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231B1 - 귓속형 보청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귓속형 보청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231B1
KR100673231B1 KR1020040048723A KR20040048723A KR100673231B1 KR 100673231 B1 KR100673231 B1 KR 100673231B1 KR 1020040048723 A KR1020040048723 A KR 1020040048723A KR 20040048723 A KR20040048723 A KR 20040048723A KR 100673231 B1 KR100673231 B1 KR 100673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soldering
hearing aid
face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8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3410A (ko
Inventor
장순석
Original Assignee
장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순석 filed Critical 장순석
Priority to KR1020040048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231B1/ko
Publication of KR20040073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410A/ko
Priority to PCT/KR2005/001697 priority patent/WO2006001611A1/en
Priority to CN2005800054710A priority patent/CN1922921B/zh
Priority to US10/574,308 priority patent/US754594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04R25/505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us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8Manufacture of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58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귓속형 보청기의 내부 회선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귓속형 보청기용 페이스플레이트 내부 표면 위에 특별히 고안, 설계, 제작된 인쇄회로기판을 덮어씌워서 내부 전기 회선의 불필요한 납땜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동 납땜 공정에 의해 귓속형 보청기 페이스플레이트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귓속형 보청기의 내부 전기 회선을 최소화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을 이용한 귓속형 보청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귓속형 보청기의 내부 회선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귓속형 보청기용 페이스플레이트 내부 표면 위에 특별히 고안, 설계, 제작된 인쇄회로기판을 덮어씌워서 내부 전기 회선의 불필요한 납땜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동 납땜 공정에 의해 귓속형 보청기 페이스플레이트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귓속형 보청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귓속형 보청기, 인쇄회로기판, 보청기의 제조방법

Description

귓속형 보청기의 제조방법 {Hearing Aid Parts Layout Design Method by PCB Module for Minimizing Inner Wires of ITE(In-The-Ear) Type Hearing Aids}
도 1a는 기존의 디지털 보청기용 페이스플레이트 사진.
도 1b는 기존의 디지털 보청기용 증폭기 칩 수공 납땜 사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캐나다 Gennum사의 GB3211 IC 칩을 사용한 보청기 부품 배치도.
도 2b는 도 2의 GB 3211 칩 사진.
도 3은 본발명의 보청기 페이스플레이트 중앙에 놓여진 배터리 출입구 양쪽으로 배치된 건전지 전극 단자 사진.
도 4a는 본 발명의 디지털 보청기 페이스플레이트 내부에 부착될 인쇄회로기판 형태 1호 사진.
도 4b는 본 발명의 디지털 보청기 페이스플레이트 내부에 부착될 인쇄회로기판 형태 1호 회로도.
도 4c는 도 4b의 증폭기 칩 단자에 대한 기호표(좌)와 증폭기 칩 단자 배치도(우).
도 4d는 도 4b의 배터리 출입구에 대한 기호표(좌)와 페이스플레이트 그림도(우).
도 4e는 도 4b의 마이크로폰에 대한 기호표(좌)와 마이크로폰 그림도(우).
도 4f는 도 4b의 리시버에 대한 기호표(좌)와 리시버 그림도(우).
도 4g는 도 4b의 메모리 전환 스위치에 대한 기호표(좌)와 메모리 스위치 사진(우).
도 5a는 본 발명의 디지털 보청기 페이스플레이트 내부에 부착될 인쇄회로기판 형태 2호 사진.
도 5b는 본 발명의 디지털 보청기 페이스플레이트 내부에 부착될 인쇄회로기판형태 2호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인쇄회로기판 형태 1호에 증폭기와 전방향 마이크로폰, 후방향 마이크로폰 그리고 리시버를 모두 가늘고 긴 전기회선으로 납땜하여 연결한 사진.
도 7은 도 6의 보청기 부품이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을 페이스플레이트에 접착한 뒤 메모리 스위치도 삽입, 납땜하여 연결하여 제작한 본 발명품 사진.
도 8a는 도 7의 디지털 보청기용 페이스플레이트에 외부 제어부(PC)와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위해 배터리 출입구에 있는 인터페이스 소켓에 인터페이스용 전기 회선을 연결한 사진.
도 8b는 도 7의 디지털 보청기용 페이스플레이트와 외부 제어부(PC)와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보청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귓속형 보청기의 내부 회선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귓속형 보청기용 페이스플레이트 내부 표면 위에 특별히 고안, 설계, 제작된 인쇄회로기판을 덮어씌워서 내부 전기 회선의 불필요한 납땜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동 납땜 공정에 의해 귓속형 보청기 페이스플레이트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귓속형 보청기의 내부 회선을 최소화하는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귓속형 보청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개발되거나 시판되는 보청기들 중에서 외이도로 삽입되는 귓속형(ITE, In-The-Ear) 보청기들은 마이크로폰과 증폭기 그리고 리시버를 비롯한 음량 조절기 등의 부품들을 일일이 가느다란 전기 회선으로 개별 납땜하여 제조되고 있다(도1a, 도1b).
현재까지 제조 시판되는 아날로그 보청기의 경우 증폭기 단자가 비교적 간단해서 개별 납땜으로도 제조가 어렵지 않으나, 최근에 제조 시판되는 디지털 보청기의 경우 증폭기 단자가 많아지고 복잡해져서 디지털 보청기마다 약 20여개의 가느다란 전기 회선들이 납땜되는 이유로 고도의 납땜 수공기술 보유자가 필요해진다. 더구나 외이도 안으로 깊숙이 삽입되는 외이도형이나 고막형 보청기의 경우는 전기 회선의 증가로 인해 디지털 보청기의 기능을 일부 간소화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지금까지 제조 시판되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보청기들은 다수의 가느다란 전기 회선들을 일일이 수공 납땜해야 하는 문제로 보청기 제작에 필수적인 페이스플레이트를 인건비가 저렴한 중국이나 동남아시아에 수주를 맡기는 방식으로 공급받고 있다. 보청기의 대량 생산 공정에서 페이스플레이트를 자동으로 생산하는 방법이 개발된다면 페이스플레이트 제조 원가가 낮아지고 그러므로 보청기 제조 가격을 낮춰 대외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지금까지의 보청기 플레이트 제조 방법과 전혀 다른 방법의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귓속형 보청기의 내부 회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귓속형 보청기의 내부 회선을 최소화하는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귓속형 보청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귓속형 보청기용 페이스플레이트 내부 표면 위에 특별히 고안, 설계, 제작된 인쇄회로기판을 덮어씌워서 내부 전기 회선의 불필요한 납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 납땜 공정에 의해 귓속형 보청기 페이스플레이트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귓속형 보청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에 증폭기를 임시고정하고 나서 인쇄회로기판를 뒤집어 열풍으로 납땜하는 제1 납땜공정과, 제1 납땜공정 후에 전방향 마이크로폰과 후방향 마이크로폰을 인쇄회로기판에 미리 표시된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단자에 전기회선을 사용하여 납땜하는 제2 납땜공정과, 제2 납땜공정 후에, 리시버를 인쇄회로기판에 미리 표시된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단자에 전기회선을 사용하여 납땜하는 제3 납땜공정과, 상기 제3 납땜공정 후에, 인쇄회로기판이 부착될 페이스플레이트에 전방향 마이크로폰, 후방향 마이크로폰 및 메모리 스위치가 삽입될 구멍을 형성하는 구멍형성공정과, 상기 구멍형성공정 후에, 보청기 부품이 연결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에 접착제로 부착하는 부착공정과, 상기 부착공정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에 접착제로 부착한 후에, 상기 전방향 마이크로폰과 상기 후방향 마이크로폰들을 상기 구멍형성공정에서 페이스플레이트에 형성한 구멍으로 삽입, 접착제로 고정시키는 제1 삽입/고정공정과, 상기 구멍형성공정에서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구멍과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메모리 스위치를 삽입한 뒤, 접착제로 고정시키는 제2 삽입/고정공정과, 상기 제2 삽입/고정공정 후에 상기 메모리 단자를 인쇄회로기판에 미리 표시된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단자에 짧은 전기회선을 사용하여 납땜, 연결하는 제4 납땜공정과, 상기 제4 납땜공정 후에, 상기 페이스플레이트 중앙에 놓여진 배터리 전극 단자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단자를 짧은 전기 회선으로 납땜하여 연결하는 제5 납땜공정과, 상기 제5 납땜공정에서 상기 배터리 출입구에 부착된 외부 제어부와 증폭기 칩 사이의 인터페이스 소켓 단자들과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단자들을 짧은 전기 회선으로 납땜하여 연결하는 제6 납땜공정과, 상기 제6 납땜공정 후에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의 배터리 출입구에 있는 인터페이스 소켓에, 외부 제어부와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위해, 인터페이스 전기 회선을 연결하는 전기회선 연결공정과, 상기 전기회선 연결공정 후에 디지털 증폭기 칩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는 테스트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작된 귓속형 보청기에 대하여 첨부도면 및 사진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1) 도 2a와 도 2b는 캐나다 Gennum사의 GB3211 IC 증폭기 칩을 사용한 보청기 부품 배치도와 칩 사진을 보여준다. GB3211 칩은 4채널용 디지털 보청기에 사용된다. 도 1b와 도 2a에서 보여주듯이 다수의 가느다란 전기 회선(다수의 꼬인 선)들이 일일이 개별 납땜되어져야 비로소 디지털 보청기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2) 귓속형 보청기에 소요되는 페이스플레이트 내부 중앙부는 보청기 구동에 필요한 소형의 구형 배터리가 수직으로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 출입구가 페이스플레이트의 큰 면적을 중앙에 차지하고 있다. 배터리 출입구 양쪽으로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의 두 전극을 연결 지탱하는 구리 전극단자가 부착되어 있다(도 3).
3) 도 2a의 보청기 부품 배치도를 고려하고 도 3의 배터리 전극 단자를 모두 고려한 인쇄회로기판의 회로도를 고안, 설계, 제작하였다(도 4, 도 5). 도 4는 인쇄회로기판 형태 1호에 관한 인쇄회로기판 사진 및 회로도이고 도 5는 인쇄회로기판 형태 2호에 관한 인쇄회로기판 사진 및 회로도이다.
4) 도 6은 인쇄회로기판 형태 1호에 증폭기와 전방향 마이크로폰, 후방향 마이크로폰 그리고 리시버를 모두 가늘고 긴 전기 회선으로 납땜하여 연결한 사진을 보여준다.
5) 납땜 순서는 먼저 증폭기를 인쇄회로기판에 끼운 후 뒤집어 열풍으로 납땜하는데 이 공정은 자동 납땜 공정이 가능한 과정이며 다른 기존 방식의 보청기 페이스플레이트 제조 과정에서 가장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부분이나 본 발명에 의한 인쇄회로기판 방식은 자동 공정으로 인해 공정 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된다.
6) 두 번째로 전방향과 후방향의 마이크로폰들을 인쇄회로기판에 미리 표시된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단자에 전기회선을 사용하여 납땜, 연결한다.
7) 세 번째로 리시버를 인쇄회로기판에 미리 표시된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단자에 전기회선을 사용하여 납땜, 연결한다.
8) 인쇄회로기판이 부착될 페이스플레이트에 전방향 마이크로폰과 후방향 마이크로폰들 그리고 메모리 스위치가 삽입될 구멍을 모두 형성한다. 메모리 전환 스위치 구멍은 마이크로폰에도 만들어지도록 인쇄회로기판의 설계시 미리 만들었다(도 4a, 도 5a).
9) 도 6의 보청기 부품이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을 페이스플레이트에 접착제로 부착한다(도 7).
10) 전방향과 후방향 마이크로폰들을 페이스플레이트에 뚫어 놓은 구멍으로 삽입, 접착제로 고정시킨다. 메모리 스위치도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구멍과 페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을 모두 통과되도록 삽입한 뒤, 접착제로 고정시킨다.
11) 네 번째로 메모리 스위치 단자를 인쇄회로기판에 미리 표시된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단자에 짧은 전기회선을 사용하여 납땜, 연결한다.
12) 다섯 번째로 페이스플레이트 중앙에 놓여진 배터리 전극 단자와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단자를 짧은 전기 회선으로 납땜하여 연결한다.
13) 마지막으로 배터리 출입구에 부착된 외부 제어부와 증폭기 칩 사이의 인터페이스 소켓 단자들과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단자들을 짧은 전기 회선으로 납땜하여 연결한다.
14) 제작된 도 7의 페이스플레이트의 배터리 출입구에 있는 인터페이스 소켓에, 외부 제어부(PC)와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위해, 인터페이스 전기 회선을 연결한 뒤 디지털 증폭기 칩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테스트한다(도 8a, 도 8b).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드리면, 본 발명의 귓속형 보청기의 제조방법은 인쇄회로기판에 증폭기를 임시고정하고 나서 인쇄회로기판를 뒤집어 열풍으로 납땜하고(제1 납땜공정), 상기 제1 납땜공정 후에 전방향 마이크로폰과 후방향 마이크로폰을 인쇄회로기판에 미리 표시된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단자에 전기회선을 사용하여 납땜하고(제2 납땜공정), 상기 제2 납땜공정 후에, 리시버를 인쇄회로기판에 미리 표시된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단자에 전기회선을 사용하여 납땜하고(제3 납땜공정), 상기 제3 납땜공정 후에, 인쇄회로기판이 부착될 페이스플레이트에 전방향 마이크로폰, 후방향 마이크로폰 및 메모리 스위치가 삽입될 구멍을 형성한다(구멍형성공정).
또한, 본 발명의 귓속형 보청기의 제조방법은 상기 구멍형성공정 후에, 보청기 부품이 연결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에 접착제로 부착하고(부착공정), 사기 부착공정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에 접착제로 부착한 후에 상기 전방향 마이크로폰과 상기 후방향 마이크로폰들을 상기 구멍형성공정에서 페이스플레이트에 형성한 구멍으로 삽입, 접착제로 고정시키고(제1 삽입/고정공정), 상기 구멍형성공정에서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구멍과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메모리 스위치를 삽입한 뒤, 접착제로 고정시킨다(제2 삽입/고정공정).
또한, 본 발명의 귓속형 보청기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2 삽입/고정공정 후에 상기 메모리 단자를 인쇄회로기판에 미리 표시된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단자에 짧은 전기회선을 사용하여 납땜, 연결하고(제4 납땜공정), 상기 제4 납땜공정 후에, 상기 페이스플레이트 중앙에 놓여진 배터리 전극 단자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단자를 짧은 전기 회선으로 납땜하여 연결하고(제5 납땜공정), 상기 제5 납땜공정에서 상기 배터리 출입구에 부착된 외부 제어부와 증폭기 칩 사이의 인터페이스 소켓 단자들과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단자들을 짧은 전기 회선으로 납땜하여 연결하고(제6 납땜공정), 상기 제6 납땜공정 후에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의 배터리 출입구에 있는 인터페이스 소켓에, 외부 제어부와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위해, 인터페이스 전기회선을 연결하고(전기회선 연결공정), 상기 전기회선 연결공정 후에 디지털 증폭기 칩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테스트한다(테스트공정).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귓속형 보청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귓속형 보청기의 내부 회선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귓속형 보청기용 페이스플레이트 내부 표면 위에 특별히 고안, 설계, 제작된 인쇄회로기판을 덮어씌워서 내부 전기 회선의 불필요한 납땜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동 납땜 공정에 의해 귓속형 보청기 페이스플레이트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인쇄회로기판에 증폭기를 임시고정하고 나서 인쇄회로기판을 뒤집어 열풍으로 납땜하는 제1 납땜공정과,
    제1 납땜공정 후에 전방향 마이크로폰과 후방향 마이크로폰을 인쇄회로기판에 미리 표시된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단자에 전기회선을 사용하여 납땜하는 제2 납땜공정과,
    제2 납땜공정 후에, 리시버를 인쇄회로기판에 미리 표시된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단자에 전기회선을 사용하여 납땜하는 제3 납땜공정과,
    상기 제3 납땜공정 후에, 인쇄회로기판이 부착될 페이스플레이트에 전방향 마이크로폰, 후방향 마이크로폰 및 메모리 스위치가 삽입될 구멍을 형성하는 구멍형성공정과,
    상기 구멍형성공정 후에, 보청기 부품이 연결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에 접착제로 부착하는 부착공정과,
    상기 부착공정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에 접착제로 부착한 후에, 상기 전방향 마이크로폰과 상기 후방향 마이크로폰들을 상기 구멍형성공정에서 페이스플레이트에 형성한 구멍으로 삽입, 접착제로 고정시키는 제1 삽입/고정공정과,
    상기 구멍형성공정에서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구멍과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메모리 스위치를 삽입한 뒤, 접착제로 고정시키는 제2 삽입/고정공정과,
    상기 제2 삽입/고정공정 후에 상기 메모리 단자를 인쇄회로기판에 미리 표시된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단자에 짧은 전기회선을 사용하여 납땜, 연결하는 제4 납땜공정과,
    상기 제4 납땜공정 후에, 상기 페이스플레이트 중앙에 놓여진 배터리 전극 단자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단자를 짧은 전기 회선으로 납땜하여 연결하는 제5 납땜공정과,
    상기 제5 납땜공정에서 상기 배터리 출입구에 부착된 외부 제어부와 증폭기 칩 사이의 인터페이스 소켓 단자들과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단자들을 짧은 전기 회선으로 납땜하여 연결하는 제6 납땜공정과,
    상기 제6 납땜공정 후에 상기 페이스플레이트의 배터리 출입구에 있는 인터페이스 소켓에, 외부 제어부와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위해, 인터페이스 전기 회선을 연결하는 전기회선 연결공정과,
    상기 전기회선 연결공정 후에 디지털 증폭기 칩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는 테스트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형 보청기의 제조방법.
KR1020040048723A 2004-06-24 2004-06-24 귓속형 보청기의 제조방법 KR100673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723A KR100673231B1 (ko) 2004-06-24 2004-06-24 귓속형 보청기의 제조방법
PCT/KR2005/001697 WO2006001611A1 (en) 2004-06-24 2005-06-07 Hearing aid using printed circuit board
CN2005800054710A CN1922921B (zh) 2004-06-24 2005-06-07 利用印刷电路板减少内部线路的耳内式助听器的制造方法
US10/574,308 US7545947B2 (en) 2004-06-24 2005-06-07 Hearing aid using printed circuit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723A KR100673231B1 (ko) 2004-06-24 2004-06-24 귓속형 보청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410A KR20040073410A (ko) 2004-08-19
KR100673231B1 true KR100673231B1 (ko) 2007-01-22

Family

ID=3578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723A KR100673231B1 (ko) 2004-06-24 2004-06-24 귓속형 보청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45947B2 (ko)
KR (1) KR100673231B1 (ko)
CN (1) CN1922921B (ko)
WO (1) WO20060016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30649C2 (nl) * 2005-12-12 2007-06-13 Exsilent Res Bv Hoortoestel.
KR100795306B1 (ko) 2006-08-21 2008-01-15 권유정 귓속 보청기용 페이스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DE102012203768A1 (de) * 2012-03-09 2013-09-12 Siemens Medical Instruments Pte. Ltd. Batteriehalterung für ein Hörgerät
US9799319B1 (en) * 2016-05-24 2017-10-24 Bose Corporation Reducing radio frequency susceptibility in headset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8928A (en) * 1969-11-06 1971-08-10 Phonic Electronics Inc In ear hearing aid with removable mounting plate assembly
JPH0312000Y2 (ko) * 1981-04-20 1991-03-22
KR880000143Y1 (ko) 1985-01-25 1988-03-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석유연소기의 심지 승강장치
DE8708893U1 (ko) * 1987-06-26 1988-10-2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De
DE59009156D1 (de) * 1990-12-18 1995-06-29 Siemens Ag Hörgerät.
DE19514360C1 (de) * 1995-04-18 1996-02-22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Hinter dem Ohr zu tragendes Hörgerät
US6940988B1 (en) * 1998-11-25 2005-09-06 Insound Medical, Inc. Semi-permanent canal hea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410A (ko) 2004-08-19
CN1922921B (zh) 2012-10-03
US7545947B2 (en) 2009-06-09
CN1922921A (zh) 2007-02-28
WO2006001611A1 (en) 2006-01-05
US20080247580A1 (en)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04148B2 (en) Hearing aid with connecting element serving for retention in concha
AU2006222741B2 (en) Hearing aid with an antenna
US94915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crophones sharing a common acoustic volume
US20070047750A1 (en) In-the-ear hearing aid having an electronics module
EP2663097A1 (en) Flex connector for a hearing assistance device
US9949051B2 (en) Embedded and printed acoustic port
US7260233B2 (en) Hearing aid or similar audio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hearing aid
JP2008091554A (ja) 音声出力装置
US20080192967A1 (en) Circuit arrangement with bonded SMD component
CN110248299B (zh) 用于助听器装置系统的扬声器单元及助听器装置系统
EP2910034B1 (en) Routing building block for complex mid structures in hearing instruments
KR100673231B1 (ko) 귓속형 보청기의 제조방법
US20070121978A1 (en) Digital hearing aid enhancing directional performance
JP2000232700A (ja) 単一指向性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EP1829419B1 (en) Bte hearing aid with customized shell and earplug
EP1542501B1 (en) ITE hearing aid and contact module for use in an ITE hearing aid
CN104396352A (zh) 具有集成印刷电路板的注模的线路载体
US6909613B2 (en) Assembly comprising an electrical element
US8259971B2 (en) Hearing apparatus with controlled programming socket
KR101476401B1 (ko) 일체형 전자부품 모듈을 갖는 보청기
KR20240000105A (ko) 보청기용 연성회로기판 모듈
TW200820859A (en) Mounting method for mounting microphone o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20080232626A1 (en) Hearing apparatus with removable volume control module
KR20240022319A (ko) 보청기용 페이스 플레이트
CN210986425U (zh) 多通道助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