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534B1 -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534B1
KR100673534B1 KR1020050005964A KR20050005964A KR100673534B1 KR 100673534 B1 KR100673534 B1 KR 100673534B1 KR 1020050005964 A KR1020050005964 A KR 1020050005964A KR 20050005964 A KR20050005964 A KR 20050005964A KR 100673534 B1 KR100673534 B1 KR 100673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rts
providing
user
health
interfac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8856A (ko
Inventor
전상필
Original Assignee
전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필 filed Critical 전상필
Priority to KR1020050005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534B1/ko
Publication of KR20050018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헬스스포츠이용자의 성별, 체형, 신체부위에 따른 최적의 헬스스포츠이용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하여 헬스코치가 없이도 헬스스포츠이용자 스스로 헬스클럽을 이용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a) 사용자의 성별선택을 안내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a)단계에서 선택한 성별에 해당하는 전신모형을 전면과 후면으로 나누어 제공하고 상기 전신모형에서 사용자가 운동을 희망하는 신체부위의 선택을 안내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선택한 각각의 신체부위로 최적의 헬스스포츠의 항목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안내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선택한 헬스스포츠의 이용방법에 관한 정보를 동영상 또는 텍스트형태로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헬스스포츠, 헬스스포츠이용방법

Description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GUIDANCE METHOD AND DEVICE FOR USING HEALTH SPOR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의 개념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스포츠이용 안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스포츠이용 안내장치의 외형을 보인 도면.
도 5는 저장부에 저장된 헬스스포츠이용정보를 성별, 신체부위별로 분류하여 저장한 일례를 보인 도면.
도 6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디스플레이수단 110 : 출력수단
120 : 제어부 130 : 저장부
본 발명은 헬스스포츠이용자의 성별, 체형, 신체부위를 기준으로 이에 적절한 헬스스포츠 및 상기 헬스스포츠에 해당하는 운동기기의 사용법을 화면상에 일련의 과정에 따라 출력하므로 헬스클럽이용에 있어 편의를 도모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통수단의 발달과 인간의 노력으로 인해 생활은 더욱 편리해졌지만 더불어 매우 급속도로 빠르게 진행하는 삶으로 인해 여유를 가질 시간이 없는 현대인들 대다수가 운동부족상태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운동부족은 모든 병의 원인이 된다고 하는 비만을 가져오는데 특히, 복부비만으로 인한 상체의 체중 증가와 운동부족으로 인한 하체의 약화는 무릎등의 관절염을 불러오며 고혈압, 심장병, 뇌졸중 같은 질병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에 따라, 대다수의 사람들이 운동부족에 따른 건강관리 및 체형보정을 위한 운동에 관심을 갖으면서 선택한 각종 운동 중에서도 헬스스포츠는 별도의 개인장비 및 운동을 위한 고도의 훈련이 필요없고, 더우기 시간적, 공간적으로 운동할 여건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대인들에게는 실내에 구비된 운동기구를 통해 누구나 쉽게 시작할 수 있는 운동이기에 각광을 받고 있는 요즘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헬스스포츠를 위한 운동기구들이 마련된 헬스클럽이나 스포츠센터에서는 전문적인 훈련을 거친 소수의 헬스스포츠코치들이 돌아다니 면서 헬스스포츠이용자들에게 구두로 헬스스포츠이용방법 및 헬스운동기구사용법을 설명해야 하기에 많은 수의 헬스스포츠이용자들을 1대1로 관리하기란 매우 어려워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로 인해, 대다수의 헬스스포츠이용자들은 사용법을 익힌 운동기구 또는 자신이 선호하는 한 두가지의 운동기구만을 이용한 운동만을 집중적으로 하므로 신체 각 부위의 운동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건강상태에 맞는 운동으로 체력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그 효과가 크게 떨어진다. 또한, 헬스클럽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혼자서 운동을 하게 된다는 고독감과 어떻게 운동을 해야할 지 잘 알지 못해 심하게는 헬스클럽을 신뢰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헬스클럽운영자의 입장에서도 회원으로 가입한 헬스스포츠이용자들의 건강상태 및 체형을 관리하기 위한 다수의 전문강사가 요구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인건비는 헬스클럽영업상의 과다한 지출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헬스스포츠이용자가 선택한 성별, 체형, 신체부위를 기준으로 이에 적절한 헬스스포츠의 이용정보를 제공하여 헬스스포츠이용에 있어 편의를 도모하는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내장치는 사용자에게 최적의 헬스스포츠이용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성별, 체형, 운동을 희망 하는 신체부위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에 적합한 각종 헬스스포츠의 이용정보를 동영상 또는 텍스트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의 구동수단으로 터치스크린(Touch Screen)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수단,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제공된 헬스스포츠의 이용정보를 페이퍼(Paper)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에 의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적합한 각종 헬스스포츠의 이용정보를 제공하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헬스스포츠의 이용정보가 성별, 체형 및 신체부위별로 이에 적합한 헬스스포츠의 항목별로 분류되어 동영상파일 및 텍스트파일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헬스스포츠이용정보의 분류기준은 성별을 기준으로 하는 대분류, 상기 성별에 따른 신체부위 및 체형을 기준으로 하는 중분류, 상기 신체부위를 집중적으로 단련할 수 있는 헬스스포츠와 운동기구에 관한 항목 및 상기 체형에 적절한 헬스스포츠와 운동기구에 관한 항목으로 분류하는 소분류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은 (a) 사용자의 성별선택을 안내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선택한 성별에 해당하는 전신모형을 전면과 후면으로 나누어 제공하고 상기 전신모형에서 사용자가 운동을 희망하는 신체부위의 선택을 안내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선택한 각각의 신체부위로 최적의 헬스스포츠의 항목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안내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선택한 헬스스포츠의 이용정보를 동영상 또는 텍스트형태로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단계 이후 (aa) 사용자의 체형 또는 신체부위 중 어느 조건에 따라 헬스스포츠의 이용정보를 제공받을 것인지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aa)단계에서 체형을 선택한 경우 상기 (a)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성별에 해당하는 전신모형을 체형별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체형선택을 안내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선택한 체형을 단련하기 위한 최적의 헬스스포츠의 항목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안내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단계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은 텍스트형태로 제공된 상기 (c)단계에서 선택한 헬스스포츠의 이용정보를 페이퍼(paper)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프린팅버튼이 일측부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은 사용자들이 선택한 소정의 조건을 기준으로 적합한 최적의 헬스스포츠 이용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소정의 조건을 입력받아(S100) 상기 입력된 조건과 부합하는 헬스스포츠의 이용정보와 관련한 항목을 나열하고 상기 항목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선택하도록 한 후(S200)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에 관한 정보를 제공(S300)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헬스스포츠는 통상 헬스클럽에 구비된 헬스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신체를 단련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행하는 스포츠를 지칭하는 것이고,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헬스스포츠 이용정보라함은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된 조건과 부합하는 헬스스포츠 및 상기 헬스스포츠를 위한 헬스운동기구의 이용방법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은 사용자의 성별, 체형, 운동을 희망하는 신체부위를 선택하게 하고 상기 선택한 내용에 부합하는 헬스스포츠 및 이에 대한 헬스운동기구를 소개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헬스스포츠 및 이를 위한 헬스운동기구의 이용방법을 설명하는 각각의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여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헬스클럽에 등록한 회원)가 헬스클럽에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헬스스포츠이용 안내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사용자의 성별을 선택할 것을 안내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한다(S10).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상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성별을 선택하면 그에 해당하는 신체의 모형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자신의 체형에 맞는 헬스스포츠 및 이를 위한 헬스운동기구의 이용방법에 관한 항목을 제공받을 것인지 또는 신체부위별로 부합하는 항목을 제공받을 것인지 선택할 것을 안내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한다(S20).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신체부위별로에 부합하는 헬스스포츠 및 이를 위한 헬스운동기구의 이용방법에 관한 항목을 제공받기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성별에 따른 신체의 전신모형의 전면과 후면을 제공하는데, 상기 전신모형은 헬스운동을 통하여 단련할 수 있는 신체부위별로 구분된 것으로 사용자가 운동을 통해 단련을 희망하는 신체부위를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한다(S32, S40)).
또는, 자신의 체형에 맞는 헬스스포츠 및 이를 위한 헬스운동기구의 이용방법에 관한 항목을 제공받을 것을 선택하면 체형별로 각각의 전신모형이 제공된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출력(S30)하여 자신의 체형을 선택하도록 한다(S40). 여기서, 체형은 소정의 체형분류기준에 따라 라분된 것으로 예를 들어, 하반신이 상반신에 비하여 발달한 A자형, 상반신이 하반신에 비하여 발달한 T자형, 전체적으로 발달한 O자형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체형 또는 신체부위별로 적합한 헬스스포츠 및 이를 위한 헬스운동기구의 이용방법에 관한 항목을 소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한다(S50).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한 헬스스포츠의 이용정보가 동영상 또는 텍스트형태로 출력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한다(S60). 또한, 상기 텍스트형태로 출력된 헬스스포츠 이용방법은 출력수단을 통하여 페이퍼(Paper)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스포츠이용 안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스포츠이용 안내장치의 외형을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헬스스포츠이용 안내장치는 디스플레이수단(100), 출력수단(200), 제어부(300) 및 저장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00)은 도 2에서 기술한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에 따른 일련의 과정마다 제공되는 각각의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터치스크린(Touch Screen, 접촉식화면)방식을 채용한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일반 모니터의 화면에 터치판넬(touch pannel)이라는 장치를 덧붙인 것으로, 상기 터치판넬은 좌우상하로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이 흐르게 하여 화면에 수많은 사각형 격자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손끝이나 기타 물체로 이 격자에 접촉하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자료를 받을 수 있게 한 화면이다. 또한, 상기 도면에는 굳이 도시하지 않았으나 동영상이 재생될 경우 소리를 듣기 위한 스피커가 장착된다.
상기 출력수단(200)은 도 2에서 기술한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통하여 텍스트형태로 제공된 헬스스포츠이용정보를 페이퍼(paper)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프린터 이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00)을 통하여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출력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입력정보에 따른 헬스스포츠의 이용정보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저장부(400)는 각종 헬스스포츠 및 이를 위한 헬스운동기구의 이용방법에 관한 정보를 성별, 체형, 신체부위에 따른 적합한 항목별로 구분하여 동영상 및 텍스트형태로 저장해둔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구조를 설명하고자 도 5에서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헬스스포츠이용정보를 성별, 신체부위별로 분류하여 저장한 일례를 보인다. 즉,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별이 남자이고, 신체부위중 가슴운동을 하고자 할 경우 그에 해당하는 각종 헬스스포츠의 예로 디클라인 덤블 프레스, 디클라인 덤블 플라이, 덤벨 체스트 프레스, 덤벨 플라이, 덤벨 풀 오버, 바벨 풀 오버, 체어 푸쉬업, 딥, 푸쉬업, 인클라인 덤벨 프레스, 인클라인 덤벨 플라이로 분류저장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은 사용자의 성별을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이고, 도 7은 상기 도 6에서 제공된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상에서 선택한 성별에 따른 신체의 전면(A10)과 후면(A12)의 전신모형을 제공하고 상기 전신모형은 헬스운동을 통해 단련할 수 있는 신체부위별로 구분되어 있어 사용자가 운동을 희망하는 신체부위를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이다. 즉, 신체의 전면모형은 가슴, 목, 어깨, 윗팔이두근, 아랫팔전완근, 복부, 허벅지, 종아리별로, 신체의 후면모형은 등, 등상부, 윗팔삼두근, 등하부, 둔근, 뒤허벅지슬하근, 종아리별로 각각 구분된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신체부위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신체부위(A20)의 운동에 적합한 각종 헬스스포츠 및 이를 위한 헬스운동기구에 관한 항목(A22)을 나열하여 상기 항목중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것을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헬스스포츠 및 이를 위한 헬스운동기구에 관한 항목중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의 이용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으로, 동영상(A30) 및 텍스트(A40)의 형태로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텍스트(A40)의 형태로 제공되는 이용정보는 화면의 우측 하단에 표시된 출력버튼(A50)을 클릭하여 페이퍼(paper)형태로 출력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동영상(A30)은 헬스스포츠이용자에게 친숙한 모델이 등장하여 실제 헬스스포츠를 이용하며 헬스운동기기의 사용법을 상세히 설명하는 방식으로 제작된 것으로 미디어파일재생기를 통해 재생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헬스스포츠이용자들에게 자신의 성별, 체형, 신체부위에 걸맞는 헬스스포츠 및 그 이용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 자신이 추구하는 건강상태, 체형관리등의 목적에 따라 운동을 수행하는 즐거움 및 성취감을 누릴 수 있으며, 헬스코치가 없이도 헬스스포츠 및 운동기구의 이용법을 터득하기 쉬우므로 헬스운동기구를 사용하는 회원의 편의를 극대화한다.
또한, 헬스클럽 또는 스포츠센터의 입장에서도 헬스코치의 고용으로 인한 인건비가 현격히 줄어들어 영업비용을 축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삭제
  2. 사용자의 성별, 체형 및 신체부위에 따라 이에 적합한 각종 헬스스포츠의 이용정보가 동영상 또는 텍스트형태로 출력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구동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방식의 디스플레이수단(100);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상의 헬스스포츠의 이용정보를 페이퍼(Paper)형태로 출력하는 출력수단(110);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140);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에 의하여 제공되는 각종 헬스스포츠의 이용정보를 제공하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120);
    상기 헬스스포츠의 이용정보가 성별, 체형 및 신체부위별로 이에 적합한 헬스스포츠의 항목별로 분류되어 동영상파일 및 텍스트파일형태로 성별을 기준으로 하는 대분류, 상기 성별에 따른 신체부위 및 체형을 기준으로 하는 중분류, 상기 신체부위를 집중적으로 단련할 수 있는 헬스스포츠와 운동기구에 관한 항목 및 상기 체형에 적절한 헬스스포츠와 운동기구에 관한 항목으로 분류하는 소분류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저장부(130); 및
    상기 디스플레이수단(100)은 가슴부위에, 출력수단(110)은 배 부위에, 스피커(140)는 입 부위에, 제어부(120) 및 저장부(130)는 내부에 장착되어 외관이 사람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스포츠이용 안내장치.
  3. (a) 사용자의 성별선택을 안내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선택한 성별에 해당하는 전신모형을 전면과 후면으로 나누어 제공하고 상기 전신모형에서 사용자가 운동을 희망하는 신체부위의 선택을 안내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선택한 각각의 신체부위로 최적의 헬스스포츠의 항목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안내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선택한 헬스스포츠의 이용정보를 동영상 또는 텍스트형태로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후
    (aa) 사용자의 체형 또는 신체부위 중 어느 조건에 따라 헬스스포츠의 이용정보를 제공받을 것인지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aa)단계에서 체형을 선택한 경우 상기 (a)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성별에 해당하는 전신모형을 체형별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체형선택을 안내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선택한 체형을 단련하기 위한 최적의 헬스스포츠의 항목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안내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화면은
    텍스트형태로 제공된 상기 (c)단계에서 선택한 헬스스포츠의 이용정보를 페이퍼(paper)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프린팅버튼이 일측부에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
KR1020050005964A 2005-01-21 2005-01-21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KR100673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964A KR100673534B1 (ko) 2005-01-21 2005-01-21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964A KR100673534B1 (ko) 2005-01-21 2005-01-21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006U Division KR200381655Y1 (ko) 2005-02-01 2005-02-01 헬스스포츠이용 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856A KR20050018856A (ko) 2005-02-28
KR100673534B1 true KR100673534B1 (ko) 2007-01-24

Family

ID=3722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964A KR100673534B1 (ko) 2005-01-21 2005-01-21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5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032B1 (ko) * 2017-08-11 2019-01-21 주식회사 플라이업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맞춤형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
WO2023128515A1 (ko) * 2021-12-28 2023-07-06 주식회사 디랙스 Ai운동시퀀스제공장치 및 방법
WO2023128410A1 (ko) * 2021-12-28 2023-07-06 주식회사 디랙스 운동시퀀스제공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856A (ko) 2005-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33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r vision and machine-learning based form feedback
US11338174B2 (en) Method and system of planning fitness course parameters
Mencarini et al. Designing wearable systems for sports: a review of trends and opportunities in human–computer interaction
US9878206B2 (en) Method for interactive training and analysis
US20210379447A1 (en) Interactive exercise apparatus
Williams et al. Practice, instruction and skill acquisition in soccer: Challenging tradition
US119960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 assisted activity training
Davids Learning design for nonlinear dynamical movement systems
TWI665572B (zh) 規畫健身課程的方法及系統
Turmo Vidal et al. Sensory bodystorming for collocated physical training design
CN113457105B (zh) 具健身选单的智能镜子
Rodrigues et al. A serious game to practice stretches and exercises for a correct and healthy posture
KR100673534B1 (ko) 헬스스포츠이용 안내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US20140194262A1 (en) Electronic Exercise Monitor with Human Facsimile and Audible Feedback
JP2009028459A (ja) 動画生成システム、動画生成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082428A (ja) 運動処方提案装置
JP2009095404A (ja) 動画表示システム、動画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381655Y1 (ko) 헬스스포츠이용 안내장치
KR20210080729A (ko) 헬스클럽용 키오스크 시스템
DE102006019385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ein Trainingssystem zur körperlichen Ertüchtigung und geistigen Anregung
Carrington Chairable Computing
US202303560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r vision and machine-learning based form feedback
KR102544649B1 (ko) 피드백 제공 장치, 이를 이용하는 신체활동 피드백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9378656B2 (en) Electronic exercise monitor with human facsimile and audible feedback
JP5726827B2 (ja) 運動メニュー作成システム、運動メニュー作成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