 불침투성 필름으로 형성한다. 배플은 1 개 이상의 층이 액체 불침투성인 라미네이트로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흡수체 어셈블리(84)에서는, 서혜부 탄성체(74) 및 (76)이 라이너(80)과 배플(86)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서혜부 탄성체(74) 및 (76)은 아교, 접착제, 초음파, 열, 압력, 열과 압력의 조합, 또는 당업계 숙련자에게 공지된 몇가지 다른 결합 메카니즘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서혜부 탄성체(74) 및 (76)을 배플(86)의 하면 또는 외향면에 고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우수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서혜부 탄성체(74) 및 (76)은 각각의 측변 에지(70) 및 (72)로부터 약 2.5 ㎝ (약 1 인치) 이내에 놓여야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서혜부 탄성체(74) 및 (76)은 각각의 측변 에지(70) 및 (72)로부터 약 2 ㎝ (약 0.75 인치) 이내에 놓여야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서혜부 탄성체(74) 및 (76)은 각각의 측변 에지(70) 및 (72)로부터 약 1.3 ㎝ (약 0.5 인치) 이내에 놓여야 한다.
흡수체 어셈블리(84)는 흡수용품(10)의 서혜부(16) 위에 위치시킬(또는 놓을) 수 있고, 접착제 또는 몇가지 다른 종류의 패스너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시킬 수 있다. 배플(86)이 액체 불침투성이기 때문에, 서혜부(16)이 액체 불침투성 재료로 구성되어야 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흡수체 어셈블리(84)는 흡수용품(10)의 전방부(12), 후방부(14) 또는 서혜부(16) 중 적어도 하나에 영구적으로 또는 탈부착가능하게 고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흡수체 어셈블리(84)는 접착제로 서 혜부(16)에 고착시킨다.
도1 및 도7에서, 제1 측면 구역(28) 및 제2 측면 구역(30)의 각 외향 에지(32) 및 (34)를 제1 측변 에지(46) 및 제2 측변 에지(48) 중 하나에 단단히 부착시켜서 팬티형 흡수용품(88)을 형성한다. 팬티형 흡수용품(88)은 허리 개구부(90) 및 1 쌍의 제1 다리 개구부(92) 및 제2 다리 개구부(94)를 갖는다. 다리 탄성체(62), 서혜부 탄성체(74) 및 아마도 탄성을 갖는 제1 구역(54)가 협력적으로 작용하여 제1 다리 개구부(92) 주위에 개더(96)을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리 탄성체(64), 서혜부 탄성체(76) 및 아마도 탄성을 갖는 제1 구역(54)가 협력적으로 작용하여 제2 다리 개구부(94) 주위에 개더(98)을 형성할 수 있다. 흡수용품(10)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로 또는 측면 구역들을 중앙 구역 또는 전방부로부터 떼어서 판매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다시, 도1에는 흡수용품(10)의 후방부(14)를 제1 구역(54) 및 제2 구역(56)과 관련시켜 기술하였다. 제1 구역(54)는 길이 L2를 가지고, 제2 구역(56)은 길이 L3를 가지며, 양자 모두 세로방향 중심축 X-X에 대해 평행하게 측정한다. 길이 L2 및 길이 L3의 합은 새로운 길이 L4와 같다. 길이 L4는 약 7.5 ㎝(약 3 인치) 내지 약 64 ㎝(약 25 인치)의 범위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성인용 크기의 가먼트인 경우, 길이 L4는 약 18 ㎝(약 7 인치) 내지 약 43 ㎝(약 17 인치)의 범위이어야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성인용 크기의 가먼트인 경우, 길이 L4는 약 25 ㎝(약 10 인치) 내지 약 38 ㎝(약 15 인치)의 범위이어야 한다.
또한, 흡수용품(10)은 전방부(12)의 제1 말단부(42)에서부터 후방부(14)의 제1 말단부(50)까지 수직으로 측정한 전길이 L5를 갖는다. 길이 L5는 약 25 ㎝(약 10 인치) 내지 약 114 ㎝(약 45 인치)의 범위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성인용 크기의 가먼트인 경우, 길이 L5는 약 51 ㎝(약 20 인치) 내지 약 102 ㎝(약 40 인치)의 범위이어야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성인용 크기의 가먼트인 경우, 길이 L5는 약 76 ㎝(약 30 인치) 내지 약 89 ㎝(약 35 인치)의 범위이어야 한다.
L4/L5비는 약 0.1 내지 약 0.5의 범위로 확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4/L5비는 약 0.2 내지 약 0.5의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L4/L5비는 약 0.3 내지 약 0.4의 범위이다. L4/L5비에 대해 확립된 값에 맞춰서 흡수용품(10)을 설계 및 제조함으로써, 흡수용품(10)이 개선된 신체 맞음새를 나타내고 체액 누출 가능성을 줄일 것이라는 점을 확신할 수 있다.
다시, 도1에 도시한 전방부(12)에 있어서, 전방부(12)는 길이 L1을 갖는다. 전방부(12)는 후방부(14)와 합치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길이 L1은 길이 L2와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은 미적으로 만족시키는 팬티형 흡수용품(88)을 제공할 것이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길이 L1은 길이 L2보다 작거나, 그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8에는, 흡수용품(10)의 후방부(14)를 단지 토의상의 명확성의 이유에서 탄성체(60)을 제거한 채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후방부(14)는 제1 구역(54) 및 제2 구역(56)을 갖는다. 제1 구역(54)는 약 5 ㎝ (약 2 인치) 이상의 길이 L2를 가지고, 제2 구역(56)은 약 2.5 ㎝ (약 1 인치) 이상의 길이 L3를 갖는다. 제2 구역(56)은 제1 영역 A1 및 제2 영역 A2를 포함한다. 제1 영역 A1은 제2 말단부(52), 제1 말단부(50)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58), 제1 측변 에지(66) 및 제2 측변 에지(68)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본질적으로, 제1 영역 A1은 제2 구역(56)의 전영역을 나타낸다. 제2 영역 A2는 제1 선(100), 제2 선(102), 제2 말단부(52), 및 제1 말단부(50)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58)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빗금친 영역으로 나타내어진다. 제1 선(100) 및 제2 선(102)는 제1 측변 에지(66) 및 제2 측변 에지(68)이 제2 말단부(52)와 교차하는 지점(104) 및 (106)에서 제2 말단부(52)에 대해 수직으로 긋는다. 제1 선(100) 및 제2 선(102)는 위로 수직으로 연장하여 각각 지점(108) 및 (110)에서 선(58)과 교차한다. 제1 영역 A1을 제2 영역 A2로 나누면 A1/A2비가 확립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A1 /A2비가 특정 제한 범위 내로 유지된다면, 착용자의 엉덩이 부분에서 개선된 신체 맞음새를 나타내는 일회용 흡수용품(10)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개선된 신체 맞음새는 이러한 제품의 소비자들이 가장 중요시하는 체액 누출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
제1 영역 A1은 약 175 ㎠ 이상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성인용 크기의 가먼트인 경우, 제1 영역 A1은 약 400 ㎠ 내지 약 1500 ㎠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성인용 크기의 가먼트인 경우, 제1 영역 A1은 약 500 ㎠ 내지 약 1200 ㎠의 범위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성인용 크기의 가먼트인 경우, 제1 영역 A1은 약 600 ㎠ 내지 약 1100 ㎠의 범위이다. 제2 영역 A2는 약 50 ㎠ 이상이어야 한다. A1/A2비는 약 1.3 내지 약 3.5의 범위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A1/A 2비는 약 1.7 내지 약 2.5의 범위이어야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A1/A2비는 약 2.0 내지 약 2.3의 범위이어야 한다.
제1 선(100) 및 제2 선(102)는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고 거리 W1만큼 떨어져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W1은 제2 영역 A2의 폭을 나타낸다. 폭 W1은 약 10 ㎝(약 4 인치) 이상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폭 W1은 약 13 ㎝(약 5 인치) 내지 약 38 ㎝(약 15 인치)의 범위이어야 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폭 W1은 약 15 ㎝(약 6 인치) 내지 약 28 ㎝(약 11 인치)의 범위이어야 한다. 치수 W1은 흡수용품의 유형 및 크기,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연령 및 체격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흡수용품을 유아가 착용하는 크기로 할 경우, 치수 W1은 흡수용품을 걸음마 단계 유아 또는 성인이 착용할 것으로 예정하는 경우보다 작을 것이다. 착용자의 성별도 또한 치수 W1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도9에는 흡수용품(10)의 후방부(14) 및 서혜부(16)을 단지 토의상의 명확성의 이유에서 후방부(14)에서 탄성체(60)을 제거한 채로 도시하고 있다. 서혜부 (16)은 한쪽 말단이 전방부(12)와 접합한다(도1 참조). 서혜부(16)은 제1 측변 에지(70), 제2 측변 에지(72), 및 제1 측변 에지(70) 및 제2 측변 에지(72)에 각각 인접하게 놓인 제1 서혜부 탄성체(74) 및 제2 서혜부 탄성체(76)을 갖는다. 후방부(14)는 서혜부(16)의 반대쪽 말단과 접합한다(도1 참조). 후방부(14)는 제1 구역(54) 및 제2 구역(56)을 갖는다. 제1 구역(54)는 약 5 ㎝(약 2 인치) 이상의 길이 L2를 가지고, 제2 구역(56)은 약 2.5 ㎝(약 1 인치) 이상의 길이 L3를 갖는다. 제2 구역(56)은 제1 영역 A3 및 제2 영역 A4를 포함한다. 제1 영역 A3는 제2 말단부(52), 제1 말단부(50)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58), 제1 측변 에지(66) 및 제2 측변 에지(68)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본질적으로, 제1 영역 A3은 제2 구역(56)의 전영역을 나타낸다. 제2 영역 A4는 제1 선(112), 제2 선(114), 제2 말단부(52), 및 제1 말단부(50)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58)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빗금친 영역으로 나타내어진다. 제1 선(112) 및 제2 선(114)는 제1 서혜부 탄성체(74) 및 제2 서혜부 탄성체(76)이 서로 가장 가깝게 떨어져 있는 곳인 지점(116) 및 (118)에서 제1 서혜부 탄성체(74) 및 제2 서혜부 탄성체(76)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긋는다. 이것을 설명하는 다른 방법은 제1 선(112) 및 제2 선(114)를 제1 서혜부 탄성체(74) 및 제2 서혜부 탄성체(76) 각각의 가장 안쪽 스트랜드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것이다. 대칭 형태의 흡수용품(10)의 경우, 이것은 가로방향 중심축 Y-Y에 존재할 것이다.
제1 선(112) 및 제2 선(114)는 제1 말단부(50)쪽을 향하여 위로 수직 연장하여, 제2 말단부(52)와 지점(120) 및 (122)에서 교차하고, 제1 말단부(50)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58)과 지점(124) 및 (126)에서 교차한다. 지점(120), (122), (124) 및 (126)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빗금친 영역이 제2 영역 A4를 나타낸다. 제1 영역 A3를 제2 영역 A4로 나누면, A3/A4비가 확립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A3/A4비가 특정 제한 범위 내로 유지된다면, 착용자의 엉덩이 부분에서 개선된 신체 맞음새를 나타내는 흡수용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개선된 신체 맞음새는 일회용 흡수용품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체액 누출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제1 영역 A3는 약 175 ㎠ 이상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영역 A3는 약 400 ㎠ 내지 약 1500 ㎠의 범위이어야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1 영역 A3는 약 500 ㎠ 내지 약 1200 ㎠의 범위이어야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 영역 A3는 약 600 ㎠ 내지 약 1100 ㎠의 범위이어야 한다. 제2 영역 A4는 약 35 ㎠ 이상이어야 한다. A3/A4비는 약 1.5 내지 약 5.0의 범위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A3 /A4비는 약 2.5 내지 약 4.0의 범위이어야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A3/A4비는 약 3.0 내지 약 3.7의 범위이어야 한다.
제1 선(112) 및 제2 선(114)는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고 거리 W2만큼 떨어져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W2는 제2 영역 A4의 폭을 나타낸다. 폭 W2는 약 5 ㎝(약 2 인치) 이상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폭 W2는 약 8 ㎝(약 3 인치) 내지 약 18 ㎝(약 7 인치)의 범위이어야 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폭 W2는 약 10 ㎝(약 4 인치) 내지 약 15 ㎝(약 6 인치)의 범위이어야 한다. 치수 W2는 흡수용품의 유형 및 크기,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연령 및 체격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흡수용품을 유아가 착용하는 크기로 할 경우, 치수 W2는 흡수용품을 걸음마 단계 유아 또는 성인이 착용할 것으로 예정하는 경우보다 작을 것이다. 착용자의 성별도 치수 W2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을 몇가지 특정 실시태양과 결부시켜서 기술하였지만, 상기 설명에 비추어 당업계 숙련자들에게는 많은 대안, 변형 및 변화가 자명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의 정신 및 영역 내의 모든 대안, 변형 및 변화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Claims (20)

  1. a) 제1 측변 에지(edge) 및 제2 측변 에지를 포함하는 중앙 구역, 및 각각 제1 측변 에지 및 제2 측변 에지 중 하나에 인접하게 놓여서 상기 중앙 구역에 탈부착가능하게 부착되며 외향 에지를 갖는 제1 및 제2 측면 구역을 가지며, 제1 말단부 및 제2 말단부를 가지는 전방부;
    b) 한쪽 말단은 상기 전방부와 접합하고 반대쪽 말단은 후방부에 접합하며, 제1 측변 에지, 제1 측변 에지에 인접하게 놓인 제1 서혜부 탄성체, 제2 측변 에지, 및 제2 측변 에지에 인접하게 놓인 제2 서혜부 탄성체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측변 에지는 상기 후방부에 인접하는 종점을 가지며, 상기 종점은 흡수용품의 세로방향 축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이 상기 세로방향 축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가장 먼 거리로 상기 제1 및 제2 측변 에지를 두 번 이상 통과하는 곳에 위치하는 것인 서혜부;
    c) 제1 구역 및 제2 구역으로 나뉘고, 상기 제1 구역은 제1 말단부, 상기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 제1 측변 에지 및 제2 측변 에지로 한정되고,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 제2 말단부, 제1 에지 및 제2 에지로 한정되어 제1 영역 A3를 정의하며, 상기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은 상기 제1 구역의 상기 제1 및 제2 측변 에지가 상기 제2 구역의 상기 제1 및 제2 에지와 교차하는 한 쌍의 귀퉁이(corner)들을 가로지르고, 상기 제2 말단부는 상기 제1 말단부와 평행하고 상기 서혜부의 제1 및 제2 측변 에지가 상기 제2 구역의 상기 제1 및 제2 에지와 교차하는 상기 종점들을 가로지르며, 제1 구역은 상기 제1 말단부에서부터 그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까지 수직으로 측정한 5 ㎝ 이상의 길이 L2를 가지고,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부터 상기 제2 말단부까지 수직으로 측정한 2.5 ㎝ 이상의 길이 L3를 가지며,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 상기 제2 말단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서혜부 탄성체가 서로 가장 가까운 간격을 두고 있는 지점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서혜부 탄성체에 대한 접선 방향으로 그어지고 상기 제2 말단부 및 상기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과 교차하는 제1 및 제2 선에 의해 정의되는 제2 영역 A4를 가지고, A3/A4비는 2.5 내지 4.0의 범위인 후방부; 및
    d) 상기 전방부, 후방부 또는 서혜부 중 적어도 하나에 고착된 흡수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부의 제1 측면 구역 및 제2 측면 구역 각각의 외향 에지가 상기 후방부의 제1 측변 에지 및 제2 측변 에지 중 하나에 고착되어 허리 개구부 및 1쌍의 다리 개구부를 갖는 팬티형 흡수용품을 형성하는 것인,
    세로방향 축을 갖는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3/A4 비가 3.0 내지 3.7의 범위인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이 탄성체를 함유하는 것인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3가 175 ㎠ 이상인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3가 400 ㎠ 내지 1500 ㎠의 범위인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3가 8 ㎝ 내지 25 ㎝의 범위인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3가 10 ㎝ 내지 20 ㎝의 범위인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선이 서로 평행하고, 제1 선과 제2 선 사이의 간격이 5 ㎝ 초과인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
  10. a) 제1 측변 에지(edge) 및 제2 측변 에지를 포함하는 중앙 구역, 및 각각 제1 측변 에지 및 제2 측변 에지 중 하나에 인접하게 놓여서 상기 중앙 구역에 탈부착가능하게 부착되며 외향 에지를 갖는 제1 및 제2 측면 구역을 가지며, 제1 말단부 및 제2 말단부를 가지는 전방부;
    b) 한쪽 말단은 상기 전방부와 접합하고 반대쪽 말단은 후방부에 접합하며, 제1 측변 에지, 제1 측변 에지에 인접하게 놓인 제1 서혜부 탄성체, 제2 측변 에지, 및 제2 측변 에지에 인접하게 놓인 제2 서혜부 탄성체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측변 에지는 상기 후방부에 인접하는 종점을 가지며, 상기 종점은 흡수용품의 세로방향 축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이 상기 세로방향 축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가장 먼 거리로 상기 제1 및 제2 측변 에지를 두 번 이상 통과하는 곳에 위치하는 것인 서혜부;
    c) 제1 구역 및 제2 구역으로 나뉘고, 상기 제1 구역은 제1 말단부, 상기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 제1 측변 에지 및 제2 측변 에지로 한정되고,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 제2 말단부, 제1 에지 및 제2 에지로 한정되어 제1 영역 A3를 정의하며, 상기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은 상기 제1 구역의 상기 제1 및 제2 측변 에지가 상기 제2 구역의 상기 제1 및 제2 에지와 교차하는 한 쌍의 귀퉁이(corner)들을 가로지르고, 상기 제2 말단부는 상기 제1 말단부와 평행하고 상기 서혜부의 제1 및 제2 측변 에지가 상기 제2 구역의 상기 제1 및 제2 에지와 교차하는 상기 종점들을 가로지르며, 제1 구역은 상기 제1 말단부에서부터 그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까지 수직으로 측정한 5 ㎝ 이상의 길이 L2를 가지고,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부터 상기 제2 말단부까지 수직으로 측정한 2.5 ㎝ 이상의 길이 L3를 가지며,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 상기 제2 말단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서혜부 탄성체가 서로 가장 가까운 간격을 두고 있는 지점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서혜부 탄성체에 대한 접선 방향으로 그어지고 상기 제2 말단부 및 상기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과 교차하는 제1 및 제2 선에 의해 정의되는 제2 영역 A4를 가지고, A3/A4비는 3.0 내지 3.7의 범위인 후방부;
    d) 상기 전방부, 후방부 또는 서혜부 중 적어도 하나에 고착된 액체 침투성 라이너; 및
    e) 상기 라이너 아래에 놓인 흡수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부의 제1 측면 구역 및 제2 측면 구역 각각의 외향 에지가 상기 후방부의 제1 측변 에지 및 제2 측변 에지 중 하나에 고착되어 허리 개구부 및 1쌍의 다리 개구부를 갖는 팬티형 흡수용품을 형성하는 것인,
    세로방향 축을 갖는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3가 175 ㎠ 이상인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3가 500 ㎠ 내지 1200 ㎠의 범위인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L3가 8 ㎝ 내지 25 ㎝의 범위인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과 제2 선이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1 선과 제2 선 사이의 간격이 8 ㎝ 내지 18 ㎝의 범위인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
  15. a) 제1 측변 에지(edge) 및 제2 측변 에지를 포함하는 중앙 구역, 및 각각 제1 측변 에지 및 제2 측변 에지 중 하나에 인접하게 놓여서 상기 중앙 구역에 탈부착가능하게 부착되며 외향 에지를 갖는 제1 및 제2 측면 구역을 가지며, 제1 말단부 및 제2 말단부를 가지는 전방부;
    b) 한쪽 말단은 상기 전방부와 접합하고 반대쪽 말단은 후방부에 접합하며, 제1 측변 에지, 제1 측변 에지에 인접하게 놓인 제1 서혜부 탄성체, 제2 측변 에지, 및 제2 측변 에지에 인접하게 놓인 제2 서혜부 탄성체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측변 에지는 상기 후방부에 인접하는 종점을 가지며, 상기 종점은 흡수용품의 세로방향 축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이 상기 세로방향 축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가장 먼 거리로 상기 제1 및 제2 측변 에지를 두 번 이상 통과하는 곳에 위치하는 것인 서혜부;
    c) 제1 구역 및 제2 구역으로 나뉘며, 상기 제1 구역은 제1 말단부, 상기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 제1 측변 에지 및 제2 측변 에지로 한정되고, 상기 제1 측변 에지에서 상기 제2 측변 에지까지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탄성 스트랜드를 가지며,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 제2 말단부, 제1 에지 및 제2 에지로 한정되어 175 ㎠ 이상의 제1 영역 A3를 정의하고, 상기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은 상기 제1 구역의 상기 제1 및 제2 측변 에지가 상기 제2 구역의 상기 제1 및 제2 에지와 교차하는 한 쌍의 귀퉁이(corner)들을 가로지르며, 상기 제2 말단부는 상기 제1 말단부와 평행하고, 상기 서혜부의 제1 및 제2 측변 에지가 상기 제2 구역의 상기 제1 및 제2 에지와 교차하는 상기 종점들을 가로지르며, 제1 구역은 상기 제1 말단부에서부터 그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까지 수직으로 측정한 5 ㎝ 이상의 길이 L2를 가지고,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부터 상기 제2 말단부까지 수직으로 측정한 2.5 ㎝ 이상의 길이 L3를 가지며,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 상기 제2 말단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서혜부 탄성체가 서로 가장 가까운 간격을 두고 있는 지점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서혜부 탄성체에 대한 접선 방향으로 그어지고 상기 제2 말단부 및 상기 제1 말단부에 대해 평행하게 그은 선과 교차하는 제1 및 제2 선에 의해 정의되는 제2 영역 A4를 가지며, A3/A4비는 3.0 내지 3.7의 범위인 후방부;
    d) 상기 전방부, 후방부 또는 서혜부 중 적어도 하나에 고착된 액체 침투성 라이너; 및
    e) 상기 라이너 아래에 놓인 흡수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부의 제1 측면 구역 및 제2 측면 구역 각각의 외향 에지가 상기 후방부의 제1 측변 에지 및 제2 측변 에지 중 하나에 고착되어 허리 개구부 및 1쌍의 다리 개구부를 갖는 팬티형 흡수용품을 형성하는 것인,
    세로방향 축을 갖는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A3가 400 ㎠ 내지 1500 ㎠의 범위인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L3가 8 ㎝ 내지 25 ㎝의 범위인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과 제2 선이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1 선과 제2 선 사이의 간격이 5 ㎝보다 큰 것인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과 제2 선이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1 선과 제2 선 사이의 간격이 8 ㎝ 내지 18 ㎝의 범위인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과 제2 선이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1 선과 제2 선 사이의 간격이 10 ㎝ 내지 15 ㎝의 범위인 재잠금가능한 흡수용품.
KR1020027002306A 1999-08-23 2000-08-23 재잠금가능한 흡수 용품 KR100676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32799P 1999-08-23 1999-08-23
US60/150,327 1999-08-23
US09/637,431 2000-08-11
US09/637,431 US6497696B1 (en) 1999-08-23 2000-08-11 Refastenable absorbent article exhibiting improved body f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826A KR20020020826A (ko) 2002-03-15
KR100676800B1 true KR100676800B1 (ko) 2007-02-01

Family

ID=26847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306A KR100676800B1 (ko) 1999-08-23 2000-08-23 재잠금가능한 흡수 용품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1214032B1 (ko)
JP (1) JP2003530904A (ko)
KR (1) KR100676800B1 (ko)
AR (1) AR025361A1 (ko)
AT (1) ATE361735T1 (ko)
AU (1) AU771918B2 (ko)
BR (1) BR0013458B1 (ko)
CA (1) CA2381920A1 (ko)
DE (1) DE60034800T2 (ko)
EG (1) EG22835A (ko)
IL (1) IL147816A0 (ko)
MX (1) MXPA02001742A (ko)
NO (1) NO20020875L (ko)
PA (1) PA8500701A1 (ko)
PE (1) PE20010428A1 (ko)
TW (1) TW542711B (ko)
WO (1) WO20010138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6833B2 (en) 2001-12-17 2007-01-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fastening system
WO2005060908A1 (ja) 2003-12-24 2005-07-07 Zuiko Corporation 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31874B2 (ja) 2004-10-15 2011-07-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着用物品
JP4746880B2 (ja) 2005-01-19 2011-08-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着用物品
JP4746881B2 (ja) 2005-01-20 2011-08-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着用物品
DE102007056126A1 (de) * 2007-11-21 2009-05-28 Paul Hartmann Aktiengesellschaft Inkontinenzartikel in Höschenfor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08865C (en) * 1985-09-06 1992-10-20 Andrew E. Huntoon Disposable diaper or incontinence garment with elasticized leg gaskets and absorbent core gathers
US4906243A (en) * 1988-02-02 1990-03-06 Mary Dravland Combination diaper and training pants
CA2031435A1 (en) * 1989-12-19 1991-06-20 Dan Darold Endres Conformable absorbent article
CA2019457C (en) * 1990-04-02 2001-03-20 Anne Marie Fahrenkrug Stretchable shaped absorbent garment
JP3015067B2 (ja) * 1990-05-31 2000-02-28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MY106077A (en) * 1990-05-09 1995-03-31 Kao Corp Disposable diapers.
JP3096152B2 (ja) * 1992-05-22 2000-10-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SE509063C2 (sv) * 1994-11-08 1998-11-30 Sca Hygiene Prod Ab Byxbinda
US5745922A (en) * 1995-01-31 1998-05-05 Kimberly Clark Corporation Disposable garment and related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ethods
ZA989991B (en) * 1997-11-17 1999-05-05 Kimberly Clark Co Disposable underp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013458A (pt) 2002-04-30
TW542711B (en) 2003-07-21
PA8500701A1 (es) 2002-02-21
AU771918B2 (en) 2004-04-08
CA2381920A1 (en) 2001-03-01
EP1214032A1 (en) 2002-06-19
DE60034800D1 (de) 2007-06-21
IL147816A0 (en) 2002-08-14
PE20010428A1 (es) 2001-04-06
MXPA02001742A (es) 2002-08-06
AR025361A1 (es) 2002-11-20
KR20020020826A (ko) 2002-03-15
EG22835A (en) 2003-09-30
AU7065800A (en) 2001-03-19
DE60034800T2 (de) 2008-01-31
BR0013458B1 (pt) 2009-05-05
ATE361735T1 (de) 2007-06-15
WO2001013845A1 (en) 2001-03-01
JP2003530904A (ja) 2003-10-21
NO20020875D0 (no) 2002-02-22
NO20020875L (no) 2002-04-18
EP1214032B1 (en)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1465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fastenable mechanism
US6508799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fastenable mechanism
KR100676793B1 (ko) 재잠금가능한 흡수 용품
US6569141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fastenable mechanism
US6500161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fastenable mechanism
US6497696B1 (en) Refastenable absorbent article exhibiting improved body fit
US6497695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fastenable mechanism
KR20020025235A (ko) 재잠금가능한 흡수 용품
KR100676800B1 (ko) 재잠금가능한 흡수 용품
KR20020020822A (ko) 흡수 용품
US6514235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fastenable mechanism
CA2376234A1 (en) Refastenable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