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4110B1 -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110B1
KR100674110B1 KR1020050062901A KR20050062901A KR100674110B1 KR 100674110 B1 KR100674110 B1 KR 100674110B1 KR 1020050062901 A KR1020050062901 A KR 1020050062901A KR 20050062901 A KR20050062901 A KR 20050062901A KR 100674110 B1 KR100674110 B1 KR 100674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key
blurriness
video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007A (ko
Inventor
강해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Priority to KR1020050062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4110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럭키(Blocky)와 블러리니스(Blurriness)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측정 대상 비디오의 비디오 신호를 소정 블럭 단위로 분할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분할된 각 블럭에 대해 상기 블럭키를 인지하여 블럭키값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측정된 상기 블럭키값이 임계점 이상인 경우, 넌블럭킹 필터를 적용하여 상기 블럭키를 제거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블럭키가 제거된 블럭키 제거 비디오에 대해 상기 블러리니스를 인지하여 블러리니스값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블럭키와 블러리니스의 상호 간섭을 없애기 위해 블럭키값을 측정한 후 넌블럭킹 필터를 적용하여 블럭키를 제거하고, 블럭키가 제거된 제거 비디오에 대해 블러리니스를 측정함으로써, 종래의 블럭키의 측정 방법 및 블러리니스의 측정 방법이 상호 독립적이지 못해 별개로 측정될 수밖에 없었던 것을 해결하여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동시에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는 효과가 있다.
블럭키, 블러리니스, 비디오 품질, 넌블럭킹 필터

Description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Video Quality by Using Blocky and Blurriness}
도 1은 블럭키/블러리니스가 발생한 현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키 측정부의 내부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이산 코사인 변환으로 영상을 변환시킨 경우의 블럭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모자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러리니스 측정부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을 간단히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러리니스 측정부에서 블러리니스값을 측정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분할 처리부 102: 블럭키 측정부
104: 블럭키 처리부 106: 블러리니스 측정부
200: 블럭 계산부 202: 차이 계산부
204: 블럭키값 산출부 500: 에지 탐색부
502: 위치 결정부 504: BEW 계산부
506: 블러리니스 산출부
본 발명은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인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측정하되, 블럭키와 블러리니스의 상호 간섭을 없애기 위해 블럭키값을 측정한 후 넌블럭킹 필터를 적용하여 블럭키를 제거하고, 블럭키가 제거된 제거 비디오에 대해 블러리니스를 측정함으로써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동시에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비디오 품질 측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품질을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원본 비디오를 참조하여 수행되는 참조-기반(Reference-Based) 접근 방법 및 원본 비디오를 참조하지 않고 수행되는 비참조-기반(No Reference-Based) 접근 방법이 있다.
참조-기반 접근 방법은 넓은 범위의 왜곡 타입 및 의도된 신호에 대한 비디오 품질의 사람의 주관적 등급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정확하다. 그러나 직접 방송 위성(DBS: Direct Broadcast Satellite), 케이블 및 인터넷 방송과 같이 응용 분야를 위한 디지털 비디오 네트워크에서,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는 처리 또는 전송된 신호의 비교에 대해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참조 신호가 사용 가능하지 않은 조건 하에서 디지털 비디오 영상 품질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신뢰도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를 위한 비참조-기반 접근 방법으로 비디오 품질의 우수함 또는 하락을 측정하기 위한 자동화된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 있다. 전반적인 비디오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기준으로는 블럭키(Blocky), 블러리니스(Blurriness), 색 매칭(Color Matching), 링잉(Ringing), 선명도(Sharpness), 클리핑(Clipping), 잡음(Noise), 콘트래스트(Contrast), 일시적인 손상(Temporal Impairments) 등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이러한 측정 기준 중 블럭키와 블러리니스가 주요하게 인지되는 핵심 요소이다. 도 1a는 블럭키가 발생한 현상을 보여주고 있고, 도 1b는 블러리니스가 발생한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인간은 이러한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독립적으로 인지하게 되는 반면 현존하는 블럭키의 측정 방법 및 블러리니스의 측정 방법은 인간의 인지 체계와 달리 두 요소를 상호 독립적으로 측정하지 못한다. 따라서, 도 1a와 같이 압축율을 높여 발생한 블럭키는 인간에게는 왜곡된 현상으로 인지되지만, 블러리니스 측정 과정에서는 이러한 왜곡 현상인 블럭키를 실제 경계로 판단하고 블러리니스를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블럭키로 인해 발생된 거짓 경계 영역으로 인하여 오히려 영상의 경계가 뚜렷해져 영상이 좋아졌다고 판단하게 되는 결과가 발생하므로 이러 한 블러리니스 측정 방법은 왜곡 요소를 정밀하게 측정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인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측정하되, 블럭키와 블러리니스의 상호 간섭을 없애기 위해 블럭키값을 측정한 후 넌블럭킹 필터를 적용하여 블럭키를 제거하고, 블럭키가 제거된 제거 비디오에 대해 블러리니스를 측정함으로써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동시에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비디오 품질 측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럭키(Blocky)와 블러리니스(Blurriness)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측정 대상 비디오의 비디오 신호를 소정 블럭 단위로 분할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분할된 각 블럭에 대해 상기 블럭키를 인지하여 블럭키값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측정된 상기 블럭키값이 임계점 이상인 경우, 넌블럭킹 필터를 적용하여 상기 블럭키를 제거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블럭키가 제거된 블럭키 제거 비디오에 대해 상기 블러리니스를 인지하여 블러리니스값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 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블럭키(Blocky)와 블러리니스(Blurriness)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측정 대상 비디오의 비디오 신호를 소정 블럭 단위로 분할하는 분할 처리부; 상기 분할 처리부에서 분할된 각 블럭에 대해 상기 블럭키를 인지하여 블럭키값을 측정하는 블럭키 측정부; 상기 블럭키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블럭키값이 임계점 이상인 경우, 넌블럭킹 필터를 적용하여 상기 블럭키를 제거하는 블럭키 제거부; 및 상기 블럭키 제거부에서 상기 블럭키가 제거된 블럭키 제거 비디오에 대해 상기 블러리니스를 인지하여 블러리니스값을 측정하는 블러리니스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장치를 간단히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장치는 분할 처리부(100), 블럭키 측정 부(102), 블럭키 제거부(104) 및 블러리니스 측정부(10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할 처리부(100)는 측정 대상 비디오의 비디오 신호를 소정 블럭 단위로 분할하는 기능을 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할 처리부(100)에서는 전체 영상을 작은 크기의 다수의 소영상으로 나누어 소영상들 내에서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신호는 블럭 기반으로 압축된 동영상 신호를 재생한 신호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키 측정부(102)는 분할 처리부(100)에서 분할된 각 블럭에 대해 블럭키를 인지하여 블럭키값을 측정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블럭키는 서로 다르게 처리된 영상을 갖는 블럭들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불연속성으로 인하여 화면이 왜곡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키 측정부(102)의 내부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키 측정부(102)는 블럭 계산부(200), 차이 계산부(202) 및 블럭키값 산출부(2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 계산부(200)는 임의의 비디오 프레임에 대한 블럭의 화소값의 블럭 평균 및 블럭을 둘러싸고 있는 블럭들의 화소값의 주변 블럭 평균을 계산하는 기능을 한다. 즉, 각각의 8 X 8 블럭에 대한 화소값의 블럭 평균 및 8 X 8 블럭을 둘러싸고 있는 24 X 24 블럭의 화소값의 주변 블럭 평 균을 계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이 계산부(202)는 블럭 계산부(200)에서 계산된 블럭 평균 및 주변 블럭 평균 사이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키값 산출부(204)는 차이 계산부(202)에서 계산된 차이값을 원본 비디오 프레임의 블럭값에 더하여 블럭키값을 산출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키 제거부(104)는 블럭키 측정부(102)에서 측정된 블럭키값이 임계점 이상인 경우, 넌블럭킹 필터(Non Blocking Filter)를 적용하여 블럭키를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넌블럭킹 필터를 적용하는 방법으로는 이산 코사인 변환(DCT: Discrete Cosine Transformation) 방법 또는 모자익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산 코사인 변환 방법은 블럭에 대한 영상을 영상 주파수 영역으로 전환하여 블럭키를 제거하는 방식이다. 즉, 블럭에 대한 영상을 이산 코사인 변환한 후, 변환된 값의 기하 평균을 구하고 이를 역 이산 코사인 변환하여 원영상을 복원하는 방식으로 블럭키를 제거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산 코사인 변환 방법은 8 X 8 블럭을 단위로 적용되며,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수학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5037723483-pat00001
여기서, F(u, v)는 이산 코사인 변환 결과, N=M=8을 나타내며, A(
Figure 112005037723483-pat00002
)는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5037723483-pat00003
이처럼 이산 코사인 변환으로 영상을 변환시킬 경우, 이산 코사인 변환의 첫 값을 DC(Direct Current) 값이라 부르고, 이 값은 8 X 8 블럭의 평균 에너지를 나타내는 값이 된다. 이를 나타낸 것이 도 3인데, 도 3에서 동그라미로 표시한 부분이 DC 값을 나타낸다.
이렇게 구해진 평균 에너지들에 대하여 주위의 블럭(Neighbor Block)과 기하 평균을 취하고, 다시 이 값을 역 이산 코사인 변환(IDCT: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ation)하여 원영상을 복원하는 방식으로 블럭키를 제거한다.
만약 원 영상이 압축을 하지 않은 자연 영상일 경우, DC 값은 주변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제거할 블럭키가 별로 없게 된다. 그러나 원 영상이 압축에서 복원된 영상인 경우, 주변의 8 X 8 블럭과 기하 평균값은 큰 차이를 보이게 되므로 제거할 블럭킹도 많아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넌블럭킹 필터를 적용하는 또다른 방법으로 모자익 방법이 있다. 모자익 방법은 블럭에 대한 원 영상에 가상의 선을 정하고,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픽셀(Pixel) 값들의 이동 평균을 구하여 블럭키를 제거하는 것이다.
도 4는 모자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4에서 음영으로 표시된 8 번째 블럭을 중심으로 이동 평균을 구한다. 여기서, 영상의 좌표를 (i, j)라고 하면 X 축의 이동 평균은 수학식 3과 같고, Y 축의 이동 평균은 수학식 4와 같다.
L(i-2,j) = (L(i-3,j) + L(i-1,j) )/2
L(i-1,j) = (L(i-2,j) + L(I,j) )/2
L(i,j) = (L(i-1,j) + L(i+1,j) )/2
L(i+1,j) = (L(I,j) + L(i+2,j) )/2
L(i+2,j) = (L(i,j) + L(i+3,j) )/2
L(i,j-2) = (L(i,j-3) + L(i,j-1) )/2
L(i,j-1) = (L(i,j-2) + L(i,j) )/2
L(i,j) = (L(i,j-1) + L(i,j+1) )/2
L(i,j+1) = (L(i,j) + L(i,j+2) )/2
L(i,j+2) = (L(i,j) + L(i,j+3) )/2
즉, 이처럼 블럭 부분(i = 8, 16, 24... j = 8, 16, 24...)을 이동 평균하면 블럭 부분의 윤곽선인 블럭키가 제거되는 효과를 보이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러리니스 측정부(106)는 블럭키 제거부(104)에서 블럭키가 제거된 블럭키 제거 비디오에 대해 블러리니스를 인지하여 블러리니스값을 측정하는 기능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러리니스 측정부(106)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러리니스 측정부(106)는 블럭키 제거부(104)에서 제거된 블럭키 제거 비디오의 수직 에지(Vertical Edge)를 탐색하는 에지 탐색부(500), 에지 탐색부(500)에서 탐색된 수직 에지에 대응되는 픽셀(Pixel)에 대해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를 정하는 위치 결정부(502), 위치 결정부(502)에서 결정된 종료 위치(End Position)와 시작 위치(Start Position)의 차이인 블러 에지 폭(BEW: Blur Edge Width)을 계산하는 BEW 계산부(504) 및 블럭키 제거 비디오의 모든 픽셀에 대한 블러 에지 폭의 평균을 계산하여 블러리니스값을 산출하는 블러리니스 산출부(50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의 자세한 동작은 도 7의 순서도와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을 간단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할 처리부(100)에서는 측정 대상 비디오의 비디오 신호를 소정 블럭 단위로 분할한다(S610).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키 측정부(102)에서는 분할 처리부(100)에서 분할된 각 블럭에 대해 블럭키를 인지하여 블럭키값을 측정한다(S62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키 제거부(104)에서는 블럭키 측정부(102)에서 측정된 블럭키값이 임계점 이상인지를 판단(S630)하여, 임계점 이상인 경우 넌블럭킹 필터를 적용하여 블럭키를 제거한다(S64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러리니스 측정부(106)에서는 블럭키 제거부(104)에 의해 블럭키가 제거된 블럭키 제거 비디오에 대해 블러리니스를 인지하여 블러리니스값을 측정한다(S650).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러리니스 측정부(106)에서 블러리니스값을 측정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블러리니스 측정부(106)의 에지 탐색부(500)에서는 블럭키 제거부(104)에서 제거된 블럭키 제거 비디오의 수직 에지를 탐색한다(S700). 현재 픽셀이 마지막 픽셀이 아니고 현재 위치에 수직 에지가 있으면, 블러리니스 측정부(106)의 위치 결정부(502)에서는 해당 수직 에지의 종료 위치(End Position)와 시작 위치(Start Position)를 결정한다(S740).
다음으로, 블러리니스 측정부(106)의 BEW 계산부(504)에서는 종료 위치와 시작 위치의 차이로 정의되는 블러 에지 폭(BEW: Blur Edge Width)을 계산하고(S750), 이렇게 계산된 블러 에지 폭은 이전 픽셀의 블러 에지 폭에 더하여진다(S760). 이러한 과정이 블럭키 제거 비디오의 모든 픽셀에 대해 행해지면, 블러리니스 측정부(106)의 블러리니스 산출부(506)에서는 모든 픽셀에 대해 계산된 총 블러 에지 폭(TotBM)을 에지의 수(Nb)로 나누어 블러 에지 폭의 평균을 계산하고, 이 렇게 해서 계산된 블러 에지 폭의 평균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러리니스값이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블럭키와 블러리니스의 상호 간섭을 없애기 위해 블럭키값을 측정한 후 넌블럭킹 필터를 적용하여 블럭키를 제거하고, 블럭키가 제거된 제거 비디오에 대해 블러리니스를 측정함으로써, 종래의 블럭키의 측정 방법 및 블러리니스의 측정 방법이 상호 독립적이지 못해 별개로 측정될 수밖에 없었던 것을 해결하여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동시에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블럭키(Blocky)와 블러리니스(Blurriness)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측정 대상 비디오의 비디오 신호를 소정 블럭 단위로 분할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분할된 각 블럭에 대해 상기 블럭키를 인지하여 블럭키값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측정된 상기 블럭키값이 임계점 이상인 경우, 넌블럭킹 필터를 적용하여 상기 블럭키를 제거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블럭키가 제거된 블럭키 제거 비디오에 대해 상기 블러리니스를 인지하여 블러리니스값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는 블럭 기반으로 압축된 동영상 신호를 재생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키는 서로 다르게 처리된 영상을 갖는 블럭들 경계에서 발생하는 불연속성으로 인하여 화면이 왜곡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은 원본 비디오를 참조하지 않고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임의의 비디오 프레임의 상기 블럭의 화소값의 블럭 평균 및 상기 블럭을 둘러싸고 있는 블럭들의 화소값의 주변 블럭 평균을 계산하는 단계;
    (b2) 상기 블럭 평균 및 상기 주변 블럭 평균 사이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b3) 상기 차이값을 원본 비디오 프레임의 블럭값에 더하여 상기 블럭키값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블럭키를 제거하는 방법은 이산 코사인 변환(DCT: Discrete Cosine Transformation) 방법 또는 모자익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 코사인 변환 방법은 상기 블럭에 대한 영상을 영상 주파수 영역으로 전환하여 상기 블럭키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익 방법은 상기 블럭에 대한 원 영상에 가상의 선을 정하고, 상기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픽셀(Pixel) 값들의 이동 평균을 구하여 상기 블럭키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블럭키 제거 비디오의 수직 에지(Vertical Edge)를 탐색하는 단계;
    (d2) 상기 수직 에지에 대응되는 픽셀(Pixel)에 대해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 를 정하는 단계;
    (d3) 상기 종료 위치와 상기 시작 위치의 차이인 블러 에지 폭(Blur Edge Width)을 계산하는 단계; 및
    (d4) 상기 블럭키 제거 비디오의 모든 픽셀에 대한 상기 블러 에지 폭의 평균을 계산하여 상기 블러리니스값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
  10. 블럭키(Blocky)와 블러리니스(Blurriness)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측정 대상 비디오의 비디오 신호를 소정 블럭 단위로 분할하는 분할 처리부;
    상기 분할 처리부에서 분할된 각 블럭에 대해 상기 블럭키를 인지하여 블럭키값을 측정하는 블럭키 측정부;
    상기 블럭키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블럭키값이 임계점 이상인 경우, 넌블럭킹 필터를 적용하여 상기 블럭키를 제거하는 블럭키 제거부; 및
    상기 블럭키 제거부에서 상기 블럭키가 제거된 블럭키 제거 비디오에 대해 상기 블러리니스를 인지하여 블러리니스값을 측정하는 블러리니스 측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는 블럭 기반으로 압축된 동영상 신호를 재생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키는 서로 다르게 처리된 영상을 갖는 블럭들 경계에서 발생하는 불연속성으로 인하여 화면이 왜곡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키 측정부는,
    임의의 비디오 프레임의 상기 블럭의 화소값의 블럭 평균 및 상기 블럭을 둘러싸고 있는 블럭들의 화소값의 주변 블럭 평균을 계산하는 블럭 계산부;
    상기 블럭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블럭 평균 및 상기 주변 블럭 평균 사이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차이 계산부; 및
    상기 차이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차이값을 원본 비디오 프레임의 블럭값에 더하여 상기 블럭키값을 산출하는 블럭키값 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키 제거부는 이산 코사인 변환(DCT: Discrete Cosine Transformation) 방법 또는 모자익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블럭키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 코사인 변환 방법은 상기 블럭에 대한 영상을 영상 주파수 영역으로 전환하여 상기 블럭키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익 방법은 상기 블럭에 대한 원 영상에 가상의 선을 정하고, 상기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픽셀(Pixel) 값들의 이동 평균을 구하여 상기 블럭키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러리니스 측정부는,
    상기 블럭키 제거 비디오의 수직 에지(Vertical Edge)를 탐색하는 에지 탐색부;
    상기 에지 탐색부에서 탐색된 상기 수직 에지에 대응되는 픽셀(Pixel)에 대해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를 정하는 위치 결정부;
    상기 위치 결정부에서 결정된 상기 종료 위치와 상기 시작 위치의 차이인 블러 에지 폭(BEW: Blur Edge Width)을 계산하는 BEW 계산부; 및
    상기 블럭키 제거 비디오의 모든 픽셀에 대한 상기 블러 에지 폭의 평균을 계산하여 상기 블러리니스값을 산출하는 블러리니스 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 장치.
KR1020050062901A 2005-07-12 2005-07-12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방법 및 장치 KR100674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901A KR100674110B1 (ko) 2005-07-12 2005-07-12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901A KR100674110B1 (ko) 2005-07-12 2005-07-12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007A KR20070008007A (ko) 2007-01-17
KR100674110B1 true KR100674110B1 (ko) 2007-01-24

Family

ID=3801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901A KR100674110B1 (ko) 2005-07-12 2005-07-12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41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928B1 (ko) * 2008-06-09 2010-06-23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비디오 프레임의 체감 품질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785A (ko) * 2002-05-18 2003-11-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 분석 방법 및 시스템
JP2004201290A (ja) * 2002-12-18 2004-07-15 Sharp Corp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並びに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60048033A (ko) * 2004-05-21 2006-05-18 오츠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플레이의 평가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785A (ko) * 2002-05-18 2003-11-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 분석 방법 및 시스템
JP2004201290A (ja) * 2002-12-18 2004-07-15 Sharp Corp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並びに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60048033A (ko) * 2004-05-21 2006-05-18 오츠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플레이의 평가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007A (ko)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8596B1 (ko) 움직임 벡터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움직임 추정 시스템과,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프레임을 변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298642B1 (ko) 영상 잡음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1112139B1 (ko) 부호화된 영상의 확대비 및 노이즈 강도 추정장치 및 방법
KR960033130A (ko) 영상 신호 처리기에 대한 일시적 및 공간적 오류 제거 장치 및 방법
WO2005060272A1 (en) Image and video quality measurement
US80364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loss of detail in a video codec block
KR20110111106A (ko) 객체추적 및 로이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156117B1 (ko) 영상 검출 장치 및 영상 검출 방법
KR101037940B1 (ko) 압축 영상의 화질 검출장치 및 방법
KR101004064B1 (ko) 영상정합 처리장치 및 영상정합방법
KR100674110B1 (ko) 블럭키와 블러리니스를 이용하여 비디오 품질을 측정하는방법 및 장치
JP5523142B2 (ja) 信号フィルタ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イメージ整列方法
KR20200099834A (ko) 움직임 검출을 수행하는 방법 및 움직임 검출을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KR20060058703A (ko) 블럭 아티팩트 검출
Kwon et al. Motion compensated subband coding of video acquired from a moving platform
JP429488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用プログラム
Rajani et al. Video error concealment using block matching and frequency selective extrapolation algorithms
WO2011102867A1 (en) A universal blurriness measurement approach for digital imagery
Chen et al. A joint motion-image inpainting method for error concealment in video coding
Lee Edge statistics-based image scale ratio and noise strength estimation in DCT-coded images
JP6078431B2 (ja) 映像品質推定装置、映像品質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347811A (en) Measuring blockiness in decoded video images
JP2012175411A (ja) 画質評価装置、画質評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864238B1 (ko) 압축 영상의 블록킹 현상 제거 방법
KR20020007708A (ko) 영상 신호의 잡음 크기 추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