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496B1 - 영상 처리 단말기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496B1
KR100672496B1 KR1019990047999A KR19990047999A KR100672496B1 KR 100672496 B1 KR100672496 B1 KR 100672496B1 KR 1019990047999 A KR1019990047999 A KR 1019990047999A KR 19990047999 A KR19990047999 A KR 19990047999A KR 100672496 B1 KR100672496 B1 KR 100672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audio
image data
code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4939A (ko
Inventor
장복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7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496B1/ko
Publication of KR20010044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는 영상 처리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단말기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카메라(Camera)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와 스피커(Speaker)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는 화상/음성 처리부와, 상기 화상/음성 처리부에서 압축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음성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써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영상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 단말기, 영상 신호, 음성 신호

Description

영상 처리 단말기{Telephone terminal for image processing}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보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보인 제 1 메모리부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5는 도 3에 보인 제 1 메모리부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단말기의 영상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 송/수신부 302 : 혼합부
303 : 변/복조부 304 : 제어부
305 : 제 1 메모리부 306 : 제 2 메모리부
307 : 영상 코덱 308 : 음성 코덱
309 : 카메라/화상 표시부 310 : 마이크/스피커부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는 영상 처리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인 IMT-2000은 '미래 공중 육상 이동 통신 시스템'을 뜻하는 것으로 음성 외에 문자 및 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국제적인 로밍(Roaming)을 가능하게 하여 전세계 어느 곳에서도 동일한 이동국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00a ∼ 100n)와, 이동 단말기(100a ∼ 100n)와 무선 접속하여 발신 또는 착신 호를 연결하는 기지국(101a ∼ 101n)과, 기지국(101a ∼ 101n)을 제어하는 무선망 제어기(102a ∼ 102p)와, 이동국(100a ∼ 100n)과의 발신 또는 착신 호를 처리하는 교환국(103)과, 이동 단말기(100a ∼ 100n)의 위치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104)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지국(101a ∼ 101n)과 무선망 제어기(102a ∼ 102p)를 포함하여 무선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RAN)으로, 교환국(103)과 홈위치등록기(104)를 포함하여 코어망(Core Network, CN)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a ∼ 100n)는 이동에 따라 복수개의 무선 접속망(RAN)과 접속할 수 있으며, 코어망(CN)에는 국설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인터넷 망, 패킷 데이터망 등의 타 통신망이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보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이동 단말기는 안테나(200)와,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202)와, 국부 발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수신 동작시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중간 주파수(IF) 대역으로 1차 주파수 하향 변환하고 송신 동작시 중간 주파수(IF) 신호를 무선 주파수(RF) 신호로 2차 주파수 상향 변환하는 혼합부(202)와, 수신 동작시 중간 주파수(IF)의 음성 신호를 기저 대역으로 2차 주파수 하향 변환하고 송신 동작시 기저 대역의 음성 신호를 중간 주파수(IF)의 음성 신호로 1차 주파수 상향 변환하는 변/복조부(203)와, 변/복조부(203)를 제어하는 제어부(204)와,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05)와,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코덱(Codec)(206)과, 마이크/스피커부(20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통화 저장' 버튼을 누르면 통화중인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부(205)에 저장하고, 통화 종료 후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재생' 버튼을 누르면 메모리부(205)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한다.
여기서, 메모리부(205)는 플래쉬 롬(flash Rom), 에스 램(SRAM), 이이피램(EEPRAM)등으로 구성되며, 플래쉬 롬은 통신 프로토콜에 관련된 정보를 저 장하고, 에스 램은 음성 신호를 저장하고, 이이피램은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규격이 정해지고 있는 IMT-2000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현격히 증가함에 따라 음성 데이터와 함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이동 단말기는 음성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함께 처리할 수 없다.
이는 종래 이동 단말기에서 음성 신호가 저장되는 에스 램의 크기로는 데이터의 양이 크게 늘어나는 영상 데이터를 모두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에스 램의 크기를 늘려 영상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와 함께 저장한다고 가정하여도 에스 램은 그 특성상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에는 저장된 데이터들을 모두 유실하므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재생하거나 또는 컴퓨터와 연결하여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보다 다양하게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영상 처리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영상 처리 단말기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카메라(Camera)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와 스피커(Speaker)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는 화상/음성 처리부와, 상기 화상/음성 처리부에서 압축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음성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함께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는 영상 처리 단말기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단말기는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별도의 메모리가 구비되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영상 코덱(Codec)이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단말기는 안테나(300)와, 무선 주파수(RF)의 음성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301)와, 수신 동작시 음성 신호 및 영상 신호를 국부 발진 주파수와 곱하여 중간 주파수(IF) 신호로 1차 주파수 하향 변환하고 송신 동작시 음성 신호 및 영상 신호를 국부 발진 주파수와 곱하여 무선 주파수(RF) 신호로 2차 주파수 상향 변환하는 혼합부(302)와, 수신 동작시 혼합부(302)로부터 출력된 중간 주파수(IF)의 음성 신호 및 영상 신호를 기저 대역으로 2차 주파수 하향 변환하고 송신 동작시 기저 대역의 음성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중간 주파수(IF) 대역으로 1차 주파수 상향 변환하는 변/복조부(303)와, 음성 신호 및 영상 신호의 송/수신시 저장 및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부(304)와, 제어부(304)의 제어에 따라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부(305)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및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제 2 메모리부(306)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코덱(307)과,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는 음성 코덱(308)과,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재생하는 카메라/화상 표시부(309)와,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재생하는 마이크/스피커부(3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메모리부(305)는 MMC 카드(Multi Media Card)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영상 처리 단말기의 동작을 수신 모드와 송신 모드로 나누어 설명한다.
우선, 수신 모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안테나(300)는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고, 송/수신부(301)는 안테나(300)를 통해 수신된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혼합부(302)로 전송한다.
그러면, 혼합부(302)는 더블 수퍼헤테로다인(Double Super-heterodyne)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주파수(RF) 대역의 수신 신호를 국부 발진 주파수와 곱하여 중간 주파수(IF) 대역의 신호로 1차 주파수 하향 변환한다.
혼합부(302)에서 중간 주파수(IF) 대역의 신호로 1차 주파수 하향 변환된 수신 신호는 증폭된 후 변/복조부(303)로 전송되고, 변/복조부(303)는 중간 주파수(IF) 대역의 수신 신호를 기저 대역으로 2차 주파수 하향 변환하여 복조한 후 원하는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변/복조부(303)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상대방 단말기에서 전송한 음성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가 된다.
그러면, 제어부(304)는 변/복조부(303)에서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코덱(307)으로 전송하여 복원한 후 카메라/화상 표시부(309)를 통해 재생하고, 또한 제어부(304)는 변/복조부(303)에서 출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코덱(308)으로 전송하여 복원한 후 마이크/스피커부(310)를 통해 재생한다.
이때, 사용자가 키패드(Keypad)의 '저장' 버튼을 누를 경우, 제어부(304)는 변/복조부(303)에서 출력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제 1 메모리부(305)에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의 '재생' 버튼을 누를 경우, 제어부(304)는 제 1 메모리부(305)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여 음성 코덱(308)으로 전송하고, 제 2 메모리부(306)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여 영상 코덱(307)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음성 코덱(308)은 전송된 음성 데이터를 복원한 후 이를 마이크/스피커부(310)를 통해 재생하며, 영상 코덱(307)은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복원한 후 이를 카메라/화상 표시부(309)를 통해 재생한다.
지금부터는 송신 모드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카메라/화상 표시부(309)를 통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는 영상 코덱(307)으로 전송되어 압축된 후 제어부(304)의 제어에 따라 변/복조부(303)로 입력된다.
그러면, 변/복조부(303)는 기저 대역의 영상 데이터를 중간 주파수(IF) 신호로 1차 주파수 상향 변환하고, 혼합부(302)는 변/복조부(303)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IF) 대역의 영상 신호를 국부 발진 주파수와 곱하여 무선 주파수(RF) 신호로 2차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안테나(300)를 통해 송신한다.
이때, 사용자가 키패드의 '저장' 버튼을 누르면 영상 코덱(307)에서 압축된 영상 데이터는 제어부(304)의 제어에 따라 제 1 메모리부(305)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제 1 메모리부(305)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사용자가 키패드의 '재생'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304)의 제어에 따라 출력되어 영상 코덱(307)으로 전송되고, 영상 코덱(307)은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복원한 후 이를 카메라/화상 표시부(309)를 통해 재생한다.
한편, 마이크/스피커부(310)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는 음성 코덱(308)에서 압축된 후 제어부(304)의 제어에 따라 변/복조부(303)로 입력된다.
그러면, 변/복조부(303)는 기저 대역의 음성 데이터를 중간 주파수(IF) 신호로 1 차 주파수 상향 변환하고, 혼합부(302)는 변/복조부(303)에서 출력된 중간 주파수(IF) 대역의 음성 신호를 국부 발진 주파수와 곱하여 무선 주파수(RF) 신호로 2차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안테나(300)를 통해 송신한다.
이때, 사용자가 키패드의 '저장' 버튼을 누르면 음성 코덱(308)에서 압축된 음성 데이터는 제어부(304)의 제어에 따라 제 1 메모리부(305)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제 1 메모리부(305)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는 사용자가 키패드의 ' 재생'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304)의 제어에 따라 출력되어 음성 코덱(308)으로 전송되고, 음성 코덱(308)은 전송된 음성 데이터를 복원한 후 마이크/스피커부(310)를 통해 재생한다.
도 4는 도 3에 보인 제 1 메모리부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메모리부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인 MMC 카드(402)와, MMC 카드(402)와 MMC 어댑터(401)를 제어하는 프로세서(400)와, 프로세서(400)의 제어에 따라 MMC 카드(402)에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저장된 영상 및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카드 어댑터(Card Adaptor)(401)로 구성된다.
여기서 프로세서(400)와 카드 어댑터(401)는 데이터 라인과 제어 신호 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프로세서(400)는 영상 코덱에서 제공하는 MMC 카드(402)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저장 주소를 제어 신호 라인을 통해 카드 어댑터(401)로 제공하고, 카드 어댑터(401)는 프로세서(400)에서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의 저장 주소를 받아들일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한 후 변환된 저장 주소에 따라 데이터 라인을 통해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MMC 카드(402)에 저장하거나 또는 MMC 카드(402)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프로세서(400)로 출력한다.
이러한 카드 어뎁터(401)와 MMC 카드(402)는 소정 신호 라인과 전원 라인으로 연결되며, 이때 신호 라인은 클럭(Clock), 데이터, 명령을 위한 라인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MMC 카드(402)는 카드 어댑터(401)로부터 수신된 명령을 스스로 해석해서 그에 따라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므로 내부적으로 자체적인 프 로세서(미도시)를 구비한다.
도 5는 도 3에 보인 제 1 메모리부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초기 전원이 인가되면 프로세서는 카드 어댑터로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MMC 카드가 정상 동작하는지를 체크한다(S500).
이어, 프로세서는 MMC 카드가 정상 동작할 경우 MMC 카드로 적당한 크기의 구동 전압이 제공되고 있는 가를 체크한다(S501).
체크 결과에 따라, MMC 카드에 적당한 크기의 구동 전압이 제공되고 있을 경우, 프로세서는 MMC 카드가 준비 상태(Ready State)인 걸로 판단한다(S503). 이러한 준비 상태는 MMC 카드가 정상 동작할 수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MMC 카드에 적당한 크기의 구동 전압이 제공되고 있지 않을 경우, 프로세서는 MMC 카드가 비활성 상태(Inactive state)인 걸로 판단한다(S502).
이러한 준비 상태에서 프로세서는 MMC 카드로 시험 메시지를 전송하여 MMC 카드가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가를 체크한다(S504).
체크 결과에 따라 MMC 카드가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을 경우 프로세서는 MMC 카드가 대기 상태(Stanby Stage)인 걸로 판단하고(S505), 프로세서는 저장하고자 하는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대기 상태인 MMC 카드로 전송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저장된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단말기의 영상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이크/스피커(600)를 통해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면, 영상 코덱/음성 코덱(601)은 입력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압축한다. 이때, 사용자가 키패드의 저장 버튼(604)을 누르면, 영상 코덱/음성 코덱(601)에서 압축되어 출력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는 제 1 메모리(602)에 저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패드의 재생 버튼(605)을 누르면, 제어부(603)의 제어에 따라 제 1 메모리(602)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는 영상 코덱/음성 코덱(606)으로 각각 입력되고, 영상 코덱/음성 코덱(606)은 입력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복원하여 스피커/화상 표시부(607)를 통해 출력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단말기에 의하면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영상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영상 처리 단말기는 컴퓨터와 연결하여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카메라(Camera);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는 마이크;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는 화상/음성 처리부;
    상기 화상/음성 처리부에서 압축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사용자의 키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음성 처리부는,
    상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영상 코덱(Codec)과,
    상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음성 코덱(Codec)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제어 신호 및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어댑터(Adapter)와,
    상기 메모리와 어댑터를 제어하며 상기 화상/음성 처리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에 대한 저장 주소를 상기 어댑터로 제공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MMC(Multi Media Card) 카드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단말기.
KR1019990047999A 1999-11-01 1999-11-01 영상 처리 단말기 KR100672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999A KR100672496B1 (ko) 1999-11-01 1999-11-01 영상 처리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999A KR100672496B1 (ko) 1999-11-01 1999-11-01 영상 처리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939A KR20010044939A (ko) 2001-06-05
KR100672496B1 true KR100672496B1 (ko) 2007-01-23

Family

ID=19618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999A KR100672496B1 (ko) 1999-11-01 1999-11-01 영상 처리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4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300A (ko) * 2000-11-09 2002-05-16 이성민 음성/영상신호의 일괄적인 처리가 가능한 다기능 집적회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594U (ko) * 1997-03-26 1998-11-05 김기일 비상경보 및 음성과 영상 캡쳐재생기능이 있는 휴대폰
KR19990008838A (ko) * 1997-07-04 1999-02-05 윤종용 영상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디지털카메라 일체형 휴대폰 장치 및 방법
KR19990011574U (ko) * 1997-08-30 1999-03-25 구자홍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정보 단말기
KR200180374Y1 (ko) * 1999-10-15 2000-05-01 김기일 영상 및 음성 저장/전송 장치를 갖는 휴대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594U (ko) * 1997-03-26 1998-11-05 김기일 비상경보 및 음성과 영상 캡쳐재생기능이 있는 휴대폰
KR19990008838A (ko) * 1997-07-04 1999-02-05 윤종용 영상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디지털카메라 일체형 휴대폰 장치 및 방법
KR19990011574U (ko) * 1997-08-30 1999-03-25 구자홍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정보 단말기
KR200180374Y1 (ko) * 1999-10-15 2000-05-01 김기일 영상 및 음성 저장/전송 장치를 갖는 휴대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939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5478B1 (en) Multifunction wireless telephone
EP1615411B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wo radio communication interfaces for standard and VoIP communication
JP2008526161A (ja) 地上携帯端末内に内装されて衛星通信ができる衛星通信装置及び方法
JP3058269B2 (ja) 携帯電話装置
KR10031223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복합 정보수신 및 전송방법
JP2000332642A (ja) 無線通信装置
KR100672496B1 (ko) 영상 처리 단말기
WO2002035736A1 (fr) Appareil de radiocommunication,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 et appareil de communication
JP3839582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待ち受け処理方式
JPH06284067A (ja) 携帯無線電話機
JPH07235980A (ja) 携帯電話装置
KR100482027B1 (ko) 멀티모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접속 방법
JP3913890B2 (ja) 移動無線通信端末装置
JP2001186279A (ja) 移動通信端末装置
US20060244814A1 (en) Mobile terminal for selectively storing video call data and video call data storing method therefor
US7403776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ssion of electronic mail in a digital mode
KR20000020178A (ko) 이동단말기의 통화곤란시 메시지 전송방법 및 그 장치
JPH08265856A (ja) 無線インタフェースカード
JP2003218995A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KR200423092Y1 (ko) 티알에스 알에프 모뎀이 내장된 투웨이 무선 단말기
JPH0856385A (ja) 他のシステムと情報を交換するため無線接続を設定するシステム
JP2007096516A (ja) 通信装置
KR2005006932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변환 방법
KR100238523B1 (ko) 무선 전화기에서 휴대장치 이용 고정장치 제어방법
KR20010027310A (ko) 광대역 무선가입자망 및 협대역 이동무선망 겸용 pcs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