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992B1 - Carbon nano-rod and fibrous nano carb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fibrous nano carbon - Google Patents

Carbon nano-rod and fibrous nano carb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fibrous nano carb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992B1
KR100675992B1 KR1020057012202A KR20057012202A KR100675992B1 KR 100675992 B1 KR100675992 B1 KR 100675992B1 KR 1020057012202 A KR1020057012202 A KR 1020057012202A KR 20057012202 A KR20057012202 A KR 20057012202A KR 100675992 B1 KR100675992 B1 KR 100675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fluidized bed
fibrous nanocarbon
cataly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2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16739A (en
Inventor
유이치 후지오카
아키노리 야스타케
도시히코 세토구치
이사오 모치다
윤성호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이사오 모치다
윤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이사오 모치다, 윤성호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12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992B1/en
Publication of KR20060016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7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9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1F9/127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thermal decomposition of hydrocarbon gases or vapours or other carbon-containing compounds in the form of gas or vapour, e.g. carbon monoxide, alcohols
    • D01F9/1273Alkenes, alky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05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carbon not covered by groups C01B32/15, C01B32/20, C01B32/25, C01B32/30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Preparation
    • C01B32/162Preparation characterised by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Nanoonions; Nanoscrolls; Nanohorns; Nanocones; Nanowall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1F9/127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thermal decomposition of hydrocarbon gases or vapours or other carbon-containing compounds in the form of gas or vapour, e.g. carbon monoxide, alcohols
    • D01F9/133Apparatu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10Inorganic fibres based on non-oxides other than metals
    • D10B2101/12Carbon; Pitch
    • D10B2101/122Nanocarb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탄소 나노로드(12)는 한 방향으로 신장하는 중심축을 갖는 탄소 헥사고날 망면(11)으로 구성되며, 탄소 나노로드(12)는 3차원적으로 집합하여 섬유상 나노탄소를 형성한다.

Figure 112005034569130-pct00002

The carbon nanorods 12 are composed of carbon hexagonal net face 11 having a central axis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the carbon nanorods 12 are three-dimensionally assembled to form fibrous nanocarbons.

Figure 112005034569130-pct00002

Description

탄소 나노로드, 섬유상 나노탄소, 및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 및 그의 장치{CARBON NANO-ROD AND FIBROUS NANO CARB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FIBROUS NANO CARBON}CARBON NANO-ROD AND FIBROUS NANO CARB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FIBROUS NANO CARBON}

본 발명은, 탄소 나노로드(carbon nano-rod), 섬유상 나노탄소 및 상기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 및 그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bon nanorod, a fibrous nanocarb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fibrous nanocarbon, and an apparatus thereof.

최근, 나노단위(㎚=10억분의 1m)의 탄소 재료로서, 예컨대 카본 나노섬유(1983년, 미합중국, Hyperion Catalytic International, 일본 특허 공개 1987-5000943호 공보, Multi-walled Nanotube, The number of walls varies, with 8 to 15 being typical. The outside diameter of the tube is approximately 10 to 15 nanometers. The inside diameter is approximately 5 nanometers. Nanotubes are typically tens of microns in length. Aspect ratios on the order of 100 to 1000), (H.P. Boehm, Carbon, 11, 583 (1973), H. Murayama, T. Maeda, Nature, 245, 791, Rodriguez, N.M. 1993. J. Mater. Res. 8: 3233), 및 카본 나노튜브(S. Iijima, Nature, 354, 56(1991), S. Iijima)가 발견되어 미세 탄소재로서 주목받고 있다.Recently, as a carbon material in nano units (nm = 1 billionth of a meter), for example, carbon nanofibers (1983, United States, Hyperion Catalytic International,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1987-5000943, Multi-walled Nanotube, The number of walls varies , with 8 to 15 being typical.The outside diameter of the tube is approximately 10 to 15 nanometers.The inside diameter is approximately 5 nanometers.Nanotubes are typically tens of microns in length.Aspect ratios on the order of 100 to 1000), ( HP Boehm, Carbon, 11, 583 (1973), H. Murayama, T. Maeda, Nature, 245, 791, Rodriguez, NM 1993. J. Mater. Res. 8: 3233), and carbon nanotubes (S. Iijima) , Nature, 354, 56 (1991), S. Iijima) has been found to attract attention as a fine carbon material.

종래의 카본 나노섬유 구조의 개략을 도 49에 나타낸다.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카본 나노섬유에서는, 탄소 헥사고날 망면(網面)의 판형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3종류의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Rodriguez, N.M. 1993. J. Mater. Res. 8: 3233). 이들 탄소 재료는 3차원 구조로서, 도 49(a)의 소판(platelet) 구조, 도 49(b)의 헤링본(herringbone) 또는 피쉬본(fishbone) 구조, 및 도 49(c)의 튜브, 리본 또는 평행 구조로 분류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 카본 나노섬유는 규정된 단순 구조 때문에 다양성이 없고,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만족하는 재료로서 제공되지 않았다.The outline of the conventional carbon nanofiber structure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49, in the conventional carbon nanofibers, three types of structures consisting of a plate-like laminate of carbon hexagonal reticulated surfaces have been proposed (Rodriguez, NM 1993. J. Mater. Res. 8: 3233). ). These carbon materials are three-dimensional structures, such as the platelet structure of FIG. 49 (a), the herringbone or fishbone structure of FIG. 49 (b), and the tube, ribbon or of FIG. 49 (c). It has been classified as a parallel structure. However, conventional carbon nanofibers have no variety due to the defined simple structure, and have not been provided as materials satisfying various functions at the same time.

최근, 카본 나노섬유를 이용한 용도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예컨대 수소 및 리튬의 흡장이나 흡탈착, 촉매 작용, 질소 산화물의 흡착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도의 탄소 나노섬유의 표적 물질에 대한 높은 흡장력이 요구되지만, 아직까지 바람직한 탄소 나노섬유가 나타나지 않았다.In recent years, research on the use of carbon nanofibers has been conduc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occlusion and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hydrogen and lithium, catalysis, adsorption of nitrogen oxides, and the like. However, although a high occlusion force on the target material of the carbon nanofibers for this use is required, the preferred carbon nanofibers have not yet appeared.

이에 따라, 다양한 탄소 나노로드의 치수 및 형상이 다양하게 배열 또는 집합되어, 매우 다양한 구조를 갖는 섬유상 나노탄소를 계통적으로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특성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는 섬유상 나노탄소 물질의 출현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carbon nanorods are arranged in various dimensions or shapes, and the emergence of fibrous nanocarbon materials capable of simultaneously giving various characteristics by systematically manufacturing fibrous nanocarbons having a wide variety of structures is strongly required. have.

또한, 종래 카본 나노섬유의 제조에 있어서,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초 반응기가 사용된다.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초 반응기는 가열 수단(02)을 구비한 반응관(03) 내의 보우트(04) 위의 촉매(05)에 탄소원으로서 원료 가 스(01)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촉매(05)에 카본 나노섬유(06)를 성장시키는 배치식이다. 따라서,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장치는 대량 제조를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oduction of conventional carbon nanofibers, a basic reactor as shown in FIG. 50 is used. As shown in Fig. 50, the conventional elementary reactor is made by contacting the raw material gas 01 as a carbon source with the catalyst 05 on the boat 04 in the reaction tube 03 with the heating means 02. It is a batch type for growing the carbon nanofibers (06) on the catalyst (05). Therefore, the conventional apparatus as shown in FIG. 50 has a problem that mass production cannot be performed.

그러므로,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원료 가스(01)를 기상 반응관(03) 내로 공급하여 가열 수단(02)에 의해 가열하여 카본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기상 유동법이 고려되고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1, for example, a gas phase flow method in which the raw material gas 01 is supplied into the gas phase reaction tube 03 and heated by the heating means 02 to produce carbon nanofibers is considered.

그러나,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초 반응기 또는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상 유동법에서는, 반응관(03) 내부가 온도 분포를 발생하기 쉬워 불균일해지기 쉬운 문제가 있는 동시에, 성장한 생성물이 반응관(03)의 내벽면에 부착하기 쉬워 생성물의 회수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 결과, 스케일 업(scale up)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basic reactor as shown in FIG. 50 or the gas phase flow method as shown in FIG. 51,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ide of the reaction tube 03 tends to generate a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becomes uneven, while the grown product is a reaction tube. There exists a problem that it is easy to adhere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03), and a product collection is difficult.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scale up is difficult.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소 및 리튬의 흡장이나 흡탈착, 촉매 작용 및 질소 산화물의 흡착 등에 있어서 높은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탄소 나노로드, 상기 탄소 나노로드가 배열하여 집합된 섬유상 나노탄소, 및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 및 그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bon nanorod capable of exhibiting a high ability in the storage and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hydrogen and lithium, the catalytic action and the adsorption of nitrogen oxides, and the fibrous nanos in which the carbon nanorods are arranged and assembl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carbon and fibrous nanocarbon, and an apparatus thereof.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발명은, 한 방향으로 신장하는 중심축을 갖는 탄소 헥사고날 망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나노로드이다.The 1st invention for solving the said subject is a carbon nanorod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he carbon hexagonal net surface which has the central axis extended in one direction.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소 헥사고날 망면의 축 폭(D)이 2.5±0.5㎚이고, 탄소 헥사고날 망면의 길이(L)가 17±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나노로드이다.2nd invention WHEREIN: 1st invention WHEREIN: The axial width (D) of the said carbon hexagonal net surface is 2.5 +/- 0.5 nm, and the length (L) of the carbon hexagonal net surface is 17 +/- 15 nm, The carbon nano It's a rod.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소 헥사고날 망면이 2 내지 12층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나노로드이다.3rd invention is a carbon nanorod in which the said carbon hexagonal net surface is laminated | stacked by 2-12 layers in 1st or 2nd invention.

제 4 발명은, 제 1 내지 3 발명 중 어느 하나의 탄소 나노로드가 복수개 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이다.The fourth invention is a fibrous nanocarbon comprising a plurality of carbon nanorods of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inventions.

제 5 발명은,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로드가 3차원적으로 최밀(最密) 충전된(close-packed) 상태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이다.5th invention is fibrous nanocarbon in 4th invention in which the said carbon nanorod is laminated | stacked in the closest-packed state three-dimensionally.

제 6 발명은, 제 4 또는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로드가 중심축을 서로 평행하게 하여 복수 적층되어 탄소 나노로드군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이다.6th invention is fibrous nanocarbon in 4th or 5th invention characterized by the said carbon nanorod being laminated | stacked in multiple numbers by making central axis | shaft parallel to each other, and forming a carbon nanorod group.

제 7 발명은,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로드군이, 상기 탄소 헥사고날 망면을 2 내지 12층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탄소 나노로드와, 상기 탄소 헥사고날 망면을 2 내지 12층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탄소 나노로드 사이에, 나노 공극을 가지면서 3차원적으로 적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이다.7th invention WHEREIN: In the 6th invention, the said carbon nanorod group consists of laminating | stacking the said carbon nanorod which consists of 2-12 layers of said carbon hexagonal nettles, and 2-12 layers of the said carbon hexagonal reticle nets. Between the carbon nanorods, it is a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ee-dimensional lamination with nano-pores.

제 8 발명은, 제 4 발명에 있어서, 탄소 나노로드가 축단부에서 직렬 접합되어 축방향으로 탄소 나노로드군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이다.8th invention is fibrous nanocarbon in 4th invention which consists of carbon nanorods joining in series at an axial end part and forming a carbon nanorod group in an axial direction.

제 9 발명은, 제 8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로드의 상기 축단부가 열처리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이다.In the ninth invention, in the eighth invention, the shaft end portions of the carbon nanorods are bonded by heat treatment.

제 10 발명은,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로드군이, 상기 탄소 나노로드의 적층 방향의 섬유축과 직교하는 축에 대하여 0도 초과 20도 미만의 배열 각도로 배열됨으로써, 주상(Columnar)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이다.10th invention is a columnar column in 6th invention by arrange | positioning the said carbon nanorod group in the array angle of more than 0 degree and less than 20 degree with respect to the axis | shaft orthogonal to the fiber axis of the lamination direction of the said carbon nanorod. ) Is a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by forming a shape.

제 11 발명은,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로드군이, 상기 탄소 나노로드의 적층 방향의 섬유축과 직교하는 축에 대하여 20도 초과 80도 미만의 배열 각도로 배열됨으로써, 깃(Feather)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이다.According to a sixth invention, in the sixth invention, the carbon nanorod group is arranged at an array angle of more than 20 degrees and less than 80 degrees with respect to an axis orthogonal to a fiber axis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carbon nanorods. ) Is a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by forming a shape.

제 12 발명은, 제 10 또는 제 1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로드군이 헤링본(herring-bone)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이다.A twelfth invention is the fibrous nanocarbon according to the tenth or eleventh invention, wherein the carbon nanorod group has a herringbone structure.

제 13 발명은, 제 10 또는 제 11 발명에 있어서, 700℃ 이하의 열처리 조건에서 상기 탄소 헥사고날 망면 사이의 면간 거리(d002)가 0.50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이다.13th invention of claim 10 according to any of the eleventh invention, in the heat treatment conditions of below 700 ℃ nano-carbon fiber, characterized in that is less than the face-to-face distance (d 002) between the hexagonal carbon mangmyeon 0.500㎚.

제 14 발명은, 제 10 내지 제 12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로드의 집합체의 섬유 폭이 8 내지 500㎚이고, 섬유의 종횡비(섬유 길이/섬유 폭)가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이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tenth to twelfth inventions, the fiber width of the aggregate of carbon nanorods is 8 to 500 nm, and the aspect ratio (fiber length / fiber width) of the fiber is 10 or more. Fibrous nanocarbon.

제 15 발명은, 제 8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로드군이 탄소 나노로드의 적층 방향의 섬유축과 직교하는 축에 대하여 80도 내지 88도의 배열 각도로 배열됨으로써, 튜브상(Tubular)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이다.According to a fifteenth invention, in the eighth invention, the carbon nanorod group is arranged at an arrangement angle of 80 degrees to 88 degrees with respect to an axis orthogonal to a fiber axis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carbon nanorods, thereby forming a tubular shape. It is a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6 발명은, 제 15 발명에 있어서, 탄소 나노로드의 집합체의 섬유 폭이 8 내지 80㎚이며, 섬유의 종횡비(섬유 길이/섬유 폭)가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이다.According to a fifteenth invention, in the fifteenth invention, the fiber width of the aggregate of carbon nanorods is 8 to 80 nm, and the aspect ratio (fiber length / fiber width) of the fiber is 30 or more.

제 17 발명은, 제 10 내지 16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섬유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구조가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이다.17th invention is fibrous nanocarbon in any one of 10th-16th invention whos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direction orthogonal to a fiber axis is a polygon.

제 18 발명은, 제 10 내지 17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1600℃ 이상에서 고온 열처리되어, 표면에 있는 상기 탄소 나노로드의 말단이 2차원적으로는 루프형상으로 형성되고, 3차원적으로는 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이다.18th invention is any one of 10th-17th invention, heat-processed at 1600 degreeC or more, the terminal of the said carbon nanorod on the surface is formed in loop shape two-dimensionally, and three-dimensionally The fibrous nanocarbon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in a dome shape.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9 발명은, 탄소 원료를 촉매를 이용하여 고온의 유동층중에서 반응시켜, 탄소 나노로드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섬유상 나노탄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금속 촉매를 담지한 담체를 바인더를 통해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촉매 겸용 유동재를 유동재로서 이용하며, 환원 가스를 공급하는 제 1 가스 공급 공정, 상기 탄소 원료를 가스 상태로 공급하여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상기 금속 촉매의 존재하에 탄소 나노로드를 제조하는 탄소 원료 공급 공정, 및 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유동 기능을 소실시키는 제 2 가스 공급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이다.A nineteenth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a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onsisting of aggregates of carbon nanorods by reacting a carbon raw material in a high temperature fluidized bed using a catalyst, wherein a carrier carrying a metal catalyst is used as a binder. A carbon nanorod is produced in the presence of the metal catalyst of the catalyst mixed fluid using a first gas supplying step of supplying a reducing gas and supplying the carbonaceous gas in a gaseous state by using a catalyst mixed fluid formed by combining through a catalyst as a fluid. And a second gas supply step of supplying a carbon raw material supplying step and a gas not containing carbon to lose the flow function of the catalyst combined fluid.

제 20 발명은,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평균 입경이 0.2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이다.20th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fibrous nanocarbon in 19th invention whos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aid catalyst combined fluid is 0.2-20 mm.

제 21 발명은,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가, 상기 담체의 표면에 상기 촉매를 담지한 것 또는 그의 응집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이다.In a twenty-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ine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alyst-containing fluid is composed of one having the catalyst on the surface of the carrier or an aggregate thereof.

제 22 발명은,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상기 담체가 카본블랙, 알루미나, 실리카, 실리카 모래 및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이다.In a twenty-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in the nineteenth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arrier of the catalyst-compatible fluid is selected from carbon black, alumina, silica, silica sand, and aluminosilicate.

제 23 발명은,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상기 금속 촉매가 Fe, Ni, Co, Cu 및 Mo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이다.In a twenty-third aspect of the invention, in the nineteenth aspect, the metal catalyst of the fluid for both catalysts is one of Fe, Ni, Co, Cu, and Mo,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to be.

제 24 발명은, 제 19 발명에 있어서, 유동층내의 유속이 0.02 내지 2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이다.24th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ibrous nanocarbon in 19th invention whose flow velocity in a fluidized bed is 0.02-2 m / s.

제 25 발명은,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스 공급 공정, 상기 탄소 원료 공급 공정 및 상기 제 2 가스 공급 공정의 각 조건을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이다.25th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ibrous nanocarbon in 19th invention which controls each condition of the said 1st gas supply process, the said carbon raw material supply process, and the said 2nd gas supply process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제 26 발명은, 제 2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건이 온도, 압력, 시간, 및 가스 분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이다.A twenty-sixth invention i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ibrous nanocarbon in 25th invention whose said conditions are temperature, pressure, time, and a gas atmosphere.

제 27 발명은, 제 19 발명에 있어서, 0.1 내지 25기압의 압력하에 수소와 불활성 기체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0% 내지 90%) 중에서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상기 촉매와 상기 탄소 원료를 3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일정 시간 접촉시킴으로써 섬유상 나노탄소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이다.In a twenty-ninth aspect of the invention, in the nineteenth aspect, the catalyst and the carbon raw material of the catalyst and the mixed fluid in the mixed gas of hydrogen and inert gas (hydrogen partial pressure 0% to 90%) under a pressure of 0.1 to 25 atm and 300 to It is a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o produce a fibrous nanocarbon by contacting at a temperature of 1300 ℃ for a certain time.

제 28 발명은,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스 공급 공정과 탄소 원료 공급 공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정에서, 상기 환원 가스의 환원 작용에 의해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상기 촉매 성분을 금속화하는 동시에 미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이다.In a twenty-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ineteenth aspect, in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gas supply step and the carbon raw material supply step, the catalyst component of the fluid for mixed catalyst can be metallized by the reducing action of the reducing gas. At the same time, it is a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er.

제 29 발명은, 제 28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상기 금속 촉매를 미세화할 때 금속 촉매의 입경을 제어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섬유상 나노탄소의 직경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이다.In a twenty-ninth invention, in the twenty-eighth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fibrous nanocarbon obtained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metal catalyst when the metal catalyst of the fluid for dual catalysts is refined. Way.

제 30 발명은,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스 공급 공정이, 상기 유동층의 국소에 유속이 빠른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 입자끼리의 충돌 또는 이 입자와 벽면의 충돌에 의해 촉매 겸용 유동재의 미세화 및 마모를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이다.In the thirtieth invention, in the nineteenth invention, the second gas supply process forms a region having a high flow velocity at a local portion of the fluidized bed, and the catalyst is formed by collision between the particles of the catalyst and the mixed fluid or collision between the particles and the wall surface. It is a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by promoting the miniaturization and wear of the combined fluid.

제 31 발명은, 제 30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동층내의 유속이 빠른 영역을 상기 유동층의 하부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이다.A thirty-firs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according to the thirtieth invention, wherein a region having a high flow velocity in the fluidized bed is formed under the fluidized bed.

제 32 발명은, 제 30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동층내에 고속 가스를 취입시킴으로써 유속이 빠른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이다.32nd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fibrous nanocarbon in 30th invention which forms a high flow velocity area | region by blowing a high speed gas into the said fluidized bed.

제 33 발명은, 제 3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동층으로부터 비산한 입자를 상기 고속 가스에 동반시켜 상기 유동층내로 다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이다.In a thirty-third aspect of the invention, in the thirty-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wherein the particles scattered from the fluidized bed are supplied to the fluidized bed again with the high velocity gas.

제 34 발명은, 제 19 발명에 있어서, 제조된 상기 섬유상 나노탄소를 상기 담체 또는 상기 촉매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이다.A thirty-fourth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according to the nineteenth invention, wherein the fibrous nanocarbon produced is separated from the carrier or the catalyst.

제 35 발명은, 제 19 발명에 따른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하는 제조장치로서, 촉매 겸용 유동재가 충전되고,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갖춘 유동층 반응기, 상기 유동층 반응기내에 상기 환원 가스를 공급하는 제 1 가스 공급 수단, 상기 유동층 반응기내에 탄소 원료를 가스 상태로 공급하는 상기 탄소 원료 공급 수단, 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상기 가스를 상기 유동층 반응기내에 공급하는 제 2 가스 공급 수단, 및 상기 유동층 반응기로부터 가스 및 비산 입자를 배출하는 배출 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이다.A thirty-fifth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apparatus used for carrying out the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according to the nineteenth invention, comprising a fluidized bed reactor having a heating means for heating an interior of a fluid for mixing with a catalyst and the reducing gas in the fluidized bed reactor. First gas supply means for supplying gas, the carbon raw material supply means for supplying carbonaceous material into the fluidized bed reactor in a gas state, second gas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gas containing no carbon into the fluidized bed reactor, and the fluidized bed An 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omprising a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gas and fugitive particles from a reactor.

제 36 발명은, 제 35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산 입자를 회수하는 회수 수단을 상기 배출 라인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이다.36th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fibrous nanocarbon in 35th invention which provided the collection | recovery means which collect | recovers the said scattering particle | grains in the said discharge line.

제 37 발명은, 제 3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동층 반응기의 유동층부가 고속 유동부와 저속 유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이다.37th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fibrous nanocarbon in 35th invention whose fluidized-bed part of the said fluidized-bed reactor has a high speed flow part and a low speed fluid flow part.

제 38 발명은, 제 37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속 유동부내에 충돌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이다.38th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fibrous nanocarbon in 37th invention which has a collision part in the said high speed flow part.

제 39 발명은, 제 3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동층 반응기내에 가스를 고속으로 취입하는 고속 가스 취입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이다.In a thirty-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igh-speed gas blowing means for blowing gas into the fluidized bed reactor at high speed.

제 40 발명은, 제 39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스를 고속으로 취입시킬 때, 회수한 입자를 동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이다.40th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fibrous nanocarbon in 39th invention which accompanies collect | recovered particle | grains, when blowing in the said gas at high speed.

제 41 발명은, 제 3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동재가 유동가능한 제 1, 제 2 및 제 3 유동실을 상기 유동층 반응기내에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제 1 유동실에 상기 제 1 가스 공급 수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유동실에 상기 탄소 원료 공급 수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 3 유동실에 상기 제 2 가스 공급 수단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이다.According to a thirty-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ty-fifth inven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flow chambers in which the fluid is flowable are formed in the fluidized bed reactor, and the first gas supply means is connected to the first flow chamber. And the carbon raw material supply means is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chamber, and the second gas supply means is connected to the third flow chamber.

제 42 발명은, 제 35 발명에 있어서, 유동재가 유동가능한 제 1, 제 2 유동실을 유동층 반응기내에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유동층 반응기와 상이한 별도의 유동층 반응기를 상기 제 3 유동실로서 설치하고, 상기 제 2 유동실로부터 상기 제 3 유동실에 유동재를 이송하는 이송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 1 유동실에 상기 제 1 가스 공급 수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유동실에 상기 탄소 원료 공급 수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 3 유동실에 상기 제 2 가스 공급 수단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이다. According to a thirty-fifth aspect of the invention, in the thirty-fifth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flow chambers in which the fluid is flowable are formed in the fluidized bed reactor, and a separate fluidized bed reactor different from the fluidized bed reactor is provided as the third fluidized bed. A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a fluid from the second flow chamber to the third flow chamber, connecting the first gas supply means to the first flow chamber, and supplying the carbon raw material supply means to the second flow chamber. And connecting the second gas supply means to the third flow chamber.

제 44 발명은, 제 19 발명에 따른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의 실시에 사용하는 제조장치로서,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가 내부에 충전되고,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 및 내부에 환원 가스를 공급하는 제 1 가스 공급 수단을 갖는 제 1 유동층 반응기, 상기 제 1 유동층 반응기로부터 상기 유동재를 이송하는 이송 수단을 갖고 내부에 상기 탄소 원료를 가스 상태로 공급하는 탄소 원료 공급 수단을 갖는 제 2 유동층 반응기, 상기 제 2 유동층 반응기로부터 상기 유동재 및 반응 생성물을 이송하는 이송 수단을 갖고, 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상기 가스를 내부에 공급하는 제 2 가스 공급 수단을 갖는 제 3 유동층 반응기, 및 상기 제 3 유동층 반응기로부터 가스 및 비산 입자를 배출하는 배출 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이다.A forty-fourth invention is a production apparatus for use in carrying out the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according to the nineteenth invention, wherein the catalyst-coating fluid is filled therein,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inside, and supplying a reducing gas therein. A first fluidized bed reactor having a first gas supply means, a second fluidized bed reactor having a transport means for transporting the fluid from the first fluidized bed reactor and a carbon raw material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carbon raw material in a gas state therein; A third fluidized bed reactor having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and reaction product from a second fluidized bed reactor, and having a second gas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gas containing no carbon therein, and a gas from the third fluidized bed reactor And a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the scattering particles. .

제 45 발명은, 제 4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동층 반응기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이다. A forty-fifth invention is a device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according to a forty-fourth inven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 first fluidized bed reactors.

제 46 발명은, 제 4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동층 반응기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이다. A forty-fifth invention is a device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according to a forty-fourth inven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fluidized bed reactors.

제 47 발명은, 제 4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3 유동층 반응기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forty-fourth invention, a forty-ninth aspect of the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ird fluidized bed reactors.

제 48 발명은, 제 35 내지 47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평균 입경이 0.2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이다.48th invention is 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fibrous nanocarbon in any one of 35th-47th invention whos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aid catalyst combined fluid is 0.2-20 mm.

제 49 발명은, 제 35 내지 47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가 상기 담체의 표면에 상기 촉매를 담지한 것 또는 그의 응집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이다.49th invention is 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fibrous nanocarbon in any one of 35th-47th invention WHEREIN: The said catalyst combined fluid material consists of what carried the said catalyst on the surface of the said carrier, or its aggregate | aggregate. .

제 50 발명은, 제 35 내지 47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상기 담체가 카본블랙, 알루미나, 실리카, 실리카 모래 및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이다.In a fifty-fifth invention, in any one of the thirty-fifth to seventy-ninth inventions, the carrier for the catalyst-compatible fluid is selected from carbon black, alumina, silica, silica sand, and aluminosilicate. Device.

제 51 발명은, 제 35 내지 47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상기 금속 촉매가 Fe, Ni, Co, Cu 및 Mo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이다.In a fifty-ninth aspect of the invention, in any one of the thirty-fifth to seventy-ninth inventions, the metal catalyst of the mixed catalyst fluid is any one of Fe, Ni, Co, Cu, and Mo,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It is a manufacturing apparatus of fibrous nanocarbon.

제 52 발명은, 제 35 내지 47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유동층내의 유속이 0.02 내지 2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이다.A fifty-second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thirty-ninth to seventy-ninth inventions, wherein the flow velocity in the fluidized bed is 0.02 to 2 m / s.

제 53 발명은, 제 35 내지 47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0.1 내지 25기압의 압력하에 수소와 불활성 기체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0% 내지 90%) 중에서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상기 촉매와 상기 탄소 원료를 3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일정 시간 접촉시킴으로써 섬유상 나노탄소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이다.In the fifty-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the catalyst of any one of the thirty-fifth to seventy-ninth inventions, wherein the catalyst and the catalyst in the mixed fluid of the catalyst and the fluid in a mixed gas of hydrogen and an inert gas (hydrogen partial pressure 0% to 90%) under a pressure of 0.1 to 25 atm. It is an 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o produce a fibrous nanocarbon by contacting the carbon raw material at a temperature of 300 ℃ to 1300 ℃ for a certain ti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로드의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carbon nano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로드군의 모식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arbon nanorod gro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로드 및 섬유상 나노탄소의 모식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of carbon nanorods and fibrous nanocarb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로드의 단면 모식도이다.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rbon nano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로드의 열처리의 모식도이다.5 is a schematic view of the heat treatment of the carbon nano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탄소 나노로드를 제조한 그대로의 상태 및 열처리 후의 현미경 사진이다.6 is a photomicrograph of the carbon nanorods as they were prepared and after the heat treatment.

도 7은 탄소 나노로드의 고분해능 투과형 현미경 사진 및 주사형 터널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7 is a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micrograph and scanning tunnel electron micrograph of carbon nanorods.

도 8은 주사형 터널 전자 현미경 사진 및 그의 모식도이다.8 is a scanning tunnel electron micrograph and a schematic diagram thereof.

도 9는 탄소 나노로드군을 형성하고 있는 모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hape which forms the carbon nanorod group.

도 10은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의 고분해능 투과형 현미경 사진이다. 10 is a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micrograph of a fibrous nanocarbon having a columnar structure.

도 11은 탄소 나노로드군의 각종 형상의 모식도이다.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various shapes of a carbon nanorod group.

도 12는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 집합체의 모식도이다.It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fibrous nanocarbon aggregate of columnar structure.

도 13은 다른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 집합체의 모식도이다.It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fibrous nanocarbon aggregate of another columnar structure.

도 14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단면 모식도이다.It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of fibrous nanocarbon.

도 15는 탄소 나노로드의 각종 형상의 주사형 터널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15 is a scanning tunnel electron micrograph of various shapes of carbon nanorods.

도 16은 탄소 나노로드의 각종 형상의 주사형 터널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16 is a scanning tunnel electron micrograph of various shapes of carbon nanorods.

도 17은 깃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 집합체의 모식도이다.1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brous nanocarbon aggregate having a feather structure.

도 18은 깃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의 고분해능 투과형 현미경 사진이다.Fig. 18 is a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micrograph of fibrous nanocarbon having a flagged structure.

도 19는 튜브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 집합체의 모식도이다.It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fibrous nanocarbon aggregate of a tubular structure.

도 20은 탄소 나노로드의 열처리한 모식도, 및 그것이 집합하여 이루어진 섬유상 나노탄소의 모식도이다.20 is a schematic diagram of heat treatment of carbon nanorods, and a schematic diagram of fibrous nanocarbons in which they are collected.

도 21은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를 구성하는 탄소 나노로드군의 2800℃의 고온 처리 후의 구조를 고분해능 투과형 전자 현미경의 투과 전자빔의 각도를 변화시켜 (-30도, 0도, +30도) 촬영한 사진이다.Fig. 21 shows the structure of the carbon nanorod group constituting the fibrous nanocarbon having a columnar structure after high temperature treatment at 2800 ° C. by varying the angle of the transmission electron beam of a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30 degrees, 0 degrees, +30 degrees). One picture.

도 22는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를 구성하는 탄소 나노로드군의 2800℃ 고온 처리품의 고분해능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Fig. 22 is a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of a 2800 ° C. high temperature treated product of the carbon nanorod group constituting the fibrous nanocarbon having a columnar structure.

도 23은 도 21의 각도 -30도에서의 2800℃ 고온 처리품의 고분해능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배율: 60만배)이다.FIG. 23 is a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magnification: 600,000 times) of a 2800 ° C. high temperature processed product at an angle of −30 degrees in FIG. 21.

도 24는 도 21의 각도 0도에서의 2800℃ 고온 처리품의 고분해능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24 is a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of a 2800 ° C. high temperature processed product at an angle of 0 degrees in FIG. 21.

도 25는 도 21의 각도 +30도에서의 2800℃ 고온 처리품의 고분해능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25 is a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of a 2800 ° C. high temperature treated product at an angle +30 degrees in FIG. 21.

도 26은 도 23의 각도 -30도에서의 2800℃ 고온 처리품의 고분해능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FIG. 26 is a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of a 2800 ° C. high temperature processed product at an angle of −30 degrees in FIG. 23.

도 27은 도 24의 각도 0도에서의 2800℃ 고온 처리품의 고분해능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FIG. 27 is a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of a 2800 ° C. high temperature processed product at an angle of 0 degrees in FIG. 24.

도 28은 도 25의 각도 +30도에서의 2800℃ 고온 처리품의 고분해능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28 is a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of a 2800 ° C. high temperature treated product at an angle +30 degrees in FIG. 25.

도 29는 주상 구조, 깃상 구조 및 튜브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의 고분해능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Fig. 29 is a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of fibrous nanocarbons having columnar, feathery, and tubular structures.

도 30은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를 구성하는 제조(철 촉매를 이용하여 600℃로 제조)한 상태의 탄소 나노로드군, 및 2000℃ 및 2800℃에서 각각 열처리한 후의 구조의 고분해능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30 is a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of a group of carbon nanorods prepared in a state of forming fibrous nanocarbon having a columnar structure (prepared at 600 ° C. using an iron catalyst), and a structure after heat treatment at 2000 ° C. and 2800 ° C., respectively. to be.

도 31은 주상 구조의 탄소 나노섬유군으로 이루어지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열처리 전후의 라만 산란 스펙트럼도이다.Fig. 31 is a Raman scattering spectrum diagram before and after heat treatment of fibrous nanocarbons composed of carbon nanofiber groups having columnar structures.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로드의 제조장치의 제 1 실시양태의 모식도이다.32 is a schematic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 nano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로드의 제조방법의 모식도이다.33 is a schematic view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carbon nano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4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분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paration of fibrous nanocarbon.

도 35는 입경과 유속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le diameter and the flow velocity.

도 36은 입경과 유속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le diameter and the flow velocity.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로드의 제조장치의 제 2 실시양태의 개략도이다.37 is a schematic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 nano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로드의 제조장치의 제 3 실시양태의 개략도이다.38 is a schematic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 nano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로드의 제조장치의 제 4 실시양태의 개략도이다.39 is a schematic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 nano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0은 탄소 나노로드의 모식도이다.40 is a schematic diagram of carbon nanorods.

도 41은 탄소 나노로드의 모식도이다.It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arbon nanorod.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로드의 제조장치의 제 5 실시양태의 개략도이다.42 is a schematic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 nano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로드의 제조장치의 제 5 실시양태의 다른 개략도이다.43 is another schematic view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rbon nano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로드의 제조장치의 제 6 실시양태의 개략도이다.44 is a schematic view of a sixth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 nano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로드의 제조장치의 제 6 실시양태의 다른 개략도이다.45 is another schematic view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 nanor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6은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섬유상 나노탄소의 현미경 사진이다.46 is a micrograph of the fibrous nanocarbon obtained in Example 1. FIG.

도 47은 실시예 2에서 수득된 섬유상 나노탄소의 현미경 사진이다.47 is a micrograph of the fibrous nanocarbon obtained in Example 2. FIG.

도 48은 실시예 3에서 수득된 섬유상 나노탄소의 현미경 사진이다.48 is a micrograph of the fibrous nanocarbon obtained in Example 3. FIG.

도 49는 종래의 나노섬유의 모델도이다.49 is a model diagram of a conventional nanofiber.

도 50은 종래의 기초 반응기의 설명도이다.50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onventional basic reactor.

도 51은 종래의 기상 유동법의 설명도이다.5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onventional gas phase flow method.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로드, 섬유상 나노탄소, 및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 및 그의 장치의 실시양태를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Embodiments of the method for producing carbon nanorods, fibrous nanocarbons, and fibrous nanocarb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pparatuses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탄소 나노로드 및 섬유상 나노탄소>Carbon nanorods and fibrous nanocarbons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섬유상 나노탄소(소위 탄소 나노섬유)의 새로운 나노 구조 단위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구조 단위로 이루어진 섬유상 나노탄소를 정의하고 700℃ 이하의 비교적 저온의 제조 조건에서 탄소 헥사고날 망면 간의 면간 거리(d002)가 0.500㎚ 이하인 매우 고도의 흑연화를 보이는 다각형 단면의 섬유상 나노탄소를 발견하고, 또한 그의 섬유상 나노탄소의 구성 단위가 독립된 탄소 나노로드의 집합체임을 발견하였다.As a result of intensive research,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a new nanostructure unit of fibrous nanocarbon (so-called carbon nanofiber). A fibrous nanocarbon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that defines a fibrous nanocarbon composed of such structural units and exhibits a very high graphitization with an interplanar distance (d 002 ) between carbon hexagonal reticules of 0.500 nm or less under relatively low temperature manufacturing conditions of 700 ° C or less. And also found that the structural unit of the fibrous nanocarbon is an aggregate of independent carbon nanorods.

또한, 다각형 단면의 섬유상 나노탄소가 집합하여, 예컨대 평균 섬유 폭이 100㎚이고 종횡비가 30인 것이 질소 BET로 측정하였을 때 예컨대 200㎡ 이상의 표면적을 보이는 다각형 단면의 섬유상 나노탄소를 형성하는 것을 발견하였다.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fibrous nanocarbons of polygonal cross section gather, for example, an average fiber width of 100 nm and an aspect ratio of 30 form a fibrous nanocarbon of polygonal cross section showing a surface area of 200 m 2 or more, as measured by nitrogen BET. .

여기서, 탄소 헥사고날 망면(탄소 헥사고날 네트워크), 그의 나노집합체인 탄소 나노로드, 및 탄소 나노로드가 배열하여 적층된 섬유상 나노탄소를 도 1 및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Here, the fibrous nanocarbon laminated with carbon hexagonal reticulated surface (carbon hexagonal network), carbon nanorods that are nanoassemblies thereof, and carbon nanorods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1 and 2.

도 1은 복수의 탄소 헥사고날 망면으로 이루어진 탄소 나노로드의 모식도이고, 도 2는 탄소 나노로드의 집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carbon nanorod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arbon hexagonal meshes, and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assembly state of carbon nanorods.

본 실시양태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방향으로 신장하는 중심축을 갖는 탄소 헥사고날 망면(11)으로 탄소 나노로드(12)가 구성된다. 탄소 나노로드(12)는, 한 장(한 층)으로도 기본 구성 단위가 되지만, 보통 탄소 헥사고날 망면(11)이 2 내지 12층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구성 단위를 형성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arbon nanorods 12 are constituted by the carbon hexagonal mesh 11 having a central axis extending in one direction. Although the carbon nanorod 12 becomes a basic structural unit even in one sheet (one layer), the carbon hexagonal net face 11 is normally laminated | stacked in 2-12 layers to form one structural unit.

또한, 적층수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이다. 탄소 나노로드(12)가 2 내지 12층의 적층에 의해 단위를 구성하는 이유는 아직 분명하지 않지만, 합성에 사용되는 금속 촉매의 결정 격자 구조와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In addition, the number of laminations is preferably 4 to 10. The reason why the carbon nanorods 12 constitute a unit by lamination of two to twelve layers is not yet clear, but it is thought that the carbon nanorods 12 are related to the crystal lattice structure of the metal catalyst used for synthesis.

도 1(a)는 탄소 헥사고날 망면(11)이 2층에 의해 탄소 나노로드(12)의 하나의 구성단위를 형성한 모식도이다. 또한, 도 1(b)는 탄소 헥사고날 망면(11)이 8층에 의해 탄소 나노로드(12)의 하나의 구성 단위를 형성한 모식도이다. 탄소 나노로드(12)를 구성하는 탄소 헥사고날 망면(11)은 축 폭(D)이 2.5±0.5㎚이고, 길이(L)는 17±15㎚이다. 한편, 이 크기가 상기 범위 밖에 있는 경우는 양호한 탄소 나노로드(12)를 형성할 수 없다.FIG. 1 (a) is a schematic diagram in which the carbon hexagonal net surface 11 forms one structural unit of the carbon nanorods 12 by two layers. 1 (b) is a schematic diagram in which the carbon hexagonal net surface 11 forms one structural unit of the carbon nanorods 12 by eight layers. The carbon hexagonal reticle 11 constituting the carbon nanorods 12 has an axial width D of 2.5 ± 0.5 nm and a length L of 17 ± 15 nm. On the other hand, when this size is out of the said range, a favorable carbon nanorod 12 cannot be formed.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소 나노로드(12)가 복수개 최밀 충전 적층되어 탄소 나노로드군(13)을 형성함으로써, 탄소 나노로드(12) 끼리 형성된 축(도 2의 X축 방향)을 따라 다수의 나노 공극(14)이 존재하게 된다. 나노 공극(14)은, 예컨대 수소 및 리튬 등의 원자를 받는 공간이 된다. 다수의 나노 공극(14)의 존재에 의해, 촉매 활성, 특정 물질의 흡장이나 흡탈착 등의 신규한 기능성 재료로의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lurality of carbon nanorods 12 are most closely packed to form a carbon nanorod group 13, and thus the carbon nanorods 12 are formed along the axis (the X-axis direction in FIG. 2). There are a number of nanopores 14. The nano voids 14 become a space which receives atoms, such as hydrogen and lithium, for example. By the presence of many nano voids 14, the effect to a novel functional material, such as catalyst activity, storage and adsorption-and-desorption of a specific substance, can be expressed.

도 2(a)에 있어서, 탄소 나노로드(12)끼리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탄소 나노로드(12)끼리 접촉하는 경우도 있고 접촉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서로 접촉하지 않는 경우는, 나노 공극(14)이 증가하게 된다. 도 2(b)는, 육각형 단면의 탄소 나노로드(12)가 조금 간극을 갖고 집합하여 있다. 탄소 나노로드(12)로 구성된 탄소 나노로드군(13)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차원적으로 섬유 형태로 집합하는 것에 의해 섬유상 나노탄소(소위, 탄소 나노섬유)(15)를 형성하게 된다.In FIG. 2A, the carbon nanorods 1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ut the carbon nanorods 12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may not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nano voids 14 increase. In FIG.2 (b), the carbon nanorods 12 of a hexagonal cross section are aggregated with a little gap. The carbon nanorod group 13 composed of the carbon nanorods 12 is formed to form fibrous nanocarbons (so-called carbon nanofibers) 15 by aggregated three-dimensionally in the form of fibers as shown in FIG. 3. do.

탄소 나노로드(12)는 축와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구조가 도 2(a)에서는 원형이고, 도 2(b)에서는 육각형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도 4(a) 참조) 또는 육각형(도 4(b) 참조) 이외에, 예컨대 8각형(도 4(c) 참조) 또는 사각형(도 4(d) 참조) 등의 직사각형일 수 있다.Although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carbon nanorod 12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an axis | shaft is circular in FIG.2 (a) and hexagonal in FIG.2 (b),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in addition to the circle (see FIG. 4 (a)) or hexagon (see FIG. 4 (b)), for example, octagon (see FIG. 4 (c)) or square (see FIG. 4 (d)). ) May be rectangular.

상기 탄소 나노로드군(13)이 3차원적으로 복수 집합하여 이루어진 섬유상 나노탄소(15)의 대표적인 구조로서는, 예컨대 주상 구조, 깃상 구조, 튜브상 구조를 들 수 있다(자세한 것은 이후 설명할 것이다). 본 실시양태에서는, 일례로서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중심으로 설명한다.Representative structures of the fibrous nanocarbons 15 in which the carbon nanorod group 13 is three-dimensionally plurally aggregated include columnar structures, feather structures, and tubular structures (th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 In this embodiment, it demonstrates centering on the fibrous nanocarbon 15 of columnar structure as an example.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로드(12)가 구성 단위인 것은 제조한 그대로의 상태로는 명확하지 않지만, 제조 후에는 1600℃ 이상의 열 처리(또는 탄화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명확해진다. 즉, 1600℃ 이상의 고온에서의 열처리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소 나노로드(12)의 축 방향의 말단이 2차원적으로 루프 형상을 형성하고, 3차원적으로 돔 형상으로 탄소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 된다. 그 결과, 탄소 나노로드(12)가 하나의 구성 단위인 것이 명확해진다.Although the carbon nanorod 12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 structural unit is not clear as it was manufactured, it becomes clear by heat-processing (or carbonizing) 1600 degreeC or more after manufacture. That is, by heat treatment at a high temperature of 1600 ° C. or higher, as shown in FIG. 5, the axial ends of the carbon nanorods 12 form a loop shape two-dimensionally, and the carbon network has a dome shape three-dimensionally. It is to constitute. As a result, it becomes clear that the carbon nanorods 12 are one structural unit.

이하 설명에서, 제조한 그대로의 상태로 말단이 루프를 형성하지 않는 탄소 나노로드(12)를 "제조된 상태"로 기재하고, 2800℃의 고온에서 열처리한 탄소 나노로드(12)는 "2800℃ 열처리 상태"라 기재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arbon nanorods 12 whose ends are not formed in a loop as they are prepared are described as "manufactured states", and the carbon nanorods 12 heat-treated at a high temperature of 2800 ° C are referred to as "2800 ° C. Heat treatment state ".

도 6은 탄소 나노로드(12)의 고분해능 투과형 전자 현미경( HRTEM)에 의한 촬영 사진이다. 도 6(a)는 후술하는 합성 방법에 의해 수득된 탄소 나노로드(12)의 집합체의 사진이고, 도 6(b)는 후술하는 2800℃에서 열처리하여 탄화처리 정도를 향상시킨 탄소 나노로드(12)의 집합체의 사진이다. 도 6에는 10㎚의 크기가 제시되어 있다.6 is a photograph taken by a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HRTEM) of the carbon nanorods 12. FIG. 6 (a) is a photograph of an aggregate of carbon nanorods 12 obtained by a synthesis method described later, and FIG. 6 (b) is a carbon nanorod 12 having heat treatment at 2800 ° C. to be described later to improve the degree of carbonization. ) Is a picture of a collection. 6 shows the size of 10 nm.

도 7은 탄소 나노로드(12)(2800℃ 열처리 상태)의 전자 현미경에 의한 촬영사진이다. 도 7(a)는 고분해능 투과형 전자 현미경(HRTEM) 사진이고, 도 7(b)는 주사형 터널 전자 현미경(STM) 사진이다. 사진 중의 화살표는 20㎚ 크기를 나타낸다.7 is a photograph taken by an electron microscope of the carbon nanorod 12 (2800 ° C. heat treatment state). Figure 7 (a) is a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HRTEM) picture, Figure 7 (b) is a scanning tunnel electron microscope (STM) picture. Arrows in the picture indicate 20 nm size.

도 6 및 도 7에서는, 6층 내지 10층의 탄소 헥사고날 망면(11)의 적층 상태가 함께 나타나 있고, 이에 의해 탄소 나노로드(12)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탄소 나노로드(12)가 구성 단위로 형성되고, 이들이 집합하여 섬유상 나노탄소(15)를 구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사형 터널 전자 현미경(STM) 사진이 선명하지 않은 고배율로 촬영되고, 촬영 원리상 현 시점에서는 더 이상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탄소 나노로드(12)가 하나의 구성 단위인 것은 확인할 수 있다.In FIG. 6 and FIG. 7, the lamination state of the carbon hexagonal netting surface 11 of 6 to 10 layers is shown together, and it can confirm that the carbon nanorod 12 is comprised by this.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arbon nanorods 12 are formed in structural units, and these aggregate to form the fibrous nanocarbons 15. On the other hand, the scanning tunnel electron microscopy (STM) picture is taken with a high magnification that is not clear, and because of the principle of photographing, a clear picture can no longer be obtained at this point in time. Howeve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arbon nanorods 12 are one structural unit.

도 8은 탄소 나노로드(12)(2800℃ 열처리 상태)의 다른 주사형 터널 전자 현미경(STM) 사진이다. 도 8에서, 우측은 좌측의 확대도이다. 도 8에서 우측 사진에 의해, 축단부에서 루프의 네트워크 상태가 확인된다.8 is another scanning tunnel electron micrograph (STM) of carbon nanorods 12 (at 2800 ° C. heat treatment). In FIG. 8, the right side is an enlarged view of the left side. 8, the network state of the loop is confirmed at the shaft end.

도 9는 도 8의 우측에 도시된 탄소 나노로드(12)가 집합하여 탄소나노로드군(13)을 형성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FIG.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how the carbon nanorods 12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8 aggregate to form the carbon nanorod group 13.

본 실시양태에 따른 탄소 헥사고날 망면(탄소 육각망면)은 현재의 탄소 재료 대부분을 차지하는 흑색 재료와 같은 것이며, 탄소 원자의 육각 망면을 기본 단위로 하는 것이다. 이들 탄소 재료의 성질은 탄소 육각 망면의 완전성 및 크기, 적층 두께, 적층의 규칙성, 및 그의 망면의 선택적 배향 방식과 정도에 의해 기본적으로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문헌 "Dictionary of Carbon Terminology, p.226, The Carbon Society of Japan, Edited by the Dictionary of Carbon Terminology Edition Committe, Agne Shofu-Sha, Tokyo, 2000")The carbon hexagonal netting surface (carbon hexagonal netting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black material which occupies most of the current carbon materials, and is based on the hexagonal netting of carbon atoms as a basic unit. It is known that the properties of these carbon materials are basically determined by the integrity and size of the carbon hexagonal net face, the lamination thickness, the regularity of the lamination, and the manner and degree of selective orientation of the net face (Dictionary of Carbon Terminology, p. 226, The Carbon Society of Japan, Edited by the Dictionary of Carbon Terminology Edition Committe, Agne Shofu-Sha, Tokyo, 2000 ")

본 발명의 탄소 나노로드(12)는, 탄소 원자의 육각 망면을 기본 단위로 하고, 95% 이상의 탄소 원자로 성립되어 있다. 이 탄소 나노로드(12)를 2000℃ 이상의 높은 온도로 열처리함으로써 99% 이상의 탄소 원자로 성립된다. 또한, 탄소 나노로드(12)의 탄소 헥사고날 망면(11)의 나노 집합체의 면 사이 간격(d002)은 0.500㎚ 미만이며, 순수한 흑연의 면 사이 간격(d002)은 0.3354㎚에 근사하는 면 사이 간격이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로드(12)는 높은 흑연화도를 가진다.The carbon nanorods 12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of 95% or more carbon atoms based on the hexagonal net surface of carbon atoms. The carbon nanorods 12 are heat-treated at a high temperature of 2000 ° C. or higher to form 99% or more carbon atoms.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aggregate of carbon nano-hexagonal mangmyeon 11 of the carbon nano-rods (12) (d 002) is less than 0.500㎚,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pure graphite (d 002) is a surface that approximates a 0.3354㎚ It is the gap between. Thereby, the carbon nanorod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graphitization degree.

이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소 나노로드(12)만의 최밀 충전 적층된 층으로 이루어지는 섬유상 나노탄소(15)에 있어서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15)가 700℃ 이하로 제조되고, 탄소 헥사고날 망면의 면간 거리(d002)가 0.500㎚ 미만인 것으로 논리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below, the fibrous nanocarbon 15 having a columnar structure in the fibrous nanocarbon 15 composed of the closest packed laminate layer of only the carbon nanorods 12 was manufactured at 700 ° C. or less. It can be logically inferred that the interplanar distance d 002 of the hexagonal reticle is less than 0.500 nm.

Figure 112005034569130-pct00001
Figure 112005034569130-pct00001

본 발명의 섬유상 나노탄소(15)는, 상기 탄소 나노로드를 3차원적 방향으로 최밀 충전하여 구성하여 되는 것이다. 이하에, 그 적층 상태의 일례인 탄소 나노로드(12)의 적층의 모식도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적층은 주상 적층 구조이며, 탄소 나노로드(12)의 중심축을 평행하게 하여 제 1 방향(시이트면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 적층되어 탄소 나노로드군(13)을 구성하여 섬유상 나노탄소(15)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fibrous nanocarbon 1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closest filling of the carbon nanorods in a three-dimensional direction. The schematic diagram of lamination of the carbon nanorods 12 which is an example of the lamination state below is shown in FIG. The lamination shown in FIG. 3 is a columnar lamination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laminations are formed in a first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sheet surfac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carbon nanorods 12 in parallel to form a carbon nanorod group 13 to form fibrous nanoparticles. It is made by forming carbon 15.

도 10은 2800℃에서 열처리한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15)의 고분해능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이 루프 모양인 탄소 나노로드(12)가 최밀 충전되어 탄소 나노로드군(13)을 구성하며, 섬유상 나노탄소(15)를 형성한다. 도 10(a)는 섬유상 나노탄소(15)의 확대도(150,000배 확대)이다. 도 10(b)는 섬유상 나노탄소(15)의 축 방향(도 10(a)의 좌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부(도 10(a)의 A점과 B점)의 확대도이다. 10 is a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having a columnar structure heat-treated at 2800 ° C. As shown in FIG. 10, the carbon nanorods 12 having a loop shape at the tip are closest filled to form the carbon nanorod group 13, and form fibrous nanocarbons 15. 10A is an enlarged view (150,000 times magnification)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FIG. 10 (b) is an enlarged view of both ends (point A and point B of FIG. 10 (a))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FIG. 10 (a))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FIG.

도 10(b)는 열처리에 의해 3차원적으로 돔 모양인 선단의 탄소 나노로드(12)가 3차원 방향으로 최밀 충전되어 탄소 나노로드군(13)을 구성함으로써, 섬유상 나노탄소(15)를 형성함을 보여준다. 탄소 나노로드(12)의 집합 양태는 다양하며, 탄소 나노로드(12)의 축과 직교하는 방향, 동일 방향 또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적층되거나 집합하여 탄소 나노로드군(13)을 구성하고 있다. FIG. 10 (b) shows the fibrous nanocarbon 15 formed by the carbon nanorods 12 having the three-dimensional dome-shaped tip is most closely filled 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by heat treatment. Show formation. The collection aspect of the carbon nanorods 12 is various, and the carbon nanorod group 13 is laminated or aggrega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s of the carbon nanorods 12, in the same direction or in a cross direction.

탄소 나노로드군(13)가 3차원적으로 복수 집합하여 이루어진 섬유상 나노탄소(15)의 대표적인 구조로서는, 예컨대 주상 구조 이외에 깃상 구조 및 튜브상 구조의 3형태의 구조를 들 수 있다. 이들 구조의 차이는 명확하지 않지만, 촉매와 제조 조건의 차이에 의해 형상이 변화되는 것으로 추측된다.As a typical structure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which the carbon nanorod group 13 was plurally gathered three-dimensionally, the three types of structure of a columnar structure and a tubular structure other than columnar structure is mentioned, for example. Although the difference in these structures is not clear, it is guessed that the shape changes with the difference of a catalyst and manufacturing conditions.

도 11은 탄소 나노로드군(13)의 3가지 형태의 모식도를 나타낸다.FIG. 11 shows schematic diagrams of three forms of the carbon nanorod group 13.

제 1 형태는 적층 방향(섬유 축 방향)의 축(Y)과 직교하는 축(X)에 대하여 0도 초과 20도 미만의 각도(α)로 배열된 것이며, 주상 모양의 섬유상 나노탄소군(13A)이라 한다(도 11(a) 참조). The first embodiment is arranged at an angle α of more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2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axis X orthogonal to the axis Y in the stacking direction (fiber axial direction), and has a columnar fibrous nanocarbon group 13A. (See FIG. 11 (a)).

제 2 형태는 적층 방향(섬유 축 방향)의 축(Y)과 직교하는 축(X)에 대하여 20도 초과 80도 미만의 각도(α)로 배열된 것이며, 깃 형상의 섬유상 나노탄소군(13B)이라 한다(도 11(b) 참조).The second aspect is arranged at an angle α of more than 20 degrees and less than 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axis X orthogonal to the axis Y perpendicular to the stacking direction (fiber axial direction), and has a feather-like fibrous nanocarbon group 13B. (See FIG. 11 (b)).

도 11로부터 알 수 있듯이, 깃 형상의 섬유상 나노탄소군(13B)은 헤링본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대향하는 것은 촉매와의 관계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대향하지 않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11, the feather-like fibrous nanocarbon group 13B has a herringbone structure, but the opposing in this way is due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catalyst. Thus, the case of not facing may also be considered.

제 3 형태는 적층 방향(섬유 축 방향)의 축(Y)과 직교하는 축(X)에 대하여 80도 내지 88도의 각도(γ)로 배열되는 것이며, 튜브상 모양의 섬유상 나노탄소군(13C)이라 한다(도 11(c) 참조).The third embodiment is arranged at an angle γ of 80 degrees to 88 degrees with respect to the axis X orthogonal to the axis Y in the stacking direction (fiber axial direction), and the tubular fibrous nanocarbon group 13C. This is referred to (see Fig. 11 (c)).

도 12는 주상 탄소 나노로드군의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example of columnar carbon nanorod group.

도 12(a)는 주상 모양의 탄소 나노로드(12)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층되어 탄소 나노로드군(13A)을 구성하는 것을 보여준다.FIG. 12A shows that the carbon nanorod groups 13A are stack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lumnar carbon nanorods 12.

도 12(b) 및 12(c)는 탄소 나노로드군(13A)을 하나 이상 평행하게 배치하고, 탄소 나노로드(12)의 중심축을 평행하게 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도 12(b)에서, 탄소 나노로드군(13A)은 병렬이 2열 상태의 병렬 배열이다. 도 12(c)에서, 탄소 나노로드군(13A)은 병렬이 4열 상태의 병렬 배열이다. 도 12(b) 및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소 나노로드군(13A)이 바로 옆에 평행하게 배치되면, 탄소 나노로드(12)의 중심 축의 방향이 동일해진다.12 (b) and 12 (c) show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carbon nanorod group 13A is disposed in parallel and the central axis of the carbon nanorods 12 is parallel. That is, in FIG. 12 (b), the carbon nanorod group 13A is a parallel array of two rows in parallel. In Fig. 12 (c), the carbon nanorod group 13A is a parallel arrangement of four rows in parallel. As shown in Figs. 12 (b) and 12 (c), when the carbon nanorod groups 13A are disposed in parallel next to each other,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carbon nanorods 12 becomes the same.

도 1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소 나노로드(12)의 축방향의 길이가 다양한 것을 적층하여 탄소 나노로드군(13A)을 구성하며, 각 탄소 나노로드(12)의 적층 부분에 나노 공극(14)을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d), carbon nanorods 12 having various lengths in the axial direction are laminated to form a carbon nanorod group 13A, and the nanorods are stacked on the carbon nanorods 12. The voids 14 can be formed.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 상태(도 13(a) 참조)에서 내부에 나노 공극(13)을 갖고, 그의 상방을 탄소 나노로드(12)로 둘러싸는 튜브 형태의 탄소 나노로드군(13)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소 나노로드군(13)의 섬유 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은 6각형, 8각형, 4각형, 원형 등으로 다양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a group of carbon nanorods in the form of tubes having nanopores 13 therein in a planar state (see FIG. 13A) and surrounded by carbon nanorods 12 above them. (13) can be formed. As shown in FIG. 14,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arbon nanorod group 13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ber axis is varied into hexagonal, octagonal, tetragonal, circular, and the like.

도 15는 섬유상 나노탄소(15)의 고분해능 투과형 현미경(HRTEM) 사진이고, 도 16은 섬유상 나노탄소(15)의 주사형 터널 전자 현미경(STM) 사진이다. 이들 사진으로부터, 주상, 깃상, 튜브상의 3가지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15)의 형상이 거의 6각형 또는 5각형임을 확인하였다.15 is a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microscope (HRTEM) photograph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and FIG. 16 is a scanning tunnel electron microscope (STM) photograph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From these photographs, it was confirmed that the shape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having three structures of columnar, feather and tube was almost hexagonal or pentagonal.

주상 구조의 탄소 나노로드군(13A)은 축폭이 15 내지 20㎚ 정도이고, 4열 병렬 구성된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15)는 섬유 폭이 60 내지 80㎚가 됨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섬유 폭이 200㎚인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15)는 10열 이상이 병렬 배열되어 있게 된다.It can be seen that the carbon nanorod group 13A having a columnar structure has an axial width of about 15 to 20 nm, and the fibrous nanocarbon 15 having a columnar structure having four rows arranged in parallel has a fiber width of 60 to 80 nm. As a result, ten or more rows of fibrous nanocarbons 15 having a columnar structure having a fiber width of 200 nm are arranged in parallel.

이러한 섬유상 나노탄소(15)는 철(Fe), 코발트(Co), 니켈(Ni)로 대표되는 순수한 전이금속의 단독 또는 합금을 촉매로 사용하여 400℃ 내지 1200℃의 온도 범위에서 일산화탄소 또는 메테인(CH4), 에틸렌(C2H6), 프로페인(C3H8) 등의 탄화수소를 수소와의 혼합가스(수소분압 0% 내지 90%) 중에서 일정 시간 촉매에 접촉시킴으로써 합성된다.The fibrous nanocarbon 15 is carbon monoxide or methane in a temperature range of 400 ° C. to 1200 ° C. using a single or alloy of pure transition metals represented by iron (Fe), cobalt (Co), and nickel (Ni) as a catalyst. Hydrocarbons, such as (CH 4 ), ethylene (C 2 H 6 ), propane (C 3 H 8 ), and the like, are synthesized by contacting the catalyst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mixed gas with hydrogen (0% to 90% hydrogen partial pressure).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15)의 제조에 관한 바람직한 제조예는 다음과 같다.Preferable production example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having a columnar structure are as follows.

우선, 질산철을 이용하고, 침전법(문헌 "Best, R. J. Russell, W. W., J. Amer. Soc. 76, 838(1954), Sinfelt, J. H., Carter, J. L. , and Yates, D. J. C., J.Catal. 24, 283(1972)")에 의해 철 촉매를 제조한다.First, using iron nitrate, the precipitation method (Best, RJ Russell, WW, J. Amer. Soc. 76, 838 (1954), Sinfelt, JH, Carter, JL, and Yates, DJC, J. Catal. 24, 283 (1972) ") to prepare the iron catalyst.

제조한 30㎎의 철 촉매를 석영제 보우트(길이 10㎜, 폭 2.5㎜, 깊이 1.5㎜(외부값))에 싣고, 내경 4.5㎝의 석영관 안에서 수소와 헬륨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20%)을 100sccm으로 흘리면서 500℃에서 0.5 내지 10시간 환원시킨다. 이 후, 일산화탄소와 수소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10% 내지 90%)를 100 내지 200sccm으로 흘리면서 450℃ 내지 620℃의 온도에서 0.25 내지 3시간 동안 반응시켜 소정량(2㎎ 내지 1500㎎)의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제조한다.The manufactured 30 mg iron catalyst was placed in a quartz boat (length 10 mm, width 2.5 mm, depth 1.5 mm (external value)) and mixed gas of hydrogen and helium (quartz partial pressure: 20%) in a quartz tub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4.5 cm. ) Is reduced at 500 ° C. for 0.5 to 10 hours while flowing at 100 sccm. Thereafter, a mixture of carbon monoxide and hydrogen (hydrogen partial pressure: 10% to 90%) was allowed to react at a temperature of 450 ° C to 620 ° C for 0.25 to 3 hours while flowing at 100 to 200sccm to provide a predetermined amount (2mg to 1500mg). The fibrous nanocarbon 15 of columnar structure is manufactured.

다음으로, 상기 탄소 나노로드(12)를 축에 대해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3차원 방향으로 최밀 충전하여 탄소 나노로드군(13B)을 구성하는 깃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의 일례를 도 17에 나타낸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소 나노로드군(13B)은 탄소 나노로드(12)가 소정 각도로 서로 대향하고 있는 헤링본 구조를 가지며, 예컨대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에 나노 공극(14)을 갖고,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구조를 취한다.Next, FIG. 17 shows an example of fibrous nanocarbons in the form of flags in which the carbon nanorods 12 are closest-filled in a three-dimensional direction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n axis to constitute the carbon nanorod group 13B. As shown in FIG. 17, the carbon nanorod group 13B has a herringbone structure in which the carbon nanorods 12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s shown in FIG. 17A, for example, between them. It has a space | gap 14 and takes the structure which cross | intersects each other as shown to FIG. 17 (b).

깃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1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층 방향(섬유 축 방향)의 축(Y)과 직교하는 축(X)에 대하여 20도 초과 80도 미만의 각도(β)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도 11(b) 참조). 이러한 깃상 구조의 탄소 나노로드군(13B)의 탄소 나노로드(12)는, 합성한 단계에서 축 폭이 2.5±0.5㎚이고, 축 길이가 4±2㎚이다. 이는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군(13A) 보다 탄소 나노로드(12)의 각도가 예각으로 되어, 구성 단위인 탄소 나노로드(12)의 축 길이(L)가 보다 짧은 것으로 되기 때문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fibrous nanocarbon 15 of the flagged structure is arranged at an angle β of more than 20 degrees and less than 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axis X orthogonal to the axis Y in the stacking direction (fiber axial direction). It has a structure (see FIG. 11 (b)). The carbon nanorods 12 of the carbon nanorod group 13B having such a flagged structure have an axial width of 2.5 ± 0.5 nm and an axial length of 4 ± 2 nm in the synthesized step. This is because the angle of the carbon nanorods 12 becomes an acute angle than the fibrous nanocarbon group 13A of columnar structure, and the axial length L of the carbon nanorods 12 which is a structural unit becomes shorter.

탄소 나노로드군(13B)의 탄소 나노로드(12)의 탄소 헥사고날 망면(11)은 면 사이 간격(d002)이 0.500㎚ 미만이며, 순수한 흑연의 면 사이 간격(d002)의 크기(0.3354㎚)에 근사한 값이다. 따라서, 탄소 나노로드(12)는 흑연화도가 높다.The carbon hexagonal reticle 11 of the carbon nanorods 12 of the carbon nanorod group 13B has an interplanar spacing d 002 of less than 0.500 nm and a size of pure graphite interplanar spacing d 002 (0.3354). It is a value approximating to nm). Therefore, the carbon nanorods 12 have a high graphitization degree.

이러한 것은, 도 18에 도시한 깃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15)의 고분해능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탄소 나노로드(12)만의 충전 적층으로 이루어지는 섬유상 나노탄소(15)에 있어서, 탄소 나노로드(12)의 축폭과 탄소 헥사고날 망면(11)의 구성 수, 및 이들로 이루어진 나노 집합체의 2차원 폭이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부터 추론할 수 있다.This is based on the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having a flagged structure shown in FIG. 18. It can be inferred from the fact that the axial width of) and the number of constituents of the carbon hexagonal reticle 11 and the two-dimensional width of the nano-assembly consisting of these are almost identical.

깃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에 관한 구체적인 제조예는 다음과 같다.The specific manufacture example regarding manufacture of fibrous nanocarbon of flagship structure is as follows.

깃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군(13B)의 제조는,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에 있어서, 질산철 대신 질산니켈 또는 질산니켈과 질산철의 혼합물을 이용하고, 동일한 침전법으로 니켈 또는 니켈과 철의 합금 촉매(니켈 함유비: 70% 내지 90%(중량비))를 제조한다. In the production of the fibrous nanocarbon group 13B having a flagged structure, in the production of the fibrous nanocarbon having a columnar structure, nickel nitrate or a mixture of nickel nitrate and iron nitrate is used instead of iron nitrate, and nickel or nickel and An alloy catalyst of iron (nickel content: 70% to 90% by weight) was prepared.

다음으로, 상기의 실험과 같은 방법과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촉매에 대해 수소와 헬륨의 혼합가스(수소분압: 20%)를 100 sccm으로 흘리면서 500℃에서 0.5 내지 10시간 환원시킨다. 그 후, 에틸렌과 수소의 혼합가스(수소분압: 10% 내지 90%)를 100 내지 200 sccm으로 흘리면서 450℃ 내지 620℃의 온도에서 0.25 내지 3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소정량(2㎎ 내지 5400㎎)의 헤링본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제조한다.Next, using the same method and apparatus as the above experiment, the mixed gas of hydrogen and helium (hydrogen partial pressure: 20%) with respect to the catalyst is reduced at 500 ° C. for 0.5 to 10 hours while flowing at 100 sccm. Thereafter, a predetermined amount (2 mg to 5400 mg) was caused by reacting a mixed gas of ethylene and hydrogen (hydrogen partial pressure: 10% to 90%) at a temperature of 450 ° C to 620 ° C for 0.25 to 3 hours while flowing at 100 to 200 sccm. To prepare a fibrous nano-carbon (15) of the herringbone structure of.

다음으로, 축방향으로 소정 수의 매듭을 가지도록 상기 탄소 나노로드(12)를 양단부에서 서로 접합하여 탄소 나노로드군(13C)을 구성한 튜브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15)의 일례를 도 19에 나타낸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상 구조의 탄소 나노로드군(13C)은 탄소 나노로드(12)가 축 방향 양단부에서 서로 접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Next, an example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having a tubular structure in which the carbon nanorods 12 are joined to each other at both ends to have a predetermined number of knots in the axial direction to form the carbon nanorod group 13C is shown in FIG. 19. Shown in As shown in Fig. 19, in the carbon nanorod group 13C having a tubular structure, the carbon nanorods 12 are bonded to each other at both ends in the axial direction.

튜브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군(13C)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층 방향(섬유 축 방향)의 축(Y)과 직교하는 축(X)에 대하여, 80도 내지 88도의 각도(γ)로 배열하여 구성된 것이다(도 11(c) 참조). 이 튜브상 구조를 구성하는 탄소 나노로드(12)는 합성한 단계에서 축 폭이 2.5±0.5㎚이고, 축 길이가 13±10㎚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ibrous nanocarbon group 13C having a tubular structure is formed at an angle γ of 80 degrees to 88 degrees with respect to the axis X orthogonal to the axis Y in the stacking direction (fiber axial direction). It is arranged in an arrangement (see Fig. 11 (c)). In the step of synthesizing, the carbon nanorods 12 constituting the tubular structure have an axis width of 2.5 ± 0.5 nm and an axis length of 13 ± 10 nm.

도 19(a)는 탄소 나노로드(12)의 축단부가 직선(동렬)으로 접합하여 튜브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군(13C)을 구성한 것이고, 도 19(b)는 쌍을 이루는 탄소 나노로드(12)의 축단부가 하나의 탄소 나노로드(12)의 축단부와 겹치도록 접합하여 튜브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군(13C)을 구성한 것이고, 도 19(c)는 탄소 나노로드(12)의 축단부가 중첩되도록 접합하여 튜브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군(13C)을 구성한 것이다. 접합 형식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지만, 축의 양단부에서 접합하기 때문에 매듭을 가져 탄소 나노로드군(13C)을 형성하게 된다.FIG. 19 (a) shows the axial ends of the carbon nanorods 12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column) to form a fibrous nanocarbon group 13C having a tubular structure, and FIG. 19 (b) shows pairs of carbon nanorods ( The shaft end of 12) is joined to overlap with the shaft end of one carbon nanorod 12 to form a fibrous nanocarbon group 13C having a tubular structure, and FIG. 19 (c) shows the shaft end of the carbon nanorod 12. By joining so that the parts overlap, the fibrous nanocarbon group 13C of a tubular structure is comprised. Although the joining form is not limited to these, joining is performed at both ends of the shaft, so that the carbon nanorod group 13C is formed with a knot.

또한, 탄소 나노로드군(13)의 탄소 나노로드(12)의 면 사이 간격(d002)이 0.3400㎚ 미만으로 탄소 헥사고날 망면(11)은 순수 흑연의 면 사이 간격(d002)인 0.3354㎚에 근사한 값이다. 따라서, 탄소 나노로드(12)는 높은 흑연화도를 가진다.Further, between the surface of the carbon nano-rods 12 of the carbon nano-rod group (13) spacing (d 002) is less than the carbon hexagonal 0.3400㎚ mangmyeon 11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pure graphite (d 002) of 0.3354㎚ This is an approximation to. Thus, the carbon nanorods 12 have a high graphitization degree.

이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소 나노로드(12)만의 최밀 충전 적층으로 이루어진 섬유상 나노탄소(15) 중에서 튜브상 조직의 섬유상 나노탄소(15)가 제조된 단계(700℃ 이하에서의 열처리)에서 탄소 헥사고날 망면(11)으로 이루어지는 나노 집합체의 면간 거리(d002)가 0.3400㎚ 미만인 것으로부터 논리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the carbon in the step (fibrous heat treatment at 700 ° C. or less)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of the tubular structure was produced among the fibrous nanocarbons 15 formed of the closest packed lamination of the carbon nanorods 12 only. It can be logically deduced that the interplanar distance d 002 of the nanoassembly composed of the hexagonal reticle 11 is less than 0.3400 nm.

튜브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15)의 제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oduction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having a tubular structure are as follows.

우선, 질산철 또는 질산니켈과 질산철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전술한 실험에서와 동일한 침전법에 의해 철 또는 니켈과 철의 합금 촉매(니켈 함유비: 30% 내지 70%(중량비))를 제조한다. 상기 실험과 같은 방법과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한 촉매에 대하여, 수소와 헬륨의 혼합가스(수소분압: 20%)를 100 sccm으로 흘리면서 500℃에서 0.5 내지 10시간 환원시킨다. 그 후, 일산화탄소와 수소의 혼합가스(수소분압: 10% 내지 90%)를 100 내지 200 sccm으로 흘리면서 620℃ 내지 655℃의 온도 범위에서 0.25 내지 3시간 반응시켜, 소정량(2 내지 1500㎎)의 튜브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제조한다.First, using iron nitrate or a mixture of nickel nitrate and iron nitrate, an iron or nickel and iron alloy catalyst (nickel content ratio: 30% to 70% (weight ratio)) was produced by the same precipitation method as in the above-described experiment. do. Using the same method and apparatus as the above experiment, the produced catalyst was reduced at 500 ° C. for 0.5 to 10 hours while flowing a mixed gas of hydrogen and helium (hydrogen partial pressure: 20%) at 100 sccm. Thereafter, a mixed gas (hydrogen partial pressure: 10% to 90%) of carbon monoxide and hydrogen was reacted at a temperature range of 620 ° C to 655 ° C for 0.25 to 3 hours while flowing at 100 to 200 sccm, and a predetermined amount (2 to 1500 mg) was obtained. A fibrous nanocarbon 15 having a tubular structure of was prepared.

다음으로, 주상 구조의 탄소 나노로드군(13A)으로 이루어지는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진공 또는 불활성 가스의 분위기 하에서 1600℃ 이상의 온도로 열처리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case where the fibrous nanocarbon 15 which consists of carbon nanorod group 13A of columnar structure is heat-treated at the temperature of 1600 degreeC or more in the atmosphere of vacuum or an inert gas is demonstrated.

본 발명의 탄소 나노로드군(13)으로 이루어지는 섬유상 나노탄소(15)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상 구조 또는 튜브상 구조를 취하면서 제조된 그대로의 상태에서도 고도의 흑연화도를 갖고, 인조 흑연계의 고기능성 재료로서 충분한 특성을 보유하지만, 2000℃ 이상의 흑연화 처리를 하면 헤링본 구조를 비롯한 모든 구조를 취하면서 높은 흑연화도를 가진다.As shown in Table 1, the fibrous nanocarbon 15 made of the carbon nanorod group 13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degree of graphitization even in a state of being manufactured while taking a columnar structure or a tube structure. Although it possesses sufficient characteristics as a graphite-based high functional material, it has a high graphitization degree while taking all structures including a herringbone structure when graphitization treatment of 2000 degreeC or more is carried out.

열처리 조건으로서는, 1600℃ 이상의 온도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2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800℃ 이상으로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600℃ 미만의 열처리 온도이면, 흑연화 정도가 낮다.As heat processing conditions,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temperature of 1600 degreeC or more, Preferably it heat-processes 2000 degreeC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2800 degreeC or more. If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less than 1600 ° C, the degree of graphitization is low.

열처리에 의해, 섬유상 나노탄소(15)의 표면부의 탄소 헥사고날 망면(11)의 탄소 나노로드(12)의 단부가 2차원적으로는 루프 형상으로 접합하거나, 3차원적으로는 원형 또는 6각형 돔 형상으로 접합하여, 하나의 단위를 구성하게 된다.By heat treatment, the ends of the carbon nanorods 12 of the carbon hexagonal reticle 11 of the surface portion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are joined in a loop shape in two dimensions, or circular or hexagonal in three dimensions. It joins in a dome shape and comprises one unit.

도 20은 탄소 나노로드(12)의 열처리의 모식도이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8층의 탄소 헥사고날 망면(11)으로 구성된 탄소 나노로드(12)가 하나의 단위가 되고, 이 탄소 나노로드(12)의 하나의 단위에 고온(1600℃ 이상) 열처리를 함으로써, 탄소 헥사고날 망면(11)을 이루는 탄소 나노로드(12)의 단면이 접합하여 돔 형상의 흑연화된 탄소 나노로드군(13)을 형성한다. 이 흑연화처리된 탄소 나노로드군(13)이 복수 적층되어 섬유상 나노탄소(15)가 형성된다.20 is a schematic view of the heat treatment of the carbon nanorods 12. As shown in FIG. 20, the carbon nanorods 12 which consist of eight layers of carbon hexagonal netting 11 become one unit, and one unit of this carbon nanorods 12 is high temperature (1600 degreeC or more). By heat treatment, the cross section of the carbon nanorods 12 constituting the carbon hexagonal reticle 11 is joined to form a dome-shaped graphitized carbon nanorod group 13. A plurality of graphitized carbon nanorod groups 13 are stacked to form fibrous nanocarbons 15.

흑연화 처리 전후의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15)의 고분해능 투과형 전자 현미경(HRTEM)의 사진을 나타내는 전술한 도 10으로부터, 고온 처리 전의 탄소 헥사고날 망면(11)의 단면(모서리 면)이 고온 처리에 의해 2차원적으로는 루프 형상으로 접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rom the above-mentioned FIG. 10 which shows the photograph of the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HRTEM)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of columnar structure before and after graphitization treatment, the cross section (edge surface) of the carbon hexagonal reticle 11 before high temperature treatment is high temperatu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rocess is bonded in a loop shape in two dimensions.

도 21은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15)를 구성하는 탄소 나노로드군(13A)을 2800℃ 고온 처리 후에, 고분해능 투과형 전자 현미경의 투과 전자빔의 각도를 변화시켜 (-30도, 0도, +30도) 촬영한 사진이다.FIG. 21 shows that after the high temperature treatment of the carbon nanorod group 13A constituting the fibrous nanocarbon 15 having a columnar structure at 2800 ° C., the angle of the transmission electron beam of the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is changed (-30 degrees, 0 degrees, + 30 degrees).

도 23 내지 25는 도 22(배율 15만배)에 나타내는 섬유상 나노탄소(15)의 고분해능 투과형 전자 현미경의 투과 전자빔의 각도를 변화시켜(-30도(도 23), 0도(도 24), +30도(도 25)) 촬영한 사진(배율 60만배)이다. 또한, 도 26 내지 28은 도 23 내지 25의 확대사진(배율 320만배)이며, 도 26은 -30도, 도 27는 0도, 도 28는 +30도를 각각나타낸다. 23 to 25 show changes in the angle of the transmission electron beam of the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shown in FIG. 22 (150,000 times magnification) (-30 degrees (FIG. 23), 0 degrees (FIG. 24), + 30 degrees (FIG. 25)) It is a photograph (magnification 600,000 times). 26 to 28 are enlarged photographs (magnification 3.2 million times) of FIGS. 23 to 25, and FIG. 26 shows -30 degrees, FIG. 27 is 0 degrees, and FIG. 28 is +30 degrees.

이들의 도면으로부터, 각도를 바꾸면 선단부의 루프상 말단의 위치가 변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 탄소 헥사고날 망면(11)으로 이루어지는 탄소 나노로드(12)의 말단이 접합되어 2차원적으로 루프상 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고, 6 내지 8장의 적층 구조가 집합 단위를 형성하여 하나의 단위로부터 탄소 나노로드(12)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명확히 밝혀졌다.From these drawings, it was confirmed that changing the angle changes the position of the loop-like end of the tip por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nds of the carbon nanorods 12 made of the carbon hexagonal reticle 11 were joined to form a loop-shaped cross section two-dimensionally. It is clear that the carbon nanorods 12 are constituted from the unit of.

도 29는, 고온 열처리 전후의 3종류의 섬유상 나노탄소(15)의 고분해능 주사형 터널 전자 현미경(STM) 사진이다. 탄소 헥사고날 망면(11)으로 이루어진 (10)면(즉, 100면, 110면)은 이론적으로 주사형 터널 전자 현미경으로서는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고배율의 단면은 관찰할 수 없다. 그러나, 3종류의 열처리 이전의 섬유상 나노탄소(15)의 모든 사진으로부터 탄소 나노로드(12)가 관찰되고, 더욱이 그의 3차원적 최밀 충전 적층에 의해 섬유상 나노탄소(15)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29 is a high resolution scanning tunnel electron microscope (STM) photograph of three kinds of fibrous nanocarbons 15 before and after high temperature heat treatment. Since the (10) plane (that is, the 100 plane and the 110 plane) made of the carbon hexagonal reticulated plane 11 cannot theoretically be observed by a scanning tunnel electron microscope, a high magnification cross section cannot be observed. However, carbon nanorods 12 are observed from all photographs of the fibrous nanocarbons 15 before the three kinds of heat treatments, and furtherm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ibrous nanocarbons 15 are formed by the three-dimensional closest packing lamination. .

도 30은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15)를 구성하는 제조(철 촉매를 이용하여 600℃에서 제조)된 상태의 탄소 나노로드군(13A), 및 2000℃ 및 2800℃의 고온에서 각각 처리한 후의 구조의 고분해능 투과형 전자 현미경의 사진이다. 30 shows the carbon nanorod group 13A in the state of being manufactured (produced at 600 ° C using an iron catalyst) constituting the fibrous nanocarbon 15 having a columnar structure, and treated at high temperatures of 2000 ° C and 2800 ° C, respectively. It is a photograph of the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of a later structure.

도 31은 주상 구조의 탄소 나노로드군(13A)으로 이루어지는 섬유상 나노탄소(15)의 열처리 전후의 라만 산란 스펙트럼이다. 최근의 연구에 의해, 탄소의 라만 산란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1350cm-1의 피크는 무정형 탄소의 정량 뿐만 아니라, 탄소 헥사고날 망면(11)의 단면(모서리면; 10면)의 정량도 고감도로 나타내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FIG. 31 is a Raman scattering spectrum before and after heat treatment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made of the carbon nanorod group 13A having a columnar structure. According to a recent study, the peak of 1350 cm -1 in the Raman scattering spectrum of carbon not only quantifies amorphous carbon, but also shows the quantitative sensitivity of the cross section (edge face; 10 face) of the carbon hexagonal reticle 11. It turns out.

전술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15)는 흑연화 전후와 비교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도 31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과 도 32의 라만 스펙트럼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000℃ 이상의 열처리에 의해 1350cm-1 근방의 피크가 현저히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the fibrous nanocarbon 15 having a columnar structure does not show a large difference compared with before and after graphitization. However, as can be seen from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of FIG. 31 and the Raman spectrum of FIG. 32,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eak near 1350 cm −1 is significantly reduced by heat treatment of 2000 ° C. or higher.

이는, 2000℃ 이상의 열처리에 의해,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15)를 구성하고 있는 탄소 나노로드군(13A)의 탄소 헥사고날 망면(11)의 모서리면(10면)이 말단의 접합에 의해 모두 3차원적으로 돔 형상의 기저면(002면)으로 된 것을 명확히 나타내는 것이다. 또, 이 결과로부터, 열처리 이전의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15)는 HOPG 이외의 보통의 고흑연화도 탄소로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탄소 헥사고날 망면(11)의 모서리면(10면)을 다량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edge surface (surface 10) of the carbon hexagonal reticle 11 of the carbon nanorod group 13A constituting the fibrous nanocarbon 15 having a columnar structure by heat treatment at 2000 ° C. or higher is formed by bonding at the end. All of them clearly indicate that the dome-shaped base surface (plane 002) is three-dimensional. Moreover, from this result, the fibrous nanocarbon 15 of columnar structure before heat processing contains a large amount of the edge face (10 faces) of the carbon hexagonal reticle 11 which hardly exists as a normal high graphitization carbon other than HOPG. I could confirm that I was doing.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로드(12)로 이루어진 섬유상 나노탄소(15)는 주상 구조 또는 튜브상 구조를 취하면서 높은 흑연화도를 가져, 고전도성(열, 전기) 충전재로서 바람직하며, 높은 흑연화도를 살린 응용으로서 리튬 2차 전지의 전극재, 전자파 차폐재 또는 연료 전지용 유기반응용 촉매 담체로서도 응용이 기대될 수 있다. 큰 표면적의 깃상 구조이므로, 슈퍼커패시터(supercapacitor)용 전극재, 메테인 및 수소의 흡장재, SOx 등의 탈황재, NOx 등의 탈초재로서의 사용을 기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brous nanocarbon 15 made of the carbon nanorods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graphitization degree while taking a columnar structure or a tubular structure, and is preferable as a highly conductive (thermal, electrical) filler. As an application utilizing a high degree of graphitization, the application may be expected also as an electrode material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 or a catalyst carrier for an organic reaction for a fuel cell. Since it is a feather-like structure with a large surface area, it can be expected to be used as an electrode material for a supercapacitor, a storage material of methane and hydrogen, a desulfurization material such as SOx, and a denitration material such as NOx.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 및 그의 장치><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and apparatus thereof>

도 32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의 제 1 실시양태의 개략도이다.32 is a schematic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100)는 탄소 원료(106)를 촉매를 이용하여 고온의 유동층에서 반응시켜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촉매가 담지된 담체를 바인더를 통해 결합하여 되는 촉매 겸용 유동재(101)를 충전하여 유동층을 형성하고, 또한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102)을 갖춘 유동층 반응기(103); 상기 유동층 반응기(103) 내에 환원 가스(H2 또는 H2를 포함하는 불활성 기체, 또는 CO)(104)를 공급하는 제 1 가스 공급 수단(105); 촉매 겸용 유동재(101)와 접촉시켜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생성시키는 탄소 원료(106)를 기체 상태로 상기 유동층 반응기(103) 내로 공급하는 탄소 원료 공급 수단(107); 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불활성 가스(108)를 유동층 반응기(103)내로 공급하는 제 2 가스 공급 수단(109); 및 상기 유동층 반응기(103)로부터 가스(G) 및 수득된 섬유상 나노탄소(15)를 함유하는 비산 입자(110)를 배출하는 배출 라인(111)을 구비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32, the apparatus 100 for manufacturing fibrous nanocarb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ibrous nanocarbon 15 by reacting a carbon raw material 106 in a high temperature fluidized bed using a catalyst. A fluidized bed reactor (103) having a heating means (102) for filling a catalyst mixed fluid (101) formed by bonding a carrier on which a catalyst is supported by a binder to form a fluidized bed, and for heating the inside thereof; First gas supply means (105) for supplying reducing gas (H 2 or inert gas comprising H 2 , or CO) 104 into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Carbon raw material supply means (107) for supplying a carbon raw material (106) contacting with a catalyst fluid (101) to produce fibrous nanocarbon (15) into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in a gaseous state; Second gas supply means 109 for supplying an inert gas 108 containing no carbon into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And a discharge line 111 for discharging the scattering particles 110 containing the gas G and the obtained fibrous nanocarbon 15 from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상기 유동층 반응기(103)는, 유동층을 형성하는 유동층부(103A), 및 상기 유동층부(103A)의 상부에 연통하는 프리보드(free board)부(103B)로 형성되어 있다. 유동층 반응 형식은 기포형 유동층형과 제트형 유동층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프리 보드부(103B)는 바람직하게는 유동층부(103A) 보다 큰 유로 단면적을 가진다.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is formed of a fluidized bed part 103A forming a fluidized bed, and a free board part 103B communicating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fluidized bed part 103A. The fluidized bed reaction types are bubble type fluidized bed type and jet type fluidized bed type. Any one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e board portion 103B preferably has a larger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fluidized bed portion 103A.

본 실시양태에서, 상기 가스 배출 라인(111)에 비산 입자(110)를 회수하는 입자 회수 수단(112)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회수 수단(112)으로서는, 예컨대 사이클론 또는 필터 등의 입자를 포집 또는 회수하는 수단을 들 수 있다. 사이클론은 가스(G)에 포함되는 비산 입자(110)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것으로, 분리한 섬유상 나노탄소(15)를 포함하는 비산 입자(110)를 사이클론 바닥으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article recovery means 112 for recovering the scattering particles 110 in the gas discharge line 111 is interposed. Examples of the recovery means 112 include means for collecting or recovering particles such as a cyclone or a filter. The cyclone separates the scattering particles 110 included in the gas G by using a centrifugal force, and the scattering particles 110 including the separated fibrous nanocarbon 15 may be recovered from the bottom of the cyclone.

본 실시양태에서, 유동층을 형성하는 유동재로서, 일반적인 실리카 샌드 또는 알루미나 등의 유동재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촉매 겸용 유동재(101)를 이용한다. 본 실시양태에서, 촉매 겸용 유동재(101)는 유동층을 형성하고, 탄소 원료(106)를 공급하여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제조한 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유동재를 미분화하여 유동재로서의 기능을 소실시켜, 촉매에 성장한 섬유상 나노탄소(15)의 회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fluid forming the fluidized bed, a catalyst-compatible fluid 101 is used instead of a general fluid such as silica sand or alumina. In this embodiment, the combined catalyst fluid 101 forms a fluidized bed, supplies the carbon raw material 106 to produce fibrous nanocarbon 15, and then, as described later, micronizes the fluid to lose its function as a fluid. In this way, recovery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grown on the catalyst can be facilitated.

이 결과,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유동층 반응기(103)내에 촉매 겸용 유동재(101)(촉매)가 균일히 존재하게 되어, 탄소 원료(106)와의 접촉 효율이 양호해지고, 균일한 반응을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촉매에 성장한 섬유상 나노탄소(15)의 회수에 대해서는 촉매 겸용 유동재(101)를 뿔뿔이 세분화하여 구성 단위 또는 그 집합체의 단위로 함으로써, 각 촉매에 성장한 섬유상 나노탄소(15)의 분리 효율을 향상시켜, 균일한 성상의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fibrous nanocarbon 15, the mixed catalyst fluid 101 (catalyst) is uniformly present in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so that the contact efficiency with the carbon raw material 106 becomes good and uniform. At the same time, the recovery of the fibrous nanocarbons 15 grown on the catalyst is carried out, and the fibrous nanocarbons grown on the respective catalysts can be formed by subdividing the catalyst-coupled fluid 101 into constituent units or aggregates thereof.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15) can be improved, and uniform fibrous nanocarbon 15 can be easily obtained.

도 33은 촉매 겸용 유동재(101)의 제조 및 상기 유동재(101)를 이용하여 탄소 원료(106)로부터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제공하는 과정에 관한 모식도이다.FIG. 3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rocess for producing a catalyst-compatible fluid 101 and providing fibrous nanocarbon 15 from a carbon raw material 106 using the fluid 101.

본 발명에 따른 섬유상 나노탄소(15)의 제조방법은, 금속 촉매(121)를 담지하는 담체(122)가 바인더(123)를 통해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촉매 겸용 유동재(101)를 유동재로서 사용하고, (1) 환원 가스(104)를 공급하는 제 1 가스 공급 공정, (2) 탄소 원료(106)를 가스 상태로 공급하고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101)의 촉매(121)의 존재하에서 탄소 나노로드(15)를 제조하는 탄소 원료 공급 공정, 및 (3) 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불활성 가스(108)를 공급하고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101)의 유동 기능을 소실시키는 제 2 가스 공급 공정을 구비하는 것이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1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talyst-compatible fluid 101 formed by bonding a carrier 122 carrying a metal catalyst 121 through a binder 123 is used as a fluid. 1) a first gas supply step of supplying a reducing gas 104, (2) supplying a carbon raw material 106 in a gaseous state and in the presence of the catalyst 121 of the catalyst-compatible fluid 101 ), And (2) a second gas supply step of supplying an inert gas 108 containing no carbon and losing the flow function of the catalyst-compatible fluid 101.

우선, 본 발명의 촉매 겸용 유동재(101)는, 도 33(a) 및 3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촉매(121)를 담지한 담체(122)를 바인더(123)에 의해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 33(c) 내지 33(e)에서, 촉매 겸용 유동재(101)는 윤곽만을 도시한다.First, the catalyst mixed fluid 10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combining a carrier 122 carrying a catalyst 121 with a binder 123, as shown in FIGS. 33A and 33B. will be. 33 (e) to 33 (e), the catalyst dual fluid 101 shows only the contour.

촉매 겸용 유동재(101)에서, 촉매(121)를 담체(122)에 담지할 때, 촉매(121)가 보다 미소 상태로 담체(122)에 담지하는 것으로 섬유상 나노탄소(15)의 섬유 직경을 보다 작게 할 수 있어, 예컨대 촉매 금속의 질산염의 농도, 첨가하는 계면 활성제의 종류, 건조 조건 등의 여러 조건을 제어하여 미세한 촉매(121)를 담체에 담지할 수 있다. In the catalyst mixed fluid 101, when the catalyst 121 is supported on the carrier 122, the catalyst 121 is supported on the carrier 122 in a more minute state to see the fiber diameter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The fine catalyst 121 can be supported on the carrier by controlling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concentration of the nitrate of the catalyst metal, the kind of the surfactant added, the drying conditions, and the like, for example.

또한, 후술하는 환원성 가스(104)를 이용한 촉매(121)의 미세화 공정에서는, 초기의 입경이 작을수록 미세화도가 진행하여 이 담체(122)에 담지할 때의 촉매(121)의 미세화는 중요해진다. In addition, in the miniaturization process of the catalyst 121 using the reducing gas 10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maller the initial particle size, the finer the degree of progression becomes, and the finer the catalyst 121 when supported on the carrier 122 becomes important. .

예컨대, 초기의 담지한 촉매(121)의 입경이 1000㎚인 경우에는 미세화가 10㎚이고, 초기의 담지한 촉매의 입경이 100㎚인 경우에는 미세화가 1㎚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initially supported catalyst 121 is 1000 nm, the fineness is 10 nm, and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initially supported catalyst is 100 nm, the fineness can be 1 nm.

다음으로, 도 3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득된 촉매 겸용 유동재(101)를 유동층 반응기(103)내에 충전하여, 제 1 가스 공급 수단(105)으로부터 환원 가스(104)로서의 H2 또는 H2를 포함하는 불활성 가스를 공급한다. 이 H2 등의 환원 가스(104)의 공급에 의해, 담체(122)에 담지된 촉매(121)를 질산염의 형태로부터 금속으로 하여, 촉매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게 한다.Next, as shown in Fig. 33 (c), the obtained catalyst-compatible fluid 101 is charged into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and H 2 as the reducing gas 104 from the first gas supply means 105 or An inert gas containing H 2 is supplied. By supplying the reducing gas 104 such as H 2 , the catalyst 121 supported on the carrier 122 is made into a metal from the form of nitrate, thereby exhibiting a function as a catalyst.

그리고, 도 3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소 원료(106)를 가스 상태로 공급하여, 촉매(121)에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성장시킨다. 이 때, 소정의 유동 조건이 되도록 불활성 가스(108)를 유동층 반응기(103)내에 별도로 도입하고 있다.As shown in FIG. 33 (d), the carbon raw material 106 is supplied in a gas state to grow the fibrous nanocarbon 15 on the catalyst 121. At this time, the inert gas 108 is separately introduced into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flow condition.

상기 탄소 원료(106)로서는, 탄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면 어느 것이어도 좋으며, 예컨대 메테인, 에테인, 프로페인 및 헥세인 등의 알케인, 에틸렌, 프로필렌 및 아세틸렌 등의 불포화 유기 화합물, 벤젠, 톨루엔 등의 방향족 화합물 또는 석유나 석탄(석탄 전환 가스 포함)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arbon raw material 106 may be any compound as long as it contains a carbon. Examples thereof include unsaturated organic compounds such as alkanes such as methane, ethane, propane and hexane, unsaturated organic compounds such as ethylene, propylene and acetylene, benzene, toluene and the like. Aromatic compounds or petroleum, coal (including coal conversion gas) and the li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상기 섬유상 나노탄소(15)는 촉매 겸용 유동재(101)의 촉매(121)를 기점으로서 생성이 진행한다. 이 때문에, 더욱 얇은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얻는 것은, 제 1 가스 공급 공정, 탄소 공급 공정, 섬유상 나노 탄소 생성 공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분위기 중의 수소(H2), 일산화탄소(CO) 등의 환원성 가스(104)의 환원 작용에 의해, 담체(122)에 담지되어 있는 촉매(121)를 금속화할 때에 상기 촉매(121)를 미세화하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The fibrous nano-carbon 15 is produced by starting from the catalyst 121 of the catalyst fluid fluid 101. Therefore, to obtain a thinner fibrous nano-carbon (15), the first gas supply step, in at least one of a carbon-supplying step, the fibrous nano-carbon production process, hydrogen in the atmosphere (H 2), carbon monoxide (CO), etc.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catalyst 121 finer when metallizing the catalyst 121 supported on the carrier 122 by the reducing action of the reducing gas 104.

예컨대, 초기 상태의 촉매(121)가 100㎚ 정도인 경우, 미세화에 의해 1㎚ 정도까지 나누어 미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공정(제 1 가스 공급 공정, 탄소 공급 공정 및 섬유상 나노탄소 생성 공정)에 있어서, 환원 가스(104) 및 온도 등의 여러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생성된 섬유상 나노탄소(15)의 섬유 직경 및 섬유 구조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atalyst 121 in an initial state is about 100 nm, it can refine | miniaturize to about 1 nm by refinement | miniaturization. Therefore, in each of the above steps (first gas supply step, carbon supply step, and fibrous nanocarbon production step), the fiber diameter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produced by adjusting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reducing gas 104 and temperature, etc. And fiber structure.

그 후, 반응 종료시, 도 3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불활성 가스(108)를 공급하는 동시에 가열 수단(102)에 의해 유동층 반응기(103) 내부를 반응 온도보다도 고온으로 하는 것으로, 촉매 겸용 유동재(101)를 형성하는 바인더(123)를 열분해 등에 의해 분해하여 상기 유동재(101)의 입경을 작게 하여 미세화함으로써 유동재로서의 기능을 소실시킨다.Then, at the end of the reaction, as shown in FIG. 33 (e), the inert gas 108 containing no carbon is supplied and the inside of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is heated to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reaction temperature by the heating means 102. As a result, the binder 123 forming the catalyst-compatible fluid 101 is decomposed by pyrolysis or the like,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fluid 101 is made small to be refined to lose its function as a fluid.

유동 기능이 소실한 유동재는 담체(122)의 응집체 또는 이들의 결합체가 되어, 미세화되어 비산 입자(110)로서 유동층 반응기(103)의 프리 보드부(103B)를 통해 배출 라인(111)으로부터 가스(G)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어, 입자 회수 수단(112)에 의해 회수된다(도 32 참조). 그 후, 회수된 비산 입자(110)로부터 섬유상 나노탄소(15)를 분리하는 것으로, 제품으로서의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유동층 반응기(103)내에도 촉매(121)에 생성된 섬유상 나노탄소(15)가 분리되어 있다.The fluid having lost the flow function becomes an aggregate of the carrier 122 or a combination thereof, which is refined to form gas (from the discharge line 111 through the free board portion 103B of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as the scattering particles 110). It discharges to the outside with G), and is collect | recovered by the particle | grain recovery means 112 (refer FIG. 32). Thereafter, the fibrous nanocarbon 15 is separated from the recovered scattering particles 110, whereby the fibrous nanocarbon 15 as a product can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the fibrous nanocarbon 15 produced in the catalyst 121 is also separated in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섬유상 나노탄소(15)는, 예컨대 성장한 뿌리 부분의 촉매(121) 또는 담체(122)를 소실시킴으로써 상기 촉매(121) 또는 담체(12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도 34에 분리예를 나타낸다.The fibrous nanocarbon 15 can be separated from the catalyst 121 or the carrier 122 by, for example, disappearing the catalyst 121 or the carrier 122 of the grown root portion. A separation example is shown in FIG.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상 나노탄소(15)의 뿌리 부분에서의 담체(112) 등을 H2로 가스화하는 방법이나, 수증기(H2O)나 CO2를 가스화제로서 공급하는 방법이나, 가스화 촉진을 위해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섬유상 나노탄소(15)의 뿌리 부분에서의 담체(122) 등을 소실시킨다. 이 방법에 의해, 촉매(121)로부터 성장한 섬유상 나노탄소(15)를 담체(122), 또는 담체(122)에 잔존하는 미사용된 촉매(121)와 분리할 수 있다. 이 분리는 적어도 유동층 반응기(103)로부터 회수한 후 또는 유동층 반응기(103) 내에서 제조와 동시에 할 수 있다.As it is shown in Figure 34, a method of supplying a method for gasifying the carrier 112, such as at the base of the fiber-shaped nano-carbon (15) with H 2, or water vapor (H 2 O) and CO 2 as a gas agent and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o promote gasification, the carrier 122 and the like at the root portion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are lost. By this method, the fibrous nanocarbon 15 grown from the catalyst 121 can be separated from the carrier 122 or the unused catalyst 121 remaining in the carrier 122. This separation can b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as at least after recovery from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or in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101)는 유동층 반응기(103) 내에서 양호한 유동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평균 입경이 0.2 내지 20㎚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촉매 겸용 유동재(101)의 평균 입경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유동층 반응기(103) 내를 격렬하게 교반시킬 수 있고, 이 결과, 균일한 반응장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catalyst combined fluid 101 has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2 to 20 nm so as to exhibit a good flow function in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This is because the inside of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can be stirred vigorously by setting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atalyst combined fluid 101 to the above range, and as a result, a uniform reaction field can be formed.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101)는 공지된 과립화 방법(예컨대, 회전 팬형 과립화 방법, 회전 드럼형 과립화 방법, 유동층형 과립화 방법 등의 자족형 과립화 방법, 또는 압축형 과립화 방법, 압출형 과립화 방법 등의 강제형 과립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The catalyst combined fluid 101 is a known granulation method (e.g., a rotating fan granulation method, a rotary drum granulation method, a fluidized bed granulation method such as a fluidized bed granulation method, or a compression granulation method, or extrusion). Forced granulation method) such as a mold granulation method).

또한, 유동층 반응기(103)의 유속은, 촉매 겸용 유동재(101) 입경이 0.2㎜인 경우, 0.02 내지 0.2m/s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35 및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속이 0.02m/s 미만이면 촉매 겸용 유동재(101)의 유동화가 일어나지 않고 유동층으로서 기능하지 않으며, 0.2m/s 초과인 경우에는, 유동재(101)가 유동층 반응기(103) 밖으로 비산하여 반응 시간을 제어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In addition, the flow velocity of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is preferably 0.02 to 0.2 m / s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combined fluid fluid 101 for a catalyst is 0.2 mm. As shown in FIGS. 35 and 36, when the flow rate is less than 0.02 m / s, fluidization of the combined catalyst fluid 101 does not occur and does not function as a fluidized bed, and when the flow rate is more than 0.2 m / s, the fluid 101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can not be controlled outside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to control the reaction time.

한편, 유동층의 공탑 속도는, 사용하는 원료나 첨가물 등의 여러 조건에 따라, 사용하는 유동 매체의 유동화 개시 속도(Umf)의 2 내지 8배의 범위내에서 각각 다른 최적치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즉, 공탑 속도는 유동화 개시 속도의 2 내지 8배 높은 가스 유속으로 설정된다. 이 공탑 속도는 주로 불활성 가스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량 등을 제어함으로써 선택한 최적치가 일정히 유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column velocity of the fluidized bed can be set by selecting different optimum values within a range of 2 to 8 times the fluidization start rate Umf of the fluid medium to be used, depending on various conditions such as raw materials and additives to be used. That is, the tower speed is set to a gas flow rate 2 to 8 times higher than the fluidization start rate. This air column speed is mainly maintain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gas supplied from the inert gas supply means and the like.

또, 유동층 반응기(103)에 있어서의 촉매 겸용 유동재(101)의 촉매(121)와 탄소 원료(106)의 접촉 반응 온도가 300℃ 내지 1300℃가 바람직하고, 압력이 0.1 내지 25기압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온도 및 압력이 상기 범위 밖이면 양호한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제조할 수 있지 않기 때문이다.Moreover, the contact reaction temperature of the catalyst 121 and the carbon raw material 106 of the catalyst mixed fluid 101 in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is preferably 300 ° C to 1300 ° C, and the pressure is preferably 0.1 to 25 atmospheres. . This is because good fibrous nanocarbon 15 cannot be produced if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are outside the above ranges.

반응에 있어서는, 수소 분압이 0% 내지 90%인 환원가스(104) 중에서 상기 탄소 원료(106)를 촉매 겸용 유동재(101)의 촉매(121)와 일정 시간 접촉시킴으로써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수득한다. 이 반응에서 H2를 공급하는 것은, 촉매 겸용 유동재(101)의 촉매(121)에 성장하는 섬유상 나노탄소(15)의 성장을 보다 촉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H2원으로서는, 공급하는 탄소 원료(106) 중의 수소를 이용할 수 있다.In the reaction, the fibrous nanocarbon 15 is obtained by contacting the carbon raw material 106 with the catalyst 121 of the mixed fluid 101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reducing gas 104 having a hydrogen partial pressure of 0% to 90%. do. The supply of H 2 in this reaction is for further promoting the growth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that grows on the catalyst 121 of the mixed fluid fluid 101. On the other hand, as the H 2 source, it can be used for hydrogen in the carbon source (106) for feeding.

또한, 제 1 환원 가스 공급 공정, 탄소 원료 공급 공정, 제 2 가스 공급 공정의 각각의 공정의 온도, 압력, 시간, 및 가스 분위기 등의 여러 조건을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컨대 제 1 환원 가스 공급 공정에서의 촉매(121)의 환원 미세화를 하는 경우, 탄소 원료 공급 공정에서의 섬유상 나노탄소(15)의 제조 조건보다 온도를 낮게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temperature, pressure, time, and gas atmosphere of each of the first reducing gas supplying step, the carbon raw material supplying step, and the second gas supplying step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Specifically, for example, when reducing and miniaturizing the catalyst 121 in the first reducing gas supply process, the temperature may be lower than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in the carbon raw material supply process.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101)는, 도 3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담체(122)의 표면에 촉매(121)를 담지한 것 또는 그 응집체로 구성된다. 이 담체(122)는 40㎚ 정도의 직경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응집체는 이들 담체(122)가 여러개가 자기 응집하여 100 내지 200㎚ 정도의 평균 입경이 된 것을 말한다.As shown in FIG. 33 (a), the catalyst mixed fluid 101 is formed of a catalyst 121 supported on the surface of the carrier 122 or an aggregate thereof. The carrier 122 has a diameter of about 40 nm,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agglomerate refers to a number of these carriers 122 self-aggregating to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bout 100 to 200 nm.

상기 담체(122)의 재질로서는, 예컨대 카본블랙(CB),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실리카 모래(SiO2),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촉매(121)를 담지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carrier 122 include carbon black (CB), alumina (Al 2 O 3 ), silica (Si), silica sand (SiO 2 ), aluminosilicate, and the like. Any thing can be used as long as it has a function to carry, but it is not limited to these.

상기 담체(122)의 평균 입경은 2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체(122)의 표면에 촉매(121)를 담지하여 되는 것 또는 그 응집체를 바인더(123)를 이용하여 결합체를 형성하여, 평균 입경 0.2 내지 20㎜의 촉매 겸용 유동재(101)로 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aid carrier 122 is 200 micrometers or less. A catalyst 121 is supported on the surface of the carrier 122 or an aggregate thereof is used to form a binder using the binder 123 to form a catalyst-compatible fluid 101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2 to 20 mm.

상기 촉매(121)로는, 예컨대 Fe, Ni, Co, Cu, Mo 또는 이들의 적어도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Fe를 촉매로(121)로 사용하고 카본블랙을 담체(122)로 사용하는 경우, 질산철 또는 아세트산철의 수용액에 카본블랙을 투입하여 카본블랙의 표면에 Fe를 담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도 33(a)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담체(122)의 표면(122a) 및 세공(122b)에 촉매(121)가 담지된다.Examples of the catalyst 121 include Fe, Ni, Co, Cu, Mo or a mixture of at least two or more thereof,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Fe is used as the catalyst 121 and carbon black is used as the carrier 122, it is preferable to add carbon black to an aqueous solution of iron nitrate or iron acetate so that Fe is supported on the surface of the carbon black. Do. As a result,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33A, the catalyst 121 is supported on the surface 122a and the pores 122b of the carrier 122.

상기 바인더(123)로서는, 예컨대 고분자계 접착제, 무기계 접착제, 그 밖의 결합 작용을 갖는 재료 등을 들 수 있다.As said binder 123, a polymeric adhesive agent, an inorganic adhesive agent, the material which has another bonding effect,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상기 고분자계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열경화성 고분자 재료, 예컨대 페놀계 수지(최고 사용 온도: 약 360℃), 요소계 수지(최고 사용 온도: 약 288℃), 에폭시계 수지(최고 사용 온도: 약 288℃), 폴리이미드계 수지(최고 사용 온도: 약 349℃)로 이루어지는 결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동층내에는, 고온(300℃ 이상)으로 탄소 원료(106)를 공급하여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제조하기 때문에, 상기 고온 상태에 있어서는, 재유동화(용융)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polymer adhesive include thermosetting polymer materials such as phenolic resin (maximum use temperature: about 360 ° C), urea resin (maximum use temperature: about 288 ° C), epoxy resin (maximum use temperature: about 288 ° C). It is preferable to use the binder which consists of polyimide-type resin (maximum use temperature: about 349 degreeC). This is becaus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brous nanocarbon 15 is produced by supplying the carbon raw material 106 at a high temperature (300 ° C. or higher) in the fluidized bed, so that reflowing (melting) is performed in the high temperature state. It can be suppressed.

무기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SiO2 및 Al2O3를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inorganic adhesive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iO 2 and Al 2 O 3 .

그 밖의 결합 작용을 갖는 결합 재료로서는, 예컨대 타르 또는 중유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Examples of the bonding material having another bonding action include tar or heavy oi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480℃ 정도로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제조하고, 그 후 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불활성 가스(108)를 공급하고, 가열 수단(102)에 의해 약 800℃ 정도로 단숨에 가열시켜 상기 바인더(123)를 열분해시켜 담체(122) 단위까지 촉매 겸용 유동재(101)를 세분화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fibrous nanocarbon 15 is produced at about 480 ° C., and then, the inert gas 108 containing no carbon is supplied, and the heating means 102 is used for The binder 123 is thermally decomposed by heating at about 800 ° C. to subdivide the catalyst combined fluid 101 to the carrier 122 unit.

한편, 480℃의 조건에 있어서도 열분해가 다소 진행한다고 생각되지만, 산소가 없는 조건에서는 실제로 열분해와 동시에 코킹(caulking)하여, 탄소의 소결이 진행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800℃ 이상에서 H2에 의한 가스화 또는 섬유상 나노탄소(15)가 연소하지 않는 경우 연소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considered that pyrolysis proceeds somewhat even under the condition of 480 ° C, but it is also considered that sintering of carbon proceeds by caulking simultaneously with pyrolysis under conditions without oxygen. If in this case, unless the gasification or carbon nano fiber 15 due to H 2 combustion above 800 ℃,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bustion process.

한편, 상기 타르는 800℃ 이상의 온도에 있어서, H2, CO 등에 의해 가스화 제거될 수 있다. Meanwhile, the tar may be gasified by H 2 , CO, or the like at a temperature of 800 ° C. or higher.

도 37은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의 제 2 실시양태의 개략도이다.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양태에 따른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200)는 도 1의 장치에서 유동재(101)가 연속적으로 유동가능하도록 유동층 반응기(103)의 유동층부(103A) 내부를 3분할하여 제 1 유동실(203A-1), 제 2 유동실(203A-2) 및 제 3 유동실(203A-3)을 형성하고, 제 1 유동실(203A-1)은 환원 가스(104)를 공급하는 제 1 가스 공급 수단(105)을 설치하고, 제 2 유동실(203A-2)에는 탄소 원료(106)를 공급하는 탄소 원료 공급 수단(107)을 설치하고, 제 3 유동실(203A-3)에는 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불활성 가스(108)를 공급하는 제 2 가스 공급 수단(109)을 설치한 것이다.37 is a schematic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As shown in FIG. 37, the apparatus 200 for manufacturing fibrous nanocarb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inside of the fluidized bed portion 103A of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such that the fluid 101 may be continuously flown in the apparatus of FIG. 1. Is divided into three to form a first flow chamber 203A-1, a second flow chamber 203A-2, and a third flow chamber 203A-3, and the first flow chamber 203A-1 includes a reducing gas ( First gas supply means 105 for supplying 104 is provided, and carbon raw material supply means 107 for supplying carbon raw material 106 is provided in the second flow chamber 203A-2, and the third flow chamber is provided. The second gas supply means 109 for supplying the inert gas 108 containing no carbon is provided in 203A-3.

제 1 실시양태와 동일한 부재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about the member same as 1st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유동층 반응기(103) 내에 연직 축방향으로 위 아래로 교대로 매달려 있도록 복수의 경계판(202)을 설치함으로써 유동층을 형성하면서 내부를 분할하고, 도면에서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부실(203A-11), 제 2 부실(203A-12) 및 제 3 부실(203A-13)로 제 1 유동실(201A-1)을 구성하고, 제 4 부실(203A-24), 제 5 부실(203A-25), 제 6 부실(203A-26) 및 제 7 부실(203A-7)로 제 2 유동실(203A-2)을 구성하고, 제 8 부실(203A-38) 및 제 9 부실(203A-39)로 제 3 유동실(203A-3)을 구성하지만, 본 발명은 이 배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프리 보드부(103B)는 제 1 , 제 2 및 제 3 유동실과 공통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ior is divided while forming the fluidized b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boundary plates 202 so as to alternately hang up and down in the vertical axial direction in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and the first in order from the left in the drawing. The first flow chamber 201A-1 is constituted by the subsidiary chamber 203A-11, the second subsidiary chamber 203A-12 and the third subsidiary chamber 203A-13, and the fourth subsidiary chamber 203A-24 and the fifth subsidiary chamber. (203A-25), the sixth sub chamber 203A-26, and the seventh sub chamber 203A-7 constitute a second flow chamber 203A-2, and the eighth sub chamber 203A-38 and the ninth sub chamber ( The third flow chamber 203A-3 is constituted by 203A-39,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rrangement. On the other hand, the free board part 103B is common with the 1st, 2nd, and 3rd flow chamber.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 제 1 유동실(203A-1)에 촉매 겸용 유동재(101)를 공급하는 유동재 공급 수단(204)이 설치되어 촉매 겸용 유동재(101)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연속적인 제조가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fluid supply means 204 which supplies the catalyst combined fluid 101 to the 1st flow chamber 203A-1 is provided, and the catalyst combined fluid 101 is sequentially supplied. This allows for continuous production.

예컨대, 유동층 반응기(103) 전체로 9시간 반응시킨 경우에는, 제 1 유동실(203A-1)에 있어서 7시간의 체류, 제 2 유동실(203A-2)에 있어서 1시간의 체류, 제 3 유동실(203A-3)에 있어서 1시간의 체류를 할 수 있도록, 경계판(202)의 위치 및 각 실의 용적을 조정하여, 촉매 겸용 유동재(101)를 각 실내에 임의의 시간 동안 체류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entire fluidized bed reactor 103 is reacted for 9 hours, 7 hours of residence in the first fluid chamber 203A-1, 1 hour of residence in the second fluid chamber 203A-2, and the third In order to allow 1 hour of residence in the flow chamber 203A-3,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plate 202 and the volume of each chamber are adjusted so that the catalyst-flowing fluid 101 can remain in each room for an arbitrary time. To help.

제 1 유동실(203A-1)에서는 환원 가스(106)를 공급하여 촉매 겸용 유동재(101)의 촉매 기능을 발휘시키고, 제 2 유동실(203A-2)에서는 탄소 원료 가스(106)를 공급하여 촉매 기능을 발휘한 촉매 겸용 유동재(101)와 접촉시켜 효율이 좋은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제조하고, 제 3 유동실(203A-3)에서는 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불활성 가스(108)를 공급하는 동시에 반응 온도보다 고온으로 함으로써 촉매 겸용 유동재(101)의 촉매 기능을 소실시켜 미세화함으로써 입경 40 내지 100㎚의 비산 입자(101)로 하여 가스(C)와 함께 비산시켜 회수하도록 한다. 한편, 비산하지 않는 촉매 겸용 유동재(101)는 회수 수단에 의해 별도로 회수된다.In the first flow chamber 203A-1, the reducing gas 106 is supplied to exhibit the catalytic function of the fluid for mixing catalyst 101, and the carbon source gas 106 is supplied in the second flow chamber 203A-2. The fibrous nanocarbon 15 having high efficiency was produced by contacting with the catalyst fluidized material 101 having a catalytic function, and the inert gas 108 containing no carbon was supplied from the third flow chamber 203A-3. At the same time, by making the temperature higher than the reaction temperature, the catalyst function of the combined catalyst fluid 101 is lost and refined to make the scattering particles 101 having a particle size of 40 to 100 nm scatter with the gas C to be recovered. On the other hand, the catalyst mixed fluid 101 which is not scattered is separately collected by the recovery means.

본 실시양태의 또다른 예로서, 제 1 유동실과 제 2 유동실로 유동층부를 구성한 유동층 반응기(103), 및 상기 제 3 유동실로 유동층부를 구성한 유동층 반응기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As another example of this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fluidized bed reactor 103 comprising a fluidized bed section with a first fluid chamber and a second fluidized chamber, and a fluidized bed reactor comprising a fluidized bed section with the third fluid chamber.

도 38은, 섬유상 나노탄소를 제조하는 장치의 제 3 실시양태의 개략도이다. 본 실시양태에서,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동층 반응기(103)는 각 독립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 구성하여 연속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3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38,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is configured to have each independent function to enable continuous production.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양태의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300)는 탄소 원료(106)를 촉매를 이용하여 고온의 유동층중에서 반응시켜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촉매 겸용 유동재(101)를 내부에 충전하는 동시에,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102)을 구비하고, 환원 가스(H2 또는 CO)를 공급하는 제 1 가스 공급 수단(105)을 갖는 제 1 유동층 반응기(301); 및 제 1 유동층 반응기(301)로부터 촉매 겸용 유동재(101)를 이송하는 이송 수단(302)을 갖는 동시에, 촉매 겸용 유동재(101)와 접촉시켜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생성하기 위한 탄소 원료(106)를 가스 상태로 공급하는 탄소 원료 공급 수단(107)을 갖는 제 2 유동층 반응기(303); 제 2 유동층 반응기(303)로부터 반응 생성물과 유동재를 이송하는 이송 수단(304)을 갖는 동시에, 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불활성 가스(108)를 공급하는 제 2 가스 공급 수단(109)을 갖는 제 3 유동층 반응기(305); 및 상기 제 3 유동층 반응기(305)로부터 가스(G) 및 비산 입자(110)를 배출하는 배출 라인(111)을 구비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38, the apparatus 300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n 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15 by reacting a carbon raw material 106 in a high temperature fluidized bed using a catalyst. A first fluidized bed having a heating means 102 for filling the catalyst-coupled fluid 101 therein and for heating the inside, and having a first gas supply means 105 for supplying a reducing gas (H 2 or CO). Reactor 301; And a transfer means 302 for transferring the mixed catalyst fluid 101 from the first fluidized bed reactor 301, and at the same time, a carbon raw material 106 for contacting the mixed catalyst fluid 101 to generate the fibrous nanocarbon 15. Second fluidized bed reactor (303) having carbon raw material supply means (107) for supplying gas in a gaseous state; A third fluidized bed having a conveying means 304 for conveying the reaction product and the fluid from the second fluidized bed reactor 303 and having a second gas supply means 109 for supplying an inert gas 108 containing no carbon. Reactor 305; And a discharge line 111 for discharging the gas G and the scattering particles 110 from the third fluidized bed reactor 305.

상기 제 1 유동층 반응기(301), 제 2 유동층 반응기(303) 및 제 3 유동층 반응기(305)는 제 1 실시양태와 같이 유동층부(301A, 303A, 305A) 및 프리 보드부(301B, 303B, 305B)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first fluidized bed reactor 301, the second fluidized bed reactor 303, and the third fluidized bed reactor 305 are the fluidized bed parts 301A, 303A, and 305A and the free board parts 301B, 303B, and 305B as in the first embodiment. Are each provided.

그리고, 제 1 유동층 반응기(301)에 있어서, 환원 가스(106)를 공급하여 촉매 겸용 유동재(101)의 촉매 기능의 발휘할 수 있다. 이어서, 기류 반송 등의 이송 수단(302)에 의해 제 2 유동층 반응기(303)에 공급한다. 제 2 유동층 반응기(303)에서, 탄소 원료 가스(106)를 공급하여 촉매 기능을 발휘하는 촉매 겸용 유동재(101)와 접촉시켜 효율이 좋은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제조한다. 그 후, 기류 반송 등의 이송 수단(304)에 의해 제 3 유동층 반응기(305)로 공급한다. 그리고, 제 3 유동층 반응기(305)에 있어서, 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불활성 가스(108)를 공급하는 동시에 반응 온도 보다 고온으로 함으로써 촉매 겸용 유동재(101)의 촉매 기능을 소실시켜 뿔뿔이 미세화하고, 입경 40 내지 100㎚의 비산 입자(110)로서 가스(G)와 함께 비산시켜 회수하도록 한다. 이 방법에 의해,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비산하지 않는 촉매 겸용 유동재(101)는 회수 수단에 의해 별도로 회수한다.In the first fluidized bed reactor 301, the reducing gas 106 can be supplied to exhibit the catalytic function of the catalyst-coupled fluid 101. Next, it supplies to the 2nd fluidized bed reactor 303 by the conveying means 302, such as airflow conveyance. In the second fluidized bed reactor 303, the carbon source gas 106 is supplied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atalyst combined fluid 101 that exhibits a catalytic function to produce highly efficient fibrous nanocarbon 15. Then, it supplies to the 3rd fluidized bed reactor 305 by the conveying means 304, such as airflow conveyance. In the third fluidized bed reactor 305, the inert gas 108 containing no carbon is supplied, and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reaction temperature, thereby losing the catalytic function of the catalyst / coating fluid 101, thereby miniaturizing the grain size, and having a particle size of 40. It is to be recovered by scattering together with the gas (G) as the scattering particles 110 to 100nm. By this method, the fibrous nanocarbon 15 can be manufactured continuously. In addition, the catalyst combined fluid 101 which does not scatter is separately collected by a recovery means.

이송 수단(302, 304)으로서는 상기 언급한 기류 반송 등 이외에 필터를 이용한 절출 반송 등에 의한 수단을 들 수 있으나, 유동재(101)를 이송할 수 있는 것이면 이러한 수단들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onveying means 302, 304 may include means by cutting-off conveying using a filter in addition to the air flow conveying and the like mentioned above. However, the conveying means 302, 304 is not limited to these means as long as the fluid member 101 can be conveyed.

각 반응기(310, 303 및 305) 내의 상기 유동재(101)의 체류 시간에 따라, 반응기(310, 303, 305)의 용적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평균 체류 시간을 제 1 유동층 반응기(301)에서는 7시간으로 하고, 제 2 유동층 반응기(303) 및 제 3 유동층 반응기(305)에서는 각각 1시간으로 하는 경우, 제 1 유동층 반응기(301)의 용적을 제 2 및 제 3 유동층 반응기의 용적의 7배로 함으로써 반응 조건을 조정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residence time of the fluid 101 in each reactor 310, 303, and 305, the volume of the reactor 310, 303, 305 can be varied. For example, when the average residence time is 7 hours in the first fluidized bed reactor 301 and 1 hour in the second fluidized bed reactor 303 and the third fluidized bed reactor 305, respectively, The reaction conditions can be adjusted by making the volume seven times the volume of the second and third fluidized bed reactors.

또한, 제 1 내지 제 3 유동층 반응기(301, 303, 305)를 모두 같은 용적으로 하고, 제 1 유동층 반응기(301)를 7개로 하여 직렬로 접속할 수도 있다.Further, the first to third fluidized bed reactors 301, 303, and 305 may all have the same volume, and seven first fluidized bed reactors 301 may be connected in series.

또한, 필요에 따라, 제 1 유동층 반응기(301)를 복수기 구비하여 처리량을 조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 2 유동층 반응기(303)를 복수기 구비하여 처리량을 조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 3 유동층 반응기(305)를 복수기 구비하여 처리량을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s necessary, the first fluidized bed reactor 30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rollers to adjust the throughput. Similarly, the second fluidized bed reactor 303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rollers to adjust throughput. Similarly, the third fluidized bed reactor 305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rollers to adjust throughput.

도 39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의 제 4 실시양태의 개략도이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양태는 제 3 실시양태에서 제 2 유동층 반응기(303)를 2기 설치하여 반응 조건을 상이하게 하여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39 is a schematic view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As shown in Fig. 39, the present embodiment makes it possible to prepare two second fluidized bed reactors 303 in the third embodiment to produce different reaction conditions.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양태의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400)는 탄소 원료(106)를 촉매를 이용하여 고온의 유동층에서 반응시켜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101)를 내부에 충전하는 동시에,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102)을 설치하고, 환원 가스(H2 또는 CO)(104)를 공급하는 제 1 가스 공급 수단(105)을 갖는 제 1 유동층 반응기(301), 및 제 1 유동층 반응기(301)로부터 촉매 겸용 유동재(101)를 이송하는 이송 수단(402-1)을 갖는 동시에, 촉매 겸용 유동재(101)와 접촉시켜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생성하기 위한 탄소 원료(106)를 가스 상태로 내부에 공급하는 탄소 원료 공급 수단(107)을 갖는 제 1 번째의 제 2 유동층 반응기(403-1); 제 1 번째의 2 유동층 반응기(403-1)로부터 촉매 겸용 유동재(101)를 이송하는 이송 수단(402-2)을 갖는 동시에, 촉매 겸용 유동재(101)와 접촉시켜 섬유상 나노탄소(15)를 생성하기 위한 탄소 원료(106)를 가스 상태로 내부에 공급하는 탄소 원료 공급 수단(107)을 갖는 제 2 번째의 제 2 유동층 반응기(403-2); 제 2 번째의 제 2 유동층 반응기(403-2)로부터 반응 생성물과 유동재를 이송하는 이송 수단(304)을 갖는 동시에, 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불활성 가스(108)를 내부에 공급하는 제 2 가스 공급 수단(109)을 갖는 제 3 유동층 반응기(305); 및 상기 제 3 유동층 반응기(305)로부터 가스(G) 및 비산 입자(110)를 배출하는 배출 라인(111)을 구비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39, the apparatus 400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n 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15 by reacting a carbon raw material 106 in a high temperature fluidized bed using a catalyst. The first gas supply means 105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ans 102 for heating the inside of the catalyst and the fluid fluid 101, and for supplying a reducing gas (H 2 or CO) 104. Having a first fluidized bed reactor 301 and a conveying means 402-1 for transferring the mixed catalyst fluid 101 from the first fluidized bed reactor 301, and in contact with the mixed catalyst fluid 101, fibrous nanocarbon A first second fluidized bed reactor 403-1 having carbon raw material supply means 107 for supplying the carbon raw material 106 for producing (15) therein in a gaseous state; It has a conveying means 402-2 which transfers the catalyst combined fluid 101 from the 1st 2 fluid bed reactor 403-1, and makes contact with the catalyst combined fluid 101, and produces fibrous nanocarbon 15. A second second fluidized bed reactor 403-2 having a carbon raw material supply means 107 for supplying the carbon raw material 106 therein in a gas state therein; Second gas supply means having a conveying means 304 for conveying the reaction product and the fluid from the second second fluidized bed reactor 403-2, and at the same time supplying an inert gas 108 containing no carbon therein; A third fluidized bed reactor 305 having 109; And a discharge line 111 for discharging the gas G and the scattering particles 110 from the third fluidized bed reactor 305.

예컨대, 제 1 번째의 제 2 유동층 반응기(403-1)의 가열 수단(102)의 온도 조건과 비교하여 제 2 번째의 제 2 유동층 반응기(403-2)의 가열 수단(102)의 온도 조건을 변화(예컨대 온도를 100℃ 이상으로 함)시켜, 예컨대 제 1 단계의 제 2 유동층 반응기(403-1) 내의 반응 온도를 480℃로 함으로써 촉매 겸용 유동재(101)의 촉매(121) 상에 깃상 구조의 탄소 나노로드군(13B)을 성장시킨 후(도 40 참조), 제 2 단계의 제 2 유동층 반응기(403-2) 내의 반응 온도를 630℃로 함으로써, 상기 깃상 구조의 탄소 나노로드군(13B) 아래에 튜브상 구조의 탄소 나노로드군(13A)를 성장시킨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도 41 참조).For example, the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heating means 102 of the second second fluidized bed reactor 403-2 is compared with the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heating means 102 of the first second fluidized bed reactor 403-1. The feather structure on the catalyst 121 of the mixed fluid fluid 101 is changed by changing (for example, the temperature is 100 ° C. or more) and, for example, by setting the reaction temperature in the first fluidized bed reactor 403-1 in the first stage to 480 ° C. After growing the carbon nanorod group 13B of the carbon nanorod group 13B (see FIG. 40), the reaction temperature in the second fluidized bed reactor 403-2 of the second stage was set to 630 ° C. ), A complex in which the carbon nanorod group 13A having a tubular structure is grown can be prepared (see FIG. 41).

도 42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의 제 5 실시양태의 개략도이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양태에 따른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500)에서, 유동층 반응기(103)의 유동층부(103A)는 고속측 유동층부(503A-1)와 저속측 유동층부(503A-2)로 구성되고, 섬유상 나노탄소(15)의 제조한 후의 제 2 가스 공급 공정에서, 고속측 유동층부(503A-1) 내에서 촉매 겸용 유동재(101)를 격렬히 교반시켜 유동재(101)의 마모로 인한 미세화 및 바인더(123)의 결합력의 감소에 의한 미세화의 촉진을 도모한다.4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As shown in FIG. 42, in the apparatus 500 for manufacturing fibrous nanocarb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uidized bed part 103A of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includes the high speed side fluidized bed part 503A-1 and the low speed side fluidized bed part. Composed of (503A-2), and in the second gas supplying step after the production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the catalyst-containing fluid 101 in the high-speed side fluidized bed 503A-1 is vigorously stirred to provide a fluid 101 ),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miniaturization by miniaturization due to abrasion and reduction of the bonding force of the binder 123.

구체적으로, 예컨대 촉매 겸용 유동재(101)의 직경을 0.5㎜로 하는 경우, 유동층부(103A)의 상부의 저속측 유동층부(503A-2)에서는 비산 방지를 위해 유속을 0.1m/s 정도로 제어하지만, 유동층부(103A)의 하부의 고속측 유동층부(503A-1)의 유속을 0.2 내지 1.0m/s 정도로 설정하고, 촉매 겸용 유동재(101)를 격렬히 교반하여 유동재(101)의 마모에 의해 미세화를 꾀할 수 있다.Specifically, for example, when the diameter of the catalyst-compatible fluid 101 is set to 0.5 mm, the low-speed fluidized bed part 503A-2 at the top of the fluidized bed part 103A controls the flow rate to about 0.1 m / s to prevent scattering. The flow velocity of the high speed side fluidized bed portion 503A-1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luidized bed portion 103A is set to about 0.2 to 1.0 m / s, and the catalyst and mixed fluid 101 is vigorously stirred to refine by wear of the fluid 101. Can be tried.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고속측 유동층부(503A-1) 내에 충돌 부재(501)를 배치하고, 상기 충돌 부재(501)에 촉매 겸용 유동재(101)를 적극적으로 충돌시켜 미세화를 추가로 촉진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43, the collision member 501 is further arrange | positioned in the high speed side fluidized-bed part 503A-1, and the catalyst combined fluid material 101 is actively collided with the said collision member 501, and refinement | miniaturization is added. Can be promoted.

도 44는 섬유상 나노카본의 제조장치의 제 6 실시양태의 개략도이다.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섬유상 나노카본의 제조장치(600)에서, 유동층 반응기(103)에 측벽으로부터 고속 가스(601)를 취입하는 고속 가스 취입 수단(602)을 설치하고, 섬유상 나노탄소(15)의 제조 후의 제 2 가스 공급 공정에서 취입된 고속 가스(601)에 의해 촉매 겸용 유동재(101)를 격렬히 교반시킴으로써, 유동재(101)의 마모에 의한 미세화 및 바인더(123)의 결합력의 저하에 의한 미세화의 촉진을 도모할 수 있다.44 is a schematic view of the sixth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As shown in FIG. 44,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600 of fibrous nanocarbon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he high-speed gas blowing means 602 which injects the high-speed gas 601 from the side wall in the fluidized-bed reactor 103 is provided, By violently stirring the catalyst-flowing fluid 101 by the high-speed gas 601 blown in the second gas supplying step after the production of the fibrous nanocarbon 15, the fineness due to the abrasion of the fluid 101 and the binder 123 are obtained.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miniaturization by lowering the bonding force.

구체적으로, N2 가스 또는 불활성 가스를 고속 가스(601)로서 10m/s의 유속으로 고속 가스 취입 수단(602)으로부터 불어 넣음으로써, 촉매 겸용 유동재(101)를 격렬히 교반하여 유동재(101)의 마모에 의한 미세화를 꾀할 수 있다.Specifically, by blowing N 2 gas or inert gas from the high speed gas blowing means 602 at a flow rate of 10 m / s as the high speed gas 601, the mixed fluid 101 is stirred vigorously to abrasion of the fluid 101 It can be miniaturized by.

또한,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자 회수 수단(112a)에 의해 분리한 조질의 비산 입자(110b)를 유동층 반응기(103) 내로 다시 공급할 때, 혼합 수단(603)으로 고속 가스(601)로 혼합하고, 이러한 조질의 비산 입자(110b)를 고속 가스(601)와 동반시켜 취입하는 것으로, 물리적 파괴력을 향상시켜 촉매 겸용 유동재(101)의 마모에 의한 미세화 및 바인더(123)의 결합력 감소로 인한 미세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때, 섬유상 나노탄소(15)를 함유하는 미세한 비산 입자(110a)를 하류측의 분리 수단(112b)에 의해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5, when the crude fly particles 110b separated by the particle recovery means 112a are fed back into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the mixing means 603 is supplied to the high velocity gas 601. By mixing and blowing the coarse scattering particles 110b together with the high-speed gas 601, the physical breakdown force is improved, resulting from the miniaturization caused by the wear of the catalyst-coupled fluid 101 and the decrease of the bonding force of the binder 123. It can promote micronization. At this time, the fine scattering particles 110a containing the fibrous nanocarbon 15 can be separated and recovered by the downstream separating means 112b.

즉, 제 5 및 제 6 실시양태는 제 2 가스 공급 공정에서 유동층 반응기(103) 내 촉매 겸용 유동재(101) 안에 국소적으로 고속 유속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유동재(101)의 상호 충돌, 유동재(101)와 반응기(103)의 벽면 또는 충돌 부재(503) 사이의 충돌, 또는 고속 가스(601)의 취입 등에 의해, 촉매 겸용 유동재(101)의 마모 및 파손으로 인한 미세화가 촉진되어 섬유상 나노탄소(15)의 회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That is, the fifth and sixth embodiments form a localized high velocity region in the catalyst fluidized fluid 101 in the fluidized bed reactor 103 in the second gas supply process, thereby causing mutual collisions of the fluidized material 101, fluidized material 101. ) And collision between the wall surface or the collision member 503 of the reactor 103 or the blowing of the high-speed gas 601, etc., facilitates the miniaturization due to the wear and break of the catalyst mixed fluid 101 and the fibrous nanocarbon (15). ) To improve the recovery efficiency.

이렇게 수득된 섬유상 나노탄소(15)는, 투명성 도전재(도전 잉크, 도전 필름, 도전 플라스틱), ITO 대체재, 투명 전자파 차단재, 대전 방지재(태양광 전지, 미러 등), 투명 자외선 차단재(예컨대, 화장품 용도, 차량 유리 코팅 용도 등), 고급 전기·열전도재(프린터의 롤, 팩스밀리 등), 고급 도전·방열 장치, 세라믹 혼합재, 탄소·탄소 복합재, 전지의 도전재 등, 메테인 등의 가스 흡착 또는 흡장재, 수소 흡장재, 수소 분리재, 뷰테인 등의 분리재, 커패시터 전극재, 전기 탈염 전극재, 해수 분해(전해질셀) 산소 전극재, 전지 재료(리튬 2차 전지, NaS 전지, 공기 2차 전지, 장수명 알칼리 전지 도전재), FED재, 나노-리쏘그라피 반도체, 납 선, MLUDI(유전자 검색, 진단재), 나노 뇌파 프로브, 생체 친화성 재료, 고선택성 촉매 담체, 고활성 촉매 담체, 흑연 촉매 대체재, 고활성 촉매 담체(예컨대, Pt, Pt-Rh), 박막 세퍼레이터, 대기 오염물질(SOx, NOx, 오존) 흡착재, 수질 오염물 흡착재, 탈염 정화용 전극재, 각종 가스 센서, 도전성지 등의 각종 복합 재료, 가스 흡착 재료, 바이오 재료 등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us obtained fibrous nanocarbon 15 is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conductive ink, conductive film, conductive plastic), ITO replacement material, transparent electromagnetic wave blocking material, antistatic material (solar cell, mirror, etc.), transparent ultraviolet blocking material (e.g., Cosmetic applications, automotive glass coating applications, etc.), high-grade electrical and thermal conductive materials (printer rolls, fax millimeters, etc.), high-quality conductive and heat-radiating devices, ceramic mixtures, carbon-carbon composites, battery conductive materials, and the like Adsorption or storage material, hydrogen storage material, hydrogen separation material, separation material such as butane, capacitor electrode material, electric desalination electrode material, seawater decomposition (electrolyte cell) oxygen electrode material, battery material (lithium secondary battery, NaS battery, Air secondary battery, long life alkaline battery conductive material), FED material, nano-lithography semiconductor, lead wire, MLUDI (genetic detection, diagnostic material), nano brain wave probe, biocompatible material, high selectivity catalyst carrier, high activity catalyst Carriers, graphite catalyst substitutes, Active catalyst carriers (e.g., Pt, Pt-Rh), thin film separators, air pollutants (SOx, NOx, ozone) adsorbents, water pollutant adsorbents, desalination purification electrode materials, various gas sensors, various materials such as conductive paper, gas It is preferable to use for an adsorption material, a biomaterial, etc.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촉매 담지 담체를 바인더를 통해 결합시켜 이루어진 촉매 겸용 유동재를 유동재로서 사용하고 환원 가스를 공급하는 제 1 가스 공급 공정, 탄소 원료를 가스 상태로 공급하고 촉매 겸용 유동재의 촉매의 존재하에 탄소 나노로드를 제조하는 가스 원료 공급 공정, 및 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고 촉매 겸용 유동재의 유동 기능을 소실시키는 제 2 가스 공급 단계를 구비하고 있어, 유동층 내에 촉매가 균일하게 존재하게 되어, 촉매와 원료 재료의 접촉 효율을 양호하게 하여 균일한 반응을 수행하는 동시에, 촉매 상에 성장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회수에 있어서, 촉매 기능을 겸용하는 유동재를 미세화하여 담체의 구성 단위 또는 응집체로 함으로써, 각 촉매 상에 성장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분리 효율을 향상시켜 균일한 특성을 갖는 촉매를 수득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as supply process of using a catalyst mixed fluid formed by bonding a metal catalyst supporting carrier through a binder as a fluid and supplying a reducing gas, and supplying a carbon raw material in a gas state and a catalyst of a catalyst mixed fluid And a second gas supply step of supplying an inert gas containing no carbon and losing the flow function of the catalyst fluid, in which the catalyst is uniformly provided in the fluidized bed. In the presence of the catalyst, the contact efficiency between the catalyst and the raw material is improved, uniform reaction is carried out, and in the recovery of the fibrous nanocarbon growing on the catalyst, the fluidized material having a catalyst function is refined and the structural unit of the carrier or By making the aggregate,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fibrous nanocarbon growing on each catalyst It can be improved to obtain a catalyst having uniform properties.

<탄소 나노로드 및 섬유상 나노탄소>Carbon nanorods and fibrous nanocarbons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로드 및 섬유상 나노탄소의 바람직한 예를 이하에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Preferred examples of carbon nanorods and fibrous nanocarb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1은 주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이다.Example 1 is fibrous nanocarbon of columnar structure.

질산철을 이용하고, 침전법(Best, R. J. Russell, W. W., J. Amer. Soc. 76, 838(1954), Sinfelt, J. H., Carter, J. L. , and Yates, D. J. C., J. Catal. 24, 283(1972))에 의해 철 촉매를 제조했다. Using iron nitrate, precipitation method (Best, RJ Russell, WW, J. Amer. Soc. 76, 838 (1954), Sinfelt, JH, Carter, JL, and Yates, DJC, J. Catal. 24, 283 ( 1972)) to produce an iron catalyst.

구체적으로는, 4g의 철 촉매를 제조하기 위해 200㎖의 순수에 질산철(와코퓨어화학사 제품, 시약 1급, FeNO3·9H2O) 29.54g을 첨가하고, 천천히 교반하여 용액을 제조한다. 이 용액에 탄산수소암모니아(NH4HCO3; 시약 1급, 준세이야쿠힌쿄교 제품)를 침전물(FeCO3·xH2O)이 생길 때까지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침전물을 여과하여 순수로 탄산수소암모니아가 없어질 때까지 정제한다. 정제한 침전물을 80℃에서 8시간 진공 건조한 후, 수평형의 탄만-화로를 사용하여 공기 분위기 중에서 450℃에서 5시간 가열처리함으로써 Fe2O3를 수득했다. Specifically, 29.54 g of iron nitrate (made by Wako Pure Chemicals, Reagent Grade 1, FeNO 3 .9H 2 O) was added to 200 ml of pure water to prepare a 4 g iron catalyst, and stirred slowly to prepare a solution. Ammonia hydrogen carbonate (NH 4 HCO 3 ; reagent grade 1, manufactured by Junsei Chemical Co., Ltd.) is added to the solution while stirring until a precipitate (FeCO 3 · xH 2 O) is formed. The precipitate is filtered and purified until pure ammonia is removed. The purified precipitate was vacuum dried at 80 ° C. for 8 hours, and then Fe 2 O 3 was obtained by heat-treating at 450 ° C. for 5 hours in an air atmosphere using a horizontal carbonaceous furnace.

제조한 Fe2O3를 알루미나제 보우트(길이 10㎜, 폭 2.5㎜, 깊이 1.5㎜(외면치))에 위치시키고, 알루미나관(내경 10㎝) 안에서 수소와 헬륨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10%)를 100 sccm으로 흘리면서 480℃에서 48시간 환원 처리함으로써, 4.02g의 철 촉매를 수득했다.The manufactured Fe 2 O 3 was placed in an alumina boat (length 10 mm, width 2.5 mm, depth 1.5 mm (outer surface value)), and mixed gas of hydrogen and helium (10% hydrogen partial pressure) in an alumina tube (inner diameter 10 cm). ), 4.02 g of an iron catalyst was obtained by reducing the mixture at 100 sccm for 48 hours at 480 ° C.

이어서,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철 촉매 50㎎을 석영제 보우트(길이 10㎜, 폭 2.5㎜, 깊이 1.5㎜(외면치))에 위치시키고, 내경 4.5㎝의 석영관 안에서 수소와 헬륨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20%)를 100 sccm로 흘리면서 500℃에서 2시간 환원시킨다. 그 후, 일산화탄소와 수소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20%)를 100 sccm으로 흘리면서 580℃의 온도에서 60분간 반응시켜, 소정량(1252㎎)의 섬유상 나노탄소를 제 조했다.Subsequently, 50 mg of the iron catalyst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was placed in a quartz boat (length 10 mm, width 2.5 mm, depth 1.5 mm (outer surface value)), and a mixed gas of hydrogen and helium in a quartz tub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4.5 cm ( 20% hydrogen partial pressure) was reduced at 500 ° C. for 2 hours while flowing at 100 sccm. Thereafter, a mixed gas (hydrogen partial pressure: 20%) of carbon monoxide and hydrogen was allowed to react at a temperature of 580 ° C. for 60 minutes while flowing at 100 sccm to produce a predetermined amount (1252 mg) of fibrous nanocarbon.

실시예 2Example 2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의 섬유상 나노탄소를 고온에서 열처리하는 경우의 예이다. This embodiment is an example of the case where the fibrous nanocarbon of Example 1 is heat-treated at high temperature.

즉,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섬유상 나노탄소는 아르곤 분위기에서 2000℃ 및 2800℃에서 10분간 열처리하였다.That is, the fibrous nanocarbon prepared in Example 1 was heat-treated for 10 minutes at 2000 ℃ and 2800 ℃ in an argon atmosphere.

실시예 3Example 3

본 실시예는 깃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이다.This embodiment is a fibrous nanocarbon having a feather structure.

질산니켈을 이용하고 실시예 1의 침전법에 의해 니켈 촉매를 제조하였다.A nickel catalyst was prepared by using nickel nitrate and by the precipitation method of Example 1.

구체적으로, 4g의 니켈 촉매를 제조하기 위해, 200㎖의 순수에 질산니켈(NiNO3·xH2O, 시약 1급, 와코퓨어화학사 제품) 19.82g을 첨가하여, 천천히 교반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에, 탄산수소암모니아(NH4HCO3; 시약 1급, 준세이유쿠힌쿄교사 제품)를 침전물(NiCO3·xH2O)이 생길 때까지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이후, 침전물을 여과하고, 순수로 탄산수소암모니아가 없어질 때까지 정제한다. 정제한 침전물을 80℃에서 8시간 진공 건조한 후, 수평형 탄만 화로를 사용하여 공기 분위기에서 450℃에서 5시간 가열처리함으로써 산화니켈을 수득했다.Specifically, in order to prepare a 4 g nickel catalyst, 19.82 g of nickel nitrate (NiNO 3 xH 2 O, reagent grade 1, manufactured by Wako Pure Chemical Co., Ltd.) was added to 200 ml of pure water, and the mixture was stirred slowly to prepare a solution. To this solution, hydrogen ammonia carbonate (NH 4 HCO 3 ; reagent grade 1, manufactured by Junsei Yuku Hinkyo Co., Ltd.) is added while stirring until a precipitate (NiCO 3 · xH 2 O) is formed. The precipitate is then filtered and purified with pure water until there is no ammonia hydrogen carbonate. The purified precipitate was vacuum dried at 80 ° C. for 8 hours, and then heated to 450 ° C. for 5 hours in an air atmosphere using a horizontal carbon dioxide furnace to obtain nickel oxide.

제조한 산화니켈을 알루미나제 보우트(길이 10㎜, 폭 2.5㎜, 깊이 1.5㎜(외면치))에 위치시키고, 내경 10㎝의 알루미나관 안에서 수소와 헬륨의 혼합가스(수소분압: 10%)를 100 sccm로 흘리면서 480℃에서 48시간 환원처리함으로써, 4.01g의 철 촉매를 수득했다.The prepared nickel oxide was placed in an alumina boat (length 10 mm, width 2.5 mm, depth 1.5 mm (outer surface value)), and a mixed gas of hydrogen and helium (hydrogen partial pressure: 10%) was carried out in an alumina tub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10 cm. 4.01 g of iron catalyst was obtained by reducing for 48 hours at 480 degreeC, flowing at 100 sccm.

그 후,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니켈 촉매 50㎎을 석영제 보우트(길이 10㎜, 폭 2.5㎜, 깊이 1.5㎜(외면치))에 위치시키고, 내경 4.5㎝의 석영관 안에서 수소와 헬륨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20%)를 100 sccm로 흘리면서 500℃에서 2시간 환원시킨다. 그 후, 에틸렌과 수소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20%)를 100 sccm로 흘리면서 580℃에서 60분간 반응시켜 소정량(60㎎)의 섬유상 나노탄소를 제조했다.Thereafter, 50 mg of the nickel catalyst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was placed in a quartz boat (length 10 mm, width 2.5 mm, depth 1.5 mm (outer surface value)), and hydrogen and helium mixed in a quartz tub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4.5 cm. The gas (hydrogen partial pressure: 20%) was reduced at 500 ° C. for 2 hours while flowing at 100 sccm. Thereafter, a mixed gas of ethylene and hydrogen (hydrogen partial pressure: 20%) was reacted at 580 ° C. for 60 minutes while flowing at 100 sccm, thereby preparing a predetermined amount (60 mg) of fibrous nanocarbon.

실시예 4Example 4

본 실시예는 실시예 3의 섬유상 나노탄소를 고온 열처리한 것이다.This example is a high-temperature heat treatment of the fibrous nanocarbon of Example 3.

즉,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섬유상 나노탄소를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2000℃ 및 2800℃에서 10분간 열처리하였다.That is, the fibrous nanocarbon prepared in Example 3 was heat-treated at 2000 ° C. and 2800 ° C. for 10 minutes under argon atmosphere.

실시예 5Example 5

본 실시예는 튜브상 구조의 섬유상 나노탄소이다.This embodiment is a fibrous nanocarbon having a tubular structure.

질산철 및 질산니켈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침전법에 의해 철 니켈 합금 촉매를 제조하였다.An iron nickel alloy catalyst was prepared by the precipitation method of Example 1 using iron nitrate and nickel nitrate.

구체적으로, 4g의 철-니켈 촉매를 제조하기 위해, 200㎖의 순수에 질산니켈(NiNO3·xH2O, 시약 1급, 와코퓨어화학사) 11.90g과 질산철(FeNO3·9H2O, 시약 1급, 와코퓨어화학사) 11.80g을 첨가하여, 천천히 교반하여 용액을 제조한다. 그 용액에, 탄산수소암모니아(NH4HCO3, 시약 1급, 쥬세이유카힌쿄교사 제품)를 침전물(NiCO3·xH2O)이 생길 때까지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그 후, 침전물을 여과하여 순 수로 탄산수소암모니아가 없어질 때까지 정제한다. 정제한 침전물을 80℃에서 8시간 진공 건조한 후, 수평형 탄만 화로를 사용하여 공기 분위기에서 450℃에서 5시간 처리함으로써 산화철-니켈을 수득했다.Specifically, to prepare 4 g of iron-nickel catalyst, 11.90 g of nickel nitrate (NiNO 3 xH 2 O, reagent grade 1, Wako Pure Chemical Co., Ltd.) and iron nitrate (FeNO 3 · 9H 2 O, 11.80 g of reagent 1, Waco Pure Chemical Co., Ltd.) was added, and stirred slowly to prepare a solution. To the solution, ammonia hydrogen carbonate (NH 4 HCO 3 , reagent grade 1, manufactured by Jusei Yuka Hinkyo Co., Ltd.) is added while stirring until a precipitate (NiCO 3 · xH 2 O) is formed. The precipitate is then filtered and purified with pure water until the ammonia of hydrogen carbonate is gone. The purified precipitate was vacuum dried at 80 deg. C for 8 hours, and then iron oxide-nickel was obtained by treatment at 450 deg. C for 5 hours in an air atmosphere using a horizontal carbonaceous furnace.

제조한 산화철-니켈을 알루미나제 보우트(길이 10㎜, 폭 2.5㎜, 깊이 1.5㎜(외면치))에 위치시키고, 내경 10cm의 알루미나관 안에서, 수소와 헬륨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10%)를 100 sccm로 흘리면서 480℃에서 48시간 환원처리함으로써, 4.05g의 철-니켈 촉매를 수득했다.The manufactured iron oxide-nickel was placed in an alumina boat (length 10 mm, width 2.5 mm, depth 1.5 mm (outer surface value)) and mixed gas of hydrogen and helium (hydrogen partial pressure: 10%) in an alumina tub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10 cm. 4.05 g of iron-nickel catalyst was obtained by reducing the product at 480 ° C. for 48 hours while flowing 100 sccm.

그 후,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철-니켈 촉매 50㎎을 석영제 보우트(길이 10㎜, 폭 2.5㎜, 깊이 1.5㎜(외면치))에 위치시키고, 내경 4.5cm의 석영관 안에서, 수소와 헬륨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20%)를 100 sccm로 흘리면서 500℃에서 2시간 환원시킨다. 그 후, 일산화탄소와 수소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80%)를 200 sccm로 흘리면서 630℃의 온도에서 60분간 반응시켜 소정량(432㎎)의 섬유상 나노탄소를 제조했다.Thereafter, 50 mg of the iron-nickel catalyst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was placed in a quartz boat (length 10 mm, width 2.5 mm, depth 1.5 mm (outer surface value)), and hydrogen and helium in a quartz tub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4.5 cm. Of mixed gas (hydrogen partial pressure: 20%) was reduced at 500 ° C. for 2 hours while flowing at 100 sccm. Thereafter, a mixed gas (hydrogen partial pressure: 80%) of carbon monoxide and hydrogen was allowed to react at a temperature of 630 ° C for 60 minutes while flowing at 200 sccm, thereby preparing a predetermined amount (432 mg) of fibrous nanocarbon.

실시예 6Example 6

본 실시예는 실시예 5의 섬유상 나노카본을 고온에서 열처리한 것이다.This example is a heat treatment of the fibrous nanocarbon of Example 5 at a high temperature.

구체적으로,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섬유상 나노탄소를 아르곤 분위기에서 2000℃ 및 2800℃에서 10분간 열처리하였다.Specifically, the fibrous nanocarbon prepared in Example 5 was heat-treated for 10 minutes at 2000 ℃ and 2800 ℃ in argon atmosphere.

<X-선 회절 측정><X-ray diffraction measurement>

실시예 1 내지 6에서 수득한 섬유상 나노탄소(150㎎)를 표준 규소 15㎎과 각각 혼합하고, 광각 X선 회절 장치(리가쿠사 제품)를 이용하여 5도 내지 90도의 각 도에서 회절(CuKα 선, 40kV, 30mA, 단계식 방법)을 실시함으로써 회전 패턴을 수득하였다.The fibrous nanocarbons (150 mg) obtained in Examples 1 to 6 were mixed with 15 mg of standard silicon, respectively, and diffracted (CuKα ray at 5 degrees to 90 degrees using a wide-angle X-ray diffractometer (manufactured by Rigaku Corporation). , 40 kV, 30 mA, stepwise method) to obtain a rotation pattern.

수득된 X선 패턴으로부터, 면간 거리(d002), 적층체 크기(Lc002), 및 결정체 크기(La110)를 가쿠신 방법에 의해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상기 표 1에 제시한다.From the obtained X-ray pattern, the interplanar distance (d 002 ), the laminate size (Lc 002 ), and the crystal size (La 110 ) were calculated by the Gakusin metho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above.

<전계 주사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관찰><Observation by electric field scann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실시예 1 내지 4에서 수득된 섬유상 나노탄소의 섬유 직경과 조직을 조사하기 위해서, JEM-2010F의 전계 주사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했다.In order to investigate the fiber diameter and the structure of the fibrous nanocarbon obtained in Examples 1-4, it observed with the field scann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of JEM-2010F.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4에서 수득된 섬유상 나노탄소를 n-뷰탄올에 미량 넣어 초음파 분산에 의해 엷은 투명성의 빛깔이 나타날 때까지 완전히 분산시킨 후, 분산액을 미세망 시료셀에 1 내지 2방울 가하고, 시료셀을 상온의 공기중에서 하루 동안 건조시킨 후 관찰했다.Specifically, a small amount of the fibrous nanocarbon obtained in Examples 1 to 4 in n-butanol to completely disperse until the appearance of light transparency by ultrasonic dispersion, the dispersion is 1 to 2 drops in the micro network sample cell After the addition, the sample cell was dried in air at room temperature for one day and observed.

그 결과를 도 6(실시예 1, 2) 및 도 18(실시예 3, 4)에 도시한다. 도 6은 40만배 배율로 관찰한 확대 사진(8배)이고, 도 18은 40만배 배율로 관찰한 사진이고, 도 18(c)는 도 18(b)를 8배 추가 확대(320만배 배율)한 사진이다.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6 (Examples 1 and 2) and 18 (Examples 3 and 4). FIG. 6 is an enlarged photograph (8 times) observed at 400,000 times magnification, FIG. 18 is a photograph observed at 400,000 times magnification, and FIG. 18 (c) further enlarges 8 times (FIG. 18 (b)) (3 million times magnification). One picture.

<주사형 터널 전자 현미경에 의한 관찰>Observation by Scanning Tunnel Electron Microscopy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수득된 섬유상 나노탄소는 주사형 터널 전자 현미경(Nanoscope III(DI, U.S.A.) 하에서 관찰하였다.The fibrous nanocarbons obtained in Examples 1 to 6 were observed under a scanning tunnel electron microscope (Nanoscope III (DI, U.S.A.).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6에서 수득된 섬유상 나노탄소를 에탄올에 미량 넣고, 초음파로 완전히 분산시킨다. 생성된 분산액 한 방울을 HOPG에 첨가하고, 8 시간 동안 공기중에서 건조시켜 관찰했다(터널링 전압 1V, 터널 전류 3.0 nA).Specifically, the fibrous nanocarbon obtained in Examples 1 to 6 is placed in a small amount in ethanol and completely dispersed by ultrasonic waves. One drop of the resulting dispersion was added to HOPG and observed by drying in air for 8 hours (tunneling voltage 1V, tunnel current 3.0 nA).

그 결과를 도 30(실시예 1, 2), 도 7(b)(실시예 2), 도 15(실시예 1 내지 6), 및 도 29(실시예 1 내지 6)에 도시하였다. 도 30(a)는 실시예 1의 섬유상 나노탄소를 관찰한 사진이고, 도 30(b) 및 30(c)는 실시예 2의 섬유상 나노탄소를 관찰한 사진이고, 도 7(b)는 도 30(c)와 다른 각도에서 섬유상 나노탄소를 관찰한 사진이고, 도 15는 저배율에서 관찰한 섬유상 나노탄소의 사진이고, 도 29는 고배율에서 관찰한 섬유상 나노탄소의 사진이다.The results are shown in FIG. 30 (Examples 1 and 2), FIG. 7B (Example 2), FIG. 15 (Examples 1 to 6), and FIG. 29 (Examples 1 to 6). 30 (a) is a photograph of the fibrous nanocarbon of Example 1, Figure 30 (b) and 30 (c) is a photograph of the fibrous nanocarbon of Example 2, Figure 7 (b) is a figure A photograph of the fibrous nanocarbon at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30 (c), FIG. 15 is a photograph of the fibrous nanocarbon at low magnification, and FIG. 29 is a photograph of the fibrous nanocarbon at high magnification.

다음으로 비교예를 제시한다.Next, a comparative example is give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상기 실시예 1의 침전법으로 제조한 철 촉매(50㎎)를 석영제 보우트(길이 10㎜, 폭 2.5㎜, 깊이 1.5㎜(외면치))에 위치시키고, 내경 4.5cm의 석영관 안에서, 수소와 헬륨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20%)를 100 sccm로 흘리면서 500℃에서 0.3시간 환원시킨다. 그 후, 일산화탄소와 수소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20%)를 100 sccm로 흘리면서 580℃의 온도에서 60분간 반응시켰으나, 섬유상 나노탄소는 생성되지 않았다.The iron catalyst (50 mg) prepared by the precipitation method of Example 1 was placed in a quartz boat (length 10 mm, width 2.5 mm, depth 1.5 mm (outer surface value)), and in a quartz tub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4.5 cm, hydrogen The mixture gas of helium and hydrogen partial pressure (20%) is reduced at 500 ° C. for 0.3 hour while flowing at 100 sccm. Thereafter, a mixture of carbon monoxide and hydrogen (hydrogen partial pressure: 20%) was reacted at a temperature of 580 ° C. for 60 minutes while flowing at 100 sccm, but fibrous nanocarbon was not produced.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상기 실시예 1의 침전법으로 제조한 철 촉매(50㎎)를 석영제 보우트(길이 10㎜, 폭 2.5㎜, 깊이 1.5㎜(외면치))에 위치시키고, 내경 4.5cm의 석영관 안에서, 수소와 헬륨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20%)를 100 sccm로 흘리면서 500℃에서 2시간 환원시킨다. 그 후, 일산화탄소 가스를 100 sccm로 흘리면서 580℃의 온도에서 60 분간 반응시켰으나, 섬유상 나노탄소는 생성되지 않았다.The iron catalyst (50 mg) prepared by the precipitation method of Example 1 was placed in a quartz boat (length 10 mm, width 2.5 mm, depth 1.5 mm (outer surface value)), and in a quartz tub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4.5 cm, hydrogen And a mixture of helium (hydrogen partial pressure: 20%) was reduced at 500 ° C. for 2 hours while flowing at 100 sccm. Thereafter, the reaction was performed for 6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580 ° C while flowing carbon monoxide gas at 100 sccm, but no fibrous nanocarbon was produced.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상기 실시예 1의 침전법으로 제조한 니켈 촉매(50㎎)를 석영제 보우트(길이 10㎜, 폭 2.5㎜, 깊이 1.5㎜(외면치))에 위치시키고, 내경 4.5cm의 석영관 안에서, 수소와 헬륨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20%)를 100 sccm로 흘리면서 500℃에서 2시간 환원시킨다. 그 후, 일산화탄소와 수소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20%)를 100 sccm로 흘리면서 580℃의 온도에서 60분간 반응시켰으나, 섬유상 나노탄소는 생성되지 않았다.The nickel catalyst (50 mg) prepared by the precipitation method of Example 1 was placed in a quartz boat (length 10 mm, width 2.5 mm, depth 1.5 mm (outer surface value)), and hydrogen in a 4.5 cm inner diameter quartz tube. And a mixture of helium (hydrogen partial pressure: 20%) was reduced at 500 ° C. for 2 hours while flowing at 100 sccm. Thereafter, a mixture of carbon monoxide and hydrogen (hydrogen partial pressure: 20%) was reacted at a temperature of 580 ° C. for 60 minutes while flowing at 100 sccm, but fibrous nanocarbon was not produced.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상기 실시예 1의 침전법으로 제조한 니켈 촉매(50㎎)를 석영제 보우트(길이 10㎜, 폭 2.5㎜, 깊이 1.5㎜(외면치))에 위치시키고, 내경 4.5cm의 석영관 안에서, 수소와 헬륨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20%)를 100 sccm로 흘리면서 450℃에서 2시간 환원시킨다. 그 후, 일산화탄소와 수소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20%)를 100 sccm로 흘리면서 580℃의 온도에서 60분간 반응시켰으나, 섬유상 나노탄소는 생성되지 않았다.The nickel catalyst (50 mg) prepared by the precipitation method of Example 1 was placed in a quartz boat (length 10 mm, width 2.5 mm, depth 1.5 mm (outer surface value)), and hydrogen in a 4.5 cm inner diameter quartz tube. And a mixture of helium (hydrogen partial pressure: 20%) was reduced at 450 ° C. for 2 hours while flowing at 100 sccm. Thereafter, a mixture of carbon monoxide and hydrogen (hydrogen partial pressure: 20%) was reacted at a temperature of 580 ° C. for 60 minutes while flowing at 100 sccm, but fibrous nanocarbon was not produced.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상기 실시예 1의 침전법으로 제조한 니켈 촉매(50㎎)를 석영제 보우트(길이 10㎜, 폭 2.5㎜, 깊이 1.5㎜(외면치))에 위치시키고, 내경 4.5cm의 석영관 안에서, 수소와 헬륨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20%)를 100 sccm로 흘리면서 500℃에서 2시간 환원시킨다. 그 후, 일산화탄소와 수소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20%)를 100 sccm로 흘리면서 680℃의 온도에서 60분간 반응시켰으나, 섬유상 나노탄소는 생성되지 않았다.The nickel catalyst (50 mg) prepared by the precipitation method of Example 1 was placed in a quartz boat (length 10 mm, width 2.5 mm, depth 1.5 mm (outer surface value)), and hydrogen in a 4.5 cm inner diameter quartz tube. And a mixture of helium (hydrogen partial pressure: 20%) was reduced at 500 ° C. for 2 hours while flowing at 100 sccm. Thereafter, a mixture gas of carbon monoxide and hydrogen (hydrogen partial pressure: 20%) was reacted at a temperature of 680 ° C. for 60 minutes while flowing at 100 sccm, but fibrous nanocarbon was not produced.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상기 실시예 5의 방법으로 제조한 철-니켈 촉매(50㎎)를 석영제 보우트(길이 10㎜, 폭 2.5㎜, 깊이 1.5㎜(외면치))에 위치시키고, 내경 4.5cm의 석영관 안에서, 수소와 헬륨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20%)를 100 sccm로 흘리면서 500℃에서 2시간 환원시킨다. 그 후, 일산화탄소와 수소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80%)를 200 sccm로 흘리면서 700℃의 온도에서 60분간 반응하였더니, 소정량(20㎎)의 나노탄소가 수득되어 투과형 전자 현미경 하에서 관찰한 결과, 섬유상 구조는 관찰되지 않았다.The iron-nickel catalyst (50 mg) prepared by the method of Example 5 was placed in a quartz boat (length 10 mm, width 2.5 mm, depth 1.5 mm (outer surface value)), and in a quartz tub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4.5 cm, A mixed gas of hydrogen and helium (hydrogen partial pressure: 20%) was reduced at 500 ° C. for 2 hours while flowing at 100 sccm. Thereafter, a mixture of carbon monoxide and hydrogen (hydrogen partial pressure: 80%) was reacted at a temperature of 700 ° C. for 60 minutes while flowing at 200 sccm. A predetermined amount (20 mg) of nanocarbon was obtained and observed under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s a result, no fibrous structure was observed.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 및 그의 장치><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 및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하기에 기술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Although the preferable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fibrous nanocarbon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촉매로서 Fe-Ni(2/8)를 이용하고, 담체로서 카본블랙("MS-3050B"(상표명), 미쓰비시가스화학사 제품, BET=43 ㎡/g, 입경=40㎚)을 사용하여, 촉매(5%)를 담체에 담지시켰다. 바인더로서 페놀성 수지제 고분자계 접착제(최고 사용 온도: 약 360℃)를 이용하여 촉매 겸용 유동재를 과립화하였다.Fe-Ni (2/8) was used as a catalyst and carbon black ("MS-3050B" (trade name), manufactured by Mitsubishi Gas Chemical Co., Ltd., BET = 43 m 2 / g, particle size = 40 nm) was used as a carrier. (5%) was supported on the carrier. A catalyst-compatible fluid was granulated using a phenolic resin-based polymer adhesive (maximum use temperature: about 360 ° C.) as a binder.

이 촉매 겸용 유동재를 이용하여, 도 32에 도시된 제 1 실시양태의 장치를 이용하여 섬유상 나노탄소를 제조하였다.Using this catalyst mixed fluid, fibrous nanocarbon was produced using the apparatus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제 1 가스 공급에 의한 촉매의 활성화에는 H2/He(20/80)를 이용하여, 7시간 동안 전처리를 실시했다. 다음으로, 탄소 원료로서 에틸렌(C2H4)을 이용하고, C2H4/H2(4/1)를 공급하여, 480℃의 유동층 반응기 내에서 1시간 반응시켜 섬유상 나노탄소를 제조하였다.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 후, H2/He(20/80)의 분위기에서, 승온시켜 바인더를 열분해하고, 촉매 겸용 유동재를 미립자화시키고, 비산시켜 회수 수단에 의해 회수했다.To activate the catalyst by the first gas supply, pretreatment was performed for 7 hours using H 2 / He (20/80). Next, ethylene (C 2 H 4 ) was used as a carbon raw material, C 2 H 4 / H 2 (4/1) was supplied, and reacted for 1 hour in a fluidized bed reactor at 480 ° C. to prepare fibrous nanocarbon. . After the preparation of the fibrous nanocarbon, the temperature was raised in an atmosphere of H 2 / He (20/80) to thermally decompose the binder, and the catalyst-coating fluid was granulated and scattered to recover by a recovery means.

수득된 섬유상 나노탄소의 현미경 사진을 도 46에 나타낸다. 도 46(a)는 10,000배의 사진이고, 단위는 1㎛이다. 도 46(b)은 100,000배의 사진이고, 단위는 1㎚이다.The micrograph of the obtained fibrous nanocarbon is shown in FIG. Fig. 46 (a) is a 10,000-fold photograph and the unit is 1 mu m. Fig. 46 (b) is a 100,000-fold photograph and the unit is 1 nm.

실시예 2Example 2

촉매로 Ni-Mo(2/8)을 이용하고, 담체로 산화타이타늄(TiO2)을 이용하고, 반응 온도를 560℃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섬유상 나노탄소를 제조했다.Fibrous nanocarb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Ni-Mo (2/8) was used as a catalyst, titanium oxide (TiO 2 ) was used as a support,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set to 560 ° C.

수득된 섬유상 나노탄소의 현미경 사진을 도 47에 나타낸다. 도 47(a)은 10,000배의 사진이고, 단위는 1㎛이다. 도 47(b)은 50,000배의 사진이고, 단위는 100㎚이다.The micrograph of the obtained fibrous nanocarbon is shown in FIG. 47. Fig. 47 (a) is a 10,000-fold photograph and the unit is 1 mu m. Fig. 47 (b) is a 50,000-fold photograph and the unit is 100 nm.

실시예 3Example 3

촉매를 Fe-Ni(8/2)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섬유상 나 노탄소의 제조했다.Fibrous nanocarbon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atalyst was made of Fe-Ni (8/2).

수득된 섬유상 나노탄소의 현미경 사진을 도 48에 나타낸다. 도 48(a)는 10,000배의 사진이고, 단위는 1㎛이다. 도 48(b)는 100,000배의 사진이고, 단위는 1㎚이다.The micrograph of the obtained fibrous nanocarbon is shown in FIG. 48 (a) is a 10,000-fold photograph and the unit is 1 μm. Fig. 48 (b) is a 100,000-fold photograph and the unit is 1 nm.

본 발명에 따른 탄소 나노로드 및 섬유상 나노탄소는 고흑연화도 및 고표면적을 가져, 고기능성 재료(수지, 금속, 세라믹 및 탄소 강화재, 방열재, 촉매 담체, 가스 흡착, 생체용 복합재 등)로 이용하는데 바람직하다. 수소의 흡장, 흡착 및 탈착, 리튬의 흡장, 흡착 및 탈착, 촉매 작용 및 질소 산화물의 흡착 등에 특히 높은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Carbon nanorods and fibrous nanocarb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high graphitization degree and a high surface area, and are used as high functional materials (resin, metal, ceramic and carbon reinforcing material, heat dissipating material, catalyst carrier, gas adsorption, biocomposite, etc.). It is desirable to. Particularly high capacities of hydrogen storage, adsorption and desorption, lithium storage, adsorption and desorption, catalysis and adsorption of nitrogen oxides are exhibited.

Claims (53)

한 방향으로 신장하는 중심축을 갖는 탄소 헥사고날 망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나노로드.Carbon nanorods comprising a carbon hexagonal net surface having a central axis extending in one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탄소 헥사고날 망면의 축 폭(D)이 2.5±0.5㎚이고, 탄소 헥사고날 망면의 길이(L)가 17±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나노로드.An axial width (D) of the carbon hexagonal net surface is 2.5 ± 0.5 nm, carbon nanorod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L) of the carbon hexagonal net surface is 17 ± 15 n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탄소 헥사고날 망면이 2 내지 12층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나노로드.Carbon nanorod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hexagonal net surface is laminated in 2 to 12 layer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탄소 나노로드가 복수개 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A fibrous nanocarbon, comprising a plurality of carbon nanorods according to claim 1 or 2 assembled.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탄소 나노로드가 3차원적으로 최밀(最密) 충전된(close-packed) 상태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A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nanorods are laminated in a three-dimensional close-packed state (closest).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탄소 나노로드가 중심축을 서로 평행하게 하여 복수 적층되어 탄소 나노로드군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nanorods are stacked in plural with the central axis parallel to each other to form a carbon nanorod group.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탄소나노로드군이, 상기 탄소 헥사고날 망면을 2 내지 12층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탄소 나노로드와, 상기 탄소 헥사고날 망면을 2 내지 12층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탄소 나노로드 사이에, 나노 공극을 가지면서 3차원적으로 적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The carbon nanorod group has a nano void between the carbon nanorod formed by laminating 2 to 12 layers of the carbon hexagonal network and the carbon nanorod formed by laminating 2 to 12 layers of the carbon hexagonal network. While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laminated three-dimensionally.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탄소 나노로드가 축단부에서 직렬 접합되어 축방향으로 탄소 나노로드군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nanorods are bonded in series at the shaft end to form a carbon nanorod group in the axial direction.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탄소 나노로드의 상기 축단부가 열처리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The shaft end portion of the carbon nanorods are bonded by heat treatment.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탄소 나노로드군이, 상기 탄소 나노로드의 적층 방향의 섬유축과 직교하는 축에 대하여 0도 초과 20도 미만의 배열 각도로 배열됨으로써, 주상(Columnar)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The carbon nanorod group has a columnar shape by being arranged at an array angle of more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20 degrees with respect to an axis orthogonal to the fiber axis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carbon nanorods. carbon.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탄소 나노로드군이, 상기 탄소 나노로드의 적층 방향의 섬유축과 직교하는 축에 대하여 20도 초과 80도 미만의 배열 각도로 배열됨으로써, 깃(Feather)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The carbon nanorod group is formed in a feather shape by being arranged at an array angle of more than 20 degrees and less than 80 degrees with respect to an axis orthogonal to the fiber axis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carbon nanorods. carbon.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or 11, 상기 탄소 나노로드군이 헤링본(herring-bone)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The carbon nanorod group is a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erringbone (herring-bone) structure.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or 11, 700℃ 이하의 열처리 조건에서 상기 탄소 헥사고날 망면 사이의 면간 거리(d002)가 0.50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planar distance (d 002 ) between the carbon hexagonal net surface under a heat treatment condition of 700 ℃ or less.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or 11, 상기 탄소 나노로드의 집합체의 섬유 폭이 8 내지 500㎚이고, 섬유의 종횡비(섬유 길이/섬유 폭)가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The fiber width of the aggregate of the carbon nanorods is 8 to 500nm, the fiber-shaped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spect ratio (fiber length / fiber width) of the fiber is 10 or mor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탄소 나노로드군이 탄소 나노로드의 적층 방향의 섬유축과 직교하는 축에 대하여 80도 내지 88도의 배열 각도로 배열됨으로써, 튜브상(Tubular)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The carbon nanorod group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by being arranged at an array angle of 80 degrees to 88 degrees with respect to an axis orthogonal to a fiber axis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carbon nanorods.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탄소 나노로드의 집합체의 섬유 폭이 8 내지 80㎚이며, 섬유의 종횡비(섬유 길이/섬유 폭)가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A fibrous nanocarbon, wherein the fiber width of the aggregate of carbon nanorods is 8 to 80 nm, and the aspect ratio (fiber length / fiber width) of the fiber is 30 or more.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or 11, 섬유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구조가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ber axis is a polygon.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or 11, 1600℃ 이상에서 고온 열처리되어, 표면에 있는 상기 탄소 나노로드의 말단이 2차원적으로는 루프형상으로 형성되고, 3차원적으로는 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A fibrous nanocarbon, which is heat-treated at 1600 ° C. or higher, so that the ends of the carbon nanorods on the surface are formed in a loop shape in two dimensions and in a dome shape in three dimensions. 탄소 원료를 촉매를 이용하여 고온의 유동층중에서 반응시켜, 탄소 나노로드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섬유상 나노탄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method of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onsisting of aggregates of carbon nanorods by reacting a carbon raw material in a high temperature fluidized bed using a catalyst, 금속 촉매를 담지한 담체를 바인더를 통해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촉매 겸용 유동재를 유동재로서 이용하며, A catalyst mixed fluid formed by bonding a carrier carrying a metal catalyst through a binder is used as a fluid. 환원 가스를 공급하는 제 1 가스 공급 공정, A first gas supply process for supplying a reducing gas, 상기 탄소 원료를 가스 상태로 공급하여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상기 금속 촉매의 존재하에 탄소 나노로드를 제조하는 탄소 원료 공급 공정, 및 A carbon raw material supply step of supplying the carbon raw material in a gas state to produce carbon nanorods in the presence of the metal catalyst of the mixed catalyst fluid; 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유동 기능을 소실시키는 제 2 가스 공급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arrying out a second gas supply step of supplying a gas containing no carbon to lose the flow function of the catalyst combined fluid.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평균 입경이 0.2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atalyst combined fluid material is 0.2 to 20mm.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가 상기 담체의 표면에 상기 촉매를 담지한 것 또는 그의 응집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wherein the catalyst-compatible fluid includes the catalyst on the surface of the carrier or aggregates thereof.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상기 담체가 카본블랙, 알루미나, 실리카, 실리카 모래 및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The carrier of the mixed catalyst fluid is a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from carbon black, alumina, silica, silica sand and aluminosilicate.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상기 금속 촉매가 Fe, Ni, Co, Cu 및 Mo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 catalyst of the mixed catalyst fluid is any one of Fe, Ni, Co, Cu, and Mo,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유동층내의 유속이 0.02 내지 2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A flow rate in the fluidized bed is 0.02 to 2 m / 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ibrous nano-carbon.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 1 가스 공급 공정, 상기 탄소 원료 공급 공정 및 상기 제 2 가스 공급 공정의 각 조건을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pective conditions of the first gas supplying step, the carbon raw material supplying step, and the second gas supplying step are controll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제 2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조건이 온도, 압력, 시간, 및 가스 분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The condition is a temperature, pressure, time, and a gas atmospher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ibrous nanocarbon.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0.1 내지 25기압의 압력하에 수소와 불활성 기체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0% 내지 90%) 중에서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상기 촉매와 상기 탄소 원료를 3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일정 시간 접촉시킴으로써 섬유상 나노탄소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Fibrous nano by contacting the catalyst and the carbon raw material at a temperature of 300 ° C to 1300 ° C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mixed gas of hydrogen and inert gas (hydrogen partial pressure 0% to 90%) under a pressure of 0.1 to 25 atmospheres.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o produce carbon.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 1 가스 공급 공정과 탄소 원료 공급 공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정에서, 상기 환원 가스의 환원 작용에 의해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상기 촉매 성분을 금속화하는 동시에 미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In at least one of the first gas supplying step and the carbon raw material supplying step, the catalytic component of the fluid for both catalysts is simultaneously metallized and refined by the reducing action of the reducing gas. Manufacturing method. 제 2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상기 금속 촉매를 미세화할 때 금속 촉매의 입경을 제어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섬유상 나노탄소의 직경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fibrous nanocarbon obtained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metal catalyst when the metal catalyst of the catalyst mixed fluid is made fine.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 2 가스 공급 공정이, 상기 유동층의 국소에 유속이 빠른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 입자끼리의 충돌 또는 이 입자와 벽면의 충돌에 의해 촉매 겸용 유동재의 미세화 및 마모를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The second gas supply process forms a region having a high flow velocity at a local portion of the fluidized bed, and promotes miniaturization and wear of the catalyst mixed fluid by collision between the catalyst mixed fluid particles or collision of the particles with the wall surface.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제 3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유동층내의 유속이 빠른 영역을 상기 유동층의 하부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A method of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by forming a region having a high flow rate in the fluidized bed below the fluidized bed. 제 3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유동층내에 고속 가스를 취입시킴으로써 유속이 빠른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by forming a region having a high flow rate by blowing a high velocity gas into the fluidized bed. 제 3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유동층으로부터 비산한 입자를 상기 고속 가스에 동반시켜 상기 유동층내로 다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And dispersing the particles scattered from the fluidized bed into the fluidized gas and supplying the particles into the fluidized bed again.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제조된 상기 섬유상 나노탄소를 상기 담체 또는 상기 촉매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ed fibrous nanocarbon from the carrier or the catalyst. 제 19 항에 따른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하는 제조장치로서, A manufacturing apparatus used for carrying out the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according to claim 19,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가 충전되고,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갖춘 유동층 반응기, A fluidized bed reactor filled with the combined catalyst fluid material and having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interior thereof; 상기 유동층 반응기내에 상기 환원 가스를 공급하는 제 1 가스 공급 수단,First gas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reducing gas into the fluidized bed reactor, 상기 유동층 반응기내에 상기 탄소 원료를 가스 상태로 공급하는 탄소 원료 공급 수단, Carbon raw material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carbon raw material in a gas state into the fluidized bed reactor; 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상기 가스를 상기 유동층 반응기내에 공급하는 제 2 가스 공급 수단, 및 Second gas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gas containing no carbon into the fluidized bed reactor, and 상기 유동층 반응기로부터 가스 및 비산 입자를 배출하는 배출 라인을 구비하고, A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gas and fugitive particles from the fluidized bed reactor, 상기 유동층 반응기의 유동층부가 고속 유동부와 저속 유동부를 가지며, The fluidized bed portion of the fluidized bed reactor has a high speed flow portion and a low speed flow portion, 상기 고속 유동부내에 충돌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mpingement portion in the high-speed flow portion. 제 35 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상기 비산 입자를 회수하는 회수 수단을 상기 배출 라인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And a recovery means for recovering the scattering particles in the discharge li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35 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상기 유동층 반응기내에 가스를 고속으로 취입하는 고속 가스 취입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An 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a high speed gas blowing means is provided in the fluidized bed reactor to blow gas at high speed. 제 3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9, 상기 가스를 고속으로 취입시킬 때, 회수한 입자를 동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An 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vered particles are accompanied when the gas is blown at high speed. 제 19 항에 따른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하는 제조장치로서, A manufacturing apparatus used for carrying out the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according to claim 19,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가 충전되고,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갖춘 유동층 반응기, A fluidized bed reactor filled with the combined catalyst fluid material and having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interior thereof; 상기 유동층 반응기내에 상기 환원 가스를 공급하는 제 1 가스 공급 수단,First gas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reducing gas into the fluidized bed reactor, 상기 유동층 반응기내에 상기 탄소 원료를 가스 상태로 공급하는 탄소 원료 공급 수단, Carbon raw material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carbon raw material in a gas state into the fluidized bed reactor; 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상기 가스를 상기 유동층 반응기내에 공급하는 제 2 가스 공급 수단, 및 Second gas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gas containing no carbon into the fluidized bed reactor, and 상기 유동층 반응기로부터 가스 및 비산 입자를 배출하는 배출 라인을 구비하고, A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gas and fugitive particles from the fluidized bed reactor, 상기 유동재가 유동가능한 제 1, 제 2 및 제 3 유동실을 상기 유동층 반응기내에 형성함과 더불어,In addition to forming first, second and third flow chambers in which the fluid can flow, the fluidized bed reactor, 상기 제 1 유동실에 상기 제 1 가스 공급 수단을 연결하고, Connecting the first gas supply means to the first flow chamber, 상기 제 2 유동실에 상기 탄소 원료 공급 수단을 연결하고,Connecting the carbon raw material supply means to the second flow chamber, 상기 제 3 유동실에 상기 제 2 가스 공급 수단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he second gas supply means to the third flow chamber. 제 19 항에 따른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하는 제조장치로서, A manufacturing apparatus used for carrying out the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according to claim 19,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가 충전되고,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갖춘 유동층 반응기, A fluidized bed reactor filled with the combined catalyst fluid material and having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interior thereof; 상기 유동층 반응기내에 상기 환원 가스를 공급하는 제 1 가스 공급 수단,First gas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reducing gas into the fluidized bed reactor, 상기 유동층 반응기내에 상기 탄소 원료를 가스 상태로 공급하는 탄소 원료 공급 수단, Carbon raw material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carbon raw material in a gas state into the fluidized bed reactor; 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상기 가스를 상기 유동층 반응기내에 공급하는 제 2 가스 공급 수단, 및 Second gas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gas containing no carbon into the fluidized bed reactor, and 상기 유동층 반응기로부터 가스 및 비산 입자를 배출하는 배출 라인을 구비하고, A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gas and fugitive particles from the fluidized bed reactor, 상기 유동재가 유동가능한 제 1, 제 2 유동실을 상기 유동층 반응기내에 형성함과 더불어,In addition to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flow chambers in which the fluid can flow, the fluidized bed reactor, 상기 유동층 반응기와 상이한 별도의 유동층 반응기를 제 3 유동실로서 설치하고, Install a separate fluidized bed reactor different from the fluidized bed reactor as a third fluidized chamber, 상기 제 2 유동실로부터 상기 제 3 유동실에 유동재를 이송하는 이송 수단을 설치하고, A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a fluid from the second flow chamber to the third flow chamber, 상기 제 1 유동실에 상기 제 1 가스 공급 수단을 연결하고, Connecting the first gas supply means to the first flow chamber, 상기 제 2 유동실에 상기 탄소 원료 공급 수단을 연결하고, Connecting the carbon raw material supply means to the second flow chamber, 상기 제 3 유동실에 상기 제 2 가스 공급 수단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he second gas supply means to the third flow chamber. 제 19 항에 따른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하는 제조장치로서, A manufacturing apparatus used for carrying out the method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according to claim 19,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가 내부에 충전되고,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 및 내부에 환원 가스를 공급하는 제 1 가스 공급 수단을 갖는 제 1 유동층 반응기,A first fluidized bed reactor having the catalyst mixed fluid filled therein and having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interior and first gas supply means for supplying a reducing gas therein, 상기 제 1 유동층 반응기로부터 상기 유동재를 이송하는 이송 수단을 갖고, 내부에 상기 탄소 원료를 가스 상태로 공급하는 탄소 원료 공급 수단을 갖는 제 2 유동층 반응기,A second fluidized bed reactor having a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fluid from the first fluidized bed reactor and having a carbon raw material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carbon raw material in a gas state therein; 상기 제 2 유동층 반응기로부터 상기 유동재 및 반응 생성물을 이송하는 이송 수단을 갖고, 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상기 가스를 내부에 공급하는 제 2 가스 공급 수단을 갖는 제 3 유동층 반응기, 및A third fluidized bed reactor having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fluid and the reaction product from the second fluidized bed reactor, and having a second gas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gas containing no carbon therein, and 상기 제 3 유동층 반응기로부터 가스 및 비산 입자를 배출하는 배출 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line for discharging gas and fugitive particles from the third fluidized bed reactor. 제 4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제 1 유동층 반응기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 first fluidized bed reactor. 제 4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제 2 유동층 반응기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 second fluidized bed reactor. 제 4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제 3 유동층 반응기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 third fluidized bed reactor. 제 35 항, 제 36 항 및 제 39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5, 36 and 39-46,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평균 입경이 0.2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ombined catalyst fluid is 0.2 to 20 mm. 제 35 항, 제 36 항 및 제 39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5, 36 and 39-46,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가 상기 담체의 표면에 상기 촉매를 담지한 것 또는 그의 응집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An 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wherein the catalyst-compatible fluid includes the catalyst on the surface of the carrier or aggregates thereof. 제 35 항, 제 36 항 및 제 39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5, 36 and 39-46,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상기 담체가 카본블랙, 알루미나, 실리카, 실리카 모래 및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rier of the mixed catalyst fluid is selected from carbon black, alumina, silica, silica sand and aluminosilicate. 제 35 항, 제 36 항 및 제 39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5, 36 and 39-46,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상기 금속 촉매가 Fe, Ni, Co, Cu 및 Mo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An 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wherein the metal catalyst of the mixed catalyst fluid is any one of Fe, Ni, Co, Cu, and Mo,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제 35 항, 제 36 항 및 제 39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5, 36 and 39-46, 유동층내의 유속이 0.02 내지 2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The flow rate in the fluidized bed is 0.02 to 2m / s device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제 35 항, 제 36 항 및 제 39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5, 36 and 39-46, 0.1 내지 25기압의 압력하에 수소와 불활성 기체의 혼합가스(수소 분압 0% 내지 90%) 중에서 상기 촉매 겸용 유동재의 상기 촉매와 상기 탄소 원료를 3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일정 시간 접촉시킴으로써 섬유상 나노탄소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상 나노탄소의 제조장치.Fibrous nano by contacting the catalyst and the carbon raw material at a temperature of 300 ° C to 1300 ° C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mixed gas of hydrogen and an inert gas (hydrogen partial pressure 0% to 90%) under a pressure of 0.1 to 25 atmospheres. 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characterized in that to produce carbon. 삭제delete
KR1020057012202A 2005-06-28 2003-11-21 Carbon nano-rod and fibrous nano carb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fibrous nano carbon KR1006759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2202A KR100675992B1 (en) 2005-06-28 2003-11-21 Carbon nano-rod and fibrous nano carb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fibrous nano carb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2202A KR100675992B1 (en) 2005-06-28 2003-11-21 Carbon nano-rod and fibrous nano carb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fibrous nano carb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739A KR20060016739A (en) 2006-02-22
KR100675992B1 true KR100675992B1 (en) 2007-01-30

Family

ID=37124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202A KR100675992B1 (en) 2005-06-28 2003-11-21 Carbon nano-rod and fibrous nano carb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fibrous nano carb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99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6464A1 (en) * 2012-05-23 2013-11-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luidized bed reactor capable of varying flow velocity
KR20210121746A (en) * 2020-03-31 2021-10-08 한국전력공사 One dimensional porous dissimilar nanobelt, gas sensor using the same and gas sensor fabricat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596B1 (en) * 2015-01-20 2017-02-0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Heating furnace for carbon nanotube assembly produc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6464A1 (en) * 2012-05-23 2013-11-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luidized bed reactor capable of varying flow velocity
KR101354479B1 (en) * 2012-05-23 2014-01-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luidized bed reactor being able to change gas velocity
KR20210121746A (en) * 2020-03-31 2021-10-08 한국전력공사 One dimensional porous dissimilar nanobelt, gas sensor using the same and gas sensor fabricating method
KR102389583B1 (en) * 2020-03-31 2022-04-25 한국전력공사 One dimensional porous dissimilar nanobelt, gas sensor using the same and gas sensor fabrica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739A (en)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07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ibrous nanocarbon
EP1686203B1 (en) Carbon nano fibrous rod and fibrous nano carb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fibrous nano carbon
JP5436528B2 (en) Carbon nanotubes on carbon nanofiber substrate
JP4004502B2 (en) Method for producing ultrafine fibrous nanocarbon
JP4611595B2 (en) Carbide-based and oxycarbide-based compositions, rigid porous structures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s for producing and using the same
KR100907214B1 (en) Carbide and oxycarbide based compositions and nanorods
JP2015507597A (en) Novel secondary structure of carbon nanostructure, aggregate and composite including the same
JP2007246317A (en) Nanocarbon material composi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7230816A (en) Method for dispersing carbon material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rbon material
KR100675992B1 (en) Carbon nano-rod and fibrous nano carb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fibrous nano carbon
JP2006231107A (en) Catalyst for manufacturing nanocarbon material, catalyst fine particles, manufacturing method of catalyst for manufacturing nanocarbon material
KR100470764B1 (en) Multi-walled carbon nanotub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8037694A (en) Nanocarbon material production apparatus and nanocarbon material purification method
JP4160780B2 (en) Fibrous nanocarbon
JP2024506628A (en) Carbon nanotube hybrid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hybrid material
KR101040928B1 (en) Platelet carbon nano fib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KR100472123B1 (en) Preparation methode for fibrous nano cabon with hollow
KR100483803B1 (en) Preparation method for fibrous nano-carbon
KR100514186B1 (en) Hairy nano carbon material
JP2006231198A (en) Catalyst for producing nanocarbon material, its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nanocarbon material
Rao et al. Nanostructured forms of carbon: an overview
KR100726368B1 (en) Fibrous nano-carbon
KR100713609B1 (en) Fibrous carbon composed of two carbon nano-fibils
JP4511972B2 (en) Nanocarbon material production carrier, method for producing the carrier, nanocarbon material production apparatus
JP2004277925A (en) Coin-laminated type nanographit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catalyst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