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613B1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613B1
KR100673613B1 KR1020040003606A KR20040003606A KR100673613B1 KR 100673613 B1 KR100673613 B1 KR 100673613B1 KR 1020040003606 A KR1020040003606 A KR 1020040003606A KR 20040003606 A KR20040003606 A KR 20040003606A KR 100673613 B1 KR100673613 B1 KR 100673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emo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5552A (ko
Inventor
이민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스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스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스피아
Priority to KR1020040003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613B1/ko
Publication of KR20050025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련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애정과 관심의 정도를 감지하는 각종 감지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기 감정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그에 따른 반응을 결정하고 반응 결정정보에 따라 각종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탑재된다.
이 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단말기는 사용자가 애정과 관심을 주면 그에 따라 감정을 갖고 동작하여 단말기 사용자에게 또다른 즐거움을 줄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감정, 상태정보, 온도센서, 터치센서, 가속도센서, 카메라, 반응결정부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Digital cellular phone}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제어부 11:터치센서
12:온도센서 13:가속도센서
14:통신부 15:벨소리 출력부
16:음성출력부 17:표시부
18:모터부 19:발광부
20:진동부
105:외부상태 감지부 110:감정 생성부
115:반응결정부 120:출력제어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련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애정과 관심의 정도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감정을 표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얼마 전 까지만 해도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통화 혹은 문자/음성 전송 등의 통신서비스만을 제공하는 통신장치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통신기능 외에 게임/동영상 다운로드, 인터넷 검색 등 다양한 오락기능을 제공하는 장치가 되고 있다.
이에 본원 발명자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마치 애완동물과 같이 관심과 애정을 갖고 사용하면 그에 따라 단말기가 감정을 갖고 반응하도록 단말기에 새로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탑재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락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애정과 관심의 정도를 감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감정을 표출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애정과 관심의 정도를 감지하는 각종 감지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기 감정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그에 따 른 반응을 결정하고 반응 결정정보에 따라 각종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탑재된다.
이 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단말기는 사용자가 애정과 관심을 주면 그에 따라 감정을 갖고 동작하여 단말기 사용자에게 또다른 즐거움을 줄 수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드형 폰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폴더형 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형 폰은 액정표시장치가 장착된 폴더부(400)와 키패드 및 메인 회로 기판이 장착된 본체부(500)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은 사용자의 애정과 관심도 예컨대, 사용자의 접촉빈도 또는 통화빈도가 높아지면 단말기 감정이 상승하여 「기쁨」이나「즐거움」을 의미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현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은 화면 표시 외에 벨소리, 음성, 컬러풀한 발광, 진동, 모터 구동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단말기 감정을 표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크게 기존의 무선 단말기에 공통되는 구성인 제어부(10) 및 그 부속회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속회로들은 각종 감지센서들(11,12,13)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되는 통신신호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는 통신부(14)와,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카메라(CAM)와,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MIC)와, 각종 출력부(15,16,17,18,19,20)를 포함한다.
터치센서(11)는 사용자의 물리적인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이고, 온도센서(12)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신체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이고, 가속도센서(13)는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상기 감지센서들(11,12,13)은 단말기 소정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들(11,12,13)은 이미 공지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4)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신호를 송수신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14)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 및 알에프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통신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통신회로는 다양한 버젼의 CDMA방식 뿐 아니라 셀룰라, GSM, W-CDMA 방식 등 현존하는 방식은 물론, 향후에 등장할 이동통신 방식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벨소리출력부(15)는 벨소리 재생부와 벨소리 메모리와 D/A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벨소리 재생부는 제어부(1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벨 소리 음원 데이터가 저장된 벨소리 메모리로부터 해당 벨 소리의 음원을 추출한다. 일실 시예에 있어서, 상기 벨소리 재생부는 야마하(YAMAHA) 모바일 오디오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D/A변환기는 벨소리 재생부로부터 재생되어 출력되는 벨 소리 음원을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앰프(도시하지 않음.)와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벨 소리 음원은 상기 통신부(14)를 통해 벨소리를 제공하는 왑(WAP) 서버로부터 다운받을 수 있다.
음성출력부(16)는 음성합성부와 음성메모리와 D/A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0)는 음성출력부(16)로 음성 합성을 위한 텍스트정보를 출력하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음성합성부는 상기 텍스트정보를 해석하는 텍스트 해석부와 규칙 합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메모리는 파형 데이터 형태로 저장된 음소편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원DB와, 각 단어의 품사 정보나 읽기, 액센트 등의 정보가 기술된 단어DB와, 상기 단어DB에 기술된 단어에 대한 문법 규칙 정보가 기술된 문법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텍스트 해석부는 단어DB 및 문법DB에 기초하여 제어부(10)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의 형태소 해석이나 구문 해석을 포함하는 텍스트 해석을 수행하고, 액센트, 억양, 강도 등을 포함하는 운율정보와 각 단어의 발음을 나타내는 음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규칙 합성부는 상기 텍스트 해석부로부터 입력되는 운율정보와 각 단어의 발음을 나타내는 음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DB로부터 필요한 음소편 데이터를 읽어 들여 이를 접속하고 또한, 음소편 데이터의 파형을 가공하고, 또한, 액센트, 억양, 강도 등을 적절하게 부가함으로써, 합성음 데이터를 생성한다.
D/A변환기는 음성합성부로부터 재생되어 출력되는 합성음 데이터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앰프(도시하지 않음.)와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표시부(17)는 문자나 그래픽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액정 표시 장치가 채택될 수 있다. 통상 액정표시장치는 입력되는 표시 데이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액정패널과, 백라이트(backlight)가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백라이트 조명이 안내되어 확산되는 도광판(light guide)과, 백라이트를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부(18)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구동부는 제어부(10)로부터 입력되는 폰의 감정상태에 대응하는 모터구동 데이터를 입력받아 다양한 모터 구동을 연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은 안테나(도시하지 않음.)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상하 구동되도록 구현된 경우 사용자의 애정과 관심의 정도에 따라 상기 안테나의 다양한 상하 구동을 연출할 수 있다.
발광부(19)는 백라이트(backlight)와 상기 백라이트를 구동하는 백라이트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백라이트 구동부는 제어부(10)로부터 폰의 감정상태에 대응하는 발광패턴 데이터를 입력받아 다양한 백라이트 조명이 연출되도록 백라이트를 구동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는 통상 RGB의 삼색의 조합에 의한 컬러풀한 조명색을 발광할 수 있는 단일 패키징의 엘이디(LED)가 채택될 수 있다.
진동부(20)는 진동모터와 상기 진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진동모터 구동부를 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 구동부는 제어부(10)로부터 폰의 감정상태에 대응하는 모터구동 데이터를 입력받아 다양한 진동 패턴을 연출되도록 진동모터를 구동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널리 사용되는 편평형 코아리스 진동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0)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와 메모리와 주변장치들이 집적된 칩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수행한다. 이하, 상기 제어부(1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0)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애정과 관심의 정도를 감지하는 외부상태 감지부(105)와, 상기 감지부(105)로부터 입력되는 애정/관심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 감정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감정 생성부(110)와, 상기 감정 생성부(110)로부터 입력되는 단말기 감정 상태정보에 따른 반응을 결정하는 반응 결정부(115)와, 상기 반응 결정부(115)로부터 입력되는 반응 결정정보에 따라 단말기 감정을 표출하도록 각종 출력부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제어부(10)를 구성하는 각각의 블럭들(105,110,115,120)은 중앙처리장치에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 형태로 구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상태 감지부(105)는 터치센서(1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누적하고, 상기 누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접촉 빈도 및 양상을 감지하는 단말 접촉 감지부를 포함한다. 단말기 접촉 빈도는 예컨 대, 사용자가 얼마나 자주 접촉하였는가를 의미하며, 접촉 양상은 「쓰다듬다」,「때리다」,「장난하다」등의 행위작용을 의미한다. 부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은 터치센서(11)로부터 사용자 접촉이 감지되면 항상「기쁨」이나「즐거움」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감정이 투영된 접촉행위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감정을 표출하도록 구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상태 감지부(105)는 온도센서(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누적하고, 상기 누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휴대 여부를 감지하는 단말 휴대 감지부를 포함한다. 부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은 온도센서(12)로부터 감지된 감지 온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손에 휴대하고 있는지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온도는 신체 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오랫동안 휴대하지 않으면「분노」나「슬픔」의 감정을 표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상태 감지부(105)는 가속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누적하고, 상기 누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휴대 양상을 감지하는 단말 휴대 양상 감지부를 포함한다. 단말 휴대 양상은 예컨대, 사용자가 단말기를 가만히 휴대하고 있는지 혹은 단말기를 상하 좌우로 흔들고 있는지를 의미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은 단말기의 흔들림 정도가 임계치를 초과하게 되면「분노」나「슬픔」의 감정을 표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상태 감지부(105)는 통신부(도 2의 14)를 통해 송수신되는 통신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동안의 호 발신 횟수 또는 호 착신 횟수를 감지하는 단말 사용 감지부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은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내에 걸려오는 전화가 없을 때, 혹은 전화를 걸지 않을 때,「분노」나「슬픔」의 감정을 표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은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전화를 걸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상태 감지부(105)는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표정 또는 움직임 또는 주위의 밝기를 감지하는 외부환경 감지부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은 사용자의 표정에 따라「기쁨」이나「슬픔」의 감정을 표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은 주위의 밝기에 따라「두려움」이나「기쁨」의 감정을 표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외부환경 감지부는 화상인식부와 얼굴패턴DB와 얼굴감정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인식부는 입력되는 화상정보 중에서 특징적인 요소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얼굴 중에서의 눈, 입, 광대뼈의 부분을 각각 인식하여, 얼굴 중에서의 눈, 입, 눈썹, 광대뼈의 각각의 상대적인 위치을 검출한다. 또한, 화상인식부는 표정변화에 따르는 눈, 입, 눈썹, 광대뼈 각각의 위치의 변화 및 머리를 흔드는 등의 표현을 검출하기 위해서 위치의 추적을 수행한다.
얼굴패턴DB에는 얼굴 중에서의 눈, 입, 눈썹, 광대뼈 각각의 위치에 관한 기준위치 정보, 즉 사용자의 평상시의 얼굴의 표정에 해당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얼굴패턴DB에는 얼굴의 표정의 변화와 6종류의 감정, 바람직하게는 기쁨, 분노, 두려움, 슬픔, 즐거움, 놀람의 각각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규칙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얼굴감정검출부는 화상인식부가 인식한 눈, 입, 눈썹, 광대뼈의 각각의 위치와 얼굴패턴DB에 저장된 기준위치의 정보를 사용하여 특징량, 즉 평상시의 위치에 대한 표정의 차이를 검출한다. 또한, 얼굴감정검출부는 검출한 특징량의 변화 및 변화의 속도와 얼굴패턴DB에 저장된 규칙정보에 따라서, 감정 기쁨, 분노, 두려움, 슬픔, 즐거움, 놀람의 감정상태를 추정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상태 감지부(105)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정 감지부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감정 감지부는 입력되는 사용자 목소리(음성)의 억양 또는 강도 또는 템포를 검출하여 현재의 인간의 감정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감정 생성부(110)는 상기 외부상태 감지부(105)로부터 입력되는 애정/관심 정보 즉, 단말기 접촉 빈도 및 양상 정보, 단말 휴대 여부정보, 단말 휴대 양상정보, 통신모니터링정보, 외부환경정보, 사용자 감정 상태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최종적인 단말 감정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감정 상태정보는 임의의 값을 갖는 감정 파라미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감정 파라미 터는 상기 외부상태 감지부(105)로부터 입력되는 애정/관심 정보에 기초하여 값이 상하로 변동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감정 생성부(110)는 과거의 단말기 감정상태정보와 외부상태 감지부(105)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애정/관심 정보의 양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 감정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감정 생성부(110)는 반응 결정부(115)로 출력되는 단말기 감정 상태정보를 피드백하고, 상기 피드백 된 단말기 감정 상태정보와 상기 외부상태 감지부(105)로부터 입력되는 애정/관심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 감정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감정 생성부(110)는 상기 외부상태 감지부(105)로부터 동일한 애정/관심 정보가 입력되더라도, 과거의 단말 감정 상태에 따라 다른 단말 감정상태정보를 생성하도록 구현된다. 부연하면, 감정 생성부(110)는「때린다」는 행동 정보에 대응하는「분노」나「두려움」의 감정 상태정보 출력하여 피드백한 경우, 외부상태 감지부(105)로부터 사용자가 웃는 표정이 입력되더라도 감정 생성부(110)는「분노」나「두려움」의 감정 상태정보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반응 결정부(115)는 상기 감정 생성부(110)로부터 입력되는 단말기 감정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동작을 결정하며, 반응 패턴DB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반응 패턴DB에는 화면 표시, 벨소리, 음성, 발광, 진동, 모터 구동 패턴이 저장되며, 또한 단말기 감정 상태정보와 상기 화면 표시, 벨소리, 음성, 발광, 진동, 모터 구동 패턴 각각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규칙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 제어부(120)는 상기 반응 결정부(115)로부터 입력되는 반응 결정정보에 따라 단말기 감정을 표출하도록 각종 출력부를 제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출력 제어부(120)는 표시화면에 단말기 감정에 대응하는 임의의 캐릭터를 이용한 표정이 연출되도록 표시부(17)를 제어하는 표시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는 동물, 식물, 사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캐릭터를 이용한 표정 연출은 캐릭터가 동물, 예컨대 '개'로 구현된 경우, 단말기 감정 상태 정보에 따라 혀를 내밀거나 앞발을 들어올리거나 꼬리를 흔들거나 또는 성장하는 화면으로 표시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캐릭터를 이용한 표정 연출은 캐릭터가 식물로 구현된 경우, 단말기 감정 상태 정보에 따라 꽃을 피운다든지 줄기를 성장시키는 화면으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출력 제어부(120)는 발광부를 통해 단말기 감정에 대응하는 다양한 발광 패턴이 연출되도록 상기 발광부(19)를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발광 제어부는 단말기의 감정 상태가 좋을 수록 발광 색도값을 강렬한 색상을 할당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 패턴은 빨강->주황->노랑->초록->파랑->남색->보라->빨강의 순으로 미리 정해져 있고, 발광 제어부는 단말 감정 상태에 따라 예컨대, 단말기 감정이 매우 좋은 경우에는 발광 패턴의 순환을 빨리하고 단말기 감정이 안 좋은 경우 발광 패턴의 순환을 느리게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출력 제어부(120)는 단말기 감정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음성출력부(16)를 제어하는 음성 출력 제어부를 더 포 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 제어부는 단말기의 감정 상태정보에 따른 음성 합성을 위한 텍스트정보를 음성출력부(16)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출력 제어부(120)는 단말기 감정에 대응하는 다양한 벨소리 신호가 출력되도록 벨소리 출력부(15)를 제어하는 벨소리 출력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벨소리 출력 제어부는 단말기의 감정 상태가 좋을 수록 경쾌하고, 비트가 빠른 벨소리가 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출력 제어부(120)는 단말기 감정에 대응하는 다양한 모터 구동이 연출되도록 모터부(18)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터 제어부는 단말기의 감정 상태가 좋을 수록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상하 구동되는 안테나 또는 슬라드이 폰의 폴더부(도 1의 400)의 상하, 좌우 구동이 빠르고, 화려하게 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모터 제어부는 출력되는 벨소리에 맞춰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부(18)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출력 제어부(120)는 단말기 감정에 대응하는 다양한 진동 패턴이 연출되도록 진동부(20)를 제어하는 진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제어부는 단말기의 감정 상태가 「두려움」이나「슬픔」혹은「분노」상태일 경우 상기 진동부(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진동이 발생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마치 애완동물과 같이 애정과 관심을 주면 그에 따라 감정을 갖고 동작하여 단말기 사용자에게 또다른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삭제
  2.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애정과 관심의 정도를 감지하는 외부상태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애정/관심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 감정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감정 생성부와;
    상기 감정 생성부로부터 입력되는 단말기 감정 상태정보에 따른 반응을 결정하는 반응 결정부와;
    상기 반응 결정부로부터 입력되는 반응 결정정보에 따라 단말기 감정을 표출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정 생성부가 상기 반응 결정부로 출력되는 단말기 감정 상태정보를 피드백하고, 상기 피드백 된 단말기 감정 상태정보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애정/관심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 감정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가:
    접촉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누적하고, 상기 누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접촉 빈도 및 양상을 감지하는 단말 접촉 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가:
    온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누적하고, 상기 누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휴대 여부를 감지하는 단말 휴대 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가:
    가속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누적하고, 상기 누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휴대 양상을 감지하는 단말 휴대 양상 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통신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동안의 호 발신 횟수 또는 호 착신 횟수를 감지하는 단말 사용 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가: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표정 또는 움직임 또는 주위의 밝기를 감지하는 외부환경 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감지하는 사용자 감정 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가:
    표시부 화면에 단말기 감정에 대응하는 임의의 캐릭터를 이용한 표정이 연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표시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삭제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가:
    단말기 감정에 대응하는 발광 패턴이 연출되도록 발광부를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가:
    단말기 감정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는 음성 출력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가:
    단말기 감정에 대응하는 벨소리 신호가 출력되도록 벨소리 출력부를 제어하는 벨소리 출력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가:
    단말기 감정에 대응하는 다양한 모터 구동이 연출되도록 모터부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가:
    단말기 감정에 대응하는 다양한 진동 패턴이 연출되도록 진동부를 제어하는 진동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03606A 2004-01-17 2004-01-17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73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606A KR100673613B1 (ko) 2004-01-17 2004-01-17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606A KR100673613B1 (ko) 2004-01-17 2004-01-17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552A KR20050025552A (ko) 2005-03-14
KR100673613B1 true KR100673613B1 (ko) 2007-01-24

Family

ID=37383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606A KR100673613B1 (ko) 2004-01-17 2004-01-17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6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381B1 (ko) 2008-10-29 2015-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가상객체 표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640B1 (ko) * 2005-07-29 2007-03-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 기록을 이용한 사용 지수 산출 방법및 그 장치
US8442832B2 (en) 2008-12-08 2013-05-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context awareness and method using the same
WO2014119900A1 (ko) * 2013-01-29 2014-08-07 Lee Jong Sik 인간의 감정 또는 성향 기반으로 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스마트 기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KR20140096935A (ko) * 2013-01-29 2014-08-06 이종식 인간의 감정 또는 성향 기반으로 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스마트 기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544A (ko) * 2003-10-13 2005-04-19 학교법인 순천향대학 로보틱 휴대용 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544A (ko) * 2003-10-13 2005-04-19 학교법인 순천향대학 로보틱 휴대용 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381B1 (ko) 2008-10-29 2015-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가상객체 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552A (ko) 2005-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47234B (zh) 一种模型训练方法、合成说话表情的方法和相关装置
US778810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for notification of emotion
CN107580113B (zh) 提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7212839B2 (en) Visualization supplemented wireless mobile telephony-audio
US68977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sing an illumination pattern
KR20040030964A (ko) 정보전달장치, 정보전달방법 및 모니터장치
US847167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inger movement based musical tone generation and related methods
CN110992927B (zh) 音频生成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计算设备
CN109801618A (zh) 一种音频信息的生成方法和装置
EP1195979B1 (en) Control of synchronous display of melody information and different information 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70049799A (ko)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색상이 변하는 스마트 워치
KR1006736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1771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움직임에 종속한 사운드를 생성하는장치 및 방법
KR101229574B1 (ko)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상태에 따라 반응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과, 상기 통신단말기에서의 마이크 위치 제어 방법
JP4075349B2 (ja) 電子書籍装置および電子書籍データ表示制御方法
KR20070023863A (ko) 사용자 움직임 인식을 통한 캐릭터 몸매 관리가 가능한이동통신 단말기
US20040054519A1 (en) Language processing apparatus
CN108053821A (zh) 生成音频数据的方法和装置
KR20070076942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작곡 장치 및 방법
CN111596841B (zh) 图像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200260160Y1 (ko) 키톤 갱신/출력 시스템
KR20130012250A (ko) 애니메이션 실행이 지원되는 만화 스토리 형식의 모바일 채팅 시스템
CN105139862B (zh) 铃声处理方法及装置
JP7143579B2 (ja) 音声入力装置
KR100349799B1 (ko) 통화 단말기 및 통화 단말기의 음상변환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