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595B1 - 푸스틴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푸스틴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595B1
KR100673595B1 KR1020050018587A KR20050018587A KR100673595B1 KR 100673595 B1 KR100673595 B1 KR 100673595B1 KR 1020050018587 A KR1020050018587 A KR 1020050018587A KR 20050018587 A KR20050018587 A KR 20050018587A KR 100673595 B1 KR100673595 B1 KR 100673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ustin
disease
neurodegenerative diseases
fust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7846A (ko
Inventor
김정애
박희준
최종원
박병철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18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595B1/ko
Publication of KR20060097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 A61F13/12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face
    • A61F13/12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face specially adapted for the ey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97Plasters use eye pa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95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radioac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Psych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푸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도파민신경 독성물질에 의한 신경세포의 손상 및 사멸을 저해하므로, 파킨슨병 등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옻나무, 푸스틴, 파킨슨병

Description

푸스틴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comprising fustin}
도 1a 및 도 1b는 도파민신경 특이적 독성물질에 의한 신경세포 생존률 감소에 대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파민신경 특이적 독성물질에 의한 신경세포 아팝토시스 유도에 대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파민신경 특이적 독성물질에 의한 케스페이즈-3의 활성 증가에 대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파민신경 특이적 독성물질에 의한 ROS 발생에 대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도파민신경 독성물질에 의한 신경세포의 손상 및 사멸을 저해하므로, 파킨슨병 등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매우 유용한 푸 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퇴행성 신경질환이란 중추신경계 퇴행성 질환으로, 도파민(dopamine)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만드는 신경세포가 손상되어 도파민이 부족해지면서 균형을 유지하던 아세틸콜린이 우세하여 나타나는 만성, 진행성 운동신경계 질환이며, 이러한 질환의 주요증상은 손이나 팔, 다리, 얼굴 등이 떨리는 진전이나 팔다리나 몸이 뻣뻣해지는 경직, 움직임이 느려지는 운동완서, 균형을 잡지 못하는 자세 불안정 등으로 나타난다. 대표적인 퇴행성 신경질환으로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또는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 등을 들 수 있다.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은 간뇌의 변성 또는 동맥경화적인 변화를 주로 한 중추신경계의 퇴행성 질환으로, 운동장애가 주증상이며, 정상인의 뇌에서 흑색질이라는 부위의 신경세포들이 변성되고 이 곳에서 만들어지는 신경전달 물질인 도파민이 결핍되어 초래된다.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은 노인에서의 치매의 원인 중 가장 흔한 형태로, 뇌의 전반적인 위축, 뇌실의 확장, 신경섬유의 다발성 병변(neurofibrillary tangle)과 초로성 반점(neuritic plaque) 등의 병리조직학적 특징을 나타내며, 점진적인 기억, 판단, 언어능력 등 지적인 기능의 감퇴와 일상생활능력, 인격, 행동양상의 장애를 초래한다.
일명 루게릭 병으로 불리는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은 대뇌와 척수의 운동신경 세포가 파괴되어 이 세포의 지배를 받는 근육이 점점 힘을 잃어가는 퇴행성 신경질환으로, 근위축, 근력약화, 섬유속성연축 등의 임상적인 증상을 나타낸다.
한편,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는 옻나무과(Anacardiaceae)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중앙아시아 고원지대 및 히말라야 지방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전세계적으로 열대지방을 중심으로 한 아열대지방과 온대지방에 널리 분포하고 있고, 낙엽 또는 상록성으로 대부분이 교목 또는 관목성이나 일부는 덩굴성으로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arkley Fred Alexander., Ann. of the Missouri Bot. Garden., 24(3), pp265-500, 1937).
옻나무는 예로부터 식품 첨가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종양세포의 증식 억제 작용 및 간세포의 해독 효과를 증가시키고 항염증 작용이 있어 치료용 약재로도 사용되어 왔다. 또, 옻나무의 사부에서 분비되는 수액은 도로포장 등에 도료로서 사용하여 왔다. 옻나무의 주성분은 우루시올(urushiol)이며, 그외 푸스틴, 피세틴, 부테인 등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2-2096호에는 옻나무로부터 알레르겐을 제거하는 방법과 옻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숙취해소 효과가 개시된 바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01-111159호에는 옻나무로부터 알러지 유발물질인 우루시올계 화합물을 제거한 추출물 및 각 유기용매 분획의 항암, 간염바이러스 억제활성, 간기능 개선, 숙취효과 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옻나무로부터 얻어진 푸스틴에 대한 연구는 많이 되어 있지 않고, 특히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뇌의 도파민신경 세포의 손상과 사멸을 억제함으로써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한 의약 개발에 매진한 결과, 옻나무의 성분 중 하나인 푸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이 뇌신경세포의 독성물질로 인한 손상을 억제하는 것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푸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옻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푸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용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푸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옻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푸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옻나무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푸스틴은 도파민 신경손상을 유의적으로 차단하므로, 도파민 신경의 손상으로 야기되는 신경질환 특히,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푸스틴은 옻나무 추출물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로 함유되어 있고, 이때 옻나무 추출물은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된 것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된 옻나무 추출물을 사용한다.
상기 퇴행성 신경질환은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또는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 등이다.
도 1에서는 푸스틴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농도의존적으로 도파민신경 독성물질로 인한 세포의 생존률 감소를 유의적으로 차단하며, 도 2에서는 푸스틴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도파민신경 독성물질로 인한 세포의 아팝토시스를 예방하고, 도 3에서는 푸스틴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도파민신경 독성물질로 인한 케스페이즈-3의 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차단하며, 도 4에서는 푸스틴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도파민신경 독성물질로 인한 세포의 활성산소종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 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이나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고,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푸스틴을 0.1 - 20 중량부로 포함하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푸스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담체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100 내지 300 m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푸스틴은 실험동물에 복강투여시 IC50이 20 mg/kg 이상인 안전한 화합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을 위한 식품 또는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 푸스틴의 양은 전체 식품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하며,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로는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합성 또는 천연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식품 100 중량부 당 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옻나무 추출물로부터 푸스틴의 제조
1. 옻나무 조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옻나무는 1998년도 가을 한국 강원도에서 채집하여 상지대학교 자원식물학과 윤세영 교수에서 검증을 받았으며, 검증받은 표본(#NATCHEM-18)을 상지대학교 생명자연과학대학의 식물표본실에서 기탁하였다.
상기의 건조된 옻나무 2kg을 정선하여 세절한 후, 용매로 메탄올 6L를 가하여 3차례 환류추출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후, 감압증류하여 점성의 옻나무 조추출물(280g)을 수득하였다.
2. 옻나무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제조
상기 옻나무 조추출물을 3L의 물에 현탁한 후, 클로로포름 3L를 가하여 함께 분액깔대기에 넣고 클로로포름층과 물층으로 5회 반복하여 분획하였다. 수층과 동일한 부피의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를 상기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5회 반복하여 용액의 색이 옅어질 때까지 최대한 에틸아세테이트층에 용해가 가능한 물질을 얻어내었다. 클로로포름층과 에틸아세테이트층을 각각 진공농축기에서 건조하여 클로로포름 가용추출물(69g)과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추출물(95g)을 수득하였다.
3. 푸스틴의 분리
상기 옻나무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용출액(클로로포름:메탄올:물=73:27:10)을 이용하여 실리카겔(600g, 7x70cm, 머크사, Art 7734, 독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4개의 분획물 즉, A(560-640㎖), B(720-880㎖), C(1040-1200㎖) 및 D(1280-1600㎖)를 수득하였다. 상기 4개 분획물 중, B와 D를 메탄올로 재결정하여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상(전개용매; 클로로포름: 메탄올: 물= 73:27:10)에서 Rf 값이 0.53인 푸스틴(fustin) 1.5g을 수득하여 분석하였으며, 문헌(Yoon, B. J., Pharmacological Evaluation on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Flavonoids Isolated from the Heartwood of Rhus vernicifluaStokes. Ph. D. Thesis, Kyungsung University, Busan, 2001)에 기재된 물리화학적 성상과 비교한 바 일치하여 푸스틴으로 동정하였다.
푸스틴(C15H12O6)
백색 침상결정체
녹는점: 228 - 229℃
[α]D : +28.3°(c, 0.9 in 50% 아세톤)
EI-MS (70 eV) m/z: 288.3(M+ , [C15H12O6]+ ) (Harborne, J. B. et al., Dictionary of Natural Products Vol. 9, p5455, Chapman amp; Hall, New York, 1994)
1H-NMR(500MHz, DMSO-d6) δ: 4.97 (1H, d, J=11.5 Hz, H-2), 4.41 (1H, dd, J=5.5, 11.3 Hz, H-3), 5.47 (1H, d, J=5.5 Hz, 3-OH), 7.64 (1H, d, J=8.7 Hz), 6.53 (1H, dd, J=8.7, 2.2 Hz), 6.30 (1H, d, J=2.1 Hz, H-8), 6.89(1H, d, J=1.8 Hz), 6.75 (1H, d, J=7.0 Hz), 6.76 (1H, dd, J=1.8, 7.0 Hz)
13C-NMR(125 MHz, DMSO-d 6 ) δ: 83.5 (C-2), 72.6 (C-3), 192.4 (C-4), 128.7 (C-5), 110.1 (C-6), 162.8 (C-7), 112.1 (C-8), 164.7 (C-9), 102.4 (C-10), 128.3 (C-1'), 115.1 (C-2'), 144.9 (C-3'), 145.6 (C-4'), 115.3 (C-5'), 119.4 (C-6')
[화학식 1]
Figure 112005011943579-pat00001
<실시예 1> 세포 생존률 측정
1. 세포배양
SK-N-SH 인간 뇌 유래 세포주는 미국 타이프 컬처 콜렉션(Rockville, MA)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다. SK-N-SH 세포는 10% FBS(fetal bovine serum, GIBCO), 200 IU/ml 페니실린, 200 mg/ml 스트렙토마이신, 1 mM 소듐 피루베이트를 포함하는 MEM(powdered Eagle's minimum essential medium, Sigma Chemical CO.)에서 5% CO2/ 95% 공기 하에서 가습 배양기에서 37℃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배양 배지는 하루걸러 한번씩 교체하였다. 컨플루언스하게 성장한 후, 세포를 트립신처리한 후 서브컬처(subculture)하였다.
2. 세포 생존률 측정(MTT 에세이)
세포 생존률은 MTT 염색 방법에 의해 수행되었다(J Immunol Methods, 141, 15-22, 1991). 즉, 4 내지 5일 배양된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5×104 세포/웰의 밀도로 분주하였다. 각 웰의 배지 용량은 1ml로 맞추었다. 대조 실험군으로, 약물 처리되지 않은 동일한 배지에서 성장한 세포를 사용하였다. 30분 동안 푸스틴 20, 50, 100, 150, 200, 300 μM과 각각 배양하고 이어서, 도파민 신경 독소인 6-하이드록시도파민(6-hydroxydopamine) 125 μM과 48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100 ㎕의 MTT(5g MTT/ 1 in H2O)를 첨가하고, 4시간 더 세포를 배양하였다. 200㎕의 디메틸설폭사이드(DMSO)가 각 세포에 첨가되었고 환원된 MTT 결정을 용해하기 위해 피펫으로 혼합하였다. 상대적인 세포 생존률을 540 nm 필터를 가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 Menlo Park, CA)로 스캐닝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푸스틴의 농도 의존적으로 도파민 신경 독소에 의한 세포 생존율 감소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아팝토시스의 플로우 사이토메트릭 분석
플로우 사이토메트리 분석을 위하여, 4 내지 5일 배양된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5×104 세포/웰의 밀도로 분주하고, 각 웰의 배지 용량은 1ml로 맞추었다. 대조 실험군으로, 약물 처리되지 않은 동일한 배지에서 성장한 세포를 사용하였다. 30분 동안 푸스틴 100 μM과 배양하고 이어서, 도파민 신경독소인 6-하이드록시도파민(6-hydroxydopamine) 125 μM과 48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세포가 수집되고, PBS 버퍼(pH 7.4)로 2번 세정하였다. 80% 에탄올로 30분 동안 고정한 후, 세포를 2번 세정하고, DNA 염색을 위해 0.1% 트립톤 X-100, 5 mg/ml 프로피움 아이오다이드(Propium iodide) 및 50 mg/ml 리보뉴클레아제 A를 포함하는 PBS 버퍼(pH 7.4)로 재현탁하였다. 그후, 세포를 FACS Calibur(Becton Dickson, USA)로 분석하였다. 20,000 이상의 경우가 평가되었다. 모든 히스토그램은 세포 Quest(Becton Dickson, USA)를 이용하여 측정되며, 아팝토시스의 히포다이플로이드(hypodiploid) 함량 지표로 핵산의 퍼센트를 결정한다.
그 결과, 도 2에서는 푸스틴이 도파민 신경독소에 의한 신경세포의 아팝토시스 유도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케스페이즈 활성 에세이
케스페이즈 활성은 ApoAlert 케스페이즈 클로리메트릭 에세이 키트(BD Biosciences,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먼저 케스페이즈 활성 에세이를 위하여, 4 내지 5일 배양된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5×104 세포/웰의 밀도로 분주하고, 각 웰의 배지 용량은 1ml로 맞추었다. 대조 실험군으로, 약물 처리되지 않은 동일한 배지에서 성장한 세포를 사용하였다. 30분 동안 푸스틴 100, 300 μM과 각각 배양하고 이어서, 도파민 신경독소인 6-하이드록시도파민(6-hydroxydopamine) 125 μM과 48시간 배양하였다.
세포 용해물을 50 μM Ac-Asp-Glu-Val-Asp-CHO(DEVD)-pNA, 케스페이즈-3 기질을 포함하는 DTT(10mM)-리치 반응버퍼로 혼합하고, 37℃, 1시간동안 배양하였다. 효소 촉매 pNA의 유리를 405 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하였다.
도 3에서는 푸스틴이 도파민 신경독소에 의한 케스페이즈-3 활성 유도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ROS 생성 측정(나이트로블루 테트라졸리움 환원 에세이)
세포내 수퍼옥사이드 생성을 나이트로블루 테트라졸리움(NBT)의 포마잔으로의 전환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NBT는 세포 배지에 첨가되어 최종농도가 1mg/ml가 되도록 하였다. 푸스틴 100, 300 μM을 30분간 전 처리하고 도파민 신경독소인 6-하이드록시도파민(6-hydroxydopamine) 125 μM을 24시간 처리한 후 세포를 라이시스하고, 형성된 포마잔은 2M KOH 및 1.4 ml의 DMSO로 용해되었다. 그 흡광도는 654 nm의 분광광도계에서 측정되었다.
도 4에서는 푸스틴이 도파민 신경독소에 의한 수퍼옥사이드 유도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독성실험
150±5g의 ICR계 마우스(중앙실험동물)와 235±10g의 특정병원부재(SPF) 스프라그-도올리(Sprague Dawley, Biogenomics사) 랫트를 각각 3마리씩 3군으로 나누어 제조예에서 얻어진 푸스틴을 각각 20 mg/㎏, 10 mg/㎏, 1 mg/㎏의 용량으로 복강투여한 후 24시간동안 독성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3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를 전혀 관찰할 수 없었고, 체중 증가, 사료 섭취량 등에서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다.
<제제예 1> 주사제의 제조
제조예에서 얻어진 푸스틴 100 mg,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 3.0 ㎎, 메틸파라 벤 0.8 ㎎, 프로필파라벤 0.1 ㎎ 및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량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최종 부피가 2㎖이 되도록 제조한 후, 2㎖용량의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제조예에서 얻어진 푸스틴 200 ㎎, 유당 100 ㎎, 전분 100 ㎎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제조예에서 얻어진 푸스틴 100 ㎎, 유당 50 ㎎, 전분 50 ㎎, 탈크 2 ㎎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건강식품의 제조
제조예에서 얻어진 푸스틴 2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 1 0.13 ㎎, 비타민 B 2 0.15 ㎎, 비타민 B 6 0.5 ㎎, 비타민 B 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및 무기질 혼합물 적량(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도파민 신경독성을 유의적으로 차단하므로, 도파민 신경손상에 의해 야기되는 퇴행성 신경질환 특히,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하기의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푸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및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6070992793-pat00007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스틴은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된 옻나무 추출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옻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및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삭제
  5. 삭제
KR1020050018587A 2005-03-07 2005-03-07 푸스틴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73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587A KR100673595B1 (ko) 2005-03-07 2005-03-07 푸스틴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587A KR100673595B1 (ko) 2005-03-07 2005-03-07 푸스틴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942A Division KR20060111881A (ko) 2006-09-28 2006-09-28 푸스틴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용 건강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846A KR20060097846A (ko) 2006-09-18
KR100673595B1 true KR100673595B1 (ko) 2007-01-24

Family

ID=3762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587A KR100673595B1 (ko) 2005-03-07 2005-03-07 푸스틴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5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448B1 (ko) 1997-08-01 2000-07-01 박홍락 항암, 기관분화유도, 암세포전이 혈관형성억제, 항산화 및 숙취해소 작용을 하는 옻나무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020077833A (ko) * 2001-04-04 2002-10-14 (주)생명의나무 옻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US20040152760A1 (en) 1999-12-30 2004-08-05 Castillo Gerardo M. Polyhydroxylated aromatic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amyloidosis and alpha-synuclein fibril diseas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7448B1 (ko) 1997-08-01 2000-07-01 박홍락 항암, 기관분화유도, 암세포전이 혈관형성억제, 항산화 및 숙취해소 작용을 하는 옻나무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20040152760A1 (en) 1999-12-30 2004-08-05 Castillo Gerardo M. Polyhydroxylated aromatic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amyloidosis and alpha-synuclein fibril diseases
KR20020077833A (ko) * 2001-04-04 2002-10-14 (주)생명의나무 옻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846A (ko) 2006-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00661A1 (en) New salvianolic acid compound t,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KR100815476B1 (ko) 케나프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캠프페롤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N110167574A (zh) 包含芫花树花提取物或其分离物作为有效成分的神经退行性疾病预防或者治疗用药学组合物
CN108472325B (zh) 包含蜂斗菜叶提取物的用于改善记忆力的组合物
EP3461486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and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comprising acanthoside b extracted from glasswort
KR101559483B1 (ko) 해조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보호용 조성물
KR20170055758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20120045591A (ko) 대황을 포함한 생약조합 추출물을 함유한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71684B1 (ko) 팔각회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및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
KR100462788B1 (ko) 천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세포 보호 및 기억력 증진용조성물
KR100673595B1 (ko) 푸스틴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66233B1 (ko) 루테올린 5-글루코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38679A (ko) 홍경천 발효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또는 기억력 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733982B1 (ko) 암 치료 및 예방, 항균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목초액 유기물
KR102437152B1 (ko) 로가닉산을 포함하는 인지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836941B1 (ko) 차가버섯으로부터 분리된 항산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060111881A (ko) 푸스틴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용 건강식품
KR20130005118A (ko)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억제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050966B1 (ko) 침향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65419B1 (ko) 삼백초 추출물에서 분리된 사우세르네올 b 화합물을함유하는 염증, 알러지 및 천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건강기능식품
KR20190044177A (ko) 다시마 추출물 또는 푸코잔틴을 포함하는 간 손상 보호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431798B1 (ko) 검은콩 껍질 추출물의 비안토시아닌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KR20130142638A (ko) 독성물질을 제거한 삼백초 정제물 및 분획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및 알러지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20090011458A (ko) 코보페놀 에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서나일 바이러스성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0086A (ko) 뽕나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