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462Y1 -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 Google Patents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462Y1
KR200478462Y1 KR2020150001858U KR20150001858U KR200478462Y1 KR 200478462 Y1 KR200478462 Y1 KR 200478462Y1 KR 2020150001858 U KR2020150001858 U KR 2020150001858U KR 20150001858 U KR20150001858 U KR 20150001858U KR 200478462 Y1 KR200478462 Y1 KR 2004784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
golf
golf ball
lengt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8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일
Original Assignee
김수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일 filed Critical 김수일
Priority to KR20201500018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4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4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4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5Golf tees height-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다단 길이 조절부; 및 상기 다단 길이 조절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단부에 골프공이 올려져 배치되는 골프공 배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LENGTH ADJUSTABLE GOLF TEE}
본 고안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숏 티, 미들 티, 롱 티, 볼 마커 및 사계절 티의 모든 기능이 하나로 구현될 수 있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에 관한 것이다.
골프티(GOLF TEE)는 각 홀의 출발구역에서 첫 번째 샷인 티샷을 할 때 공을 올려놓는 골프 용품 중의 한 도구이다.
이러한 골프티는 공을 바닥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하여 드라이버 헤드의 중앙 부분에 공이 잘 맞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나무 소재로 된 골프티는 가격이 저렴하여 많이 쓰이는 있으며, 우레탄 등이 적용된 부드러운 소재의 골프티는 골프채 헤드의 손상을 막아주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경기 중에 골프티가 부러질 수도 있고 혹은 골프티를 잃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골프를 즐기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여분을 준비하여 다니는 것이 일반적이다.
골프티의 길이는 대략 3~5cm이며, 긴 티(숏 티)나 짧은 티(롱 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종래기술에 따른 골프티의 경우, 그 길이가 고정된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숏 티 전용의 골프티와 롱 티 전용의 골프티를 개별적으로 구매하여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골프를 즐기는 사람의 경우에는 숏 티와 롱 티 외에도 볼 마커(ball marker)를 주머니나 혹은 모자에 챙겨야만 하는데, 결과적으로 기존에는 숏 티, 미들 티, 롱 티, 볼 마커 등을 다수 개씩 개별적으로 소지해야 했기 때문에 불편하고 번거로울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들의 기능이 모두 구현될 수 있는 골프티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2-001433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9-005110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1-003729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06711호
본 고안의 목적은, 숏 티, 미들 티, 롱 티, 볼 마커 및 사계절 티의 모든 기능이 하나로 구현될 수 있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다단 길이 조절부; 및 상기 다단 길이 조절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단부에 골프공이 올려져 배치되는 골프공 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지면에 놓이는 바닥 플레이트; 및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바닥 플레이트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내부가 빈 중공 컬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단 길이 조절부는 직선부와 경사부를 구비하되 상기 직선부와 상기 경사부 모두는 내부가 빈 파이프(pipe)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직선부와 상기 경사부는 높이 방향을 따라 하나씩 교차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골프공 배치부는, 상기 다단 길이 조절부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골프공이 배치되는 골프공 배치용 탑 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와 상기 골프공 배치용 탑 플레이트 사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배치되는 손가락 배치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프공 배치용 탑 플레이트는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의 내부는 빈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숏 티, 미들 티, 롱 티, 볼 마커 및 사계절 티의 모든 기능이 하나로 구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종전처럼 숏 티 따로, 롱 티 따로, 볼 마커 따로 및 사계절 티 따로 주머니나 모자에 챙겨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에서 탈피하여 간편하게 골프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경우에 따라 기존의 골프티처럼 땅에 꽂는 번거로움에서 탈피할 수 있음은 물론 자신만의 볼의 높이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맞춰서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어 골프의 재미를 배가시키고 골프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골프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골프티를 숏 티로 사용할 때의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골프티를 미들 티로 사용할 때의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골프티를 롱 티로 사용할 때의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골프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골프티를 숏 티로 사용할 때의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골프티를 미들 티로 사용할 때의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골프티를 롱 티로 사용할 때의 도면, 그리고 도 8은 도 1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는 종래와 달리 길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숏 티(도 5 참조), 미들 티(도 6 참조), 롱 티(도 7 참조), 볼 마커(도 8 참조) 및 사계절 티의 모든 기능이 하나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베이스부(110), 다단 길이 조절부(120), 그리고 골프공 배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가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경우, 꺾인 후 바로 원상태로 회복되는 복원력도 뛰어나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가 실리콘 티인 경우, 티가 깨지지도 않고 골프채 헤드 표면에 상처도 내지 않는다. 즉 고품질 실리콘 재질로 클럽의 손상을 방지, 티의 부러짐 없는 경제성을 갖는다.
또한 후술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는 그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티샷 후 멀리 도망가지 않는다.
밝은 형광색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잔디, 풀 속에 떨어져도 아주 잘 보여 쉽게 찾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는 나무 혹은 우레탄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우선, 베이스부(110)는 지면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베이스부(110)는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지면에 놓이는 바닥 플레이트(111)와, 바닥 플레이트(111)에 연결되며, 바닥 플레이트(11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내부가 빈 중공 컬럼(11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 플레이트(111)의 밑면은 평평한 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는 기존의 골프티처럼 땅에 꽂는 번거로움에서 탈피할 수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 5 내지 도 7처럼 안정적으로 골프공을 지지할 수 있다.
바닥 플레이트(111)가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를 최종적으로 지지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바닥 플레이트(111)는 다른 부분들보다 가장 넓은 면적을 이룬다.
다음으로, 다단 길이 조절부(120)는 높이 방향을 따라 베이스부(110)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부분이다.
다단 길이 조절부(120)로 인해, 도 2 및 도 3, 혹은 도 4 내지 도 7과 같은 형태로 골프티(100)의 전체 높이를 마음껏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숏 티(도 5 참조), 미들 티(도 6 참조), 롱 티(도 7 참조), 볼 마커(도 8 참조) 및 사계절 티의 모든 기능이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숏 티는 파3에서 아이언 티샷이나 우드 티샷 시 사용할 수 있다. 미들 티는 우드 티샷 시 사용할 수 있다. 롱 티는 드라이버 티샷 시 사용할 수 있다. 볼 마커는 그린 위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사계절 티는 어떤 티박스일지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는 안 들어가는 땅에 억지로 꽂는 번거로움 없이, 또는 계절에 상관없이 매트, 잔디 어느 티 박스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는 간편하게 자신만의 볼의 높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바로 놓고 칠 수 있어서 시간이 절약되고 휴대 또한 간편하다.
이러한 다단 길이 조절부(120)는 직선부(121)와 경사부(12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다단 길이 조절부(120)는 3단으로 되어 있으나 2단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4단 이상일 수도 있다.
이때, 다단 길이 조절부(120)를 형성하는 직선부(121)와 경사부(122) 모두는 내부가 빈 파이프(pipe) 형상을 갖는데, 직선부(121)와 경사부(122)는 높이 방향을 따라 하나씩 교차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이 조절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골프공 배치부(130)는 다단 길이 조절부(120)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단부에 골프공이 올려져 배치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러한 골프공 배치부(130)는 슬라이딩 결합부(131), 골프공 배치용 탑 플레이트(132), 그리고 손가락 배치홈부(133)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결합부(131)는 다단 길이 조절부(120)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슬라이딩 결합부(131)의 반경 직경은 다단 길이 조절부(120)의 상단부 반경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결합부(131)의 내부는 빈 공간부(131a)를 형성한다. 따라서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골프공 배치용 탑 플레이트(132)는 슬라이딩 결합부(131)의 상부에 형성되되 도 4 내지 도 7처럼 골프공이 배치되는 부분이다. 골프공이 임의로 떨어지지 않도록 골프공 배치용 탑 플레이트(132)는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손가락 배치홈부(133)는 슬라이딩 결합부(131)와 골프공 배치용 탑 플레이트(132) 사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되는 부분으로서, 도 2처럼 사용자가 손가락을 배치하여 핸들링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의 길이를 늘이고자 할 때는 도 2처럼 손가락 배치홈부(133) 영역을 이용해서 골프공 배치용 탑 플레이트(132) 잡고 골프공 배치부(130)를 상부로 인출시키면 되고, 반대로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의 길이를 줄이고자 할 때는 도 3처럼 손가락으로 골프공 배치부(130)를 아래로 가압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의 골프티(100)에 따르면, 숏 티, 미들 티, 롱 티, 볼 마커 및 사계절 티의 모든 기능이 하나로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골프티(100)에 따르면, 종전처럼 숏 티 따로, 롱 티 따로, 볼 마커 따로 및 사계절 티 따로 주머니나 모자에 챙겨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에서 탈피하여 간편하게 골프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골프티(100)에 따르면, 경우에 따라 기존의 골프티처럼 땅에 꽂는 번거로움에서 탈피할 수 있음은 물론 자신만의 볼의 높이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맞춰서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어 골프의 재미를 배가시키고 골프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의 효과에 대해 부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는 안 들어가는 땅에 억지로 꽂는 번거로움 없이, 또는 계절에 상관없이 매트, 잔디 어느 티 박스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는 간편하게 자신만의 볼의 높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바로 놓고 칠 수 있어서 시간이 절약되고 휴대 또한 간편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는 손이 심심하지 않은 놀이 소품으로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의 효과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항력 감소에 따른 비거리 증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티샷 시 클럽이 볼을 맞힐 때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가 바닥과의 고정 접지력이 거의 없기 때문에 그만큼 저항력 감소로 비거리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클럽에 전달되는 티에 대한 간섭이 전혀 없어 타격감이 좋고 클럽의 저항력 감소로 비거리 증가 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며, 경쾌한 임팩트 실현이 가능해진다.
둘째, 종전처럼 티를 꽂지 말고 티박스 위에 올려만 놓으면 된다.
즉 종전처럼 안 들어가는 땅에 억지로 꽂는 번거로움이 사라질 수 있다. 또한 계절에 상관없이 매트, 잔디 어느 티 박스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간편하게 자신만의 볼의 높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바로 놓고 칠 수 있어서 시간이 절약되고 휴대 또한 간편하다.
셋째, 하나로 여러 기능이 가능해진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의 경우, 롱 티 따로, 숏 티 따로, 볼 마커 따로 주머니에, 혹은 모자에 번거롭게 따로 챙기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 하나만 휴대하더라도 상기 기능들이 전부 수행될 수 있다.
넷째, 정제성이 높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는 실리콘 재질이라서 꺾이기도 하고 바로 원상태로 회복되는 복원력도 뛰어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는 실리콘 티이기 때문에 티가 깨지지도 않고 골프채 헤드 표면에 상처도 내지 않는다.
고품질 실리콘 재질로 클럽의 손상을 방지, 티의 부러짐 없는 경제성을 갖는다.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티샷 후 멀리 도망가지 않는다.
밝은 형광색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잔디, 풀 속에 떨어져도 아주 잘 보여 쉽게 찾을 수 있다.
다섯째,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는 재미가 있는 소품 중의 하나이다.
즉 티샷 후 가지고 다니면서 접었다 폈다하는 심심풀이용 소품으로 손이 심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200) 역시, 베이스부(110), 다단 길이 조절부(120), 그리고 골프공 배치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골프공 배치부(23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케이싱(231)과, 케이싱(231) 내에 마련되는 야광재(232)를 포함한다. 이처럼 투명 또는 반투명의 케이싱(231) 내에 야광재(232)를 개재시켜 골프공 배치부(230)를 제조할 경우, 흐린 날이나 어두운 시야에서도 골프공을 정확히 알아볼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골프티(200)가 적용되더라도 숏 티, 미들 티, 롱 티, 볼 마커 및 사계절 티의 모든 기능이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전처럼 숏 티 따로, 롱 티 따로, 볼 마커 따로 및 사계절 티 따로 주머니나 모자에 챙겨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에서 탈피하여 간편하게 골프를 즐길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300) 역시, 베이스부(310), 다단 길이 조절부(320), 그리고 골프공 배치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다단 길이 조절부(320), 특히 다단 길이 조절부(320)의 경사부(322)의 양측 단부에는 볼 타입 돌기부(320a)가 형성되며, 베이스부(310)의 측벽에는 볼 타입 돌기부(320a)가 배치되는 다수의 돌기부 배치홈(310a)이 형성된다. 돌기부 배치홈(310a)은 베이스부(310)의 측벽 외에도 다단 길이 조절부(320)의 직선부(321) 및 골프공 배치부(330)의 슬라이딩 결합부(331)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볼 타입 돌기부(320a)와 다수의 돌기부 배치홈(310a)이 형성될 경우, 골프티(300)의 길이를 조절할 때, 볼 타입 돌기부(320a)가 돌기부 배치홈(310a)들에 하나씩 수용되면서 골프티(300)의 길이가 조절되기 때문에 조절하고자 하는 길이를 정확하게 맞추기가 용이하며, 또한 조절한 길이가 임으로 변경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골프티(300)가 적용되더라도 숏 티, 미들 티, 롱 티, 볼 마커 및 사계절 티의 모든 기능이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전처럼 숏 티 따로, 롱 티 따로, 볼 마커 따로 및 사계절 티 따로 주머니나 모자에 챙겨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에서 탈피하여 간편하게 골프를 즐길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400) 역시, 베이스부(410), 다단 길이 조절부(420), 그리고 골프공 배치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다단 길이 조절부(420) 역시, 3단으로 마련되는데, 이때 이와 같은 구조에서 다단 길이 조절부(420) 모두는 직선부(421)로 형성된다.
이때, 제일 높은 쪽에 배치되는 직선부(421)의 내부에는 스토퍼(S)가 마련됨으로써, 골프공 배치부(430)의 하향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이처럼 골프공 배치부(430)의 하향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골프공 배치부(430)가 직선부(421)에 너무 꽉 끼어서 잘 빠지지 않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골프티(400)가 적용되더라도 숏 티, 미들 티, 롱 티, 볼 마커 및 사계절 티의 모든 기능이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전처럼 숏 티 따로, 롱 티 따로, 볼 마커 따로 및 사계절 티 따로 주머니나 모자에 챙겨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에서 탈피하여 간편하게 골프를 즐길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500) 역시, 베이스부(110), 다단 길이 조절부(120), 그리고 골프공 배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베이스부(110)의 하부에는 송곳부(540)가 형성된다. 송곳부(540)는 지면에 잘 꼽아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골프티(500)를 지면에 꼽아 사용하는 타입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형태의 본 실시예의 골프티(500)가 적용되더라도 숏 티, 미들 티, 롱 티, 볼 마커 및 사계절 티의 모든 기능이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전처럼 숏 티 따로, 롱 티 따로, 볼 마커 따로 및 사계절 티 따로 주머니나 모자에 챙겨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에서 탈피하여 간편하게 골프를 즐길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골프티 110 : 베이스부
111 : 바닥 플레이트 112 : 중공 컬럼
120 : 다단 길이 조절부 121 : 직선부
122 : 경사부 130 : 골프공 배치부
131 : 슬라이딩 결합부 131a : 공간부
132 : 골프공 배치용 탑 플레이트 133 : 손가락 배치홈부

Claims (5)

  1.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된 베이스부;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부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직선부와 경사부를 구비하되, 상기 직선부와 상기 경사부는 내부가 빈 파이프(pipe) 형상을 가지고 높이 방향을 따라 하나씩 교차 배치되는 다단 길이 조절부; 및
    상기 다단 길이 조절부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의 상부에 형성되되 골프공이 배치되는 골프공 배치용 탑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와 상기 골프공 배치용 탑 플레이트 사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쉽게 배치되도록 하는 손가락 배치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골프공 배치용 탑 플레이트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의 내부는 빈 공간부를 형성하는 하는 골프공 배치부; 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벽에는 높이 방향으로 다수의 돌기부 배치홈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돌기부 배치홈에 대응하여 상기 다단 길이 조절부의 경사부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다수의 돌기 배치홈에 수용되는 볼 타입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단 길이 조절부의 직선부 중 제일 높은 쪽에 배치되는 직선부의 내부에는 상기 골프공 배치부의 하향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골프공 배치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야광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50001858U 2015-03-24 2015-03-24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KR2004784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858U KR200478462Y1 (ko) 2015-03-24 2015-03-24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858U KR200478462Y1 (ko) 2015-03-24 2015-03-24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462Y1 true KR200478462Y1 (ko) 2015-10-13

Family

ID=54342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858U KR200478462Y1 (ko) 2015-03-24 2015-03-24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46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143B1 (ko) * 2017-04-14 2019-01-03 김종현 볼 마커 겸용 골프 티
WO2021162372A1 (ko) * 2020-02-11 2021-08-19 최동규 골프 티
USD971353S1 (en) 2020-11-19 2022-11-29 David D. Kellogg Adjustable golf tee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1880B2 (ja) * 1991-10-29 2001-04-03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ペースト用塩化ビニル樹脂の製造方法
KR200245588Y1 (ko) * 2001-04-20 2001-10-12 강세환 골프용 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1880B2 (ja) * 1991-10-29 2001-04-03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ペースト用塩化ビニル樹脂の製造方法
KR200245588Y1 (ko) * 2001-04-20 2001-10-12 강세환 골프용 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143B1 (ko) * 2017-04-14 2019-01-03 김종현 볼 마커 겸용 골프 티
WO2021162372A1 (ko) * 2020-02-11 2021-08-19 최동규 골프 티
USD971353S1 (en) 2020-11-19 2022-11-29 David D. Kellogg Adjustable golf tee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9389B2 (en) Ball-hitting trainer
KR200478462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US20060035728A1 (en) Golf range tee
US7086972B2 (en) Height adjustable golf tee support apparatus
KR101722769B1 (ko) 충격 흡수 및 높, 낮이 조절 기능을 갖는 골프 티
US6942583B2 (en) Golf tee
US9737773B2 (en) Adjustable golf tee
US8062153B2 (en) Ping pong ball tether attachment
CN102481475A (zh) 高尔夫球对准装置
US20140057740A1 (en) Golf tee
JP3197287U (ja) ゴルフボールショット用ハイブリッドゴルフボール支持具
US20070184919A1 (en) The Perfect Golf Tee
KR200294422Y1 (ko) 골프 티
KR101785854B1 (ko) 골프클럽의 길이 연장 장치
US20180154228A1 (en) Golf accessory
KR101144353B1 (ko) 삼발이형 골프 티
US20070010345A1 (en) Golf ball retrieval device
KR200474264Y1 (ko) 내구성이 뛰어난 그린 보수기
KR20130000321U (ko) 골프티
KR100574460B1 (ko) 골프 연습매트용 골프 티
KR102632323B1 (ko) 골프 티
AU2015201509B2 (en) Golf putting training aid
KR200477764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 티
US20070249434A1 (en) Training Device for Gymnasium
KR101121175B1 (ko) 골프용 볼 마커가 부설되는 팔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