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4498B1 - 치과용 실시간 원격 판독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용 실시간 원격 판독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498B1
KR100674498B1 KR1020030064134A KR20030064134A KR100674498B1 KR 100674498 B1 KR100674498 B1 KR 100674498B1 KR 1020030064134 A KR1020030064134 A KR 1020030064134A KR 20030064134 A KR20030064134 A KR 20030064134A KR 100674498 B1 KR100674498 B1 KR 100674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er
reading
terminal
digital image
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7762A (ko
Inventor
최순철
이삼선
허민석
Original Assignee
최순철
이삼선
허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순철, 이삼선, 허민석 filed Critical 최순철
Priority to KR102003006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4498B1/ko
Publication of KR20050027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498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판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의학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내 방사선 사진의 판독에 적합하고, 판독의뢰자가 원격지의 판독자로부터 실시간으로 판독결과를 수신할 수 있는 원격판독 시스템 및 원격판독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의뢰용 디지털 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디지털영상과 의뢰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며, 판독결과 수신시 알람신호를 발생하는 의뢰자 단말과, 상기 디지털영상과 의뢰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수신시 알람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판독의뢰 영상에 대한 판독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의뢰자 단말로 송신하는 판독자 단말을 포함한다.
원격판독, 치과용 의료 영상, 방사선 판독

Description

치과용 실시간 원격 판독 시스템 및 방법 {Real time teleinterpret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ntistr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판독 시스템의 개요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격판독 시스템의 시그널 흐름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뢰자 단말 및 영상획득 장치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판독자 단말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웹서버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판독자용 텍스트 윈도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원격 판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의학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내 방사선 사진을 포함한 의료영상의 판독에 적합하고, 판독의뢰자가 원격지의 판독자로부터 실시간으로 판독결과를 수신할 수 있는 원격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격판독 시스템은 직접디지털영상이나 방사선사진을 디지털 영상으로 전환한 간접디지털영상을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지의 판독자에게 전송하고 그 판독 결과를 전송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종래의 원격판독 시스템은 주로 원격지 의사들 사이의 정보 교환을 목적으로 연구되었기 때문에 환자 증례에 대한 토론, 원격지의 장비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한 후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실시간으로 영상과 음성을 전달하는 방식이 개발되어 있으나 주로 의사들 사이의 의견 교환을 위하여 개발된 시스템으로 치과의 의료 체계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 내지는 종래 기술은 KR 출원번호 1999-21674호, KR 출원번호 2000-19637호, KR 출원번호 2001-11624호 등이 있다. 이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1) 상기 1999-21674호는 '의료영상 저장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검사결과의 조회시간을 줄이고, 검사에서 얻어지는 의료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2) 상기 2000-19637호는 '컴퓨터 통신망과 보안장치를 이용한 건강 기록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분산관리 되었던 환자의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유기적으로 통합 관리하여, 통합적인 개인 건강정보 저장, 관리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3) 상기 2001-11624호는 '병원내 의료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 그리고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병원간 의료전달 체계의 어려움을 줄이고, 개선된 PACS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은 치과 진료 환경에 적합한 시스템을 개시하지 못하며, 단지 환자의 진료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을 뿐이다.
또한 치의학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내 방사선사진은 크기가 작을 뿐만 아니라 판독해야 하는 구조물이 매우 미세하여 진단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원격지의 판독전문가로부터 실시간으로 즉시 판독결과를 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은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치과 진료 환경에 적합하며, 판독의뢰자가 원격지의 판독자로부터 실시간으로 판독결과를 수신할 수 있는 원격판독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독의뢰자 및 판독자가 용이하고 저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원격판독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치과용 원격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의뢰용 디지털 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디지털영상과 의뢰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며, 판독결과 수신시 알람신호를 발생하는 의뢰자 단말과, 상기 디지털영상과 의뢰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수신시 알람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판독의뢰 영상에 대한 판독결과를 입력하여 상기 의뢰자 단말로 송신하는 판독자 단말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흐름은 의뢰자가 진료하는 치과병원에서 판독의뢰하고자 하는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한 후, 판독자측으로 전송하고, 판독자는 의뢰된 방사선 영상을 실시간으로 판독한 후 결과를 즉시 의뢰자에게 전송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판독 시스템의 개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원격판독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은 방사선 사진을 디 지털 영상으로 획득하는 영상획득 장치(10), 의뢰인측에 설치되는 개인용 컴퓨터 등의 의뢰자 단말(20),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30) 판독자측에 설치되는 개인용 컴퓨터 등의 판독자 단말(40), 원격판독용 툴을 제공하고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서버(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30)는 이동통신망(60)과 연결될 수 있으며, 판독의뢰자 또는 판독자의 이동단말(70)로 판독의뢰건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판독자가 판독업무 수행중에도 다른 판독 의뢰건이 발생하였음을 알려주기 위하여 휴대전화에 문자등을 송신하여 실시간 판독이 수행되도록 한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원격판독 시스템의 시그널 흐름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웹서버(50)는 원격판독시스템을 위한 홈페이지를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하며, 판독의뢰자용 프로그램과 판독자용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즉, 210단계에서, 상기 의뢰자 단말(20)은 웹서버(50)로 접속하여 판독의뢰자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하고, 상기 판독자용 단말(40)은 웹서버(50)로 접속하여 판독자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설치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판독의뢰자와 판독자가 동시에 접속한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CD 또는 디스켓을 통해 단말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판독의뢰자용 프로그램 및 상기 판독자용 프로그램은 P2P 통신 기능을 지원한다. 따라서, 상기 의뢰 단말(20)과 상기 판독자 단말(40)은 상기 웹서버(50)를 거치지 않고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220단계에서, 상기 의뢰자 단말(20)은 소정 영상획득장치(10)에 의해 판독용 영상을 획득한다. 상기 영상획득장치(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230단계에서, 상기 의뢰자 단말(20)은 획득한 판독용 영상데이터를 상기 판독자 단말(40)로 전송한다. 상기 판독자 단말(40)은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면, 판독의뢰건이 발생하였음을 알람기능을 통해 판독자에게 알려준다. 이때, 상기 의뢰자 단말(20)은 이동통신망으로 의뢰건이 발생하였음을 통보하여, 판독자의 이동단말(70)로 문자메시지등을 송신하게 된다.
판독이 완료되면, 240단계에서, 상기 판독자 단말(40)은 상기 의뢰자 단말(20)로 판독결과 데이터를 전송한다.
235단계, 245단계, 250단계는 변형예로써, 단말간 P2P 통신이 아닌, 상기 웹서버(50)를 통해 의뢰자 단말(20)과 판독자 단말(40)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진행되는 과정이다. 즉, 상기 의뢰자 단말(20)이 상기 웹서버(50)에 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하면, 상기 웹서버(50)가 상기 판독자 단말로 의뢰건이 발생하였음을 통보하고, 판독자 단말은 245단계에서 판독결과를 상기 웹서버(50)로 전송한다. 이후, 250단계에서, 상기 의뢰자 단말은 상기 웹서버(50)를 통해 판독결과를 확인한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의뢰자 단말 및 영상획득 장치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영상획득장치(10)는 스케너 또는 디지털카메라를 통해 방사선필름으로부터 디지털 영상을 획득하거나, 의료검사장치로부터 촬영사진을 필름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디지털변환부에서 디지털포멧으로 변환하거나, CCD 센서를 이용하여 직접 디지털 영상을 획득한다. 또한 상기 영상획득장치(10)는 이미지플레이트(image plate, PSP plate)를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웹서버(50)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의뢰자 단말(20)에 설치되는 의뢰자용프로그램은 인터페이스모듈(21), 알람모듈(25), 송수신모듈(27) 제어모듈(29)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의뢰자용 프로그램은 부가적인 기능으로, 판독자와 대화를 위한 채팅창을 제공한다.
의뢰자가 디지털 영상을 상기 의뢰자 단말(20)에서 관찰하는 방법은 1)방사선 필름을 디지털 영상으로 전환한 경우에는 전용 뷰어가 없으므로 일반 그래픽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관찰 가능하고, 2) CCD센서 또는 이미지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지털영상 전용 뷰어가 있으므로 이를 통해 관찰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모듈(21)은 상기 영상획득장치(10)로부터 디지털 영상을 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디지털영상 전용 뷰어를 사용하는 경우 환자의 영상, 환자의 이름, 나이, 성별,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을 포함하는 판독의뢰정보를 기입하는 의뢰자용 텍스트 윈도우를 디스플레이장치(도시하지 않음) 상에 제공하여 의뢰자가 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의뢰자용 텍스트 윈도우는 판독자 정보(병원명, 전화번호, 주소 등)의 검색기능을 제공하여 의뢰자가 판독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송수신모듈(27)은 의뢰용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고, 판독결과를 수신하여 이를 알람모듈로 통보하는 기능과, 채팅창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알람모듈(25)은 판독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알람기능을 통해 판독결과가 도착하였음을 알려준다. 여기서 알람기능은 경고음 또는 화면의 깜빡임 등을 이용한다.
상기 제어모듈(29)은 원격판독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며, 판독의뢰 정보를 관리하고, 의뢰자 단말(20)에 적합하게 원격판독시스템을 구동한다. 예를 들면, 의뢰자가 디지털 영상 장치가 없어 전용 뷰어가 없는 경우 모니터 상에 보이는 영상을 캡춰하여 상기 송수신 모듈(27)을 통해 직접 판독자 단말로 상기 캡춰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과, 전송하는 영상이 여러 매일 경우 이를 결합하여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29)은 BMP, TIF, GIF, JPG등의 모든 형식의 영상 파일을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의뢰자 단말(20)의 구성을 통해, 의뢰자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에서는 의뢰자가 의뢰한 건에 대한 영상 및 판독결과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다른 병원으로 환자를 보내는 경우 영상을 상기 다른 병원으로 보낼 수 있으며, 상기 웹서버(50) 등을 통해 영상을 공개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판독자 단말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판독자 단말(40)의 기본적인 기능은 의뢰된 영상을 확인하고, 의뢰된 영상에 대한 판독문 작성, 기타 데이터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웹서버(50)로부터 다운로드되어 판독자 단말(40)에 설치되는 판독자용프로그램은 송수신모듈(41), 알람모듈(45), 제어모듈(47), 인터페이스모듈(49)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독자용 프로그램은 부가적인 기능으로, 판독자와 대화를 위한 채팅창을 제공하며, 영상의 축소 확대 등 PACS 뷰어가 가진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송수신모듈(41)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알람모듈(45)로 이를 통보하거나, 판독결과를 송신하고, 채팅창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리고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는 소정 데이터베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된다.
상기 알람모듈(45)은 판독의뢰용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알람기능을 통해 의뢰건이 있음을 알려준다. 여기서 알람기능은 경고음 또는 화면의 깜빡임 등을 이용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49)은 의뢰건에 대한 판독의뢰정보를 판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판독자용 텍스트 윈도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판독자용 텍스트윈도우는 의뢰건에 대한 환자 정보(예를 들어 주소, 기왕력, 주민등록번호)와 의뢰자가 작성한 문구를 디스플레이 하여 판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의뢰자 정보(병원명, 의뢰자 명, 전화번호 등) 검색 창과, 의뢰자의 치과병원정보(주소명, 면허번호, 전화번호)의 표시란과, 판독문 작성란을 제공한다. 그리고, 판독의뢰건에 대한 진행단계별 현황, 즉 '판독의뢰', '판독중', '판독완료', '전송완료'등을 디스플레이 하여 판독자가 진행상황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판독자용 텍스트윈도우의 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제어모듈(47)은 판독자 측 원격판독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며, 판독의뢰 정보를 관리하고, 판독자 단말(40)에 적합하게 원격판독시스템을 구동한다. 예를 들면, 의뢰건이 생기면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 창에서 상단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판독의뢰건에 대한 진행단계별 현황을 관리한다. 그리고 소정 타이머와 연동하여 판독의뢰시간, 판독결과 전송시간을 관리하며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판독문 작성 관리를 위해 판독문 작성 중에 다른 판독자가 판독 중인 건을 선택하지 못하도록 제어하고, 소정 시간(예를 들어 3분)동안 판독문 작성 작업의 중단이 계속되면, 자동으로 위 기능을 해제한다.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웹서버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서버(50)는 원격판독시스템을 위한 홈페이지를 제공한다. 상기 웹서버(50)의 기본적인 기능은 의뢰자 측으로 의뢰건에 대한 검색기능을 제공하고,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며, 데이터의 보안 문제를 해결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송수신모듈(51)은 홈페이지를 통해 접속하는 단말들과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여기서 상기 홈페이지에서는 원격판독의 원리와 배경, 디지털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제어모듈(53)은 의뢰자의 경우 본인이 판독을 의뢰한 건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웹서버(50)를 제어하고, 타 병원에서 환자 정보의 의뢰 시, 영상을 획득한 병원측의 허가가 있는 경우에만 정보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데이터 관리 모듈(55)은 데이터베이스(57)을 관리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상 기 데이터베이스(57)에 저장된 원격판독시스템을 위한 프로그램을 판독자 및 판독의뢰자 단말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55)은 상기 데이터베이스(57)에 저장되는 판독의뢰정보 및 판독결과 정보 등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서 외부기억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데이터의 백업 등을 수행하고, 데이터보안용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장치를 관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해, 치과 진료 환경에 적합하고, 판독의뢰자가 원격지의 판독자로부터 실시간으로 판독결과를 수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판독자 및 판독의뢰자는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원격판독시스템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면, 추가적인 하드웨어의 설치 없이 원격판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저렴하고 손쉽게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한 실험에 의해, 사용자 10인이 각각 1매의 구내 디지털 영상을 이용하여 원격판독시스템을 통하여 판독소견서를 받은 결과 각각 다른 시간에 의뢰한 경우에는 약 60초, 동시에 의뢰한 경우에는 약 5분 54초의 판독 소요 시간이 걸렸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원격판독시스템은 원격지의 치과에서 환자 진료 중에 실시간으로 디지털영상 판독 결과를 교환하기에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6)

  1. 치과용 원격판독시스템에 있어서,
    스캐너 또는 디지털카메라를 포함하는 판독용 디지털영상 획득장치를 통해 방사선필름으로부터 디지털영상을 획득하는 방식, 의료검사장치로부터 촬영사진을 필름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디지털변환부에서 디지털포맷으로 변환하는 방식, 또는 CCD 센서 또는 이미지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직접 디지털영상을 획득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하여 얻어진 디지털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디지털영상과 의뢰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며, 판독결과 수신시 알람신호를 발생하는 의뢰자 단말과,
    상기 디지털영상과 의뢰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시 알람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판독의뢰 영상에 대한 판독결과를 판독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의뢰자 단말로 송신하되 그 과정에서 판독의뢰건에 대한 진행단계별 현황을 디스플레이하며, 타이머와 연동되어 판독의뢰시간, 판독결과 전송시간을 관리 및 디스플레이하는 판독자 단말과,
    상기 의뢰자 단말과 상기 판독자 단말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며, 판독의뢰정보 및 판독결과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아울러 홈페이지를 통하여 의뢰자와 판독자에게 각각 판독의뢰용 프로그램과 판독자용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웹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원격판독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자 단말은 판독문 작성관리를 위해 판독자가 다른 판독자가 판독 중인 건을 선택하지 못하도록 제어하고, 소정 시간 동안 판독문 작성 작업의 중단이 계속될 경우 자동으로 위 기능을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원격판독시스템.
  3. 치과용 원격판독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웹서버로부터 의뢰자 단말은 판독의뢰용 프로그램을, 판독자 단말은 판독자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와,
    상기 의뢰자 단말이 스캐너 또는 디지털카메라를 포함하는 판독용 디지털영상 획득장치를 통해 방사선필름으로부터 디지털영상을 획득하는 방식, 의료검사장치로부터 촬영사진을 필름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디지털변환부에서 디지털포맷으로 변환하는 방식, 또는 CCD 센서 또는 이미지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직접 디지털영상을 획득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하여 얻어진 디지털영상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의뢰자 단말이 상기 디지털 영상에 대한 의뢰정보를 입력받아 영상데이터 및 의뢰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판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판독자 단말은 상기 데이터 수신시, 판독자에게 알람기능을 통하여 판독의뢰사실을 알리고, 판독자로부터 판독문을 입력받아 판독결과를 상기 의뢰자 단말로 전송하되 그 과정에서 판독의뢰건에 대한 진행단계별 현황을 디스플레이하며, 타이머와 연동되어 판독의뢰시간, 판독결과 전송시간을 관리 및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원격판독 서비스 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자 단말은
    판독문 작성관리를 위해 판독자가 다른 판독자가 판독 중인 건을 선택하지 못하도록 제어하고, 소정 시간 동안 판독문 작성 작업의 중단이 계속될 경우 자동으로 위 기능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원격판독 서비스 제공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030064134A 2003-09-16 2003-09-16 치과용 실시간 원격 판독 시스템 및 방법 KR100674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134A KR100674498B1 (ko) 2003-09-16 2003-09-16 치과용 실시간 원격 판독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134A KR100674498B1 (ko) 2003-09-16 2003-09-16 치과용 실시간 원격 판독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762A KR20050027762A (ko) 2005-03-21
KR100674498B1 true KR100674498B1 (ko) 2007-01-29

Family

ID=3738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134A KR100674498B1 (ko) 2003-09-16 2003-09-16 치과용 실시간 원격 판독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44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9948A1 (ko) * 2015-06-09 2016-12-15 주식회사 헤셀 의료영상을 모바일기기에 전송하는 의료영상 전송방법 및 장치, 및 모바일기기와 원격진료의료기관의 원격판독장치 간에 의료영상 및 원격판독결과를 송수신하는 의료영상 및 판독결과 중계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5705A1 (en) * 2007-02-07 2008-09-04 Wayne Po-Wen Liu Remotely controlled real-time and virtual lab experimentation systems and metho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9948A1 (ko) * 2015-06-09 2016-12-15 주식회사 헤셀 의료영상을 모바일기기에 전송하는 의료영상 전송방법 및 장치, 및 모바일기기와 원격진료의료기관의 원격판독장치 간에 의료영상 및 원격판독결과를 송수신하는 의료영상 및 판독결과 중계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762A (ko) 200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32283A1 (en) Dental treatment support system and X-ray sensor for the same
US9223932B1 (en) Handheld medical imaging mobile modality
JP6148962B2 (ja) 診療記録転送方法、診療記録送信装置、診療記録受信装置及び診療記録管理システム
Kim et al. Instant wireless transmission of radiological images using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hone for emergency teleconsultation
CN100419777C (zh) 医学图像x-射线摄影系统和便携式x-射线摄影信息设备
US20070049815A1 (en) Enablement of quick remote access to ct scans to improve workflow and patient throughput
KR102182579B1 (ko) 전자차트와 치과용 프로그램 간 연동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치과용 보험청구 시스템
CN112071387A (zh) 一种自动化医学影像的电子胶片和检查报告获取方法及系统
CN111883235A (zh) 基于医学影像的数字胶片及报告的获取方法及系统
JP5393905B1 (ja) 診療記録管理システム、診療記録受信装置、診療記録送信装置、及び診療記録管理プログラム
KR20010002074A (ko) 의료영상 저장관리 시스템
JP2004097635A (ja) X線画像撮影装置
KR100674498B1 (ko) 치과용 실시간 원격 판독 시스템 및 방법
US7680678B2 (en) Diagnostic support system and method used for the same
JP2004265077A (ja) 患者情報提供方法
JP6532742B2 (ja) 診療記録転送装置、診療記録転送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124512A (ko) 엑스선 영상 획득 장치 및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엑스선 영상 시스템
JP2010194116A (ja) 医用画像診断装置、医用画像保管装置及び医用画像保管通信システム
JP2012103645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6822459B2 (ja) 医療画像分類システム、医療画像分類装置、医療画像分類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51584A (ja) 医療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
JP2010131034A (ja) 医用画像システム
JP2001175784A (ja) 電子カルテ装置および紹介状伝送装置
KR101837848B1 (ko) 긴급 의료영상 판독 알림 방법
KR101185729B1 (ko) 의료 영상 조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