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577B1 -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 - Google Patents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577B1
KR100675577B1 KR1020060066098A KR20060066098A KR100675577B1 KR 100675577 B1 KR100675577 B1 KR 100675577B1 KR 1020060066098 A KR1020060066098 A KR 1020060066098A KR 20060066098 A KR20060066098 A KR 20060066098A KR 100675577 B1 KR100675577 B1 KR 100675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pipe
air
joint
sew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영
Original Assignee
(주)정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정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066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5/00Pipe units with cleaning aperture and closure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가 흐름에 유동되지 못하고 관로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수관과 하수관을 연결하는 이음관에 에어를 이용하여 그 퇴적물을 지속적으로 부유시켜 배출흐름을 유도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원활한 하수관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하수관(10)과 하수관(10)을 연결하기 위한 이음관 구조에 있어서, 일렬로 서로 마주하는 하수관(10)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에어 연결포트(21)로부터 환형의 에어공급범위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내측부에 오폐수의 흐름방향과 동일한 분사방향으로 조정된 다수의 분사노즐(22)을 갖는 중공형 에어튜브(23)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에어튜브(23)로부터의 양측 플랜지(24) 상에 내접하여 연결되는 하수관(10)을 연결하기 위해 중공형 에어튜브(23)쪽으로 갈수록 높이차를 갖는 계단형 결착리브(25)를 포함하는 이음관(20)과; 상기 하수관(10)이 이음관(20)에 내접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계단형 결착리브(25)와 대향되는 하수관(10)의 내주면에 위치됨과 동시에 그 결착리브(25)의 계단형 홈(25a)에 걸어 하수관(10)을 이음관(20)으로부터 결착시키도록 하는 관 결착구(30); 및 이음관(20)의 상기 에어 연결포트(21)와 착탈결합방식에 의해 중공형 에어튜브(23)로 일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여 분사노즐을 통한 분사압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콤프레셔(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하수관, 이음관, 플랜지, 에어, 분사

Description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Joint pipe for sewer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수관, 12: 결착요부,
20: 이음관, 21: 에어 연결포트,
22: 분사노즐, 23: 중공형 에어튜브,
24: 플랜지, 25: 계단형 결착리브,
30: 관 결착구, 31: 관 스트랩,
32: 패킹, 40: 콤프레셔,
본 발명은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가 흐름에 유동되지 못하고 관로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수관과 하수관을 연결하는 이음관에 에어를 이용하여 그 퇴적물을 지속적으로 부유시켜 배출흐름을 유도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원활한 하수관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 등을 폐수처리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지하에 매설되는 하수관라인은 단순히 다수의 하수관들을 상호 연통시켜서 이루어진 수단인 것으로, 오폐수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별도의 장치나 구조를 이루는 대신 높이차 또는 초기 수압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하수관의 매설위치에 따라 높이차가 크지 않거나 수압이 작아지게 되면 그만큼 오폐수의 흐름이 정체되고, 이로 인해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던 각종 부유물 및 부식물질들이 하수관의 내벽을 부식시키거나 퇴적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증가되어 하수관 라인의 관리를 매우 불리하게 하였다.
최근 이러한 문제로 인해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하수관과 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이음관에 하수관에 퇴적되는 슬러지를 흐름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스크류부재의 설치가 제안되고 있으나, 상기 스크류부재는 강제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수단 없이 오폐수의 유속에 그 회전력을 제공받기 때문에 슬러지가 많지 않을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지만 슬러지가 어느 정도 퇴적되면 그 퇴적물이 오히려 회전상태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작동상 의문이 제기된다.
무엇보다 이러한 스크류부재는 하수관로 상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오폐수의 흐름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스크류에 퇴적물이 침적하 게 되면 하수관로를 완전히 막아버리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가 흐름에 유동되지 못하고 관로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수관과 하수관을 연결하는 이음관에 에어를 이용하여 그 퇴적물을 지속적으로 부유시켜 배출흐름을 유도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원활한 하수관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수관과 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이음관 구조에 있어서,
일렬로 서로 마주하는 하수관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에어 연결포트로부터 환형의 에어공급범위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내측부에 오폐수의 흐름방향과 동일한 분사방향으로 조정된 다수의 분사노즐을 갖는 중공형 에어튜브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에어튜브의 양측 플랜지 상에, 내접하여 연결되는 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해 중공형 에어튜브 쪽으로 갈수록 높이차를 갖는 계단형 결착리브를 포함하는 이음관과;
상기 하수관이 이음관에 내접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계단형 결착리브와 대향되는 하수관의 내주면에 위치됨과 동시에 그 결착리브의 계단형 홈에 걸어 하수관을 이음관으로부터 결착시키도록 하는 관 결착구; 및
이음관의 상기 에어 연결포트와 착탈결합방식에 의해 중공형 에어튜브로 일 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여 분사노즐을 통한 분사압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콤프레셔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일렬로 나란히 설치되는 하수관(10)과 하수관(10) 간의 결합매개체로써의 이음관(20)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이음관(20) 상에 에어를 공급시켜 퇴적된 오폐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강제적으로 오폐수의 흐름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이루는데 그 핵심요지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음관(2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서로 마주하는 하수관(10)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에어 연결포트(21)로부터 환형의 에어공급범위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내측부에 오폐수의 흐름방향과 동일한 분사방향으로 조정된 방사형으로 배치된 분사노즐(22)을 갖는 중공형 에어튜브(23)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에어튜브(23)로부터의 양측 플랜지(24) 상에, 내접하여 연결되는 하수관(10)을 연결하기 위해 중공형 에어튜브(23)쪽으로 갈수록 높이차를 갖는 계단형 결착리브(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계단형 결착리 브(25)는 플랜지(24)상에 형성된 것이지만 절결홈(26)에 의해 상기 플랜지(24)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며 그 절결홈(26)에 의해 자체탄성력이 부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수관(10)이 이음관(20)에 내접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계단형 결착리브(25)와 대향되는 하수관(10)의 내주면에 위치됨과 동시에 그 결착리브(25)의 계단형 홈(25a)에 걸어 하수관(10)을 이음관(20)으로부터 결착시키도록 하는 관 결착구(30)가 구성되는데, 상기 관 결착구(30)는 계단형 결착리브(25)의 계단형 홈(25a)에 걸려 이음관(20)과 그 이음관(20)에 내접하는 하수관(10) 모두를 압착하도록 하는 관 스트랩(31)과, 상기 이음관(20)의 절결홈(26)을 통해 오폐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32)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음관(20)에 내접하고 계단형 결착리브(25)와 마주하는 하수관(10)의 단부에는 관 결착구(30)와의 원활한 결합을 위해 결착요부(12)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음관(20)의 상기 에어 연결포트(21)와 에어호스(42)와의 착탈결합방식에 의해 중공형 에어튜브(23)로 일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여 분사노즐을 통한 분사압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콤프레셔(4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치는 먼저 하수관(10)의 센터링작업시 관과 관 사이에 위치시키되, 하수관(10)의 결착요부(12)와 이음관(20)의 계단형 결착리브(25)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하수관(10)의 외경이 이음관(20)의 내경으로 진입시킬 때 관 결착구(30)를 계단형 결착리브(25)와 결착요부(12)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관이음 연결을 시도한다.
하수관(10)의 관입이 완료되면 관 결착구(30)의 관 스트랩(31)을 양 관의 적정한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계단형 결착리브(25)의 계단형 홈(25a)에 걸려지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이음관(20)에 하수관(10)에 대한 4군데의 결착구조가 이루어지고, 나아가서 하수관(10)과 하수관(10)과의 연속적인 이음결합이 이루어진다.
하수관로로 흐르는 오폐수는 물보다 비중이 큰 이물질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이물질은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퇴적되고 고형화되는 슬러지가 되는데, 이러한 슬러지는 혈관의 혈전과 같이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는 치명적인 요소로 작용되기 때문에 일정한 기간내에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음관(20) 중공형 에어튜브(23)의 상단에 형성된 에어 연결포트(21)로 에어발생장치인 콤프레셔(40)를 에어호스(42)로 연결한 다음 작동시키면 분사노즐(22)을 통해 방사형으로 공기압이 분사되면서 퇴적된 슬러지를 부유시킴과 동시에 오폐수의 흐름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관과 관 사이의 이음구(20)에 적용시키게 되면 하수관(10) 내의 슬러지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하수관 내에 별도의 장치 구성없이 에어분사력만으로 고형화되는 슬러지를 용이하게 제거시킬 수 있어 종래에 비해 효율이 극대화됨과 동시에 에어분사력에 의해 오폐수의 유속을 증가시켜 슬러지가 퇴적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효과도 있으며, 또한 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하수의 자정기능이 증대되는 효과도 아울러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하수관(10)과 하수관(10)을 연결하기 위한 이음관 구조에 있어서,
    일렬로 서로 마주하는 하수관(10)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외주연 상부의 에어 연결포트(21)로부터 환형의 에어공급범위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내측부에 오폐수의 흐름방향과 동일한 분사방향으로 조정된 다수의 분사노즐(22)을 갖는 중공형 에어튜브(23)가 형성되며, 상기 양측 플랜지(24) 상에는 내접하여 연결되는 하수관(10)을 연결하기 위해 중공형 에어튜브(23)쪽으로 갈수록 높이차를 갖는 계단형 결착리브(25)가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이음관(20)과;
    상기 계단형 결착리브(25)와 대향되는 하수관(10)의 내주면에 위치되며, 결착리브(25)의 계단형 홈(25a)에 걸림고정되어 하수관(10)을 이음관(20)으로부터 결착시키도록 하는 관 결착구(30)와;
    이음관(20) 내부에 일정 압력의 에어를 공급하여 분사노즐을 통한 분사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이음관(20)의 상부에 중공형 에어튜브(23)를 통해 상기 에어 연결포트(21)와 착탈결합되는 콤프레셔(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
KR1020060066098A 2006-07-14 2006-07-14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 KR100675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098A KR100675577B1 (ko) 2006-07-14 2006-07-14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098A KR100675577B1 (ko) 2006-07-14 2006-07-14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5577B1 true KR100675577B1 (ko) 2007-01-30

Family

ID=38015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098A KR100675577B1 (ko) 2006-07-14 2006-07-14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5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8720A (zh) * 2020-08-07 2021-04-30 重庆铁马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管路清洗快速装夹装置及其装夹方法
CN112728260A (zh) * 2020-12-23 2021-04-30 秦玉娟 一种能够快速安装的沥青输送管路用连接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0133A (ja) 1987-05-29 1988-12-07 株式会社 パイプボ−イエンジニアリング 管路等の管理システム
JPH08108158A (ja) * 1994-07-11 1996-04-30 Showa Sangyo:Kk 管体クリーニング用インジェクター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管体のクリーニング方法
JP2003080193A (ja) 2001-09-12 2003-03-18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配管洗浄用ストレーナおよびその清掃方法
KR20060022141A (ko) * 2004-09-06 2006-03-09 주경원 자동 세정 하수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0133A (ja) 1987-05-29 1988-12-07 株式会社 パイプボ−イエンジニアリング 管路等の管理システム
JPH08108158A (ja) * 1994-07-11 1996-04-30 Showa Sangyo:Kk 管体クリーニング用インジェクター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管体のクリーニング方法
JP2003080193A (ja) 2001-09-12 2003-03-18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配管洗浄用ストレーナおよびその清掃方法
KR20060022141A (ko) * 2004-09-06 2006-03-09 주경원 자동 세정 하수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18720A (zh) * 2020-08-07 2021-04-30 重庆铁马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管路清洗快速装夹装置及其装夹方法
CN112718720B (zh) * 2020-08-07 2022-06-24 重庆铁马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管路清洗快速装夹装置及其装夹方法
CN112728260A (zh) * 2020-12-23 2021-04-30 秦玉娟 一种能够快速安装的沥青输送管路用连接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24370B (zh) 用于清洁管道的方法和装置
GB1578242A (en) Liquid sprinkling device of composite pipe type
JP7255830B2 (ja) 管路洗浄方法及び管路洗浄システム
CN101748913A (zh) 一种水池自动排污方法及其排污系统
KR100675577B1 (ko) 하수도용 이음관 구조
US5941273A (en) Drain trap apparatus
CN209524199U (zh) 一种可拆式防结垢内衬管
JP5545475B2 (ja) ノズルヘッダー
KR20060022141A (ko) 자동 세정 하수관
JP2005180569A (ja) 止水プラグ及びバイパスシステム
KR200395213Y1 (ko) 세면기용 배수트랩
EA200901420A1 (ru) Продувочный бак
KR102466379B1 (ko) 관로 세척용 스마트 피그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세척방법
KR101997552B1 (ko) 침수 방지 시스템
KR101316939B1 (ko)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
RU215472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устья нефтяных скважин
CN211922885U (zh) 一种低压快排盆腔管道机构
CN210917588U (zh) 一种管道排污结构
CN204081027U (zh) 一种埋地式排污系统
WO2012030307A1 (en) Innovation in assembly – disassembly systems and o-ring groove of plastic pipe fitting couplings
US20240159036A1 (en) French drain drainpipe
CN217535578U (zh) 一种污水处理中硝化池的自动消泡装置
CN217854972U (zh) 一种纤维转盘滤布滤池
KR200311980Y1 (ko) 하수의 유속을 가속시키는 하수도용 이음관
CN211774382U (zh) 新型给排水工程排污管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