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306B1 - 외장형 마이크로폰이 장착 가능한 휴대폰 - Google Patents

외장형 마이크로폰이 장착 가능한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306B1
KR100672306B1 KR1020040091281A KR20040091281A KR100672306B1 KR 100672306 B1 KR100672306 B1 KR 100672306B1 KR 1020040091281 A KR1020040091281 A KR 1020040091281A KR 20040091281 A KR20040091281 A KR 20040091281A KR 100672306 B1 KR100672306 B1 KR 100672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bile phone
microphone
voice signal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2575A (ko
Inventor
박준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1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306B1/ko
Priority to CNB2005100769895A priority patent/CN100484157C/zh
Publication of KR20060042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에 있어서 안테나 단자인 모바일 스위치를 외장형 마이크로폰(Microphone)의 음성 신호 입력 패스(Path)로 이용할 수 있는 외장형 마이크로폰이 장착 가능한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외장형 마이크로폰과, 상기 외장형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 입력 패스로 이용되는 모바일 스위치와, 상기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마이크로폰 장착 가능한 휴대폰을 제공한다. 따라서 음성녹음이나 카메라 녹화시 생생한 사운드(Sound)를 저장할 수 있다.
휴대폰, 모바일 스위치, 멀티플렉서, 마이크로폰

Description

외장형 마이크로폰이 장착 가능한 휴대폰{Mobile Phone for installing outer style Microphone}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폰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인 휴대폰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3은 도2에 나타낸 휴대폰의 모바일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과 외장형 마이크로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에 외장형 마이크로폰을 연결한 경우의 음성 신호 처리 방법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무선 신호 주파수 처리부 40 : MSM칩
60 : 메모리부 70 : 내장형 마이크로폰
100 : 외장형 마이크로폰 201 : 모바일 스위치
210 : 고주파 신호 입력부 220 : 그라운드부
230 : 제1신호 입력부 240 : 제2신호 입력부
300 : 멀티플렉서 400 : 휴대폰 케이싱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에 있어서 안테나 단자인 모바일 스위치를 외장형 마이크로폰(Microphone)의 음성 신호 입력 패스(Path)로 이용할 수 있는 외장형 마이크로폰이 장착 가능한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멀리 있는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폰 자체에서 녹음기능과 카메라폰의 경우 캠코드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때 내장형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통화시에는 좋은 음질이 필요하지 않았지만, 녹음기능과 캠코드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 내장형 마이크로폰을 사용할 경우 음질에 한계가 있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폰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여, 종래 휴대폰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휴대폰에는 휴대폰 내부에 내장형 마이크로폰(70)이 직접 MSM칩(Mobile Station Modem Chip : 이하 'MSM칩'라고 통칭한다.)(40)과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음성 신호가 내장형 마이크로폰(70)으로 입력되면 상기 음성 신호는 MSM칩(40)으로 전송된다. 상기 MSM칩(40)으로 전송된 신호는 무선 신호 주파수 처리부(30)로 전송되어 기저 대역 주파수 처리부(Base band)(33), 고주파수 필터(RF Filter)(32), 전력 증폭기(PA)(31)등에서 신호가 처리되고 상기 처리된 신호는 듀플렉서(Duplexer)(20)로 전송된 후, 모바일 스위치(Mobile Switch)(200)로 전송되어 안테나(10)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특히 휴대폰이 보이스 레코드(Voice Recorder)나 카메라폰의 음성 녹음을 위해 사용될 경우에는 음성 신호가 내장형 마이크로폰(70)으로 입력되면 상기 음성 신호는 MSM칩(40)으로 전송되고 상기 MSM칩에서 메모리부(60)로 상기 신호는 전송되어 상기 메모리부(60)에 저장되게 된다.
상기 모바일 스위치(200)( '안테나 단자'와 그 의미를 같이 본다.)는 휴대폰의 테스트를 위한 연결부 역할을 하였다. 이때 종래에 있어서는 휴대폰을 테스트하고자 할 때, 테스트기의 연결잭을 모바일 스위치(200)에 접속하면 안테나(10)로 들어온 신호는 듀플렉서(20)에 입력이 되지 않는다. 이때 테스트기에서 휴대폰으로 신호를 보내어 휴대폰을 테스트 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휴대폰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휴대폰의 마이크로폰은 내장형이라서 협소한 공간 때문에 마이크로폰의 크기에 제약을 받는다.
둘째, 특성이 음성 통화용으로 사용된 것이므로, 녹음시 음질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에서 고성능 마이크로폰을 장착가능하게 하여 음성녹음이나 카메라폰 녹음시 생생한 사운드(Sound)를 저장할 수 있는 외장형 마이크로폰이 장착 가능한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외장형 마이크로폰과, 상기 외장형 마이크로폰의 음성 신호 입력 패스로 이용되는 모바일 스위치와, 상기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외장형 마이크로폰 장착 가능한 휴대폰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스위치는 그라운드부, 고주파수 신호 입력부, 제1신호 입력부, 제2신호 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스위치를 마이크로폰의 음성 신호 입력 패스로 이용하여 외부에서 고성능 외장형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장착시켜, 음성녹음이나 카메라 녹화시 생생한 사운드(Sound)를 저장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으로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됨을 밝혀 두고자 한다.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휴대폰"이라 함은, 통화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PDA폰, 카메라폰 등)를 총칭하여 사용한 의미이다.
먼저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인 휴대폰은 안테나(10), 듀플렉서(20), 무선 신호 주파수 처리부(30), MSM칩(40), 표시부(50), 메모리부(60), 내장형 마이크로폰(70), 리시버/스피커(80), 외장형 마이크로폰(100), 모바일 스위치(201), 멀티플렉스(30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면, 상기 안테나(10)는 외부의 고주파수 신호가 입력되고 휴대폰의 신호가 출력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듀플렉서(20)는 무선통신에서 안테나와 연결된 송신기와 수신기를 분리해 주는 필터이다. 상기 듀플렉서(20)를 통해 주파수가 다른 송신기와 수신기가 하나의 안테나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듀플렉서(20)는 일반적인 통신 방식에서 송신-수신-안테나단을 연결함으로써, 동일한 안테나를 이용하면서 송신단과 수신단을 분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 신호 주파수 처리부(30)는 무선 신호에 대한 상향 내지 하향 주파수를 처리하는 부분이다.
상기 MSM칩(40)은 휴대폰의 모든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표시부(50)는 상기 MSM칩(40)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부분이다.
상기 메모리부(60)는 내장형 마이크로폰(70)이나 외장형 마이크로폰(100)으로 입력된 신호를 저장하는 부분이고, 카메라폰인 경우 영상 등도 저장한다.
상기 내장형 마이크로폰(70)은 휴대폰 내에 위치해서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데 상기 휴대폰 공간의 협소성과 음성 통화용으로 사용되기 위한 것이므로, 녹음시 음질이 떨어진다. 이에 반해 상기 외장형 마이크로폰(100)은 휴대폰 외에서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데 공간의 제약도 받지 않으며, 음성 녹음을 위해 고성능의 마이크로폰을 휴대폰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리시버/스피커(80)는 상기 MSM칩(40)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음 성으로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모바일 스위치(201)는 상기 안테나(10)로 입력된 신호를 상기 듀플렉서(20)에 전송하고 상기 외장형 마이크로폰(100)으로 입력된 음성 신호를 멀티플렉스(300)로 전송하는 연결부이다.
상기 멀티플렉스(300)는 상기 모바일 스위치(201)과 접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멀티플렉서(300)는 내장형 마이크로폰(70)과 MSM칩(4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멀티플렉서(300)는 먹스(Mux)라고도 한다. 복수회로에서 입력되는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 회로에 실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선택 논리회로이며, 또한 이를 채용한 통신 장비를 의미하기도 한다. 먹스(Mux, Multiplexer)를 이용하면 여러 장치가 하나의 전용선을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장형 마이크로폰(70)과 외장형 마이크로폰(100)으로 입력된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해 MSM칩(40)으로 출력해 주는 기능을 위해 필요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멀티플렉서(300)의 동작을 설명하면 외장형 마이크로폰(100)이 접속 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내장형 마이크로폰(70)으로 입력된 음성 신호가 멀티플렉서(300)에서 선택되어 상기 신호가 MSM칩(40)으로 전송된다.
이에 반하여, 상기 모바일 스위치(201)에 외장형 마이크로폰(100)이 접속되면 하드웨어적인 동작에 의해 외장형 마이크로폰(100)으로 입력된 신호가 멀티플렉서(300)에 의해서 선택되어져 상기 신호가 MSM칩(40)으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내장형 마이크로폰(70)으로 입력된 신호는 차단되어 입력이 되지 않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멀티플렉서(300)에서 출력되어 MSM칩(40)에 입력된 신호는 상기 MSM칩(40)에서 프로세스 처리 과정을 거쳐 변환된 신호로 메모리부(6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또한 상기 MSM칩(40)으로부터 무선 신호 주파수 처리부(30)에 전송된 신호는 기저 대역 주파수 처리부(Base band)(33), 고주파수 필터(RF Filter)(30), 전력 증폭기(PA)(31)를 통해 신호가 처리되고 상기 처리된 신호는 듀플렉서(Duplexer)(20)로 전송되어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도3은 도2에 나타낸 휴대폰의 모바일 스위치(201)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의 안테나 단자를 외장형 마이크로폰(100)의 음성 신호 입력 패스로 이용하는 것이 중요한 특징인 바, 상기 외장형 마이크로폰(100)과 휴대폰의 접속을 할 수 있게 해주는 모바일 스위치(201)가 종래의 모바일 스위치(200)와 다르다.
상기 모바일 스위치(201)는 고주파수 신호 입력부(210)와 그라운드부(Gnd)(220)에 제1신호 입력부(230)와 제2신호 입력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주파수 신호 입력부(210)는 상기 안테나(10)에서 고주파수 신호(RF signal)를 받아 듀플렉서(20)로 전송한다. 상기 그라운드부(Gnd)(220)는 외장형 마이크로폰(100)의 연결잭과 접속 되고 외장형 마이크로폰(10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1신호 입력부(230)로 제어 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제2신호 입력부(240)는 정보 신호, 즉 외장형 마이크로폰(100)으로부터 음성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제어 신호는 외장형 마이크로폰(100)을 모바일 스위치(201)에 접속시, 멀티플렉서(100)가 출력하는 음성 신호를 내장형 마이크로폰(70)이 수신한 음성 신호에서 상기 외장형 마이크로폰(100)이 수신한 음성 신호로 선택하게 제어하는 신 호이다.
상기에서 외장형 마이크로폰(100)은 보이스 레코드(Voice Recorder)나 카메라폰에서 음성 녹음시 음질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므로 고성능 마이크로폰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마이크로폰(100)의 연결잭은 상기 모바일 스위치(201)와 접속시 모바일 스위치(201)의 그라운드부(220), 제1신호 입력부(230), 제2신호 입력부와 접속을 한다. 그리고, 안테나(10)를 통해 전송되는 고주파수 신호는 고주파수 입력부(210)를 통해 듀플렉서(20)로 전송된다.
도4에서는 휴대폰 케이싱(400)과 휴대폰 모바일 스위치(201)을 외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외장형 마이크로폰(100)의 연결잭을 상기 모바일 스위치(201)로 삽입하여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외장형 마이크로폰(100)의 연결잭을 모바일 스위치(201)에 연결하는 순간의 휴대폰의 동작은 이하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에 외장형 마이크로폰을 연결한 경우의 음성 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외장형 마이크로폰을 모바일 스위치에 접속(S10)한다. 이때 제어 신호가 멀티플렉서에 전송(S20)된다. 상기 멀티플렉서는 마이크로폰 신호 선택을 위해 사용되므로 제어 신호가 들어옴에 따라 상기 멀티플렉서에서 MSM칩으로 전송하는 음성 신호를 내장형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된 음성 신호에서 외장형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된 음성 신호로 선택(S30)한다. 이로인해, 상기 멀티플렉서로 입력된 음성 신 호는 상기 MSM칩으로 전송(S40)된다.
상기 MSM칩으로 전송된 음성 신호는 다시 메모리부에 전송되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S50)되게 된다.
본 발명을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마이크로폰이 장착 가능한 휴대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기존의 휴대폰에 고성능 외장형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장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음성녹음이나 카메라 녹화시 생생한 사운드(Sound)를 저장할 수 있다.

Claims (6)

  1. 제어신호와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를 구비한 모바일 스위치,
    복수의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음성신호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
    복수의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음성신호를 선택하도록 상기 멀티플렉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장형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휴대폰 내부의 내장형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음성신호를 선택하도록 상기 멀티플렉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MSM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스위치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1신호 입력부와,
    상기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제2신호 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모바일 스위치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선택하도록 상기 멀티플렉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6. 외부로부터 제어신호와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음성신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처리방법.
KR1020040091281A 2004-11-10 2004-11-10 외장형 마이크로폰이 장착 가능한 휴대폰 KR100672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281A KR100672306B1 (ko) 2004-11-10 2004-11-10 외장형 마이크로폰이 장착 가능한 휴대폰
CNB2005100769895A CN100484157C (zh) 2004-11-10 2005-06-14 可安装外置型麦克风的手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281A KR100672306B1 (ko) 2004-11-10 2004-11-10 외장형 마이크로폰이 장착 가능한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575A KR20060042575A (ko) 2006-05-15
KR100672306B1 true KR100672306B1 (ko) 2007-01-24

Family

ID=3676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281A KR100672306B1 (ko) 2004-11-10 2004-11-10 외장형 마이크로폰이 장착 가능한 휴대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72306B1 (ko)
CN (1) CN100484157C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84157C (zh) 2009-04-29
CN1774010A (zh) 2006-05-17
KR20060042575A (ko) 2006-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4229B2 (en) Transmitter apparatus of mobil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8160510B2 (en) Transmitter/receiver circuit and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KR101597069B1 (ko) 스위칭 회로를 이용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들로부터 마이크로전자기계 시스템 스위치들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0733205B1 (ko) 휴대 단말 장치 및 안테나 스위치
US11246106B2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power control
CN103716459B (zh) 一种兼具手机和对讲机通话功能的音频系统
US20060142052A1 (en) Dual-mode GSM/PHS mobile phone adopting a single antenna
US8509845B2 (en) Apparatus for impedance matching in dual standby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20090079379A (ko) 컨퍼런스 콜 멀티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방법
US8929960B2 (en) Voice cal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KR20110103625A (ko) 듀얼 스탠바이 휴대용 단말기 및 오디오 패스 연결 방법
KR100604544B1 (ko) S-gps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207880A (ja) 携帯無線端末
KR100672306B1 (ko) 외장형 마이크로폰이 장착 가능한 휴대폰
KR20050120518A (ko) 안테나모듈
KR1016864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대역 안테나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050143019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10136298A (ja) 携帯無線端末
KR20030033434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분석 진단장치
JP2806842B2 (ja) ブースター付きアンテナ切替ダイバーシティ方式用tdma携帯電話機
JP2012105124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アンテナ切替方法
JP2002118482A (ja) 携帯電話送受信装置
CN117478166A (zh) 一种射频通路切换方法及通信设备
JP2002314453A (ja) アンテナ整合回路切替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100270706B1 (ko) 무선호출기가 내장된 디지털 무선전화기의 이중대역 안테나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