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721B1 - 높이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721B1
KR100676721B1 KR1020050102988A KR20050102988A KR100676721B1 KR 100676721 B1 KR100676721 B1 KR 100676721B1 KR 1020050102988 A KR1020050102988 A KR 1020050102988A KR 20050102988 A KR20050102988 A KR 20050102988A KR 100676721 B1 KR100676721 B1 KR 100676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
pressing key
golf
golf te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4778A (ko
Inventor
박명화
Original Assignee
(주)이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테크 filed Critical (주)이지테크
Publication of KR20060134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5Golf tees height-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티에 관한 것으로, 하부는 뿔모양이며, 상단이 개구되고 종방향홀이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종방향홀을 관통하는 수평방향홀이 형성된 하부티와 상기 수평방향홀에 삽입되는 관통형걸림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누름키와 하부에 상기 하부티의 종방향홀에 삽입되고 상기 누름키에 형성된 관통형걸림부를 통과하며 상기 관통형걸림부에 지지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골프공을 얹을 수 있도록 받침대가 형성된 상부티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누름키와 상기 하부티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골프티에서는 손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용이함이 있다.
골프티, 높이조절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골프티{EXTENSIBLE GOLF TEE}
도 1은 종래의 골프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골프티의 분해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골프티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골프티의 하부티와 누름키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골프티 세트 11; 숏티
12; 미들티 13; 롱티
100; 골프티 110; 상부티
111; 받침대 112; 걸림홈
113; 삽입부 120; 하부티
121; 수용부 122; 수평방향홀
123; 종방향홀 130, 230; 누름키
131; 탄성부재 132; 관통형걸림부
300; 보조골프티 400; 연결부재
본 발명은 골프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높낮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골프티를 제공함으로써, 잔디의 상태 또는 골퍼의 신장에 따라 적절한 골프공의 높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매 홀마다 티 지점에서 시작을 하며, 이때 골퍼들은 잔디의 상태 또는 골퍼 개인의 신장에 따라 골프공을 지면에서 적절히 띄워놓고 샷을 하기 위해, 티 지점에 골프티를 꽂고 골프티 위에 골프공을 얹어 놓은 후 드라이브 샷 또는 아이언 샷을 하게 된다.
그러나 매 홀마다 티지점의 잔디상태가 항상 고른것은 아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골프티 세트(10), 예를 들어 숏티(short tee)(11), 미들티(middle tee)(12), 롱티(long tee)(13)의 세 종류의 티를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분실 우려도 있다.
따라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골프티의 개발을 위한 시도가 많았었지만,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가 많이 든다거나, 사용함에 있어서 불편함을 유발하여 골퍼들이 애용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누름키를 한번 눌러주는 동작만으로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골프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는, 하부는 뿔모양이며, 상단이 개구되고 종방향홀이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종방향홀을 관통하는 수평방향홀이 형성된 하부티; 상기 수평방향홀에 삽입되는 관통형걸림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누름키; 하부에 상기 하부티의 종방향홀에 삽입되고 상기 누름키에 형성된 관통형걸림부를 통과하며 상기 관통형걸림부에 지지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골프공을 얹을 수 있도록 받침대가 형성된 상부티;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누름키와 상기 하부티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탄성부재는, 상기 각 누름키에 결합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티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누름키의 관통형걸림부가 상기 수평방향홀에 삽입 되었을 시, 상기 누름키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누름키의 관통형걸림부는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대에 인접한 상기 걸림홈이 상기 관통형걸림부에 지지된 상태에서의 상기 받침대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서 골프공이 얻어지는 보조골프티; 및 일측이 상기 하부티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보조골프티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골프티와 상기 하부티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는 소정 길이를 갖는 연성의 끈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골프티의 분해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골프티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골프티의 하부티와 누름키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를 설명한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는 하부티(120), 누름키(130), 상부티(110), 탄성부재(131)를 포함한다.
하부티(120)는 직접 지면에 꽂는 부재로써, 하부가 뿔모양이며, 이후 설명될 상부티(110)의 삽입부(1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이 개구되고 그 내부는 종방향홀(1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후 설명될 누름키(130)의 관통형걸림부(132)가 삽입되도록 상기 종방향홀(123)을 관통하는 수평방향홀(122)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누름키(130)는 일측에 상기 하부티(120)의 수평방향홀(122)에 삽입되는 관통형걸림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티(110)는 하부에 상기 하부티(120)의 개구된 상단으로 삽입되어 상기 종방향홀(123)에 수용되는 삽입부(113)가 형성되었으며, 상부에는 골프공을 얹을 수 있도록 받침대(111)가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삽입부(113)에는 상기 관통형걸림부(132)에 지지되도록 하나 이상의 걸림홈(112)이 형성되었다. 상기 걸림홈(112)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숏티(11), 미들티(12), 롱티(13)에 따른 골프티의 높이에 해당하도록 소정의 높이에 형성 된다.
탄성부재(131)는 상기 누름키(130)와 상기 하부티(1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키(130)와 상기 하부티(120)를 이격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이격시키려는 힘에 따라 상기 누름키(130)의 관통형걸림부(132) 또한 상기 하부티(120)를 벗어나려 하는 힘을 받게 되고, 상기 관통형걸림부(132)를 통과하여 삽입된 상부티(110)의 삽입부(113)의 걸림홈(112)을 걸고 수평방향으로 잡아 당겨 상기 상부티(110)가 상기 하부티(120)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131)는 상기 누름키(130)의 관통형걸림부(132)가 형성된 측 상부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키(230)는 하나만의 구성으로도 충분히 본 발명에 필요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키(130)가 상기 수평방향홀(122)의 양측에 대칭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름키(130)의 관통형걸림부(132)는 골프티의 전체적인 크기와 상기 종방향홀(123) 및 수평방향홀(122)의 크기를 고려하여 얇으면서도 잘 부러지지 않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티(120)는 상기 누름키(130)의 관통형걸림부(132)가 상기 수 평방향홀(122)에 삽입되었을 시, 상기 하부티(120)의 외측에서 상기 누름키(130)를 수용하는 수용부(12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티(120)의 수평방향홀(122)에 상기 누름키(130)의 관통형걸림부(132)가 삽입되며, 상기 누름키(130)는 상기 하부티(120)에 형성된 수용부(121)에 안착된다. 상기 누름키(130)는 상기 수평방향홀(122)을 대칭으로 양측에서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을 상기해야한다. 이때 각 누름키(130)에 형성된 관통형걸림부(13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층을 이루어 겹쳐지게 된다. 상기 관통형걸림부(132)가 삽입된 후에는 상기 누름키(130)에 형성된 탄성부재(131)가 상기 하부티(120) 외측 사이에서 상기 하부티(120)와 상기 누름키(130)를 서로 밀어내려는 힘을 작용한다. 이때 상기 누름키(130)를 손가락으로 누르면서 상기 상부티(110)의 삽입부(113)를 하부티(120)의 종방향홀(123)에 삽입하여 상기 관통형걸림부(132)를 통과하여 안착하도록 하며, 원하는 높이로 조절한 후, 즉 상기 삽입부(113)에 형성된 걸림홈(112) 중 원하는 걸림홈(112)에 상기 누름키의 관통형걸림부(132)가 걸리도록 조절한 후, 상기 누름키(130)를 누르고 있던 손가락을 떼면, 상기 탄성부재(131)가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상기 누름키(130)에 형성된 관통형걸림부(132)가 양측으로 나가려는 힘을 작용하여, 상기 상부티(110)가 하부티(120)에 지지되는 것이다.
골프티(100)의 높이를 바꾸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누름키(130)를 살짝 누른 상태에서 상기 상부티(110)를 삽입 또는 인출시키며 높이를 조절 한 후, 누름키(130)를 누른 손가락을 떼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골프티(100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골프티(300)와 연결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골프티(300)는 상부티(110)의 받침대(111)에 인접한 걸림홈(112), 즉, 최상부 걸림홈(112)이 관통형걸림부(132)에 지지된 상태에서의 받침대(111)의 높이보다 잔은 위치에서 골프공이 얻어지도록 마련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티(110)의 최상부 걸림홈(112)이 관통형걸림부(132)에 지지된 상태에서 골프티(100a)가 잔디 등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골프공이 얻어지는 높이보다 낮은 위치(도 7의 'h' 참조)에 골프공이 놓이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보조골프티(300)를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골프공이 놓이는 높이를 보다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400)는 일측이 하부티에 연결되고 타측이 보조골프티(300)에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부재(400)는 보조골프티(300)와 하부티(120)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0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연성의 끈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연결부재(400)는 보조골프티(300)와 하부티(120)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는 잔디상태에 따라 서로 높이가 다른 골프티를 소지하고 다녀야 했지만, 본 발명의 골프티에서는 손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용이함이 있다.
또, 종래의 높이조절을 위한 골프티의 제작에 있어서는 그 구성이 복잡하였지만,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높이조절과 조절후 지지력이 뛰어난 골프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높낮이를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성의 간단함으로 인해 제작공정이 간소화 되고 제작비가 적게 드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하부는 뿔모양이며, 상단이 개구되고 종방향홀이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종방향홀을 관통하는 수평방향홀이 형성된 하부티;
    상기 수평방향홀에 삽입되는 관통형걸림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누름키;
    하부에 상기 하부티의 종방향홀에 삽입되고 상기 누름키에 형성된 관통형걸림부를 통과하며 상기 관통형걸림부에 지지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골프공을 얹을 수 있도록 받침대가 형성된 상부티;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누름키와 상기 하부티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탄성부재는,
    상기 각 누름키에 결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티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누름키의 관통형걸림부가 상기 수평방향홀에 삽입 되었을 시, 상기 누름키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키의 관통형걸림부는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 인접한 상기 걸림홈이 상기 관통형걸림부에 지지된 상태에서의 상기 받침대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서 골프공이 얻어지는 보조골프티; 및
    일측이 상기 하부티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보조골프티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골프티와 상기 하부티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소정 길이를 갖는 연성의 끈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KR1020050102988A 2005-06-23 2005-10-31 높이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KR100676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406 2005-06-23
KR20050054406 2005-06-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833U Division KR200407724Y1 (ko) 2005-10-31 2005-10-31 높이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778A KR20060134778A (ko) 2006-12-28
KR100676721B1 true KR100676721B1 (ko) 2007-02-01

Family

ID=37813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988A KR100676721B1 (ko) 2005-06-23 2005-10-31 높이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7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631B1 (ko) * 2018-01-02 2018-05-14 송진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 티
KR101956778B1 (ko) * 2018-04-04 2019-03-11 송진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 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179B1 (ko) * 2020-11-20 2021-03-15 주식회사 인터커뮤니케이션즈 골프 티
KR102439885B1 (ko) * 2021-10-18 2022-09-05 (주)대우루컴즈 골프 용품
KR102439887B1 (ko) * 2021-10-18 2022-09-05 (주)대우루컴즈 골프 용품
KR102439886B1 (ko) * 2021-10-18 2022-09-05 (주)대우루컴즈 골프 용품
WO2023195561A1 (ko) * 2022-04-08 2023-10-12 주식회사 디에스더블유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KR102632323B1 (ko) * 2023-09-21 2024-02-01 주식회사 코제 골프 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0837A (en) 1986-05-09 1987-04-28 Bressie Joe L Setter apparatus for golf tees
JPH10295483A (ja) 1997-04-25 1998-11-10 Ikeda Bussan Co Ltd ヘッドレストのサポート構造
KR200199080Y1 (ko) 2000-04-19 2000-10-02 민성산업주식회사 분실 방지형 골프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0837A (en) 1986-05-09 1987-04-28 Bressie Joe L Setter apparatus for golf tees
JPH10295483A (ja) 1997-04-25 1998-11-10 Ikeda Bussan Co Ltd ヘッドレストのサポート構造
KR200199080Y1 (ko) 2000-04-19 2000-10-02 민성산업주식회사 분실 방지형 골프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631B1 (ko) * 2018-01-02 2018-05-14 송진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 티
KR101956778B1 (ko) * 2018-04-04 2019-03-11 송진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 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778A (ko) 200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721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US5417334A (en) Golf club rack
KR200407724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JP4795450B2 (ja) 調整可能なゴルフティー
US6672977B1 (en) Multi-functional golf accessory
US20110294606A1 (en) Basketball training device
US6344003B1 (en) Golf tee
KR20160019476A (ko) 골프 티잉 장치
US20170173423A1 (en) Adjustable golf tee
US6749522B1 (en) Golf ball retrieval device
US4942962A (en) Free standing golf bag apparatus
USD506798S1 (en) Slotted hosel for a golf club head
US20080096694A1 (en) Golf Tee
US9968835B2 (en) Multipurpose golf tool
KR100577053B1 (ko) 골프 티
KR200478462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US6461254B1 (en) Golf ball and tee setting device
KR200294422Y1 (ko) 골프 티
KR20060085421A (ko) 골프공 받침용 티
KR200427185Y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골프티
KR101089628B1 (ko)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실내 연습용 골프매트
US6264028B1 (en) Golf bag capable of raising golf clubs
CN220257108U (zh) 用于运动练习的装置
KR200362996Y1 (ko) 골프티의 구조
KR200362997Y1 (ko) 골프티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