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465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465B1
KR100673465B1 KR1020050083350A KR20050083350A KR100673465B1 KR 100673465 B1 KR100673465 B1 KR 100673465B1 KR 1020050083350 A KR1020050083350 A KR 1020050083350A KR 20050083350 A KR20050083350 A KR 20050083350A KR 100673465 B1 KR100673465 B1 KR 100673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utton
operated
character
arrangement order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사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3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키 버튼이 구비되는 키패드와,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배열 순서를 판단하고, 다음 조작되는 키 버튼의 배열 순서에 따라 해당 문자 데이터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키 버튼의 배열 순서 및 각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의 배열 순서에 따라 해당 문자가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키 버튼에 할당된 문자의 개수에 상관없이 최소한의 버튼 조작으로 각 키 버튼에 할당된 문자가 출력되도록 하여 키 버튼 조작 시간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사용자의 편이성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키패드, 키 버튼, 배열 순서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11: 판단부
12: 데이터 처리부 20: 키패드
30: 표시부 40: 메모리
50: 통신모듈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최소한의 버튼 조작으로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패드에 구비된 각각의 키 버튼에 하나 이상의 문자가 할당되어, 상기 키 버튼 조작에 따라 각 키 버튼에 할당된 문자를 표시 화면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특정 키 버튼 신호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 중 각 문자의 배열 순서에 따라 일정 횟수만큼 해당 키 버튼이 조작되면, 그에 따른 배열 순서의 해당 문자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9'번 키 버튼에 'W','X','Y','Z'가 할당된 경우, 상기 '9'번 키 버튼이 한번 조작되면 'W'를 인식하고, 2번 조작되면 'X', 3번 조작되면 'Y', 4번 조작되면 'Z'를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각 키 버튼에 다수의 문자가 할당됨에 따라 상기 키 버튼에 할당된 다수 문자 중 해당되는 문자가 인식되도록 하기 위해 키 버튼 조작 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문자 입력 시간이 길어져 사용자의 편이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키 버튼의 배열 순서 및 각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의 배열 순서에 따라 해당 문자가 인식되도록 하여, 최소한의 키 버튼 조작으로 각 키 버튼에 대응되는 모든 문자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이성이 증대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 버튼이 구비되는 키패드와,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배열 순서를 판단하고, 다음 조작되는 키 버튼의 배열 순서에 따라 해당 문자 데이터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제 1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키 버튼 조작 시,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1단계와, 다음 키 버튼 조작 시, 조작된 키 버튼의 배열 순서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초기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 중 상기 조작된 키 버튼의 배열 순서에 해당하는 문자를 인식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제 2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버튼이 구비되는 키패드(20)와, 상기 키 버튼 조작에 따라 데이터가 출력되는 표시부(30)와, 상기 키 버튼에 할당된 문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50)과,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배열 순서를 판단하고, 다음 조작되는 키 버튼의 배열 순서에 따라 해당 문자 데이터를 인식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40)는 상기 키 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40)는 '2'번 버튼에는 'A','B','C', '7'번 버튼에는 'P','Q','R','S' 등과 같이 각 키 버튼 신호에 따라 할당된 문자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40)는 다수의 키 버튼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 이상의 문자 데이터에 대한 상기 문자 배열 순서 또는 키 버튼의 배열 순서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40)는 '7'번 키 버튼에 'P','Q','R','S'의 문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문자 데이터 'P','Q','R','S'의 배열 순서가 저장된다. 또한, 1행에는 '1','2','3', 2행에는 '4','5','6', 3행에는 '7','8','9' 등과 같이 각각의 키 버튼의 배열 순서가 저장된다.
상기 제어부(10)는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배열 순서 또는 키 버튼 의 배열 순서를 판단하는 판단부(11)와, 초기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문자 배열 순서에 따라 다음 조작된 키 버튼을 인식하여 해당 문자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데이터 처리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판단부(11)는 문자 입력 시, 초기 조작된 키 버튼의 배열 순서를 판단하고, 상기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의 배열 순서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판단부(11)는 '2'번 키 버튼 조작 시, 상기 '2'번 키 버튼의 배열 순서가 1행 2열임을 판단한 후 상기 '2'번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 'D','E','F'의 배열 순서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판단부(11)는 다음 조작된 키 버튼의 배열 순서가 초기 조작된 키 버튼의 행과 동일 행인지를 판단하고, 동일 행인 경우 조작된 키 버튼의 배열 순서와 초기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의 배열 순서를 비교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판단부(11)는 다음 조작된 키 버튼이 '1'인 경우, 상기 '1'번 키 버튼의 배열 순서(1행 1열)가 초기 조작된 키 버튼('2')과 동일 행에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초기 조작된 키 버튼 '2'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 'D','E','F'의 배열 순서와 다음 조작된 키 버튼 '1'의 배열 순서(1행 1열)를 비교 판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키 버튼 조작 시, 초기 조작된 키 버튼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를 인식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다음 키 버튼 조작 시, 상기 판단부(11)의 판단 결과에 따라 초기 조작된 키 버튼과 동일 행의 키 버튼이 조작된 경우, 다음 조작된 키 버튼의 배열 순서에 따라 초기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해당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표시부(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4'번 키 버튼 조작 시, 상기 '4'번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 'G','H','I'를 인식한다. 이때, 상기 '4'번 키 버튼과 동일 행의 키 버튼 '4','5','6' 중 어느 하나의 키 버튼이 조작된 경우, 상기 조작된 키 버튼의 배열 순서에 따라 '4'번 키 버튼 조작 시 상기 인식된 문자 데이터 'G','H','I' 중 첫번째 문자인 'G'가 출력 되도록 하고, '5'번 키 버튼 조작 시에는 두번째 문자인 'H', '6'번 키 버튼 조작 시에는 세번째 문자인 'I'가 상기 표시부(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키 버튼에 할당된 문자 데이터를 인식하기 위해 조작되는 키 버튼은 아래 [표 1]과 같다.
Figure 112005050117272-pat00001
이때,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상기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가 4개 이상인 경우, 상기 조작된 키 버튼의 다음 행에 구비된 키 버튼 중 기 설정된 키 버튼 신호에 대해 초기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해당 문자를 인식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7'번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가 'P','Q','R','S'인 경우, 상기 '7'번 키 버튼과 같은 행의 '7','8','9'번 버튼에 대해서는 각각 'P','Q','R'을 인식하고, 네번째 문자인 'S'는 설정에 따라 다음 행에 구비된 '0'번 키 버튼 신호에 따라 인식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상기 판단부(11)의 판단 결과에 따라 초기 키 버튼 조작 후, 초기 조작된 키 버튼의 행과 다른 행의 키 버튼이 조작된 경우, 초기 조작된 키 버튼에 따라 인식된 문자 데이터를 무시한 채 다음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를 재인식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처리부(12)는 '4'번 키 버튼 조작 시, 상기 '4'번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를 인식한 후, 상기 '4'번 키 버튼과 다른 행의 키 버튼 '9'가 조작된 경우, 상기 인식된 '4'번 키 버튼을 무시한 채 다음 조작된 '9'번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 'W,'X','Y','Z'를 재인식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번 키 버튼에는 'A,'B','C', '3'번 키 버튼에는 'D','E','F', '4'번 키 버튼에는 'G,'H','I', '5'번 키 버튼에는 'J','K','L', '6'번 키 버튼에는 'M','N','O', '7'번 키 버튼에는 'P','Q','R','S', '8'번 키 버튼에는 'T,'U','V', '9'번 키 버튼에는 'W','X','Y','Z' 등과 같이 각 키 버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가 할당되고, 각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실시예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6'번 키 버튼 조작 후, 초기 조작된 '6'번 키 버튼과 동일 행의 키 버튼 '4','5','6'이 조작되면,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인식된 'M','N','O' 중 어느 한 문자를 인식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첫번째 열의 '4'번 키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M','N','O' 중 첫번째 문자인 'M'을 인식하고, 두번째 열의 '5'번 키 버튼이 조작되면 두번째 문자인 'N'을 인식하고, 세번째 열의 '6'번 키 버튼이 조작되면 세번째 문자인 'O'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해당 문자가 상기 표시부(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키 버튼 '9'에 'W','X','Y','Z'와 같이 4개 이상의 문자가 할당된 경우에는 도 3a와 같이 'W','X','Y'에 대해서는 '7','8','9'번 키 버튼 조작에 따라 해당 문자가 인식되도록 하고, 네번째 문자인 'Z'에 대해서는 설정에 따라 다음 행의 '0'번 키 버튼 조작 시 인식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키 버튼이 조작되면(S1), 상기 키 버튼 조작에 따라 입력된 키 버튼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를 인식한다(S2). 이때, 상기 조작된 키 버튼의 배열 순서(행X열) 및 상기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의 배열 순서를 판단한다(S3).
또한, 상기 커 버튼 조작 후 다음 키 버튼이 조작되면(S4), 해당 키 버튼 시호를 판독하여, 상기 조작된 키 버튼의 배열 순서를 판단한다(S5).
이때, 초기 조작된 키 버튼 배열 순서와 다음 조작된 키 버튼 배열 순서를 비교 판단하여(S7), 초기 조작된 키 버튼과 동일 행의 키 버튼이 조작된 경우, 다음 조작된 키 버튼의 배열 순서에 따라 초기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 중 상기 조작된 키 버튼의 배열 순서에 해당하는 문자를 인식한다(S9).
예를 들어, '3'번 키 버튼이 초기 조작된 후, 상기 '3'번 키 버튼과 동일 행의 키 버튼 '2'가 조작되면, 상기 '2'번 키 버튼의 배열 순서에 따라 초기 조작된 '3'번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 'D','E','F' 중 두번째 문자인 'E'를 인식한다.
이때, 상기 인식된 문자를 표시화면에 출력되도록 하고(S10), 다음 키 버튼 조작 여부(S11)에 따라 상기 과정(S1 내지 S10)을 재수행한다.
초기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수가 4개 이상인 경우(S6), 상기 초기 조작된 키 버튼이 포함된 행의 다음 행에 대하여 기 설정된 키 버튼에 대해 다음 순서(예, 네번째, 다섯번째 등..)의 문자가 인식되도록 한다(S8,S9).
또한, 4개 미만의 문자가 할당된 키 버튼 조작 시, 초기 조작된 키 버튼과 다른 행의 키 버튼이 조작된 경우(S7), 또는 4개 이상의 문자가 할당된 키 버튼 조작 시, 초기 조작된 키 버튼과 동일 행의 키 버튼 및 다음 행의 기 설정된 키 버튼 이외의 다른 키 버튼이 조작된 경우(S8), 처음 인식된 문자 데이터를 무시한 채 다음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를 재인식한다(S2).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은 기 버튼의 배열 순서 및 각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의 배열 순서에 따라 해당 문자가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키 버튼에 할당된 문자의 개수에 상관없이 최소한의 버튼 조작으로 각 키 버튼에 할당된 문자가 출력되도록 하여 키 버튼 조작 시간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사용자의 편이성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키 버튼이 구비되는 키패드와;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배열 순서를 판단하고, 다음 조작되는 키 버튼의 배열 순서에 따라 해당 문자 데이터를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수의 키 버튼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 이상의 문자 데이터에 대한 상기 문자 배열 순서 또는 키 버튼의 배열 순서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배열 순서 또는 키 버튼의 배열 순서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초기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문자 배열 순서에 따라 다음 조작된 키 버튼을 인식하여 해당 문자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초기 키 버튼 조작 후 상기 조작된 키 버튼의 행과 동일 행의 키 버튼이 조작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키 버튼 조작 후, 다음 조작된 키 버튼의 배열 순서에 따라 초기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하거나, 또는 다음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를 재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가 4개 이상인 경우, 상기 조작된 키 버튼의 다음 행에 구비된 키 버튼 중 기 설정된 키 버튼 조작여부에 따라 해당 문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키 버튼 조작 시,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를 판독하는 제1단계와;
    다음 키 버튼 조작 시, 조작된 키 버튼의 배열 순서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초기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 중 상기 조작된 키 버튼의 배열 순서에 해당하는 문자를 인식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각 문자의 배열 순서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초기 조작된 키 버튼이 포함된 행의 키 버튼 조작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초기 조작된 키 버튼이 포함된 행의 키 버튼 조작 시, 상기 키 버튼의 배열 순서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초기 조작된 키 버튼이 포함된 행이 아닌 다른 행의 키 버튼이 조작된 경우, 다음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를 재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초기 조작된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가 4개 이상인 경우, 상기 초기 조작된 키 버튼이 포함된 행의 다음 행에 대하여 설정된 키 버튼 이외의 키 버튼 조작 시, 해당 키 버튼에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를 재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20050083350A 2005-09-07 2005-09-07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673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350A KR100673465B1 (ko) 2005-09-07 2005-09-07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350A KR100673465B1 (ko) 2005-09-07 2005-09-07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465B1 true KR100673465B1 (ko) 2007-01-24

Family

ID=3801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350A KR100673465B1 (ko) 2005-09-07 2005-09-07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46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83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선택방법
KR10068982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060279433A1 (en) Method of mapping characters for a mobile telephone keypad
KR1006734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10108593A (ko) 한글 입출력 장치 및 방법
KR100749137B1 (ko)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US7098919B2 (en) Alphabetic character inputting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inputted characters
KR20070068869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문자입력방법
KR19990065826A (ko) 한글 문자입력시스템 및 한글의 모음 입력방법
KR20090065340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532317B1 (ko) 한글입력장치및방법
KR0164404B1 (ko) 소수의 전화버튼을 이용한 문자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635554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688197B1 (ko) 획모양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시스템
JPH0923261A (ja) 携帯電話装置及びそれにおける文字入力方法
KR100422379B1 (ko)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
KR20080099944A (ko) 키보드 한영 키 배열 변환을 위한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0217940B1 (ko) 전화기의 키패드를 이용한 숫자 및 문자입력방법
KR100613629B1 (ko) 번호 및 문자입력장치
KR10073890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001647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ingle and dual key press keypad
KR100728671B1 (ko) 입력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입력문자 확인방법
KR101069873B1 (ko) 문자 입력장치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0613628B1 (ko) 숫자 및 문자입력장치
KR100703403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의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